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2274B1 -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274B1
KR101712274B1 KR1020150097336A KR20150097336A KR101712274B1 KR 101712274 B1 KR101712274 B1 KR 101712274B1 KR 1020150097336 A KR1020150097336 A KR 1020150097336A KR 20150097336 A KR20150097336 A KR 20150097336A KR 101712274 B1 KR101712274 B1 KR 101712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blowing fan
variable vane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6548A (en
Inventor
최성식
서기원
손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274B1/en
Publication of KR2017000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7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토출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토출장치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본체; 상기 토출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토출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토출유로의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가변 베인; 및 상기 토출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변 베인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누름장치가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suction unit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case and sucking air;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suctioned air and the suctioned air; And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in the heat exchanger to an indoor space, wherein the discharge device includes a discharge main body rotatably installed; A blowing fan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main body and generating a blowing force; A variable vane which is movably provided in a discharge passage of the blowing fan and increases or decreases a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a press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selectively presses the variable vane.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keeping the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 most suitab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purpose.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 refrigeration cycle for compressing, condensing, expanding,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is driven to cool or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자동차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 공간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 공간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variously proposed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home or an office,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a house or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a car,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a boarding space on which a person boarded.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 및 상기 소정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외기에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팬이 포함되며, 상기 실내기에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팬이 포함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For example, 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ventilation fan, and the indoor unit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ventilation fan.

공기 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할 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는 각각, 응축기 및 증발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할 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는 각각, 증발기 및 응축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cool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may function as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may function as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respectively.

상기 실내기에는, 열교환 된 공기가 상기 소정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토출장치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토출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소정공간의 다수의 지점을 향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device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heat-exchanged air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For example, the discharge device may be rotatably provided,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may be variously formed toward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predetermined space.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 문헌은 아래와 같다.The related art documents related thereto are as follows.

1. 공개번호(공개일) : 10-2009-0017289 (2009년 2월 18일)1. Public number (public date): 10-2009-0017289 (February 18, 2009)

2. 발명의 명칭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 Title of the inventio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송풍팬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체적과,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체적의 차이에 의하여, 공기의 압력 또는 풍속이 변동하는 현상, 즉 서징(surging)이 발생하여 소음이 증가하고 풍량이 감소하여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 phenomenon that the pressure or the air velocity of the air fluctuates, that is, the surging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ction volume of the air sucked into the blowing fan and the discharge volu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And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is deteriorated due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ai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징 발생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이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noise and improving performance by preventing occurrence of surg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토출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토출장치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본체; 상기 토출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토출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토출유로의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가변 베인; 및 상기 토출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변 베인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누름장치가 포함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suction unit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case and sucking air;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suctioned air and the suctioned air; And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in the heat exchanger to an indoor space, wherein the discharge device includes a discharge main body rotatably installed; A blowing fan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main body and generating a blowing force; A variable vane which is movably provided in a discharge passage of the blowing fan and increases or decreases a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a press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selectively presses the variable vane.

또한, 상기 토출 본체에는, 상기 송풍팬의 외주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송풍팬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리어 가이드가 포함된다.The discharge main body includes a rear guid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또한, 상기 가변 베인은 상기 리어 가이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variable vane is provided in the rear guide.

또한, 상기 가변 베인의 일측부는 상기 리어 가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가변 베인의 타측부는 상기 일측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variable vane is coupled to the rear gu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vane is rotatable about the one side.

또한, 상기 가변 베인은 상기 리어 가이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variable van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guide.

또한, 상기 토출 본체에는, 상기 가변 베인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베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다.The discharg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variable vane and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variable vane.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는, 압축 스프링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compression spring.

또한, 상기 누름장치는 상기 토출장치의 일측을 지지하는 서포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sing device is provided in a supporter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discharging device.

또한, 상기 누름장치에는, 상기 서포터의 상면에 놓여지는 누름본체; 및 상기 누름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 베인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포함된다.The pres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bod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And a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the pressing body to selectively press the variable vane.

또한, 상기 가변 베인에는, 상기 가변 베인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유로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눌러지는 접촉부가 포함된다.The variable vane includes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variable vane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and being pushed by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은, 캠(cam)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ntacting portion has a cam shape.

또한,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2 토출장치가 포함된다.The above-described ejection apparatus includes first and second ejection apparatuses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in front of the case.

또한, 상기 송풍팬에는, 공기를 일 원주방향으로 흡입하여 타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횡류팬이 포함된다.The blowing fan includes a cross flow fan for sucking ai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토출본체; 상기 토출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본체의 일면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베인; 및 상기 토출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제 2 베인을 가압할 수 있는 누름장치가 포함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case; A suction unit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case and sucking air;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suctioned air and the suctioned air; A blowing fan provided at an outlet side of the heat exchanger; A discharge main body rotatably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blowing fan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air; A first vane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ion and guiding the discharge of air; A second vane mov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a pushing device capable of pressing the second vane when the discharge body rotates.

또한,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토출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ane is fix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second vane performs a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main body.

또한,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송풍팬의 토출유로의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vane moves in a direction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blowing fan.

또한, 상기 제 2 베인을 상기 토출유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second vane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토출본체의 일면과 상기 제 2 베인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the second vane.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토출본체에 움직임 가능한 가변 베인이 구비됨으로써, 변화되는 송풍기의 흡입체적에 대응하여 토출체적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체적과 토출체적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서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ariable vane capable of moving in the rotatable discharge body is provided, the discharge volume can be varied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volume of the blower to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rging phenomenon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heat sink.

또한, 상기 서징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이 증가하여, 실내기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rging phenomenon occurs, noise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is increased,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indoor uni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가변 베인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누름장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누름장치는, 상기 토출본체가 설정된 회전위치, 즉 흡입체적이 커지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가변 베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흡입체적에 대응하여 토출체적을 효과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device that is capable of pressing the variable vane when the discharge main body reaches a set rotational position, that is, a position where the suction volume increas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charge volume can be effectively varied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volume.

