KR101713912B1 - Crossing gate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Crossing gate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3912B1 KR101713912B1 KR1020150000668A KR20150000668A KR101713912B1 KR 101713912 B1 KR101713912 B1 KR 101713912B1 KR 1020150000668 A KR1020150000668 A KR 1020150000668A KR 20150000668 A KR20150000668 A KR 20150000668A KR 101713912 B1 KR101713912 B1 KR 101713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k
- shaft
- coupled
- guide groove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는, 프레임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에 차단바가 개폐측으로 연동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전단에 결합된 제1연결단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1회전단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크랭크와, 상기 종동 크랭크의 하방에 배치되며, 모터의 구동 축에 연결된 제2연결단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2회전단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크랭크와, 상단의 가이드홈 내에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 및 양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제2연결단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 및, 상기 가이드홈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십입되며,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양 방향에서 완충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ave shaft rotatably mounted on a frame and rotatabl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 slave shaft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lave shaft such that the slave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side, and a first connecting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lave shaft A driven crank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crank so as to be eccentrically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tages; A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is coupled to the upper guide groove such that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can be rotated and moved in both direction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second connecting rod which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move in both directions and a pair of elastic member for buffe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팅 로드와 종동 크랭크간의 연결 부위에 충격 완충을 위한 탄성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차단바의 개폐 동작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기구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 동력 전달 부품의 손상과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차량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n elastic member for shock buffering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a connecting rod and a driven cr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ircuit breaker capable of reducing damage to transmission parts and operation noise.
일반적으로, 차량 차단기는 차량단속기, 차량 출입 게이트 등으로 명명되면서 주차장이나 특정 건물에서의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확인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Generally, a vehicle breaker is used to identify and control the passage of a vehicle or a pedestrian in a parking lot or a specific building, while being named as a vehicle breaker, a vehicle access gate, and the like.
이러한 차량 차단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 및 보행자의 출입을 물리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를 개폐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등으로 구성된다.The vehicle circuit breaker includes a housing, a blocking bar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extending horizontally to physically interrupt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and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blocking bar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
그리고, 차단봉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 발생원으로 모터가 사용되며, 모터의 회전운동과 연계하여 차단봉이 상승 회동 또는 하강 회동할 수 있게 복수의 링크 및 크랭크 등이 사용된다.A motor is used as a power generating source for driving the shutters, and a plurality of links and cranks are used so that the shutters can rotate upward or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또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감속기 내지 센서를 이용한 여러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이 구동방식 내지 동력전달방식에 따라 벨트 내지 복수의 기어 조합과 같은 기계요소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control means using a speed reducer or a sensor are provid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a mechanical element type such as a belt or a plurality of gear combinations is used according to the driving system o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그런데, 종래의 차량 차단기는 모터의 속도로 차단바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단바를 개폐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복수의 링크 및 크랭크 등의 연결 부위에 충격이 집중되었고, 이로 인해 구동 부품들 간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거나 작동 소음이 발생되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vehicle circuit breaker has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off bar at the speed of the motor, when the shut-off bar is rot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the impact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plural links and the crank, Connections between parts are broken or operating noise is generat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5995호(2010 년 12월 2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복합기능 차량차단기가 개시되어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No. 10-1005995 (December 28, 2010), which discloses a multifunctional vehicle breaker.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팅 로드와 종동 크랭크간의 연결 부위에 충격 완충을 위한 탄성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차단바의 개폐 동작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기구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 동력 전달 부품의 손상과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차량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structure capable of mechanically buffering impact generated dur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a shut-off bar by applying an elastic member for impact shock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a connecting rod and a driven cran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reaker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vehicl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바의 길이 상에 일정 탄성을 갖는 완충 고무를 설치함으로써, 차단바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차량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ircuit breaker which can prevent a breaker bar from being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force by providing a buffer rubber having a certain elasticity on the length of the breaker bar.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는, 프레임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에 차단바가 개폐측으로 연동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전단에 결합된 제1연결단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1회전단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크랭크와, 상기 종동 크랭크의 하방에 배치되며, 모터의 구동 축에 연결된 제2연결단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2회전단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크랭크와, 상단의 가이드홈 내에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 및 양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제2연결단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 및, 상기 가이드홈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십입되며,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양 방향에서 완충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ave shaft rotatably mounted on a frame and rotatabl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 slave shaft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lave shaft such that the slave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side, and a first connecting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lave shaft A driven crank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crank so as to be eccentrically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tages; A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is coupled to the upper guide groove such that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can be rotated and moved in both direction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second connecting rod which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m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elastic members to the buffer in both directions.
