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717B1 - clamp having multi function - Google Patents
clamp having multi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9717B1 KR101709717B1 KR1020160009805A KR20160009805A KR101709717B1 KR 101709717 B1 KR101709717 B1 KR 101709717B1 KR 1020160009805 A KR1020160009805 A KR 1020160009805A KR 20160009805 A KR20160009805 A KR 20160009805A KR 101709717 B1 KR101709717 B1 KR 1017097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tangular block
- main support
- fixture
- hole
- sl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5/101—C-c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27B29/02—Clamping angles; Gripping equipment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함과 아울러 고정물의 고정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지지대(102)와; 상기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직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밀착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제1직각블록(104)과; 상기 제1직각블록(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직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밀착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제2직각블록(106)과; 상기 제2직각블록(106)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물을 제1직각블록(104)의 내면에 밀착 고정시켜 주는 핸들(108)과; 상기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을 메인지지대(102)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볼트(110)와; 상기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의 메인지지대(1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이동용보조지지대(112)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lamp which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can prevent a main support from bending from a load of a fixture when the fixture is fixed. A first rectangular block 104 sloped vertically downward to be slidable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102 to prevent the main support 102 from being bent from the load of the fixture when the fixture is closely contacted; The main support 102 is slidable vertically downward to be slidable left and right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10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so that the main support 102 A second right angle block (106) for preventing bending; And a handle (not shown)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and fixes a fixtu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and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108); A fixing bolt 110 for fixing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and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to the main support 102; A movable auxiliary support 112 which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support 102 between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and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to prevent the main support 102 from being bent from the load of the fixture, ).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물의 크기와 고정부위 형상 및 고정물의 수량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고, 확장 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고정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능이 포함된 다기능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which can be fix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ixture, the shape of the fixed part, and the quantity of the fixture,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upon expansion, To a multifunctional clamp.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고정물(예를 들어, 목재 등)을 고정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clamp is a device for fixing a fixture (e.g., wood, etc.).
상기 일반적인 클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1,
메인지지대(1)와;A main support (1);
상기 메인지지대(1)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는 제1직각블록(2)과;A first rectangular block (2)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1);
상기 제1직각블록(2)으로부터 일정간격 두고 메인지지대(1)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되,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직각블록(3)과;A second
상기 제2직각블록(3)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 되어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of the second right-angle block (3)
상기 제1직각블록(2)과 제2직각블록(3)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물(도시는 생략함)을 제1직각블록(2)의 내면에 밀착 고정시켜 주는 핸들(4)을 포함한다.And a
그러나, 상기 일반적인 클램프는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큰 고정물을 고정시켜 주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lamp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fix a large fixture because its length can not be adjust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8년 07월 03일자 출원번호 제20-2008-0008912호(고안의 명칭 : 문틀조임쇠구조)로 특허청에 출원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청구항 1. 일정 길이의 각관 양변을 일정간격씩 관통하는 첨공부에 보강파이프(50a)를 삽입 용접시킨 메인각관(50)을 마련하고, 그 일단 저면부에 일정간격으로 용접한 2개의 나선봉너트(30)에는 일측단부에 핸들(10)이 용접되고, 이측단부에 키홈(20a)이 가공된 나선봉(20)을 나사조립시키고, 상기 메인각관(50) 일단이 내재되게 첨공된 각관삽입공(40c) 하단에 용접한 중공관인 나선봉소켓(40a)이 마련된 나선봉이송지지판(40)은 상기 나선봉의 키홈(20a)이 나선봉소켓(40a)에서 빠지지 않고 회전되게 키홈볼트(40b)로 조립하고, 상기 메인각관(50)이 자유 내재 되는 규격의 또 다른 일정길이의 각관 양변을 관통한 첨공부에 보강와셔(60a)를 용접하고, 각관 일측단부에는 각관삽입공(40c)이 형성된 조절각관지지판(60b)을 용접한 조절각관(60)을 메인각관(50)에 끼워 메인각관과 조절각관에 각 형성된 첨공부에는 조절각관핀(60c)을 관통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조임쇠구조. " 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application was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with the application number 20-2008-0008912 of Jul. 03, 2008 (name of the invention: frame fastener structure) The main spiral pipe 50 is inserted and welded to the both ends of the spiral nut 5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two spiral nut 30 welded to the one bottom end of the spiral nut 30 are welded to one end The handle 10 is welded and the spiral bar 20 having the key groove 20a formed thereon is screwed and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ipe insertion hole 40c having one end of the main pipe 50 internally embedded therein The spiral transfer support plate 40 having the hollow spiral socket 40a is assembled with the key groove bolt 40b so that the key groove 20a of the spiral spiral is rotat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spiral socket 40a, (50) penetrates through both sides of a pipe of another predetermined length of the freely embraced standard The reinforcing washers 60a are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pipe and welded to the main pipe 50 and the adjustment pipe 60b welded to the support pipe 60b having the pipe fitting holes 40c formed at one end thereof, Is formed through the adjusting pipe pin (60c) in each of the holes formed in the door frame.