상세히, 상기 토출본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체적이 커지면 상기 누름장치가 상기 가변 베인을 가압하여 상기 토출체적이 증가되고, 상기 흡입체적이 작아지면 상기 누름장치가 상기 가변 베인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토출체적이 감소될 수 있다.In detail,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discharge main body, when the suction volume increases, the pushing device presses the variable vane to increase the discharge volume. When the suction volume becomes small, the push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variable vane The discharge volume can be reduced.

결국, 상기 흡입체적이 작게 형성될 때, 상기 가변 베인은 상기 토출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서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체적이 크게 형성될 때, 상기 가변 베인은 상기 토출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토출풍량이 증가하고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suction volume is formed small, the variable vane can be moved so as to reduce the discharge volume, so that the surg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Further, when the suction volume is large, the variable vane can increase the discharge volume, so that the discharge air volume can be increas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가변 베인은 토출본체의 리어가이드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변 베인과 리어가이드의 사이에 스프링이 제공되므로, 상기 가변 베인의 반복적인 움직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lso, since the variable vane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rear guide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the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variable vane and the rear guide, repetitive movement of the variable vane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본체가 일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변 베인과 누름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본체가 타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변 베인과 누름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vane and a press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o a single posi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variable vane and a press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o another posi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20)에는,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전면 패널(23), 측면 패널(25) 및 후방 패널(27)이 포함된다.1 to 3, an indoor unit 10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2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The case 20 includes a base 21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ront panel 23, a side panel 25 and a rear panel 27 provided on the base 21.

상기 전면 패널(23)은 상기 실내기(1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 패널(25)은 상기 실내기(10)의 양 측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 패널(27)은 상기 실내기(10)의 후면부를 형성한다.The front panel 23 is dispos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10. The side panels 25 form both side portions of the indoor unit 10 and the rear panel 27 forms a rear portion of the indoor unit 10.

상기 실내기(10)에는, 실내기(10)의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토출장치(110,150)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장치(110,150)는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상부, 즉 상기 전면 패널(23)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10) includes a discharge unit (110, 150)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in the indoor unit (10) to the indoor space. The ejecting apparatuses 110 and 150 may be installed at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se 20, that is, at an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23.

그리고, 상기 토출장치(110,150)은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장치(110,150)는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discharging apparatuses 110 and 150 may be provided movably. For example, the discharging apparatuses 110 and 150 may rotate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10. [

상세히, 상기 토출장치(110,150)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 1 토출장치(110) 및 제 2 토출장치(15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2 토출장치(110,150)는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2 토출장치(110,150)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방향, 다른 하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ischarging devices 110 and 150 include a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and a second discharging device 150 which can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example,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devices 110 and 150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lternative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devices 110 and 150 may be rotated clockwise One can rotate counterclockwise.

그리고, 상기 제 1,2 토출장치(110,150)는 실내기의 전면 좌우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devices 110 and 15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front sides of the indoor unit.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에는, 제 1 토출유로(115)를 형성하는 제 1 토출본체(111) 및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전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토출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12)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112)에는, 제 1 토출베인(114)이 설치된다.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includes a first discharging main body 111 forming a first discharging flow path 115 and a first discharging portion 11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ing main body 111 for discharging air 112).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12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body 111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12 is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vane 114.

상기 제 1 토출본체(111)는 내부가 비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의 후방부에는, 열교환기(80)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130)을 향하여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 형상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 1 토출부(112)가 형성된다.The first ejection body 111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may be formed to be open. The cylindrical rear portion is formed with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80 flows toward the air blowing fan 130. The cylindrical front portion has a first discharge portion 112, .

상기 제 1 토출유로(115)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열교환기(80)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5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first discharge body 111 and can be understoo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exchanged air in the heat exchanger 80 flows.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에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하부를 차폐하는 하판(121) 및 상부를 차폐하는 상판(125)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하판(121) 및 상판(125)은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ejection apparatus 110 includes a lower plate 121 for block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jection main body 111 and an upper plate 125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For example, the lower plate 121 and the upper plate 12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discharge body 111,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1 서포터(250) 및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 2 서포터(26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서포터(250)는 상기 하판(121)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서포터(260)는 상기 상판(125)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0 includes a first supporter 250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jection apparatus 110 and a second supporter 260 for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ejection apparatus 110. The first supporter 25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121 and the second supporter 26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25.

상기 상판(125)에는,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돌출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26)는 상기 상판(125)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서포터(2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260)에는, 상기 돌출부(126)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25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26 for provid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The protrusion 126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5 and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er 260.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upporter 260 to receive the protrusion 126.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제 1 토출장치(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40,145)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장치(140,145)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40) 및 상기 구동모터(14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145)가 포함된다.The indoor unit 10 includes driving devices 140 and 145 for rotating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The driving devices 140 and 145 include a driving motor 14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a driving gear 145 that is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140 and rotates.

상기 구동기어(145)는 상기 토출 본체(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본체(111) 또는 하판(121)에는, 상기 구동기어(145)와 연동하는 종동기어(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하판(121)에 종동기어(12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The driving gear 145 can rotate the discharge main body 111. In detail, a driven gear 123 interlocking with the driving gear 145 may be formed on the discharge main body 111 or the lower plate 121. In FIG. 2, for example, a driven gear 123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the lower plate 121.

상세히, 상기 하판(121)에는, 팬 모터(135)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수용부(122)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22)는 상기 하판(121)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상기 하판(121)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하판(121)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종동기어(123)는 상기 모터 수용부(12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plate 121 includes a motor receiving portion 122 for receiving the fan motor 135. The motor receiving portion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plate 121 or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lower plate 121 and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121. For example, the driven gear 123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receiving portion 122.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기어(145) 및 종동기어(123)를 통하여 상기 하판(121) 및 토출본체(111)에 전달되며, 상기 토출본체(111)는 상기 돌출부(12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40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late 121 and the discharging main body 111 through the driving gear 145 and the driven gear 123. The discharging main body 111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26, As shown in FIG.

