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087B1 - Door Locking Apparatus Possible Auto Locking - Google Patents
Door Locking Apparatus Possible Auto Loc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2087B1 KR101712087B1 KR1020160021800A KR20160021800A KR101712087B1 KR 101712087 B1 KR101712087 B1 KR 101712087B1 KR 1020160021800 A KR1020160021800 A KR 1020160021800A KR 20160021800 A KR20160021800 A KR 20160021800A KR 101712087 B1 KR101712087 B1 KR 1017120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b
- door
- shaft
- main body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을 위해 노브를 개방위치로 동작시킨 후 다시 도어를 잠금상태가 되도록 노브를 원위치시키면 자동적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한쪽 내부에 구비되면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키 조립체(30)와; 상기 노브(20)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면서 본체부(10)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의 단부에 체결되어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 바아(50)를 포함하고,
상기 키 조립체(30)는 키박스(31)와; 상기 키박스(31)의 일측 단부(32)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와; 노브(20)의 설치부(21)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설치부(21)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부에 탄지되는 탄성부재(37)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12a)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40)에 돌출된 삽입편(40a)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의 가이드 돌기(4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43)로부터 간격을 두고 삽입부(40a)의 상부면으로 하나의 가이드 돌기(44)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locking a door by operating the knob i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door and then returning the knob to the lock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knob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for perform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 A key assembly 30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knob 20 to enable locking and unlocking thereof; A shaft 40 coupled to one end of the knob 20 to rotate withi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a locking bar (50)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haft (40) and rotat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key assembly 30 includes a key box 31; An eccentric projection (36) eccentrically protruding from one end (32) of the key box (31); An engaging member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knob 20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1; And an elastic member (37) that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atching member,
And a latching groove (12a)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for latching the latching member,
A pair of guide protrusions 43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iece 40a protruding from the shaft 40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one guide protrusion 44 protrudes from the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노브를 개방위치로 동작시킨 후 다시 도어를 잠금상태가 되도록 노브를 원위치시키면 자동적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loc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open a door when the knob is operated to an open position and then the door is returned to a locked state .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를 위해 각종스위치, 릴레이 등의 여러가지 부품들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전반은 수납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러한 본체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도어 록킹장치가 갖추어진다.In general, the switchboard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such as various switches and relays for operation and control of a power station or a substation. The switchboard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that is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locking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상기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회전 동작을 통해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 핸들과, 이 도어 핸들의 축과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양쪽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을 통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로드바(rod bar)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device includes a door handl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a rotary plat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oor handle and rotated simultaneously, And a rod ba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roug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또한, 상,하 배치된 로드바의 중간위치에는 로드바 지지대가 갖추어진 구조이다.In addition, the rod bar supports are provid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rod bars.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도어의 록킹을 위해 도어 핸들의 회전 조작시, 회전판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회전판의 양쪽 단부에 연결된 로드바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함체의 본체부 상,하부 내측면에 걸림이 이루어져서 도어의 록킹상태가 되고, 이와 반대로 도어의 해제를 위해 도어 핸들의 록킹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드바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device, when the door handle is rotated to lock the door, the rotary bar rotates simultaneously and the rod ba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tary bar mov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oor is locked in the locked state and, conversely, the doo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door handle in order to release the door, the load bar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elease the door.
그러나,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로드바의 상,하 이동시, 로드바의 단부가 본체부의 상,하부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걸림상태가 이루어지지만, 로드바와의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apparatus, when the rod bar is moved up and down, the end of the rod bar is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but the rod bar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rod bar.
다시 말해서,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핸들의 조작시, 로드바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로드바와 본체부의 상,하 내측면과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밖에 없다.In other words,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door handle for opening / closing the door, since the rod bar mus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d bar and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must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도어의 록킹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본체부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상태가 되면서 도어를 잡아당김에 따라 소리(덜거덕 거리는 소리)가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도어의 록킹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although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must be reliably performed, a sound (rattling sound) is generated as the door is pulled out while being slight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one.
또한, 종래의 다른 도어 록킹장치는, 도어의 안쪽면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바아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고, 도어면에 고정되는 바디부와, 이 바디부로부터 들어올려져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록킹바아를 회전시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브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노브는 록킹바아와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Another conventional door locking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cking bar is provided for locking the inner surface of a door and includes a body fixed to the door surface, And a knob for rotating the locking bar to open the door. The knob is connected to the locking bar by a connecting shaft.