여기서, 상기 종동축에는 역회전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 중량을 가하기 위한 균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slave shaft may further include a balance member for applying a rotational weight set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또한, 상기 균형부재는 상기 종동축의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종동축의 정역회전 방향으로 편심 회전되는 연결 크랭크와, 상기 연결 크랭크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과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 크랭크의 역회전 방향으로 설정된 중량을 작용시키는 중량추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추가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lance member is formed by project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en shaf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rank eccentrically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driven shaft and the eccentrically rotated one end of the connection crank, And a guide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guide to support the weight so as to be able to raise and lower the weight.
또한, 상기 균형부재는 상기 종동축의 역회전 방향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하방에서 회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ance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driven shaft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for rotating the wire in a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 크랭크는 상기 차단바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되며, 상기 차단바가 개방측으로 회전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rank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to the upper side when the blocking bar is rotated to the closed side, and horizontally positione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blocking bar is rotated to the open side.
또한, 상기 구동 크랭크는 상기 차단바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되며, 상기 차단바가 개방측으로 회전 위치시 하부로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rank may be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when the blocking bar is rotated toward the closed side, and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when the blocking bar is rotated to the open side.
또한, 상기 종동 크랭크는 상기 구동 크랭크가 수직하게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위치되며, 상기 구동 크랭크가 수평하게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n crank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drive crank is inclined upward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vertically positioned, and the drive crank may be positioned downwardly incline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positioned horizontally.
또한, 상기 수평회전축의 외부에는 상기 가이드홈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이 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bearing for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uide groove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을 상하 방향에서 각각 탄성 지지할수 있다.The guide groove may have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lastic members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guide groov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The rotary shaft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커넥팅 로드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장력 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종 방향 양단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들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 tension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s may be furth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may be threadedly coupled through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guide groove,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s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또한, 상기 차단바의 후단에는 상기 종동축의 후단과 결합되는 홀더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차단바의 후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종동축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수직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수직회전축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회동 개폐되는 홀더 커버로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holder member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follower shaft may be further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hut-off bar, the holder member is coupled in a state of wrapping around the back of the shut-off bar, And a holder cover hing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a vertical rotation axis and horizontally pivotally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차단바의 후단은 상기 홀더 커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 커버는 상기 종동축의 축 방향으로 기준범위 이상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수직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shut-off bar may be fixed to the holder cover. When the force exceeding the reference range is transmit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ollower shaft, the holder cover is pivotally ope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rotation axis, .
또한, 상기 홀더 커버 내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의 대응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석이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holder cover may further include a magnet so as to be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holder cover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by a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종동축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종동축의 후단이 대응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rear end of the driven shaft may have a tapered shape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rear, and the insertion port may be formed with a corresponding tapered groov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driven shaft is correspondingly inserted.
또한, 상기 차단바의 길이 상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완충 고무가 더 결합될 수 있다.Further, on the length of the shut-off bar, one or more buffering rubbers may be further coupled to absorb impact.
본 발명은 커넥팅 로드와 종동 크랭크간의 연결 부위에 충격 완충을 위한 탄성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차단바의 개폐 동작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기구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 동력 전달 부품의 손상과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shock absorbing elastic member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driven crank to mechanically cushion an impact gener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off bar, thereby reducing damage to the power transmitting component and operation noise .