상기 실내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팬(130) 및 상기 제 1 송풍팬(130)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135)가 포함된다. The indoor unit 10 includes a first blowing fan 130 for generating an air flow and a fan motor 135 for driving the first blowing fan 130.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13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25)에는, 상기 지지부(132)가 결합되는 홈 또는 홀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2)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32)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회전중심을 구성한다.The first blowing fan 13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scharge body 111. In detail,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includes a supporting portion 132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5. The upper plate 125 may include a groove or a hole to which the support portion 132 is coupled. The first blowing fan 130 can be rotated about the support portion 132. [ That is, the support part 132 constitutes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상기 팬 모터(135)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모터축(136)은 상기 팬 모터(135)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135)는 상기 모터 수용부(122)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서포터(250)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an motor 135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In detail, the motor shaft 136 may extend to the upper side of the fan motor 135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The fan motor 135 may be installed in the motor receiving portion 122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50.

정리하면, 상기 제 1 송풍팬(130) 및 팬 모터(135), 즉 팬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토출장치의 하판(121)으로부터 상판(125)까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상기 제 1 토출부(112)와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흡입부(31)로부터 상기 제 1 송풍팬(130)을 거쳐 상기 제 1 토출부(112)로 토출되는 공기유로는, 케이스(20)의 후방 상부로부터 전방 상부를 향하여 직선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summary,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the fan motor 135, that is, the fan motor assembly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late 121 of the first discharge device to the upper plate 125. The first blowing fan 130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ing unit 112. That is, the air flow path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ortion 31 to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12 via the first blowing fan 130 forms a straight flow path from the rear upper portion to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se 20 .

상기 제 1 토출본체(11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first discharge body 111, the first blowing fan 130 can rotate with a predetermined turning radius.

상세히,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제 1 회전중심(R1, 도 4 참조)과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제 2 회전중심(C1, 도 4 참조)은 이격, 즉 편심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본체(111)가 상기 제 2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상기 제 1 회전중심(R1)과 제 2 회전중심(C1) 사이의 거리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팬 모터(135)는 상기 제 1 송풍팬(1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중심(R1)은 상기 지지부(132)에 대응하는 위치, 상기 제 2 회전중심(C1)은 상기 돌출부(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4)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C1 (see FIG. 4) of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are spaced apart or eccentric. Accordingly, when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rotates about the second rotation center C1, the first blowing fan 130 rotates about the first rotation center R1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C1 Can be rotated with a turning radius. At this time, the fan motor 135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blowing fan 130. The first rotation center R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132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C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6. [

물론,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상기 팬 모터(135)의 구동에 의하여 자체 회전하여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자전 및 공전 운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부(112)가 개방하도록 상기 제 1 토출본체(111)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송풍팬(130)이 작동하여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rst blowing fan 130 rotates by the fan motor 135 to generate an air flow. That is, the first blowing fan 130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tation and the revolving motion.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ischarge body 111 is rotated such that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12 is opened, the first blowing fan 130 operates to discharge air.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31)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흡입부(31)는 상기 후방 패널(27)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31)에는, 흡입 그릴(32)이 설치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0 is provided with a suction unit 31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indoor unit 10 to suck air therein. For example, the suction portion 3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anel 27. The suction unit 31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grille 32.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흡입부(31)의 내측, 즉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3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장치(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장치(70)에는, 복수의 필터부재(71,73, 도 4 참조)가 포함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0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70 disposed inside the suction unit 31 to clea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31. The filter device 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71 and 73 (see Fig. 4).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필터장치(7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기(8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8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부(86)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80)의 전방에는,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와 제 2 토출장치(150)를 구획하는 구획장치(190)가 설치된다. The indoor unit 10 further includes a heat exchanger 80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unit 70 to heat-exchange the air. A drain portion 86 for stor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80 may be installed below the heat exchanger 80. A partitioning unit 190 for partitioning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units 110 and 15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80.

정리하면, 상기 필터장치(70)는 상기 흡입부(31)와 열교환기(8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80)는 상기 필터장치(70)와 구획장치(19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70 i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unit 31 and the heat exchanger 80 and the heat exchanger 80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unit 70 and the partition unit 190 Can be understood as being installed.

상기 제 1 송풍팬(130)에는, 일례로 횡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일 원주방향으로 흡입되어 타 원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우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의 크기, 즉 흡입체적이 형성되며, 좌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의 크기, 즉 토출체적이 형성된다.The first blowing fan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cross flow fan. Accordingly, the air can be suck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2,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 size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s sucked, that is, a suction volume is formed, and on the left side, the size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

상기 제 1 송풍팬(130)이 구동하면, 상기 흡입부(3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장치(70) 및 열교환기(80)를 거쳐 상기 제 1 송풍팬(130)을 통과하며, 상기 제 1 토출유로(115)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토출부(112)에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blowing fan 130 is drive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31 passes through the first blowing fan 130 through the filter unit 70 and the heat exchanger 80, And can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12 to the indoor space via the first discharge passage 115. [

상기 제 2 토출장치(150)의 구성은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구성과 유사하다. 일례로, 팬모터 어셈블리가 토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상, 송풍팬의 회전중심이 토출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구성 및 원통 형상의 토출본체의 후방부에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구성은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상기 제 2 토출장치(150)에 구비되는 팬 모터(175)가 토출본체(15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점에서, 제 1 토출장치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jection apparatus 15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jection apparatus 110. For example, the fan motor assembly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main body, the rotation center of the blowing fan is eccentric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the inlet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cylindrical discharge main body, The configuration to be formed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jection apparatus 110 described abov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first discharge device in that the fan motor 175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device 150 is arranged above the discharge main body 151.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장치(150)에는, 제 2 토출유로(155)를 형성하는 제 2 토출본체(151) 및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의 전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토출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토출부(152)는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152)에는, 제 1 토출베인(154)이 설치된다.In detail, the second ejection apparatus 150 includes a second ejection main body 151 forming a second ejection flow path 155 and a second ejection body 15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ejection main body 151, A portion 152 is included. The second discharging portion 152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ischarging body 151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A first discharge vane 154 is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152.