이러한 종래의 다른 도어 록킹장치는 노브의 회전시 먼저 노브의 안쪽면에 구비된 키박스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노브가 바디부로부터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그러면 노브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킹바아가 동시에 회전되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며, 다시 도어를 록킹하기 위해서 회전시켰던 노브를 원위치로 역회전시킨 다음 노브에 키를 삽입하여 키박스를 통해 노브가 바디부로부터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시 반드시 키를 통해 노브를 잠금거나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그 만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When the knob is rotated by inserting the key into the key box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knob, the locking state of the knob is released from the body, and when the knob is rotated in one direction , The locking bar is simultaneously rotated to open the door, the knob rotated to reverse the door is rotated backward, and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nob so that the knob is locked from the body via the key box In orde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it is necessary to lock or unlock the knob through the ke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노브를 개방위치로 동작시킨 후 다시 도어를 잠금상태가 되도록 노브를 원위치시키면 자동적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oor locking device for an automatic door locking device, So that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lock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한쪽 내부에 구비되면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키 조립체와; 상기 노브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면서 본체부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키 조립체는 키박스와; 상기 키박스의 일측 단부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와; 노브의 설치부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설치부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부에 탄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ob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 A key assembly installed inside one of the knobs to enable locking and unlocking; A shaft coupled to one end of the knob to rotate within one side of the body; And a locking bar that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haft and rotates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oor, wherein the key assembly includes a key box; An eccentric projection protruding eccentrically from one end of the key box; An engaging member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knob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resiliently mounted o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상기 본체부의 수용부안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에 돌출된 삽입편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로부터 간격을 두고 삽입부의 상부면으로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And an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body for engaging the engaging member,
A pair of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shaft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one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guide protrus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또한, 샤프트의 끝단부에는 회전 제한부재가 더 포함되는 구조이다.Further, the end portion of the shaf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restricting member.
삭제delete
또한, 상기 회전 제한부재는 체결부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돌출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 engaging the fastening member,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otruding portions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an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구조이다.And an elastic member is further inclu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한쪽에 형성되는 삽입부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면서 회전 및 전진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a guiding part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is protruded in a radial direction to guide the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and to perform rotation and advance movement.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경사면과 외측 경사면, 상기 내측 경사면과 외측 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직선면과 외측 직선면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Further, the guide portion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inner inclined surface and an outer inclined surface formed on both sides, and an inner linear surface and an outer linear surface formed between the inner inclined surface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회전 제한부재의 돌출부와 접촉하여 회전 제한부재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삽입부 내면의 상부 및 하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저지턱이 형성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a stopp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front of the guide portion at the upper and lower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protrusion of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and restric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또한,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키박스의 단부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eccentric projections formed eccentrically on the end portion of the key box.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삽입홈은 편심돌기의 편심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편심돌기의 단면적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in a larger area than the eccentric projection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ccentric movement of the eccentric projections.
상기 노브의 상부 내측에는 샤프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힌지축에 마련되어 노브의 잠금해제시 본체부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hinge shaft provided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shaft so as to protrude from the main body when the knob is unlocked.
또한, 상기 걸림부재에는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키박스의 단부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는 수직방향을 0도라고 할때 180도에서 270도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The eccentric protrusion formed eccentrically on the end of the key box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has an angle of 180 degrees to 270 degrees when the vertical direction is 0 degre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노브의 설치부 내측면에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걸림부재의 상부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걸림부재의 상부이면서 지지홈과 절개홈사이에 탄성부재가 요동없이 탄지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a support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knob,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support groove and the cutout gro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을 위해 노브를 개방위치로 동작시킨 후 다시 도어를 잠금상태가 되도록 노브를 원위치시킬때, 노브를 본체부에 삽입하기 전에 키를 원래의 위치로 조작하더라도 자동적으로 본체부에서의 노브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b is oper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before the knob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knob can be locked in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개방을 위해 노브를 회전시키면, 자동적으로 도어쪽으로 전진하여 록킹바아가 도어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간섭없이 원활하게 록킹바아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b is rotated to open the door, the locking bar is automatically advanced toward the door so that the locking bar is spac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door so that the locking bar can be opened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개방을 위한 노브의 잠금해제후 다시 노브를 잠금상태로 원위치시킬때, 키 조작없이 항상 본체부로의 잠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b for opening the door is unlocked and then the knob is returned to the locked state, the locking to the main body is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a key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본체부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부재와 키박스의 편심돌기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로부터 키박스의 회전으로 걸림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박스, 노브, 본체부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 종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로부터 키박스의 회전으로 걸림부재가 상승되어 1차 잠금상태가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수용부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에서 노브를 들어올린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측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b에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 노브를 회전시킨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의 돌기와 본체부의 수용부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샤프트의 회전후 돌기의 위치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한부재와 본체부의 수용부 내부 돌기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 8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로부터 노브를 잠금상태에서 해제하여 튀어올라온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본체부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부재와 키박스의 편심돌기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로부터 키박스의 회전으로 걸림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박스의 편심돌기의 편심 이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하단부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서 키를 회전시켜서 노브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모습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a의 횡단면도이다.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 2B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A. FIG.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
FIG. 4A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n engaging member for engaging the main body of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ccentric projections of the key box. FIG.