또한, 차단바의 길이 상에 일정 탄성을 갖는 완충 고무를 설치함으로써, 차단바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by providing the buffer rubber having a certain elasticity on the length of the blocking bar, the blocking ba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for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에서 구동 크랭크와 종동 크랭크와 커넥팅 로드 및 탄성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에서 프레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의 차단바가 폐쇄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의 차단바가 개방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에서 자석과 완충 고무의 적용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crank, the driven crank, the connecting rod, and the elastic member in detail in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ame in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bar of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bar of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magnet and the buffer rubber in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에서 구동 크랭크와 종동 크랭크와 커넥팅 로드 및 탄성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crank, the driven crank, the connecting rod, and the elastic member in detail in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에서 프레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좌측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ame in the vehicl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left side view for show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는 프레임(100)과, 종동축(200)과, 종동 크랭크(300)와, 구동 크랭크(400)와, 커넥팅 로드(500) 및, 한 쌍의 탄성부재(600)를 포함한다.1 to 4,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 크랭크(40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70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먼저, 프레임(100)은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내부에 각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110)이 형성된다.First, the
여기서, 상기 프레임(100)의 개방된 전방에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착탈 가능한 전면패널(120)이 결합될 수 있다.A detachable
상기 전면패널(120)은, 후술 될 종동축(200)의 전단과 모터(700)의 구동축이 전후로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에는 후술 될 종동축(200)이 후방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즉, 상기 프레임(100)의 설치공간(110)과 전면패널(120)의 전면이 다수의 구성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외부에는 모터(70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미도시)가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for manually operating the
이에 더하여, 상기 프레임(100) 또는 차단바(10) 상에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700)를 개방 구동시키기 위한 센서류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종동축(200)은, 모터(7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차단바(1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종동축(200)의 후단은 프레임(100)의 통과홀을 통해 후방으로 관통되며, 상기 종동축(200)의 후단에는 차단바(10)가 개폐측으로 연동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rear end of the driven
그리고, 상기 종동축(200)의 전단은 전술한 전면패널(120)의 통과홀을 통해 전방으로 관통되며, 상기 종동축(200)의 전단에 후술 될 종동 크랭크(300)가 결합된다.The front end of the driven
또한, 상기 종동축(200)에는 역회전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 중량을 가하기 위한 균형부재(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한 상기 균형부재(210)는, 연결 크랭크(211)와, 중량추(212)와, 와이어(213)와, 가이드 지지대(214) 및, 지지롤러(215)로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 크랭크(211)는, 종동축(200)의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종동축의(200) 정역회전 방향으로 편심 회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연결 크랭크(211)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에는 와이어(213)의 일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Here,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이와 더불어, 종동축(200)의 전단 및 후단에는 회전의 용이성을 위한 베어링(B)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bearing B for facilitating rotation can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riven
중량추(212)는, 연결 크랭크(211)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과 와이어(213)에 의해 연결되어, 연결 크랭크(211)의 역회전 방향으로 설정된 중량을 작용시킨다.The
그리고, 상기 중량추(212)는 다수의 금속판을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층시킨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The
즉, 상기 중량추(212)의 무게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차단바(10)의 무게에 따른 밸런스 조절이 가능하다.That is, the weight of the
와이어(213)는, 일단이 연결 크랭크(211)의 결합홀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중량추(212)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중량추(212)의 무게를 연결 크랭크(211)로 전달한다.The other end of the
가이드 지지대(214)는, 프레임(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중량추(212)가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 지지한다.The
여기서, 상기 가이드 지지대(214)는 프레임(1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지지대(214)는 중량추(212)의 양측을 가이드 하기 위해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guide supports 214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중량추(212)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지지대(214)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guide supports 21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지지롤러(215)는, 와이어(213)의 하방에서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종동축(200)의 역회전 방향에 이격 설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지지롤러(215)는 수평회전축을 기준으로 와이어(21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정역 회전되며, 상기 수평회전축은 프레임의 내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종동 크랭크(300)는, 전술한 전면패널(120)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패널(1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종동축(200)의 전단에 결합된다.The driven