상기 제 2 토출장치(150)에는,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의 개구된 하부에 결합되는 하판(161) 및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165)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하판(161) 및 상판(165)은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ejection apparatus 150 includes a lower plate 161 coupled to an opened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jection body 151 and an upper plate 165 coupled to an upper opened portion of the second ejection body 151 . For example, the lower plate 161 and the upper plate 16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discharge body 151,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의 내부에는, 제 2 송풍팬(17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팬(170)의 상측에는, 상기 제 2 송풍팬(17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175)가 설치된다. 상기 상판(165)에는, 상기 팬 모터(17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65a)가 포함된다.A second blowing fan 17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A fan motor 175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blowing fan 170 is installed above the second blowing fan 170. The upper plate 165 includes a motor receiving portion 165a for receiving the fan motor 175. [

상기 하판(161)에는, 상기 제 2 토출장치(15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돌출부(166)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66)는 상기 하판(16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서포터(2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250)에는, 상기 돌출부(166)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161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66 for provid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discharging device 150. The protrusion 16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plate 161 and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50. The first supporter 25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166.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제 2 토출장치(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80,185)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장치(180,185)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80) 및 상기 구동모터(18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185)가 포함된다.The indoor unit 10 includes driving devices 180 and 185 for rotating the second discharging device 150. The driving devices 180 and 185 include a driving motor 18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a driving gear 185 that is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180 and rotates.

상기 구동기어(185)는 상기 제 2 토출 본체(1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본체(151) 또는 하판(161)에는, 상기 구동기어(185)와 연동하는 종동기어(163)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는, 상기 하판(161)에 종동기어(16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The driving gear 185 may rotate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In detail,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or the lower plate 161 may be provided with a driven gear 163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gear 185. For example, in FIG. 3, a driven gear 163 is shown as being formed in the lower plate 161.

상기 구동모터(180)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기어(185) 및 종동기어(163)를 통하여 상기 제 2 토출본체(151) 및 하판(161)에 전달되며, 상기 제 2 토출본체(151)는 상기 돌출부(16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8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jection body 151 and the lower plate 161 through the driving gear 185 and the driven gear 163, And can be rotated around the projection 166. [

상기 제 2 송풍팬(170)의 하부에는, 상기 하판(1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17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161)에는, 상기 지지부(172)가 결합되는 홈 또는 홀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2)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송풍팬(170)은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72)는 상기 제 2 송풍팬(170)의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lowing fan 170 includes a support 172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161. The lower plate 161 may include a groove or a hole to which the support portion 172 is coupled. The second blowing fan 170 can be rotated about the support portion 172. [ That is, the support portion 172 form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blowing fan 170.

정리하면, 상기 제 2 송풍팬(170) 및 팬 모터(175), 즉 팬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토출장치의 상판(165)으로부터 하판(161)까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팬(170)은 상기 제 2 토출부(152)와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31)로부터 상기 제 2 송풍팬(170)을 거쳐 상기 제 2 토출부(152)로 토출되는 공기유로는, 케이스(20)의 후방 상부로부터 전방 상부를 향하여 직선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summary, the second blowing fan 170 and the fan motor 175, that is, the fan motor assembly,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165 to the lower plate 161 of the second discharge device. The second blowing fan 170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charging unit 152. That is, the air flow path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ortion 31 to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152 via the second blowing fan 170 forms a straight flow path from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case 20 toward the front upper portion can do.

상기 제 2 토출본체(15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송풍팬(170)은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송풍팬(170)의 제 1 회전중심(R2, 도 4 참조)과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의 제 2 회전중심(C2, 도 4 참조)은 편심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토출본체(151)가 상기 제 2 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2 송풍팬(170)은 상기 제 1 회전중심(R2)과 제 2 회전중심(C2) 사이의 거리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중심(R2)은 상기 지지부(172)에 대응하는 위치, 상기 제 2 회전중심(C2)은 상기 돌출부(16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the second blowing fan 170 can rotate with a predetermined turning radius. 4) of the second blowing fan 170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C2 (see FIG. 4) of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are eccentric. Therefore, when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rotates about the second rotation center C2, the second blowing fan 170 rotates about the first rotation center R2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C2 Can be rotated with a turning radius. The first rotation center R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172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C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66. [

상기 흡입부(31), 필터장치(70), 열교환기(80) 및 구획장치(190)에 대한 설명은 제 1 토출장치(110)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The description of the suction unit 31, the filter unit 70, the heat exchanger 80, and the partition unit 190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10.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제 1,2 토출장치(110,150)를 좌우로 구획하는 구획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19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구획부(191) 및 상기 제 1 구획부(19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획부(195)가 포함된다. The indoor unit 10 further includes a partitioning unit 190 partitioning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units 110 and 150 to the left and right. The partitioning device 190 includes a first partition 191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10 and a second partition 195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irst partition 191 .

일례로, 상기 제 1 구획부(191)에는, 실내기(10)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획부(220)에는, 상기 열교환기(80)로부터 상기 제 1,2 토출장치(110,150)를 향하는 유로를 구획하는 벽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artition 191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10. The second compartment 220 may include a wall separating a flow path from the heat exchanger 80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devices 110 and 150.