그러나, 상기 문틀조임쇠구조는 분해 및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물의 고정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fastening structure is disadvantageous in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main support is bent from the free load of the fixture when the fixture is fix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큰 고정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긴 클램프를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고정하기 위해 짧은 클램프를 추가 구매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며, 다양한 클램프를 구매함으로써 발생 되는 비용 상승을 줄임과 아울러 공간 부족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다기능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purchasing a long clamp to fix a large fixture because the length thereof is not adjustab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clamp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purchasing a short clamp for fixing in a narrow space and reduces the increase in costs caused by purchasing various clamps and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space shortage.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클램프의 제1, 2 직각블록을 1 개씩 밖에 취부할 수 없어서 하나의 고정물 밖에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다기능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lamp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that only one fixture can be fixed because only the first and second rectangular blocks of the conventional clamp can be mounted one by one.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클램프의 직각블록에 고정 핸들 1개가 고정되어 있어 한 지점만 고정할 수 있으며 위치 조정하려면 클램프 전체를 움직여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다기능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clamp that fixes only one point by fixing one fixed handle to a rectangular block of a conventional clamp and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he entire clamp to adjust the posi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클램프가 고정물을 고정할 때 고정물과 지지대를 평행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고정물이 뒤틀리거나 미끄러져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다기능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lamp which eliminates the problem that the fixture is twisted or slidable when the fixture is not installed parallel to the fixture when the fixture is fixed in parallel.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functional clamp comprising:
첫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메인지지대 끼리 탈부착 가능하고, 메인 지지대 안쪽에 보조지지대가 있어 두 개의 메인지지대를 연결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할 때는 메인지지대 1개로 고정하며, 큰 고정물을 고정할 때는 메인지지대를 여러 개 조립하여 고정한다.First, the main supports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of the main supports can be adjusted. When the main supports are used in a narrow space, they are fixed with one main support. Assemble and fasten several supports.
몇 개의 클램프가 있으면, 다양한 고정물을 고정할 수 있어 구매비용이 절감되고, 보관 공간도 적게 필요하다.With several clamps, various fixtures can be fixed, reducing the cost of purchase, and requiring less storage space.
둘째, 메인지지대에 제 1, 2 직각블록을 여러 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고정물을 하나의 클램프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시 기준이 되는 제 1 직각블록은 노브가 취부되어 잠그고 푸는 작업이 용이하며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다.Second, sinc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rectangular blocks can be fastened to the main support, a plurality of fixtures can be fixed with a single clamp. The first rectangular block, which is a standard for fixing, can be locked and fixed by moving the knob to a desired position.
셋째, 제 2 직각블록에 긴 홀이 있어, 고정하는 핸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핸들을 2개 이상 취부하여 여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물에 밀착시킨 후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텐션 장치가 있다.Third, there is a long hole in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to be fixed can be adjusted, and it is possible to fix several positions by mounting two or more handles. In addition, there is a tension device to prevent slippage after i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ture.
넷째, 메인지지대에 이동용 지지대가 있어 고정물을 이동용보조지지대에 밀은 후 핸들을 돌려 고정하면 제 1, 2 직각블록이 수평으로 마주보며 메인지지대와 고정물이 평행한 상태로 고정된다.Fourth, there is a movable support bar on the main support bar, and when the bar bar is pivoted to the movable auxiliary bar, the first and second rectangular blocks face horizontally and the main bar and the bar are fixed in parallel.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는 작업자가 쉽고 정확하게 하고자 하는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worker can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 a desired work.