FIG.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ing member is lifted from the rotation of the key box from FIG. 4A. FIG.
5A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key box, a knob,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raised by the rotation of the key box to release the primary locking state from FIG. 5A.
6 is an inside perspective view of an accommodating portion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knob is lifted in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8A. Fig.
8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knob is rotated to open the door in Fig. 8B.
FIG. 9A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shaft and the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is shifted after the rotation of the shaft in FIG. 9A.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8B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and the receiving portion internal protrus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is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by popping up the knob from FIG. 12A.
FIG. 1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n engaging member for engaging the main body of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ccentric projections of the key box. FIG.
Fig. 13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is raised by rotation of the key box from Fig. 13A. Fig.
13C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ccentric movement of the eccentric projection of the key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end portion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B is an engaging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is rotat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knob in FIG. 14A.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A.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1)는, 도어면에 고정되는 본체부(10)와, 이 본체부(10)에 구비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한쪽 내부이면서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키 조립체(30)와, 상기 노브(20)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면서 본체부(10)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의 단부에 체결되어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바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A, a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노브(2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11)이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일측에는 수용부(12)가 돌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상기 수용부(12)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는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삽입부(13)가 형성되어서 샤프트(40)가 삽입되어 구비되도록 한다.A receiving
또한, 상기 본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20)의 일측면에는 키 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설치부(21)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A
또한, 상기 키 조립체(30)는, 원통체를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키박스(31)를 포함하고, 상기 키박스(31)의 일측 단부(32)에는,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또한, 상기 샤프트(40)는 상기 노브(20)의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면서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힌지부(41)가 형성되고, 샤프트(40)에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삽입편(40a)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플랜지부(4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의 가이드 돌기(43)가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 돌기(43)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삽입편(40a)의 상부면으로 하나의 가이드 돌기(44)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44)는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샤프트(40)의 단부에는 체결부재(6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45)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힌지부(41)의 외주면에는 와셔(46)와 탄성력을 가져서 가압되도록 하는 웨이브 와셔(46a)가 삽입되고, 플랜지부(42)의 반대측에는 실링용 오링(47)가 구비되며, 샤프트(40)의 끝단부에는 회전 제한부재(48)가 마련될 수 있다.A
상기 회전 제한부재(48)는 도어를 잠그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바아(50) 및 와셔(47a)와 함께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6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48a)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돌출부(48b)(48c)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부재(48)의 체결공(48a)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한쌍의 돌출부(48b)(48c)는 회전 제한부재(48)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The pair of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0)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샤프트(4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4)와 본체부(10)의 삽입부(13) 내부에 형성된 지지턱(13a)에 일단부가 지지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전 제한부재(48)에 탄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9)가 더 포함되는 구조를 가진다. 3, a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한쪽에 형성되는 삽입부(13)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3)(44)가 가이드되면서 회전 및 전진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3b)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The guide protrusions 43 and 4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가이드부(13b)는 삽입부(13)의 내주면을 따라 곡선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폐곡선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도 6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부는 개구된 부분이 있는 곡선형태를 가진다. The
이러한 개구부는 삽입부(13)의 내부에 샤프트(40)를 조립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가이드 돌기(44)가 통과되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These openings are formed in order to assemble the