도 4는 도 1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본체(110,150)에는, 리어 가이드(118,158) 및 스태빌라이저(117,157)가 각각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discharge main bodies 110 and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rear guides 118 and 158 and stabilizers 117 and 157, respectively.

상세히,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에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흡입측에 배치되는 리어 가이드(118)가 포함된다. 상기 리어 가이드(118)는 상기 하판(121) 및 상판(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가이드(118)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이 회전될 때 상기 제 1 송풍팬(130) 측으로 흡입 공기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 가이드(118)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 1 송풍팬(160)에서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includes a rear guide 118 disposed on a suction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The rear guide 118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21 and the upper plate 125. The rear guide 118 guides the intake air to the first blowing fan 130 smoothly when the first blowing fan 130 rotates. The rear guide 118 can prevent the air flowing by the first blowing fan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lowing fan 160.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에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토출측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11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117)는 상기 하판(121) 및 상판(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빌라이저(117)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송풍팬(13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8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어 가이드(118)와 스테빌라이저(117)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길이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further includes a stabilizer 117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The stabilizer 117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21 and the upper plate 125. The stabilizer 117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ing fan 130 from flowing back to the heat exchanger 80 side . The rear guide 118 and the stabilizer 117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리어 가이드(118)와 스태빌라이저(117)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양측부를 형성하며, 각각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guide 118 and the stabilizer 117 form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discharge body 111 and may be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그리고, 상기 리어 가이드(118)와 스태빌라이저(117)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을 통과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 유로에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송풍팬(130)으로의 공기 흡입을 가이드 하는 흡입유로 및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송풍팬(130)으로부터 공기 토출을 가이드 하는 토출유로가 포함된다.An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first blowing fan 130 is formed between the rear guide 118 and the stabilizer 117. The air flow path includes a suction flow path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guiding air sucking into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a suction flow path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a discharge flow path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 from the first blowing fan 130 are included.

상기 흡입유로는 상기 리어 가이드(118)의 일측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117)의 일측부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리어 가이드(118)의 타측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117)의 타측부 사이에 형성된다.The suc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one side of the rear guide 118 and one side of the stabilizer 117.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rear guide 118 and the other side of the stabilizer 117.

상기 제 1 토출본체(111) 및 상기 제 1 송풍팬(130)이 상기 제 2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유로의 형성위치는 상기 흡입부(31)의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유로의 크기, 즉 흡입체적은 변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and the first blowing fan 130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center C1, the position of the suction flow path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art 31 And the size of the suction passage, that is, the suction volume, changes correspondingly.

일례로, 도 4와 같은 제 1 송풍팬(130) 및 제 1 토출본체(111)의 위치에서, 상기 흡입체적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6과 같은 제 1 송풍팬(130) 및 제 1 토출본체(111)의 위치에서, 상기 흡입체적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For example, 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as shown in FIG. 4, the suction volume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further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uction volume is relatively large 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the first discharging main body 111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7과 같은 제 1 송풍팬(130) 및 제 1 토출본체(111)의 위치에서 상기 흡입체적은 다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further rotates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suction volume can be reduced again 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the first discharging main body 111 as shown in FIG. 7 hav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회전과정에서 변하는 흡입체적에 대응하여, 토출유로의 크기, 즉 토출체적을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that is, the discharge volume is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volume which varies in the course of rotation of the first discharge device 110. [

상세히,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에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송풍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 하는 가변 베인(200)이 더 포함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is provided with a variable vane 200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guiding the discharge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blowing fan 130 .

상기 가변 베인(200)은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인(114,154)을 상기 토출부(112,152)에 고정 설치되는"제 1 베인", 상기 가변 베인(200)을 상기 제 1 토출 본체(111)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는 "제 2 베인"이라 이름할 수 있다.The variable vane 200 may be movably provided. A first vane fixed to the discharge units 112 and 152 so that the discharge vanes 114 and 154 are fixed to the discharge unit 112 and 152 and a second vane 200 performing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charge unit 111, "Can be called.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제 1 토출본체(111)의 리어 가이드(118)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리어 가이드(118)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vane 200 may be provided in the rear guide 118 of the first discharge main body 111. For example, the variable vane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guide 118.

상세히, 상기 리어 가이드(118)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외주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guide 118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상기 리어 가이드(118)에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흡입측을 형성하는 제 1 파트(118a) 및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토출측을 형성하는 제 2 파트(118b)가 포함된다. 상기 리어 가이드(118)는, 상기 제 1 파트(118a)로부터 상기 제 2 파트(118b)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guide 118 includes a first part 118a forming a suction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and a second part 118b forming a discharge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do. The rear guide 118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first part 118a toward the second part 118b.

그리고, 상기 리어 가이드(118)와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제 1 파트(118a)로부터 상기 제 2 파트(118b)를 향하여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파트(118b)로부터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 1 파트(118a)로부터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guide 118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may be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irst part 118a toward the second part 118b. For exampl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art 118b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is great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118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리어 가이드(118)의 제 2 파트(118b)에 구비될 수 있다.The variable vane 20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part 118b of the rear guide 118. [

상기 가변 베인(200)의 일측부는 상기 리어 가이드(118)에 결합되며, 타측부는 자유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일측부를 중심으로 상기 타측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variable vane 2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guide 118 and the other side may form a free end. Therefore, the variable vane 200 can be configured to rotate the other side about the one side.

그리고, 상기 가변 베인(200)과 상기 리어 가이드(118)의 일면 사이에는, 상기 가변 베인(2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210)에는, 압축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210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variable vane 2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variable vane 200 and one side of the rear guide 118.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210 may include a compression spring.

상기 가변 베인(200)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탄성부재(210)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리어 가이드(118)와 상기 가변 베인(200) 사이의 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variable vane 200, the variable vane 200 moves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210, and thereby the gap between the rear guide 118 and the variable vane 200 The distance can be reduced.