특히, 본 발명은 길이가 긴 다기능 클램프 하나만 있으면, 길이가 작은 클램프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간을 적게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clamp having a small length if only one long multifunctional clamp is used, so that the purchas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can be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 개의 고정물을 고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업무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a plurality of fixtures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of a worker.
도 1은 일반적인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요부 분해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a는 도 2의 제2직각블록의 측면도,
도 7b는 도 2의 제2직각블록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a는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도 9a의 다기능 클램프의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고정볼트 대신 미끄럼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다기능 클램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의 다기능 클램프의 요부 분해도이다.1 shows a general clamp,
Figure 2 shows a multifunctional cla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ure 2,
Figures 4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ure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Figure 7a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of Figure 2,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of FIG. 2,
8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ultifunctional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 2,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ure 9a,
Figure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ure 2,
11 schematically shows a non-slip device in place of a fixing bolt,
12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 10,
Figure 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ure 2,
14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al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 2, and FIGS. 4 to 5 are sectional views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100)은, 2 to 5, the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지지대(102)와;A main adjustable
상기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직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정물(도시는 생략함)의 밀착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제1직각블록(104)과;The
상기 제1직각블록(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직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밀착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제2직각블록(106)과;The
상기 제2직각블록(106)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물을 제1직각블록(104)의 내면에 밀착 고정시켜 주는 핸들(108)과;And a handle (not shown)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상기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을 메인지지대(102)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볼트(110)와;A
상기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의 메인지지대(1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이동용보조지지대(112)를 포함한다.A movable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대(102)는 도 6,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6, Fig. 13, and Fig. 14,
내부에 일정길이로 위치되되, 일측에 제1관통공(114)과 상기 제1관통공(1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타측에 제2관통공(116)을 구비하고 있는 연결파이프(118)와;A connecting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일측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연결공(120)을 구비하고 있는 제1외곽파이프(122)와;A first
상기 제1외곽파이프(122)의 일단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일측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연결공(120)을 구비하고 있는 제2외곽파이프(124)와;A second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파이프(118)의 제1관통공(114)을 통해 제1외곽파이프(122)의 연결공(120)에 수용되어 제1외곽파이프(122)를 고정시켜 주는 제1고정핀(126)과;The first
상기 제1고정핀(12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파이프(118)의 제2관통공(116)을 통해 제2외곽파이프(124)의 연결공(120)에 수용되어 제2외곽파이프(122)를 고정시켜 주는 제2고정핀(128)을 포함한다.The
그리고, 상기 제1직각블록(104)은,The first right-
제1직각본체(130)와;A first right angle body (130);
상기 제1직각본체(130)의 내부 상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경사공(132)과;A first
상기 제1경사공(13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직각본체(130)의 내부 중앙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슬롯(134)을 포함한다.And a
그리고, 상기 제2직각블록(106)은 도 3,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3, 7A and 7B, the second
제2직각본체(136)와;A second right angled
상기 제2직각본체(136)의 내부 상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경사공(138)과;A second
상기 제2경사공(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직각본체(136)의 내부 중앙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슬롯(140)과;A
상기 제2경사공(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슬롯(140)과 연통 되게 제2직각본체(136)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너트를 고정시켜 주는 제3슬롯(142)을 포함한다.And a
여기서, 상기 제3슬롯(142)의 폭은 제2슬롯(140)의 폭보다 작다.Here, the width of the
그리고, 상기 핸들(108)은In addition, the handle (108)
상기 제3슬롯(142)에 고정되는 너트(144)와;A nut (144) fixed to the third slot (142);
상기 너트(144)에 나사 결합 되어 전후진하되, 제2슬롯(14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수평볼트(146)와;A
상기 수평볼트(146)의 일측에 나사 결합 되어 상기 수평볼트(146)를 전후진시켜 주는 회전손잡이(148)와;A
상기 회전손잡이(14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볼트(146)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어 전진시 고정물을 제1직각블록(104)의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해 주는 밀착판(150)을 포함한다.And a tighten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100)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use state of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먼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지지대(102)를 위치시킨다.First, the length adjustable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제1직각본체(130)와 제1경사공(132)과 제1슬롯(134)을 포함한 제1직각블록(104)을 설치한다.A first rectangular block (104) including a first rectangular body (130), a first inclined hole (132), and a first slot (13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pedestal (102).