여기서, 상기 종동 크랭크(300)는 종동축(200)의 전단에 결합된 제1연결단(310)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1회전단(320)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Here, the driven crank 3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그리고, 상기 종동 크랭크(300)의 제1연결단(310)에는 후술 될 가이드홈(510)에 전후로 삽입 또는 관통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회전축(311)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또한, 상기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에는 후술 될 가이드홈(510) 내에서 이동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B)이 더 결합될 수 있다.A bearing B for reducing a frictional force when moving in a
구동 크랭크(400)는, 상기 종동 크랭크(300)의 하방에 배치되며, 후술 될 커넥팅 로드(500)를 통해 상기 종동 크렝크(300)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The driving
이를 위한, 상기 구동 크랭크(400)는 전술한 전면패널(120)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패널(120)의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70)의 구동축(710)에 결합된다.The driving
그리고, 상기 구동 크랭크(400)는 모터(700)의 구동축(710)에 결합된 제2연결단(410)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2회전단(420)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iving
커넥팅 로드(500)는, 양단이 구동 크랭크(400)와 종동 크랭크(30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 크랭크(40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종동 크랭크(300)로 절단한다.The connecting
특히, 상기 커넥팅 로드(500)의 상단에는 가이드홈(51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 로드(500)의 하단은 종동 크랭크(300)와 수평회전축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In particular, a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넥팅 로드(50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510) 내에 전술한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이 전후로 삽입 또는 관통 결합된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510)은 상기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이 양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장홈 형태로 형성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은 상기 가이드홈(510)의 내부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및 양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탄성부재(600)들은,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을 기준으로 가이드홈(510)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600)들은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을 상하 방향에서 각각 탄성 지지한다.Here, the
이를 위한 상기 탄성부재(600)들은, 도 3에서처럼 수평회전축(311)의 양 방향에서 압축력을 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판 형태의 스프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전술한 커넥팅 로드(500)의 상단에는 탄성부재(600)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부재(8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A
이를 위한 상기 장력 조절부재(800)는, 도 3에서처럼 가이드홈(510)의 종 방향 양단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결합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상기 장력 조절부재(800)는 가이드홈(510)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므로, 탄성부재(600)들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전술한 차단바(10)의 후단에는 종동축(200)의 후단과 결합되는 홀더부재(9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Further, a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900)는 도 8에서처럼 하우징(910) 및, 홀더 커버(920)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상기 하우징(910)은, 차단바(10)의 후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910)의 일측에는 종동축(200)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삽입구(911)가 형성된다.The
상기 삽입구(911)는, 도 5에서처럼 종동축(200)의 후단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며,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종동축(200)의 후단과 결합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종동축(200)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이와 함께, 삽입구(911)는 종동축(200)의 후단이 대응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삽입구(911)와 종동축(200)의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를 이용해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ease of assembly can be provided by using the corresponding tapered shape of the
홀더 커버(920)는, 하우징(910)의 일측과 수직회전축(930)을 기준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수직회전축(930)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회동 개폐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하우징(910)과 대면하는 상기 홀더 커버(920)의 내부에는 차단바(10)의 후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rear end of the shut-off
그리고, 상기 홀더 커버(920)는 종동축(200)의 축 방향으로 기준범위 이상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 수직회전축(930)을 기준으로 회동 개방되어 하우징(9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상기 홀더 커버(920)의 내면에는 자력에 의해 하우징(910)과의 대응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석(M)이 더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a magnet M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예를 들어, 차단바(10)가 폐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홀더 커버(920)가 하우징(910)으로부터 개방됨 동시에 차단바(10)가 차량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피 회동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locking
즉, 상기 홀더 커버(920)와 하우징(910)의 회동 개폐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차단바(10)나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applying the rotation opening / closing structure of the
뿐만 아니라, 도 8에서처럼 차단바(10)의 길이 상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완충 고무(R)가 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one or a plurality of cushioning rubbers 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ength of the shut-off
상기 완충 고무(R)는, 차단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일정 간격을 형성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The buffer rubber (R)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ut-off bar (10).
그리고, 상기 완충 고무(R)는 차단바(10)의 중심 축을 감싸며, 상기 차단바(10)와 외주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링 형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buffer rubber (R) may sur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hut-off bar (10) and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be flush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ut-off bar (10).