상기 가이드부(13b)는 양 측면(도 9a에서 상,하부 위치)에 형성되는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 상기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직선면(13b-3)과 외측 직선면(13b-4)으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샤프트(40)의 삽입편(40a) 외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돌기(43)는 가이드부(13b)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43)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의 가이드 돌기(44)는 가이드부(13b)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된다.A pair of
따라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0)가 회전하면, 한쌍의 가이드 돌기(43)는 가이드부(13b)의 내측면의 내측 경사면(13b-1)쪽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하여 내측 직선면(13b-3)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나의 가이드 돌기(44)는 가이드부(13b)의 외측 경사면(13b-3)에 위치하고 있다가, 가이드되면서 이동하여 외측 직선면(13b-4)으로 이동하게 된다.9A and 9B, when the
이때, 내측 경사면(13b-1)에서 내측 직선면(13b-3)으로 가이드 돌기(43)가 회전 이동시, 축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어서 샤프트(40)가 거리(d) 만큼 전진하여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여기서, 샤프트(40)의 외주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재(49)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샤프트(40)가 탄성부재(49)의 내부를 관통하여 축방향 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49)의 반발력에 의해 도움을 받아 전진 이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Here, the
다시 말해서, 상기 탄성부재(49)의 일단부는 삽입부(13)의 내부에 형성된 저지턱(13c)에 지지되어 있고, 삽입부(13)의 바깥방향으로 신장되려는 반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40)가 전진(삽입부(13)의 바깥방향) 이동시 반발력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샤프트(40)의 전진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물론, 반대로 샤프트(40)를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브(20)를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진되었던 샤프트(40)의 회전 제한부재(48)가 탄성부재(49)를 압축하면서 회전 및 후퇴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Of course, when the
또한,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삽입부(13) 내면의 상부 및 하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부(13b)의 전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저지턱(13c)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제한부재(48)의 돌출부(48b)(48c)와 접촉하여 회전 제한부재(48)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한다. 6 and 10,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10은 도 8b의 A-A선 단면도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필요한 부분만 도시한 것이다.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8B, but shows only a necessary por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다시 말해서, 상기 샤프트(40)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 제한부재(48)는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48b)(48c)가 회전이동하면서 삽입부(13)내의 저지턱(13c)과 만나면서 회전이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4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며, 이것으로 노브(20)의 개폐동작시 회전각도가 일정 각도범위내로 제한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또한, 상기 키 조립체(30)는, 키박스(31)의 외부면 단부측에는 탄성부재(37) 및 걸림부재(38)가 갖추어지는 구조를 가진다.The
상기 탄성부재(37)는 걸림부재(38)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탄지되고,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걸림부재(38)에는 상기 키박스(31)의 단부(32)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38a)이 형성되고, 상기 키박스(31)의 회전에 따른 편심돌기(36)의 편심이동에 따라 걸림부재(38)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걸림부재(38)는 상부방향으로 이동시 탄성부재(37)를 압축하면서 상승하게 되어 본체부(10)의 수용부(12)내의 걸림홈(12a)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걸림부재(38)의 삽입홈(38a)은 걸림부재(38)의 전면에 형성되는데, 키박스(31)의 전면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가 삽입되어 키의 삽입후 조작에 의해 회전(180도 회전)하는 키박스(31)에 의해 삽입홈(38a)의 측면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부재(38)가 상승되도록 하고, 따라서, 삽입홈(38a)은 편심돌기(36)의 편심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편심돌기(36)의 단면적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걸림부재(38)의 하단부는 걸림부재(38)가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의 걸림홈(12a)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다시 말해서, 걸림부재(38)의 하단부의 후면 즉, 걸림부재(38)가 수용부(12)안으로 먼저 진입되는 방향의 하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걸림홈(12a)에 밀려서 자연스럽게 삽입 및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물론, 상기 탄성부재(37)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의 설치부(21)내에서 요동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탄지되도록 마련되고, 걸림부재(38)도 상,하 이동시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걸림부재(38)의 양쪽 측면에 지지편이 마련될 수 있다. 5A,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쌍의 여닫이 도어인 경우, 한쪽 도어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쪽 도어를 개방하도록 된 구조인 경우에는 도어 록킹장치(1)가 개방하는 도어측에 구비하여 록킹바아(50)가 회전되어서 고정된 도어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다른쪽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열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고, 만일 미닫이 구조의 도어인 경우에는 캐비넷(또는 배전반 함체)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측에 록킹바아(50)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the
먼저, 본체부(10)로부터 노브(2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키(3)를 통해 키박스(31)의 안으로 삽입하여 한쪽으로 회전(180도 회전)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박스(31)가 회전되면서 키박스(3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편심돌기(36)가 회전되면서 편심 이동된다.5 (b), when the
그러면, 상기 편심돌기(36)는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에 구비된 걸림부재(38)의 삽입홈(38a)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다가, 키박스(31)의 회전으로 편심이동되어서 걸림부재(38)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그에 따라 걸림부재(38)의 상부에 위치한 탄성부재(37)가 압축되면서 걸림부재(38)가 상승하게 되고, 그러면 본체부(10)의 수용부(12)내에 형성된 걸림홈(12a)으로부터 걸림부재(38)가 이탈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된다.The