그리고, 고정볼트(1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110)로 제1직각블록(104)을 메인지지대(102)에 고정한다.After the fixing
그리고, 상기 제1직각블록(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제2직각본체(136)와 제2경사공(138)과 제2슬롯(140)과 제3슬롯(142)을 포함한 제2직각블록(106)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슬롯(142)의 폭은 제2슬롯(140)의 폭보다 작다.A second right angled
그리고, 고정볼트(1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110)로 제2직각블록(106)을 메인지지대(102)에 고정한다. After the fixing
그리고, 상기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의 메인지지대(102)에 이동용보조지지대(112)를 설치한다.A movable
여기서, 상기 이동용보조지지대(112)는 메인지지대(10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ovable auxiliary supports 112 may be installed on the
그리고, 너트(144)와 수평볼트(146)와 회전손잡이(148)와 밀착판(150)을 포함한 핸들(108)을 위치시킨다.Then, the
그리고, 상기 너트(144)를 제2슬롯(140)을 통해 제3슬롯(142)에 고정한 후, 상기 너트(144)에 수평볼트(146)를 나사 결합한다.The
그리고, 상기 수평볼트(146)의 일측에 밀착판(150)을 설치한 후, 상기 밀착판(15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볼트(146)의 일측에 회전손잡이(148)를 나사 결합한다.The
한편, 상기 메인지지대(102)의 조립과정을 좀 더 살펴보면,Meanwhil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제1관통공(114)과 제2관통공(116)을 구비하고 있는 연결파이프(118)를 위치시킨다.The connecting
그리고, 스프링을 구비한 제1고정핀(126)을 위치시킨 후, 연결파이프(118)의 내면 일측에 제1고정핀(126)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핀(126)이 제1관통공(114)에 수용된다.After the
그리고, 스프링을 구비한 제2고정핀(128)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고정핀(126)으로부터 연결파이프(118)의 내면 일측에 제2고정핀(128)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핀(128)이 제2관통공(116)에 수용된다.After the
그리고, 일측에 연결공(120)을 구비하고 있는 제1외곽파이프(122)를 위치시킨 후,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일측 외면에 제1외곽파이프(122)를 설치한다. 이때, 제1고정핀(126)이 연결공(120)에 수용된다.After the first
그리고, 일측에 연결공(120)을 구비하고 있는 제2외곽파이프(124)를 위치시킨 후,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타측 외면에 제2외곽파이프(124)를 설치한다. 이때, 제2고정핀(128)이 연결공(120)에 수용된다.The secon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클램프(100)의 조립이 완료되면,When the assembly of the
고정물(200)을 일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물(200)의 크기에 따라 메인지지대(102)의 길이를 조절한다.The
그리고, 제2슬롯(140)을 관통하여 위치된 수평볼트(146)를 상하로 움직인 후, 밀착판(150)의 중심점을 찾는다.Then, the
그리고, 상기 고정물(20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에 위치시킨다.Then, the
이때, 상기 고정물(200)에 의해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제1직각블록(104) 및 제2직각블록(106)이 외측으로 밀려나감과 동시에 상기 메인지지대(102)에 제1직각블록(104) 및 제2직각블록(106)이 수직으로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right-
상기 제1직각블록(104) 및 제2직각블록(106)이 메인지지대(102)에 수직 됨에 따라 고정물(200)의 가반하중이 제1직각블록(104) 및 제2직각블록(106)으로 분산된다.As the first
따라서, 상기 제1직각블록(104) 및 제2직각블록(106)은 메인지지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Thus, the first
그리고, 회전손잡이(148)를 회전한다. 상기 회전손잡이(148)의 회전에 따라 수평볼트(146)과 제1직각블록(104) 측으로 전진한다.Then, the
상기 수평볼트(146)의 전진에 따라 밀착판(150)이 고정물(200)의 일단에 밀착되고, 상기 제1직각블록(104)의 내면이 고정물(200)의 타단에 밀착한다.As the
도 9a는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다기능 클램프의 단면도이다.FIG. 9A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 2, and FIG. 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 9A.