즉, 상기 완충 고무(R)는 일정 탄성력을 가지므로 차단바(10)에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 차단바(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차단바(10)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buffer rubber (R) has a certain elastic force, when shock acts on the blocking bar (10), it gives softness so as to buffer vibration and impact transmitted from the blocking bar (10)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force.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먼저, 차단바(10)를 폐쇄 위치로 회전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6에서처럼 모터(700)의 구동축(710)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First, when the blocking
이때, 상기 모터(700)의 구동축(710)에 설치된 구동 크랭크(400)의 제1연결단(310)이 정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커넥팅 로드(500)가 상부로 연동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이와 동시에, 상기 커넥팅 로드(500)의 상단에 연결된 종동 크랭크(300)의 제1연결단(310)이 정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종동축(2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necting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이 커넥팅 로드(50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510)을 따라 일정 길이로 이동된다.The
이때, 상기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은 탄성부재(600)들에 의해 양 방향에서 완충이 이루어지므로, 커넥팅 로드(500)와 종동 크랭크(300) 간의 작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그리고, 상기 종동축(200)의 연결 크랭크(21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213)를 상부로 당기게 되며, 중량추(212)는 와이어의 견인력에 의해 가이드 지지대(214)를 따라 상승 위치된다.The connecting crank 211 of the driven
이때, 중량추(212)는 차단바(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정된 힘을 작용시키므로, 차단바(10)에는 일정 완충력이 작용하며, 이를 통해 차단바(10)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일정부분 완충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와 같이, 차단바(10)가 개방 위치로 회전을 완료한 경우, 연결 크랭크(211)는 차단바(10)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되고, 상기 구동 크랭크는 상기 차단바(10)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된다.In this way, when the shutting
또한, 종동 크랭크(300)는, 구동 크랭크(400)가 수직하게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위치된다.Further, the driven crank 30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driving crank 400 is vertically inclined upwar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positioned.
반대로, 차단바(10)를 개방 위치로 회전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7에서처럼 모터(700)의 구동축(7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Conversely, when the blocking
이때, 상기 모터(700)의 구동축(710)에 설치된 구동 크랭크(400)의 제1연결단(310)이 역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커넥팅 로드(500)가 하부로 연동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이와 동시에, 상기 커넥팅 로드(500)의 상단에 연결된 종동 크랭크(300)의 제1연결단(310)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종동축(2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necting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이 커넥팅 로드(50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510)을 따라 일정 길이로 이동된다.The
이때, 상기 제1연결단(310)의 수평회전축(311)은 탄성부재(600)들에 의해 양 방향에서 완충이 이루어지므로, 커넥팅 로드(500)와 종동 크랭크(300) 간의 작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그리고, 상기 종동축(200)의 연결 크랭크(21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213)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며, 중량추(212)는 와이어(213)의 하강에 의해 가이드 지지대(214)를 따라 하강 위치된다.The
이때, 중량추(212)는 차단바(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정된 힘을 작용시키므로, 차단바(10)를 들어올리는 힘들 보조하게 되며, 이를 통해 모터(700)에 작용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와 같이, 차단바(10)가 개방 위치로 회전을 완료한 경우, 연결 크랭크(211)는, 차단바(10)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되고, 상기 구동 크랭크는 상기 차단바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된다.In this way, when the shutting
또한, 종동 크랭크(300)는, 구동 크랭크(400)가 수직하게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위치된다.Further, the driven crank 30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driving crank 400 is vertically inclined upwar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position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커넥팅 로드(500)와 종동 크랭크간의 연결 부위에 충격 완충을 위한 탄성부재(600)를 적용함으로써, 차단바(10)의 개폐 동작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기구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 동력 전달 부품의 손상과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As a result, by applying the
또한, 차단바의 길이 상에 일정 탄성을 갖는 완충 고무(R)를 설치함으로써, 차단바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buffer rubber (R) having a certain elasticity on the length of the blocking bar, the blocking ba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for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단바 100: 프레임
110: 설치공간 120: 전면패널
200: 종동축 210: 균형부재
211: 연결 크랭크 212: 중량추
213: 와이어 214: 가이드 지지대
215: 지지롤러 300: 종동 크랭크
310: 제1연결단 311: 수평회전축
320: 제1회전단 400: 구동 크랭크
410: 제2연결단 420: 제2회전단
500: 커넥팅 로드 510: 가이드홈
600: 탄성부재 700: 모터
710: 구동축 800: 장력 조절부재
900: 홀더부재 910: 하우징
911: 삽입구 920: 홀더 커버
930: 수직회전축 B: 베어링
M: 자석 R: 완충 고무10: blocking bar 100: frame
110: installation space 120: front panel
200: slave axis 210: balance member
211: connection crank 212: weight weight
213: wire 214: guide support
215: support roller 300: driven crank
310: first connecting end 311: horizontal rotating shaft
320: first rotating stage 400: driving crank
410: second connecting end 420: second rotating end
500: connecting rod 510: guide groove
600: elastic member 700: motor
710: drive shaft 800: tension adjusting member
900: holder member 910: housing
911: insertion port 920: holder cover
930: Vertical rotation axis B: Bearing
M: Magnet R: Cushion rubber
Claims (15)
상기 종동축의 전단에 결합된 제1연결단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1회전단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크랭크;
상기 종동 크랭크의 하방에 배치되며, 모터의 구동 축에 연결된 제2연결단을 기준으로 타측의 제2회전단이 정역 방향으로 편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크랭크;