이 상태에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를 본체부(10)로부터 앞쪽으로 들어올리고 일측 방향(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브(2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된 샤프트(4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8A and 8B, when the
상기 샤프트(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가이드 돌기(43)(44)가 돌출,형성되어서, 본체부(10)의 삽입부(13)안에 형성된 가이드부(13b)의 내측 및 외측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7, guide
따라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 노브(20)를 회전시키면, 도 8c,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의 상부와 힌지 결합된 샤프트(40)도 동시에 회전하고, 그러면 샤프트(4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43)(44)도 동시에 회전하여 본체부(10)의 삽입부(13)안에 형성된 가이드부(13b)의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과 만나면서 가이드되어서 내측 직선면(13b-3)과 외측 직선면(13b-4)으로 회전이동된다. Therefore, when the
그에 따라, 샤프트(40)는 간격(d) 만큼 이동하게 되어 본체부(10)의 삽입부(13)내에서 전진 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부재(49)의 일단부는 삽입부(13)의 내부 지지턱(13a)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부는 회전 제한부재(48)의 안쪽면에 지지되어 있어, 샤프트(40)가 전진할때 탄성부재(49)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진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 제한부재(48)가 전진 이동하는 거리만큼 탄성부재(49)가 반발력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The
물론, 탄성부재(49)는 항상 반발력을 가지고 있지만, 노브(20)를 개방하기 전 위치에서는 샤프트(40)의 가이드 돌기(43)(44)가 삽입부(13)안의 가이드부(13b)의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의 위쪽 부분에 지지되어 있어,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노브(20)의 회전으로 샤프트(40)의 가이드 돌기(43)(44)가 삽입부(13)안의 가이드부(13b)를 따라 가이드될때 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Of course, the
따라서, 샤프트(40)의 전진 이동시 탄성부재(49)의 반발력에 의한 도움을 받게 되어 노브(20)의 개방 동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이와 같이, 노브(20)의 회전동작으로 샤프트(40)가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40)의 단부측에 결합된 록킹바아(50)도 동시에 회전되어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Thus, as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샤프트(40)의 회전시, 회전 제한부재(48)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 제한부재(48)에는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48b)(48c)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 제한부재(48)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부(10)의 삽입부(13)안에 형성된 저지턱(13c)과 만나면서 회전이 제한되며, 따라서, 노브(2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즉, 상기 노브(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노브(20)의 회전동작시 소정의 각도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개방 또는 폐쇄각도를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by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한편, 도어를 록킹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개방시의 반대방향으로 본체부(10)에서 노브(20)를 원위치시키는데, 노브(20)를 원위치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샤프트(40)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샤프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3)(44)가 삽입부(13)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 직선면(13b-3)과 외측 직선면(13b-4)에서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쪽으로 가이드되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샤프트(40)는 후진하게 되며, 이때 회전 제한부재(48)에 의해 샤프트(4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49)를 압축하면서 후진하게 된다. When the door is to be locked, the
이렇게 노브(20)를 원위치시키는 동작으로 회전시킨 다음, 본체부(10)의 수납홈(11)에 삽입하도록 밀면, 노브(20)의 상단부는 샤프트(40)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도 8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키(3)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역회전시켜서 걸림부재(38)의 하단부가 노브(20)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한다. When the
노브(20)의 하단부로 걸림부재(38)의 하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본체부(10)안으로 밀어 넣으면, 노출된 걸림부재(38)의 하다부는 탄성부재(37)를 압축하면서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으로 진입하면서 걸림홈(12a)과 만나면, 압축된 탄성부재(37)의 반발력에 의해 걸림부재(37)가 걸림홈(12a)안으로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진다. When the low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노브(20)의 하부측에 마련된 설치부(21)는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에 삽입되며, 그러면, 노브(20)의 설치부(21)의 하부로 노출된 걸림부재(38)는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에 형성된 걸림홈(12a)안에 밀려 들어가서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록킹상태가 되는 것이다. The
다시 말해서, 키(3)로 잠그지 않더라도 노브(20)를 원위치시켜서 본체부(10)의 수납홈(11)에 삽입시키면, 자동적으로 걸림부재(38)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져서 록킹상태가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의 상단부 안쪽에 노브(20)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축(14)의 외부면에 탄성부재(15)가 탄지된 구조를 가진다. 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구조가 반영된 결합 단면도로서, 탄성부재(15)가 탄지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Fig. 12A is an engagement sectional view reflect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1,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탄성부재(15)는 토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5)가 마련됨에 따라, 노브(20)는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부재(38)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걸림부재(39)에 의해 록킹되어 있다가 키(3)의 조작에 의해 해제되면, 사용자쪽으로 튀어 올라오도록 한다. The
또한, 도 12a에 있어서, 탄성부재(37)는 걸림부재(39)의 상부에 탄지되는데, 노브(20)의 설치부(21)의 내측면과 걸림부재(39)의 사이에서 요동없이 지지되면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12A, the
다시 말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의 설치부(21) 안쪽면에는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지지홈(21a)이 형성되고, 걸림부재(39)의 상단부에는 절개홈(39b)이 형성되어서 그 사이에 탄성부재(37)가 삽입,지지되도록 한다.15, a