반면에,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210)는 인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리어 가이드(118)와 상기 가변 베인(20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210 is tensioned so that the variable vane 200 can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guide 118 and the variable vane 200 increases have.

상기 가변 베인(200)에는, 상기 외력이 작용하는 접촉부(205)가 포함된다. 상기 접촉부(205)는 상기 가변 베인(20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변 베인(200)의 내측 방향, 즉 토출유로(32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vane 200 includes a contact portion 205 to which the external force acts. The contact portion 205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variable vane 200 toward the inside of the variable vane 200, that is,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320.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가변 베인(200)에 상기 외력을 작용시키는 누름장치(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누름장치(220)는 상기 제 1 서포터(25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10) further includes a pushing device (220) for exerting the external force on the variable vane (200). The pusher 22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upporter 250.

상세히, 상기 누름장치(220)에는, 상기 제 1 서포터(250)의 상면에 놓여지는 누름본체(221) 및 상기 누름본체(2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 베인(200)의 접촉부(205)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225)가 포함된다.The pressing device 220 includes a pressing body 221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er 250 and a contact part 205 of the variable vane 200 provided on the pressing body 221, And a pressing portion 225 for selectively pressurizing the pressurized fluid.

상기 가압부(225)는 상기 제 1 서포터(250)의 상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즉 상기 접촉부(205)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225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er 2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butting portion 205.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리어 가이드(118)와 함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05)가 상기 가압부(225)에 접촉되는 위치로, 상기 가변 베인(200)이 회전되면, 상기 누름장치(220)는 상기 가변 베인(200)을 가압하게 된다 (도 6 참조). 상기 가변 베인(200)이 가압되면, 상기 토출체적은 증가하게 된다.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the variable vane 200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gether with the rear guide 118. When the variable vane 200 is rotated to a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205 contacts the pressing portion 225, the pressing device 220 presses the variable vane 200 Reference). When the variable vane 200 is pressurized, the discharge volume increases.

상기 가변 베인(200)이 더 회전되면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누름장치(200)로부터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리어 가이드(118)로부터 상기 토출유로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토출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작용하며, 이에 따라 상기 토출체적은 감소하게 된다. When the variable vane 200 further rotates, the variable vane 200 is separated from the pushing device 200, so that the variable vane 200 is moved to the rear of the rear guide 20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118)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Therefore, the variable vane 200 functions to shield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thus the discharge volume is reduced.

본 실시예는 또한, 상기 제 2 토출장치(150)의 회전과정에서 변하는 흡입체적에 대응하여, 토출유로의 크기, 즉 토출체적을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that is, the discharge volume is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volume which varies in the course of rotation of the second discharge device 150. [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에는, 스태빌라이저(157) 및 리어 가이드(118)가 포함된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스태빌라이저(117) 및 리어 가이드(118)의 설명을 원용한다.In detail,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includes a stabilizer 157 and a rear guide 118. [ Explanations of these relate to the description of the stabilizer 117 and the rear guide 118 of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본체(151)에는, 상기 제 2 송풍팬(170)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송풍팬(170)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 하는 가변 베인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가변 베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변 베인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누름장치가 더 포함된다. The second discharge main body 151 further includes a variable vane installed on a discharge side of the second blowing fan 170 and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blowing fan 170. The indoor unit 1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variable vane and a pushing device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variable vane.

상기 제 2 토출장치(150)에 구비되는 가변 베인, 탄성부재 및 누름장치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의 그것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The description of the variable vane, the elastic member, and the pressing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ing device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본체가 일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변 베인과 누름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본체가 타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변 베인과 누름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vane and a press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ing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o a single posi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ing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vane and the pressing device are in a state of being opened.

도 4와,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베인 및 누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제 1 토출장치(110)에 구비되는 가변 베인 및 누름장치만 도시되나, 이에 대한 설명은 제 2 토출장치(1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vane and the 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IG. 6, and FIG. 6 and 7 show only the variable vane and the pressing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but the description thereof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discharging device 150 as well.

도 4에 도시되는 제 1 토출장치(110)의 위치를 "기준위치(제 1 위치)"라 이름한다.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기준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 1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흡입유로(310)의 크기, 즉 흡입체적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The position of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shown in Fig. 4 is called "reference position (first position) ". Whe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is positioned at the reference position, the size of the suction passage 310 sucked into the first blowing fan 130, that is, the suction volume is relatively small.

그리고,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가변 베인(200) 또는 상기 접촉부(205)는 상기 누름장치(22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탄성부재(210)에 의하여 토출유로(320)를 향하여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토출유로(3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결국, 상기 토출유로(320)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토출부(112)는 미리 설정된 토출각도(제 1 토출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각은 0도일 수 있다.In the reference position, the variable vane 200 or the contact portion 205 is spaced from the pressing device 220. Therefore, the variable vane 200 moves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320 by the elastic member 210, thereby shielding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assage 310. As a result,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320 is relatively small. At this time, it is understood that the discharge portion 112 forms a preset discharge angle (first discharge angle). For example, the first ejection angle may be 0 degrees.

정리하면, 상기 흡입체적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 가변 베인(200)이 작동하여, 상기 토출체적은 상기 흡입체적에 대응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hort, as the suction volume becomes smaller, the variable vane 200 operates, and the discharge volume may be formed to be smaller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volume.

도 4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누름장치(2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 1 토출부(112)의 토출각도는 증가할 수 있다. 4, whe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variable vane 20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ariable vane 200 approaches the pushing device 220. In this rotation process, the discharge angle of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12 may increase.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회전하여 도 6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흡입유로(310)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증가된 흡입유로(3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유로(32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Whe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rotates to reach the position of FIG. 6, the size of the suction path 310 is relatively large. T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320 increas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creased suction passage 310.