상단의 가이드홈 내에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 및 양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제2연결단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가이드홈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십입되며,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양 방향에서 완충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
역회전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 중량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종동축에 형성되는 균형부재; 및
상기 차단바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완충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고무는 상기 차단바의 중심축을 감싸며, 상기 차단바의 외주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링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균형부재는,
상기 종동축의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종동축의 정역회전 방향으로 편심 회전되는 연결 크랭크와, 상기 연결 크랭크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과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 크랭크의 역회전 방향으로 설정된 중량을 작용시키는 중량추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추가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중량추는 다수의 금속판을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층시킨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바의 후단에는 상기 종동축의 후단과 결합되는 홀더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차단바의 후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종동축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수직회전축을 기준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수직회전축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회동 개폐되는 홀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 커버 내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의 대응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
A slave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and rotatabl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 driven crank having a first rotating en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driven shaft, the first rotating end being eccentrically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drive crank disposed below the driven crank and having a second rotation end on the other side thereof being rotatable in an eccentric direction relative to a second connection end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motor;
A connecting rod in which a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at an upper end so as to be movable in bot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is rotatably coupled at a lower end thereof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pair of elastic members which are inserted in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guide groove and which absorb shock generated when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in both directions;
A balance member formed on the driven shaft to apply a rotational weight set in a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And a buffer rubbe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ut-off bar to absorb a shock transmitted to the shut-off bar, the buffer rubber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hut-off bar, In addition,
The balance member
A connecting crank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en shaft and eccentrically rotated in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n shaft; And a guide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in the frame to guide and support the weight so that the weight can be further elevated and lowered. The weight weigh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metal plates in a plurality of stag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lder member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lave shaft is further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blocking bar,
The holder member
A housing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blocking bar so as to surround the rear of the blocking bar and having an insertion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for coupling the rear end of the follower shaft; Wherein the holder cov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gnet so that the holder cover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ousing by a magnetic force.
상기 균형부재는,
상기 종동축의 역회전 방향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하방에서 회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ance member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roller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en shaft in a reverse rotation direction, for supporting the wire in a downward direction.
상기 연결 크랭크는,
상기 차단바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되며, 상기 차단바가 개방측으로 회전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수평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crank comprises:
Wherein the blocking bar is vertically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in a rotating position toward the closed side and the blocking bar is horizontally positione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t the rotating position toward the open side.
상기 구동 크랭크는,
상기 차단바가 폐쇄측으로 회전 위치시 상부로 수직하게 위치되며, 상기 차단바가 개방측으로 회전 위치시 하부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crank includes:
And the blocking bar is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in the rotational position toward the closed side, and the blocking bar is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at the rotating position toward the open side.
상기 종동 크랭크는,
상기 구동 크랭크가 수직하게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위치되며, 상기 구동 크랭크가 수평하게 위치시 역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riven crank comprises:
Wherein the drive crank is vertically inclined in a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positioned, and the drive crank is positioned downwardly inclined in a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positioned horizontally.
상기 수평회전축의 외부에는,
상기 가이드홈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And a bearing for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uide groove is further coupled.