상기 절개홈(39b)은 걸림부재(39)의 상단부에 형성되면서, 정면쪽으로는 막혀서 소정의 깊이로만 형성되고, 배면쪽으로는 절개되어 개방됨으로써, 삽입되는 탄성부재(37)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지지홈(21a)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큰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부재(37)를 구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걸림부재(39)의 탄지력을 크게 유지할 수 있어, 노브(20)가 본체부(10)안에 확실하게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이처럼 노브(20)가 본체부(10)로부터 잠금해제되어서 튀어 나오면,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어의 개방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걸림부재(39)에는 일측에 치우친 상태의 삽입홈(39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39a)안에 삽입되는 키박스(31)의 편심돌기(36)는 노브(20)가 록킹된 상태일 때에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③ 영역에 있다가 90도 편심이동되어 ④ 영역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때 걸림부재(39)의 상부에 탄지된 탄성부재(37)가 압축된다. Further, the latching
다시 말해서, 수직방향을 0도라고 할때, ① 영역은 0도 ~ 90도, ② 영역은 90도 ~ 180도, ③ 영역은 180도 ~ 270도, ④ 영역은 270도 ~ 360도(0도)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편심돌기(36)는 ③ 영역인 180도 ~ 270도 범위내에서 위치하고 있다가, 노브(20)의 잠금해제 동작시 ③ 영역에서 ④ 영역으로 편심이동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vertical direction is 0 degree, the range is from 0 ° to 90 °, the range from 90 ° to 180 °, the range from 180 ° to 270 °, and the range from 270 ° to 360 ° The
여기서, 키(3)는 노브(20)를 본체부(10)로부터 잠금상태에서 해제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있다가 90도 우측으로 회전되어 수평상태가 된다. Here, the
키(3)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부재(39)가 본체부(10)의 하부 내측 수용부(12)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2a)으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빠져나와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15)의 반발력에 의해 노브(2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쪽으로 튀어 나오게 된다. When the
이 상태에서 우측으로 회전시켰던 키(3)를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37)의 반발력에 의해 걸림부재(39)는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이때 키박스(31)의 편심돌기(36)는 ④ 영역 위치에서 다시 ③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키(3)는 자동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key 3 rotated to the right is released, the engaging
다시 말해서, 노브(20)를 해제시키기 위해 키(3)를 90도 회전시키고 놓으면,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에서 탄성부재(37)의 반발력에 의해 걸림부재(39)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키박스(31)의 편심돌기(36)가 눌려서 원래의 위치로 편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노브(20)를 본체부(10)로부터 튀어 나오게 한 다음, 도어의 개방을 위해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The
한편, 다시 노브(20)를 본체부(10)에 잠금상태로 하기 위해서, 회전시켰던 노브(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본체부(10)에 밀어 넣으면, 노브(20)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있던 걸림부재(39)는 탄성부재(37)를 압축하면서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으로 진입하여 걸림홈(12a)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37)의 반발력에 의해 걸림홈(12a)안에 삽입되어 자동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때, 물론 상기 노브(20)는, 노브(20)의 상부에 구비된 탄성부재(15)를 압축하면서 본체부(10)안으로 삽입하게 된다. Of cours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캐비넷, 배전반 등의 도어 개폐시 사용되는 도어 록킹장치로서, 도어의 개방을 위한 노브의 회전동작시 회전 및 전진이 이루어져서 록킹바아(50)가 도어의 안쪽면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고 떨어지는 상태로 회전되므로써, 도어의 안쪽면과의 밀착에 따른 개방 또는 폐쇄동작에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ing apparatus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of various cabinets, an electric distribution panel, etc., in which the knob for opening the door is rotated and advanced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so that the locking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d : 간격
1 : 도어 록킹장치
3 : 키(key)
10 : 본체부
11 : 수납홈
12 : 수용부
12a : 걸림홈
13 : 삽입부
13a : 지지턱
13b : 가이드부
13b-1 : 내측 경사면
13b-2 : 외측 경사면
13b-3 : 내측 직선면
13b-4 : 외측 직선면
13c : 저지턱
14 : 힌지축
15 : 탄성부재
20 : 노브
21 : 설치부
21a : 지지홈
30 : 키 조립체
31 : 키박스
32 : 단부
36 : 편심돌기
37 : 탄성부재
38 : 걸림부재
38a : 삽입홈
39 : 걸림부재
39a : 삽입홈
39b : 절개홈
40 : 샤프트
40a : 삽입편
41 : 힌지부
42 : 플랜지부
43,44 : 가이드 돌기
45 : 결합홈
46 : 와셔
46a : 웨이브 와셔
47 : 실링용 오링
47a : 와셔
48 : 회전 제한부재
48a : 체결공
48b,48c : 돌출부
49 : 탄성부재
50 : 록킹바아
60 : 체결부재d: interval
1: Door locking device
3: key
10:
11: Storage groove
12:
12a:
13:
13a: Support jaw
13b:
13b-1: inner inclined surface
13b-2: outer slope surface
13b-3: Inner rectilinear surface
13b-4: outer linear surface
13c: Jersey jaw
14: Hinge shaft
15: Elastic member
20: Knob
21: Installation section
21a: Support groove
30: key assembly
31: Key box
32: end
36: Eccentric projection
37: elastic member
38:
38a: insertion groove
39:
39a: Insert groove
39b: incision groove
40: Shaft
40a:
41: Hinge section
42: flange portion
43, 44:
45: Coupling groove
46: Washer
46a: Wave Washer
47: Oiling for sealing
47a: Washer
48:
48a: fastener
48b, 48c:
49: elastic member
50: Locking Bar
60: fastening member
Claims (13)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한쪽 내부에 구비되면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키 조립체(30)와;
상기 노브(20)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면서 본체부(10)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의 단부에 체결되어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 바아(50)를 포함하고,
상기 키 조립체(30)는 키박스(31)와;
상기 키박스(31)의 일측 단부(32)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와;
노브(20)의 설치부(21)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설치부(21)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부에 탄지되는 탄성부재(37);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12a)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40)에 돌출된 삽입편(40a)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의 가이드 돌기(4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43)로부터 간격을 두고 삽입부(40a)의 상부면으로 하나의 가이드 돌기(44)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A main body 10;