도 9a 내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102)에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을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A to 9A, at least one first
도 10은 도 2의 다기능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of FI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102)에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을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고, 메인지지대(102)에 이동용보조지지대(112)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10, at least one first right-
도 11은 고정볼트 대신 미끄럼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on-slip device in place of a fixing bolt.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 대신 미끄럼방지장치(300)로 메인지지대(102)에 제2직각블록(106)을 고정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도 12는 도 10의 다기능 클램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에 고정물(200)을 위치시킨 후, 밀착판(150)으로 고정물(200)을 제1직각블록(104)의 내면에 밀착한다.10 shows the use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lamp in which the
따라서, 1개의 다기능 클램프(100)로 여러 고정물(200)을 고정할 수 있다.Thus,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merely exemplary of the invention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다기능 클램프
102 : 메인지지대
104 : 제1직각블록
106 : 제2직각블록
108 : 핸들
110 : 고정볼트
112 : 이동용보조지지대100: Multifunction clamp
102: main support
104: first right angle block
106: second right angle block
108: Handle
110: Fixing bolt
112: Auxiliary support for movement
Claims (5)
상기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직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밀착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제1직각블록(104)과;
상기 제1직각블록(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메인지지대(102)의 일측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직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밀착시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제2직각블록(106)과;
상기 제2직각블록(106)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물을 제1직각블록(104)의 내면에 밀착 고정시켜 주는 핸들(108)과;
상기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을 메인지지대(102)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볼트(110)와;
상기 제1직각블록(104)과 제2직각블록(106) 사이의 메인지지대(1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물의 가반하중으로부터 메인지지대(10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이동용보조지지대(112)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지지대(102)는,
내부에 일정길이로 위치되되, 일측에 제1관통공(114)과 상기 제1관통공(1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타측에 제2관통공(116)을 구비하고 있는 연결파이프(118)와;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일측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연결공(120)을 구비하고 있는 제1외곽파이프(122)와;
상기 제1외곽파이프(122)의 일단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일측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연결공(120)을 구비하고 있는 제2외곽파이프(124)와;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파이프(118)의 제1관통공(114)을 통해 제1외곽파이프(122)의 연결공(120)에 수용되어 제1외곽파이프(122)를 고정시켜 주는 제1고정핀(126)과;
상기 제1고정핀(12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파이프(118)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파이프(118)의 제2관통공(116)을 통해 제2외곽파이프(124)의 연결공(120)에 수용되어 제2외곽파이프(122)를 고정시켜 주는 제2고정핀(128)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직각블록(104)은,
제1직각본체(130)와;
상기 제1직각본체(130)의 내부 상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경사공(132)과;
상기 제1경사공(13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직각본체(130)의 내부 중앙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슬롯(134)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직각블록(106)은,
제2직각본체(136)와;
상기 제2직각본체(136)의 내부 상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경사공(138)과;
상기 제2경사공(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직각본체(136)의 내부 중앙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슬롯(140)과;
상기 제2경사공(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슬롯(140)과 연통 되게 제2직각본체(136)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너트를 고정시켜 주는 제3슬롯(14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슬롯(142)의 폭은 제2슬롯(140)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핸들(108)은,
상기 제3슬롯(142)에 고정되는 너트(144)와;
상기 너트(144)에 나사 결합 되어 전후진하되, 제2슬롯(14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수평볼트(146)와;
상기 수평볼트(146)의 일측에 나사 결합 되어 상기 수평볼트(146)를 전후진시켜 주는 회전손잡이(148)와;
상기 회전손잡이(14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볼트(146)의 일측에 설치고정되어 전진시 고정물을 제1직각블록(104)의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해 주는 밀착판(15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램프.A main adjustable main support 102;
A first rectangular block 104 sloped vertically downward to be slidable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102 to prevent the main support 102 from being bent from the load of the fixture when the fixture is closely contacted;
The main support 102 is slidable vertically downward to be slidable left and right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10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so that the main support 102 A second right angle block (106) for preventing bending;
And a handle (not shown)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and fixes a fixtu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and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108);
A fixing bolt 110 for fixing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and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to the main support 102;
A movable auxiliary support 112 which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support 102 between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and the second rectangular block 106 to prevent the main support 102 from being bent from the load of the fixture, ),
The main support 102 includes:
A connecting pipe 118 having a first through hole 114 at one side and a second through hole 116 at the other 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4, ;
A first outer pipe 122 slid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pe 118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120 at one side thereof;
A second outer pipe 124 slidably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118 so as to be able to contact one end of the first outer pipe 122 and having a connecting hole 120 at one side;
The first outer pipe 122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hole 120 of the first outer pipe 122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4 of the connection pipe 118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118, A first fixing pin 126 for fixing the first fixing pin 126;
The first connection pipe 118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1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16 of the connection pipe 118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ixing pin 126, And a second fixing pin (128) accommodated in the first outer pipe (120) and fixing the second outer pipe (122)
The first right-angled block 104,
A first right angle body (130);
A first inclined hole 132 formed obliquely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ight angle body 130;
And a first slot 134 formed to pass through an inner center of the first right angle body 13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inclined hole 132,
The second right angle block 106,
A second right angled body 136;
A second inclined hole 138 formed obliquely through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ight angled body 136;
A second slot 140 formed through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right angle body 136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second inclined hole 138;
And a third slot 142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36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lot 1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econd inclined hole 138 to fix the nut ,
Here, the width of the third slot 142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lot 140,
The handle (108)
A nut (144) fixed to the third slot (142);
A horizontal bolt 146 threadedly engaged with the nut 144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slot 140;
A rotary knob 148 screw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lt 146 to advance and retreat the horizontal bolt 146;
And a tightening plate 150 fix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lt 146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tary knob 148 and closely fixing the fixtu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ctangular block 104 at the time of advancement Multifunction clam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9805A KR101709717B1 (en) | 2016-01-27 | 2016-01-27 | clamp having multi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9805A KR101709717B1 (en) | 2016-01-27 | 2016-01-27 | clamp having multi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9717B1 true KR101709717B1 (en) | 2017-02-23 |
Family
ID=5831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98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9717B1 (en) | 2016-01-27 | 2016-01-27 | clamp having multi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971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31960U (en) * | 1981-08-26 | 1983-03-02 | ミサワホ−ム株式会社 | Decorative board pressing jig |
KR20050025679A (en) * | 2002-07-25 | 2005-03-14 | 니시무라 프레스 코규쇼 가부시키가이샤 | Clamp device |
JP2005262376A (en) * | 2004-03-18 | 2005-09-29 | Yasuo Tsuchida | Gripping tool |
KR20090009257U (en) * | 2008-03-12 | 2009-09-16 | 현대로템 주식회사 | Ratchet wrench |
-
2016
- 2016-01-27 KR KR1020160009805A patent/KR1017097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31960U (en) * | 1981-08-26 | 1983-03-02 | ミサワホ−ム株式会社 | Decorative board pressing jig |
KR20050025679A (en) * | 2002-07-25 | 2005-03-14 | 니시무라 프레스 코규쇼 가부시키가이샤 | Clamp device |
JP2005262376A (en) * | 2004-03-18 | 2005-09-29 | Yasuo Tsuchida | Gripping tool |
KR20090009257U (en) * | 2008-03-12 | 2009-09-16 | 현대로템 주식회사 | Ratchet wren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76129B2 (en) | Rotatable antenna mount | |
US9420716B2 (en) | Electronic module installation tools for electronic racks | |
US20180220797A1 (en) | Slide rail mechanism and bracket device thereof | |
US9476575B2 (en) | Video display module support assembly | |
DK179758B1 (en) | Liftable foot frame for table that is easy to assemble | |
US9895792B2 (en) | Workpiece clamp device capable for changing clamp angle | |
US20020190172A1 (en) | Configurable mount for a peripheral device | |
US20170312910A1 (en) | Hand tool frame | |
US6955344B2 (en) | Tool and connector system for clamping | |
US9974203B1 (en) | Rack system for supporting a computing device | |
KR200439136Y1 (en) | Formwork fastening brace | |
US2717751A (en) | Parapet mount | |
US6419048B1 (en) | Adjustable supports | |
US20060186309A1 (en) | Projector holder | |
KR101709717B1 (en) | clamp having multi function | |
KR20150058803A (en) | Flat fixtures and C-type clamp | |
JPH0123311Y2 (en) | ||
KR20150015727A (en) | Apparatus for prevention falling down ship block | |
KR20170027218A (en) | Bolt | |
CA2928991C (en) | Hand tool frame | |
CN109523929B (en) | Radian lock | |
KR102517181B1 (en) | rack | |
CN205025879U (en) | Panel installation accessory | |
CN206440263U (en) | Antenna attitude test device and its backman join the mounting structure of installation | |
US20190056093A1 (en) | Hands-Free Support Bolt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