상기 가이드홈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단의 수평회전축을 상하 방향에서 각각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groove
Having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members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end is locat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guide groov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커넥팅 로드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장력 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종 방향 양단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들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9,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s,
Wherein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comprises: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s of the guide groove in a threaded manner to individually adjust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s.
상기 차단바의 후단은,
상기 홀더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 커버는,
상기 종동축의 축 방향으로 기준범위 이상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수직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end of the shut-
A holder cover fixed to the holder cover,
The holder cover
Wherein when a force greater than a reference range is transmit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ollower shaft, the lever is pivotally opened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rotation axis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상기 종동축의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종동축의 후단이 대응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end of the driven shaft
And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ameter progressively decreases toward the rear,
The insertion port
And a rear end of the driven shaft is formed into a corresponding tapered groove so as to be correspondingly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668A KR101713912B1 (en) | 2015-01-05 | 2015-01-05 | Crossing gate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668A KR101713912B1 (en) | 2015-01-05 | 2015-01-05 | Crossing gate for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4141A KR20160084141A (en) | 2016-07-13 |
KR101713912B1 true KR101713912B1 (en) | 2017-03-09 |
Family
ID=5650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06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3912B1 (en) | 2015-01-05 | 2015-01-05 | Crossing gate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391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81036B (en) * | 2020-09-24 | 2025-07-01 | 熵基科技股份有限公司 | A barrier gate movement and barrier gate |
CN112576095B (en) * | 2020-11-25 | 2025-04-11 |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 Safety fence that is easy to install |
KR102343172B1 (en) * | 2021-01-22 | 2021-12-28 |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 Integral axis links and rotational structure therewith |
KR102397612B1 (en) * | 2021-05-24 | 2022-05-12 | 문태용 | Parking Blocker ba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arking Blocker ba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3393B1 (en) * | 2011-10-18 | 2013-06-12 | 주식회사 위트 |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vehicle blocking bar |
KR101351329B1 (en) * | 2012-12-12 | 2014-01-14 | 변희석 | Driving apparatus for gate-bar of vehicle crossing gat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016B1 (en) * | 2002-02-28 | 2005-05-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mpressor |
KR101345027B1 (en) * | 2011-12-09 | 2013-12-26 | 한성무 |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
-
2015
- 2015-01-05 KR KR1020150000668A patent/KR10171391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3393B1 (en) * | 2011-10-18 | 2013-06-12 | 주식회사 위트 |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vehicle blocking bar |
KR101351329B1 (en) * | 2012-12-12 | 2014-01-14 | 변희석 | Driving apparatus for gate-bar of vehicle crossing g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4141A (en) | 2016-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3912B1 (en) | Crossing gate for vehicles | |
KR101638104B1 (en) | Crossing gate for vehicles | |
JP5796238B2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door | |
WO2010049055A8 (en) | Screen adjus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US20070199246A1 (en) | Window regulator cable drum | |
KR20160076088A (en) | Crossing gate for vehicles | |
GB2415014B (en) | Door closer | |
JP5753396B2 (en) | Blower swing mechanism | |
JP5402333B2 (en) | Switchgear and window using the same | |
JP6457477B2 (en) | Wind glass elevating mechanism for vehicles | |
JP5407408B2 (en) | Mobile drive unit | |
CN116771228A (en) | Damping buffer structure of sliding door | |
KR101823411B1 (en) | A break | |
JP2010209679A (en) | Door body closing device | |
KR102028955B1 (en) | apparatus for adjustment of tension for parking a crossing gate | |
KR200418230Y1 (en) | Power Transmission Shock Absorber | |
KR102406108B1 (en) | A driving apparatus for door glass of vehivle | |
US20120110911A1 (en) | Motor mount assembly | |
KR20130128497A (en) | Electric-controlled damper device using a lever arm of motor | |
JP2006219847A (en) | Door closing device | |
JP5196345B2 (en) | Brake device for shutter switch | |
JP6482194B2 (en) | Breaker | |
CN101798799B (en) | Vehicle interceptor | |
KR101154298B1 (en) | Electromotive shutter device of trunk lid for vehicles | |
KR101882659B1 (en) | Swtch equipp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