A knob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for perform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
A key assembly 30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knob 20 to enable locking and unlocking thereof;
A shaft 40 coupled to one end of the knob 20 to rotate withi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a locking bar (50)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haft (40) and rotat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key assembly 30 includes a key box 31;
An eccentric projection (36) eccentrically protruding from one end (32) of the key box (31);
An engaging member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knob 20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1;
An elastic member (37) resilient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latching member;
/ RTI >
And a latching groove (12a)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for latching the latching member,
A pair of guide protrusions 43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iece 40a protruding from the shaft 40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herein one guide protrusion (4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샤프트(40)의 끝단부에는 회전 제한부재(4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n end portion of the shaft (4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restricting member (48).
상기 회전 제한부재(48)는 체결부재(6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48a)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돌출부(48b)(48c)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48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48a for engaging the fastening member 60 and a pair of projections 48b and 48c projecting radi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door locking device is a door lock device.
상기 샤프트(40)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49)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49) is furth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40).
본체부(10)의 한쪽에 형성되는 삽입부(13)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3)(44)가 가이드되면서 회전 및 전진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3b)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of claim 3,
Guide portions 43 and 4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40 are guided in the inserting portion 13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so as to perform rotation and advance movement 13b are protruded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가이드부(13b)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 상기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직선면(13b-3)과 외측 직선면(13b-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guide portion 13b has an inner inclined surface 13b-1 and an outer inclined surface 13b-2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and a guide portion 13b formed between the inner inclined surface 13b-1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 13b-2 And an inner linear surface (13b-3) and an outer linear surface (13b-4).
회전 제한부재(48)의 돌출부(48b)(48c)와 접촉하여 회전 제한부재(48)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삽입부(13) 내면의 상부 및 하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부(13b)의 전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저지턱(13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and lower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section 13 of the main body section 10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so tha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48 is restricted by contacting the projections 48b and 48c of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48, Wherein a stopping protrusion (13c)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front of the guide portion (13b).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키박스(31)의 단부(32)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38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38a) for inserting an eccentric projection (36) formed eccentrically in an end portion (32) of the key box (31).
상기 걸림부재의 삽입홈(38a)은 편심돌기(36)의 편심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편심돌기(36)의 단면적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38a) of 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in a larger area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eccentric projection (36)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ccentric movement of the eccentric projection (36).
상기 노브(20)의 상부 내측에는 샤프트(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힌지축(14)에 마련되어 노브(20)의 잠금해제시 본체부(10)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하는 탄성부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ob 2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knob 20 with a hinge shaft 14 rotatably engaged with the shaft 40 so that the elastic member 15 Wherein the door lock mechanism comprises:
상기 걸림부재에는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는 삽입홈(39a)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39a)에 삽입되면서 키박스(31)의 단부(32)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는, 수직방향을 0도라고 할때 180도에서 270도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ccentric projection 36 formed eccentrically on an end portion 32 of the key box 3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9a is formed in the engaging member with an insertion groove 39a, And when the vertical direction is set to 0 degree, the door is positioned between 180 degrees and 270 degrees.