상세히, 상기 토출부(112)가 미리 설정된 토출각도(제 2 토출각)을 형성할 때, 상기 가변 베인(200)의 접촉부(205)는 상기 누름장치(220)의 가압부(225)에 접촉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상기 리어 가이드(118)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접촉부(205)와 상기 가압부(225)가 접촉하기 시작할 때, 상기 토출부(112)의 제 2 토출각은 30~35도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205 of the variable vane 200 contacts the pressing portion 225 of the pressing device 220 when the discharge portion 112 forms a preset discharge angle (second discharge angle) . The variable vane 200 overcom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and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guide 118.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portion 205 and the pressing portion 225 start to contact each other, the second discharge angle of the discharge portion 112 may have a value between 30 and 35 degrees.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조금 더 회전하면, 상기 접촉부(205)의 일 지점은 상기 가압부(225)의 일 지점에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누름장치(220)에 의하여 완전히 눌러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210)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토출유로(320)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112)는 미리 설정된 토출각(제 3 토출각)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토출부(112)의 제 3 토출각은 42~48도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rotates a little further, one point of the contact portion 205 comes into contact with one point of the pressing portion 225, And is fully depressed by the device 220.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210 is in a maximally compressed state, and the size of the discharge channel 320 becomes large. Then, the discharge portion 112 forms a predetermined discharge angle (third discharge angle). For example, the third ejection angle of the ejection unit 112 may have a value between 42 and 48 degrees.

상기 접촉부(205) 및 가압부(225)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은 캠(cam)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캠 형상이라 함은, 중심부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상기 접촉부(205)와 가압부(225)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225)로부터 상기 접촉부(205)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 베인(200)의 상기 리어 가이드(118)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abutting portion 205 and the pressing portion 225 may have a cam shape. The cam shape means a shape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not constan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rotates while the contact portion 205 and the pressing portion 22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essing force applied from the pressing portion 225 to the contacting portion 205 is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l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ariable vane 200 relative to the rear guide 118 can be smoothly performed.

정리하면, 도 6의 위치에서, 상기 송풍팬(130)으로의 흡입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가변 베인(200)이 작동하여, 상기 토출체적은 상기 흡입체적에 대응하여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6, the variable vane 200 operates as the suction volume to the blowing fan 130 increases, and the discharge volume may be formed to be large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volume .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상기 흡입유로(310)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 베인(200)의 접촉부(205)는 상기 누름장치(200)의 가압부(225)를 지나게 된다. 결국,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누름장치(200)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 1 토출부(112)의 토출각도는 증가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6, when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further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ize of the suction passage 310 is reduced. The contact portion 205 of the variable vane 200 passes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225 of the pressing device 200. As a result, the variable vane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ushing device 200. In this rotation process, the discharge angle of the first discharge portion 112 may increase.

상기 가변 베인(200)이 상기 누름장치(20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가변 베인(200)에 작용하는 외력은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토출유로(3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가변 베인(200)은 상기 토출유로(3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며, 이에 따라 토출유로(320)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112)는 미리 설정된 토출각(제 4 토출각)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토출부(112)의 제 4 토출각은 50도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variable vane 200 is released as the variable van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device 200. As a result, the variable vane 200 can be restored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To the discharge passage 320 side. As a result, the variable vane 200 shields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320,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320. Then, the discharge portion 112 forms a preset discharge angle (fourth discharge angle). For example, the fourth discharge angle of the discharge portion 112 may have a value of 50 degrees or more.

도 7은, 상기 제 1 토출장치(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며, 이 때의 상기 토출부(112)의 토출각은 일례로 100도일 수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discharging device 1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ischarging angle of the discharging portion 112 at this time may be 100 degrees, for example.

정리하면, 도 7에서 제 1 송풍팬(130)의 흡입유로(310)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토출유로(320)의 크기 또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FIG. 7, the size of the suction passage 310 of the first blowing fan 130 is reduced, and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320 is also reduc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흡입유로의 크기, 즉 흡입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과정에서, 가변 베인(200)이 작용하여, 토출유로의 크기, 즉 토출체적은 상기 흡입체적에 대응하여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흡입체적과 토출체적의 차이에 기인한 서징(sur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실내기의 작동간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토출 풍량을 증가하여 토출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ize of the suction passage, that is, the suction volume, the variable vane 200 operates and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that is, the discharge volume increases or decreases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volume The surging phenomenon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ction volume and the discharge volume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can be reduced, and the discharg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discharge air volume.

토출각(°)Discharge angle (°) 서징발생 여부 : 종래기술(가변베인 미설치)Whether surging occurred: Prior art (variable vane uninstalled) 서징발생 여부 : 본 실시예(가변베인 설치)Whether surging occurred: The present embodiment (variable vane installation) 00 OO XX 1010 OO XX 2020 OO XX 3030 OO XX 4040 XX XX 5050 XX XX

[표 1]은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변 베인이 토출본체에 구비되지 않는 종래기술의 경우, 상기 토출부(112)의 토출각이 0도에서 30도의 범위에 위치할 때, 즉 도 4의 위치에서 대략 도 6의 위치에 이르는 범위까지 토출장치가 회전할 때, 서징(surging)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토출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즉, 송풍팬의 흡입유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때, 흡입체적과 토출체적의 차이에 의하여 서징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Table 1 shows experimental data. In the prior art in which the variable van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rovided in the discharge main body, when the discharge angle of the discharge portion 112 is in the range of 0 to 30 degrees, that is, When the discharge device rotates to the position, surging occurs, noise occurs, and the discharge amount decreases.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suction passage of the blowing fan is relatively small, it can be seen that surging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ction volume and the discharge volume.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베인이 리어 가이드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토출부(112)의 토출각에 관계없이 서징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ariable va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rear guide, it can be seen that surging does not occur regardless of the discharge angle of the discharge portion 112.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베인이 리어 가이드에 설치되면,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서징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variable va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rear gu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rging which i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the prior art.