노브(20)의 설치부(21) 내측면에는 지지홈(21a)이 형성되고, 걸림부재의 상부에 절개홈(39b)이 형성되며, 걸림부재의 상부이면서 지지홈(21a)과 절개홈(39b)사이에 탄성부재(37)가 요동없이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support groove 21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knob 20 and an incision groove 39b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The support groove 21a and the incision groove 39b) is elastically resiliently resiliently bia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39a, 39b).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800A KR101712087B1 (en) | 2016-02-24 | 2016-02-24 | Door Locking Apparatus Possible Auto Loc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800A KR101712087B1 (en) | 2016-02-24 | 2016-02-24 | Door Locking Apparatus Possible Auto Lock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2087B1 true KR101712087B1 (en) | 2017-03-03 |
Family
ID=5841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1800A Active KR101712087B1 (en) | 2016-02-24 | 2016-02-24 | Door Locking Apparatus Possible Auto Loc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2087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0903A (en) | 2017-08-22 | 2019-03-05 | 코리아알프스(주) | Door Handle Assemblage for Power Distributing Board Box |
KR101963357B1 (en) * | 2018-04-30 | 2019-03-28 | 주식회사 코하마 | Door lock device |
KR20210080007A (en) | 2019-12-20 | 2021-06-30 | 주식회사 공진 | Handle device for open and shut |
KR20230089480A (en) * | 2021-12-13 | 2023-06-20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 Sealing And Sensing System for Smart Contai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642354B1 (en) * | 2022-12-01 | 2024-02-29 | (주)밴플러스 | Door Locking Unit for Cargo Container |
KR102725641B1 (en) | 2024-04-09 | 2024-11-08 | (주)디에이치하드웨어 | Door locking apparatu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6377Y1 (en) * | 1996-05-27 | 1999-06-15 | 윤규중 | Flat handle for door |
KR200247678Y1 (en) * | 2001-07-04 | 2001-10-17 | 공진산업 주식회사 | Handle for switchboard |
KR100432810B1 (en) | 2001-07-04 | 2004-05-27 | 주식회사 공진 | Door locking device |
JP2004156225A (en) * | 2002-11-05 | 2004-06-03 | Takigen Mfg Co Ltd | Plane handle device |
KR101145742B1 (en) * | 2009-08-10 | 2012-05-16 |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 A lock handle assembly for doors |
-
2016
- 2016-02-24 KR KR1020160021800A patent/KR1017120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6377Y1 (en) * | 1996-05-27 | 1999-06-15 | 윤규중 | Flat handle for door |
KR200247678Y1 (en) * | 2001-07-04 | 2001-10-17 | 공진산업 주식회사 | Handle for switchboard |
KR100432810B1 (en) | 2001-07-04 | 2004-05-27 | 주식회사 공진 | Door locking device |
JP2004156225A (en) * | 2002-11-05 | 2004-06-03 | Takigen Mfg Co Ltd | Plane handle device |
KR101145742B1 (en) * | 2009-08-10 | 2012-05-16 |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 A lock handle assembly for doors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0903A (en) | 2017-08-22 | 2019-03-05 | 코리아알프스(주) | Door Handle Assemblage for Power Distributing Board Box |
KR101963357B1 (en) * | 2018-04-30 | 2019-03-28 | 주식회사 코하마 | Door lock device |
KR20210080007A (en) | 2019-12-20 | 2021-06-30 | 주식회사 공진 | Handle device for open and shut |
KR20230089480A (en) * | 2021-12-13 | 2023-06-20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 Sealing And Sensing System for Smart Contai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605584B1 (en) * | 2021-12-13 | 2023-11-2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 Sealing And Sensing System for Smart Contai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642354B1 (en) * | 2022-12-01 | 2024-02-29 | (주)밴플러스 | Door Locking Unit for Cargo Container |
KR102725641B1 (en) | 2024-04-09 | 2024-11-08 | (주)디에이치하드웨어 | Door locking apparatus |
KR102744562B1 (en) | 2024-04-09 | 2024-12-19 | (주)디에이치하드웨어 | Door lock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2087B1 (en) | Door Locking Apparatus Possible Auto Locking | |
US7108300B2 (en) | Reversible latch bolt | |
EP1809841B1 (en) | Slam latch with pop-up knob | |
US20100251786A1 (en) |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 |
KR101168835B1 (en) |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 |
KR20160052486A (en) | Lock device for sliding type fittings | |
KR20110036425A (en) | door lock | |
US8523249B2 (en) | Reversible latch bolt | |
CN110644858B (en) |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A2354822C (en) |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 | |
KR101206563B1 (en) | Locking device for windows | |
KR101782579B1 (en) | Sliding door lock | |
KR101115424B1 (en) | A button type-locking devise for window | |
KR101857197B1 (en) | Lower roller apparatus of sliding door | |
KR200419667Y1 (en) | Sealing Door Handle Lock | |
KR101765329B1 (en) | Digital door rock | |
KR20060114840A (en) | Backset for door lock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using same | |
KR100427402B1 (en) | Locking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door | |
KR200342341Y1 (en) | locker structure of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a hydrant box door | |
KR101756863B1 (en) | 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 |
KR102691456B1 (en) | Pull-up Handle Assembly and MCC with the Same | |
JP2001262892A (en) |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key for furniture | |
KR102457673B1 (en) | Apparatus for locking cover of railroad conversion | |
EP4357565A1 (en) | An improved latch assembly having a handle | |
KR101812645B1 (en) | Door trim apparatus for door gap arran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