10 : 실내기 20 : 케이스
23 : 전면 패널 25 : 측면 패널
27 : 후방 패널 31 : 흡입부 70 : 필터장치 80 : 열교환기
110 : 제 1 토출장치 111 : 제 1 토출본체
117,157 : 스태빌라이저 118,158 : 리어 가이드
130 : 제 1 송풍팬 150 : 제 2 토출장치
151 : 제 2 토출본체 170 : 제 2 송풍팬
190 : 구획장치 191 : 제 1 구획부
195 : 제 2 구획부 200 : 가변 베인
205 : 접촉부 210 : 탄성부재
220 : 누름장치 225 : 가압부
310 : 흡입유로 320 : 토출유로
10: indoor unit 20: case
23: front panel 25: side panel
27: rear panel 31: suction portion 70: filter device 80: heat exchanger
110: first discharging device 111: first discharging main body
117, 157: Stabilizer 118, 158: Rear guide
130: first blowing fan 150: second discharging device
151: second discharge main body 170: second blowing fan
190: partitioning unit 191: first partitioning unit
195: second compartment 200: variable vane
205: contact portion 210: elastic member
220: pushing device 225: pressing part
310: Suction flow path 320: Discharge flow path

Claims (18)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토출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토출 장치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 본체;
상기 토출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토출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토출 유로의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가변 베인; 및
상기 토출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변베인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누름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토출 본체에는,
상기 송풍팬의 외주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송풍팬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리어 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가변 베인은 상기 리어 가이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ase;
A suction unit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case and sucking air;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suctioned air and the suctioned air; And
And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in the heat exchanger to an indoor space,
In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device,
A discharge main body rotatably provided;
A blowing fan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main body and generating a blowing force;
A variable vane which is movably provided in a discharge passage of the blowing fan and increases or decreases a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A press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main body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variable vane,
In the discharge main body,
And a rear guid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the rear guide being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variable vane is provided on the rear gu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베인의 일측부는 상기 리어 가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가변 베인의 타측부는 상기 일측부를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variable vane is coupled to the rear guide,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variable vane is movably provided around the one s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베인은 상기 리어 가이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van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gu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본체에는,
상기 가변 베인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베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ischarge main body,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variable van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variable va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압축 스프링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compression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는 상기 토출장치의 일측을 지지하는 서포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device is installed on a supporter which supports one side of the discharg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에는,
상기 서포터의 상면에 놓여지는 누름본체; 및
상기 누름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 베인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pressing device,
A pressing body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And
And a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body to selectively press the variable van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베인에는,
상기 가변 베인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유로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눌러지는 접촉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variable vane,
And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variable vane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and being pushed by the pressing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은, 캠(cam)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ntacting portion has a cam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2 토출장치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devi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in front of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는,
공기를 일 원주방향으로 흡입하여 타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횡류팬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lowing fan,
And a cross flow fan for sucking the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측에 구비되며,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토출 본체;
상기 토출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본체의 일면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토출 유로를 향하여 돌출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제 2 베인; 및
상기 토출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접촉부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를 가지는 누름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은, 캠(cam)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ase;
A suction unit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case and sucking air;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suctioned air and the suctioned air;
A blowing fan provided at an outlet side of the heat exchanger and forming a discharge flow path;
A discharge main body rotatably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blowing fan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air;
A first vane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ion and guiding the discharge of air;
A second vane movab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having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And
And a pressing device having a pressing part capable of pressing the contact part of the second vane when the discharge main body rotates,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ntacting portion has a cam shap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토출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vane is fix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second vane performs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bod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송풍팬의 토출유로의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vane comprises:
Wherein the ventilation fan moves in a direction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blowing fa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을 상기 토출유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second vane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토출본체의 일면과 상기 제 2 베인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discharge main body and the second vane.

KR1020150097336A 2015-07-08 2015-07-08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tive KR101712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36A KR101712274B1 (en) 2015-07-08 2015-07-08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36A KR101712274B1 (en) 2015-07-08 2015-07-08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48A KR20170006548A (en) 2017-01-18
KR101712274B1 true KR101712274B1 (en) 2017-03-03

Family

ID=5799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336A Active KR101712274B1 (en) 2015-07-08 2015-07-08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2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527B1 (en) * 2017-09-28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CN109323437B (en) * 2018-11-19 2024-06-14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Air flow adjusting structure of air duct and air conditio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719A1 (en) * 1992-06-23 1994-01-06 Bart Petterson Ceiling vent with movable vane
KR100814023B1 (en) 2007-02-21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1516365B1 (en) * 2014-12-3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440B1 (en) * 2012-03-16 201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719A1 (en) * 1992-06-23 1994-01-06 Bart Petterson Ceiling vent with movable vane
KR100814023B1 (en) 2007-02-21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1516365B1 (en) * 2014-12-3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48A (en)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6577B2 (en) Air conditioner
KR102504098B1 (en) Air cleaner
AU2006202532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718221B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EP3040631B1 (en) Out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KR101712274B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100541471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20170089593A1 (en) Air conditioner
CN119816691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61536B1 (en) Air conditioner
KR20160086141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iner
JP3807426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0874230B1 (en) Condensate Collection Structure for Ceiling Air Conditioners
KR100564465B1 (en) Air conditioner
KR101710272B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100390221B1 (en) Outlet noise decreasing air-conditioner
KR100564457B1 (en) Air conditioner
KR100598218B1 (en) Blowing fan arrangement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3807427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0564454B1 (en) Air conditioner
KR101525847B1 (en) Air Conditioner
KR100564455B1 (en) Air conditioner
KR20010028998A (en) An outdoor unit of a window type air-conditioner
KR20050048864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