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42B1 - door curtain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curtain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7442B1 KR101707442B1 KR1020150169006A KR20150169006A KR101707442B1 KR 101707442 B1 KR101707442 B1 KR 101707442B1 KR 1020150169006 A KR1020150169006 A KR 1020150169006A KR 20150169006 A KR20150169006 A KR 20150169006A KR 101707442 B1 KR101707442 B1 KR 1017074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tain
- roll bar
- door
- reel member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Mechanism for actuation by hand, e.g. cranks or curtain co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3—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side windows, e.g. quarte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내측 공간에 커튼부를 감거나 풀도록 설치된 커튼 릴부재의 하방 처짐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커튼 릴부재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커튼 릴부재를 지속적으로 상향 지지하여 커튼 릴부재로부터 커튼부가 현재 감겨 있는 두께와 무관하게 커튼 릴부재가 현재의 수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튼부의 상하방향 슬라이딩시 노이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curtain reel member which is installed to unwind or unwind a curtain in an inner space of a door trim by downwardly deflecting the curtain reel member, Thereby allowing the curtain reel member to maintain the current horizontal state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curtain portion from which the curtain portion is currently wound from the curtain re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when the curtain portion is vertically slid.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내측 공간에 커튼부를 감거나 풀도록 설치된 커튼 릴부재의 하방 처짐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eventing downward sagging of a curtain reel member installed to wind or unwind a curtain in an inner space of a door trim.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커튼 릴부재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커튼 릴부재를 지속적으로 상향 지지하여 커튼 릴부재로부터 커튼부가 현재 감겨 있는 두께와 무관하게 커튼 릴부재가 현재의 수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는 기술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reel having a curtain reel in which the curtain reel member is supported upward continuously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up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urtain reel member, This is a technique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as it is.
일반적으로 차량의 옵션에 따라 도어 글래스(미도시)가 장착되는 도어트림의 내측에 도어 커튼 장치를 설치하여 도어 글래스를 통한 외부에서의 차실을 향한 시야를 차단하거나 햇빛의 투과율을 낮춘다.Generally, a door curtain device is installed inside a door trim on which a door glass (not shown) is mounted according to an option of a vehicle, thereby blocking the view toward the outsid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glass or reducing the transmittance of sunlight.
이때, 커튼이 도어트림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도어트림의 내측 공간에서는 커튼이 감기거나 풀릴 때 이렇게 감기거나 풀리는 커튼을 가이드하는 커튼바가 설치된다.At this time, when the curtain is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part of the door trim, a curtain bar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trim to guide the curtain to be wound or unwound when the curtain is wound or unwound.
이 커튼바는 커튼 폭만큼 긴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도어트림에 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체적인 무게에 의해 중앙부가 쳐져 커튼의 원활한 롤링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curtain bar is formed in a bar shape as long as the curtain width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door tri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tain is not smoothly rolled because the center portion is struck by its own weight over time.
또한, 커튼바에 커튼이 최대한 감긴 상태에서는 커튼바의 중량이 무거워져 커튼바의 하방 처짐에 대한 내구성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rtain is wound to the curtain bar as much as possible, the weight of the curtain bar becomes heavy, and the durability against the downward deflection of the curtain bar is remarkably deteriorated.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튼바의 하방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required to realize a door curtai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the curtain bar from sagging downward.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부를 감거나 풀도록 도어트림에 설치된 커튼 릴부재의 하방 처짐을 방지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를 제공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curtain device for a vehicle which prevents a curtain reel member installed in a door trim from being sagged downward to wind or unwind a curtain par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트림 내측에 도어 글래스와 별도로 장착되어 상,하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도어 글래스를 통한 시야를 차단하는 도어 커튼 장치로서, 도어트림의 내측에 롤링된 상태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되면서 도어트림을 출몰하는 커튼부; 도어트림의 내측에 설치되며 커튼부의 상하방향 왕복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커튼부의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커튼부의 하부로부터 커튼부를 감거나 풀어 확장시키는 커튼 릴부재; 커튼 릴부재의 하부에 별도로 장착되어 커튼 릴부재의 현재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 보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curtain device which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a door glass inside a door trim of a vehicle and slides upward and downward to block a view through a door glass, A curtain portion which reciprocally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otrude and retract the door trim; A curtain reel memb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trim and cooperating with the reciprocating slide of the curtain portion to wind or extend the curtain por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while rotating in a state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urtain portion is fixed; And horizontal holding reinforcing means separate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to maintain the current horizontal position of the curtain reeling member.
이때, 수평유지 보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커튼 릴부재의 하부에 맞닿은 상태로 커튼 릴부재의 제자리 회전과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holding and reinforcing means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otate in plac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이를 위해, 수평유지 보강수단은, 커튼 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튼 릴부재의 하부에 맞닿은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커튼 릴부재를 지지하며 커튼 릴부재의 제자리 회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는 제 1 롤바; 커튼 릴부재를 기준으로 제 1 롤바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제 1 롤바와 협동하여 커튼 릴부재를 지지하며 커튼 릴부재의 제자리 회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는 제 2 롤바; 제 1 롤바를 관통하여 제 1 롤바의 제자리 회전시 제 1 롤바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 1 회전핀; 제 2 롤바를 관통하여 제 2 롤바의 제자리 회전시 제 2 롤바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 2 회전핀; 플레이트 형태로 제 1 회전핀과 제 2 회전핀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측벽부를 이루어 그 측벽부에 제 1 회전핀과 제 2 회전핀의 각 단부가 걸쳐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브라켓; 지지브라켓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지지브라켓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텐션부; 텐션부가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텐션부의 하부를 지지하고, 지지브라켓의 측벽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브라켓의 측부를 감싸는 하우징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horizontal holding and reinforcing means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to support the curtain reel member, ; A second roll bar that cooperates with the first roll bar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roll bar with respect to the curtain reel member to rotate the original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in place; A first rotary pin passing through the first roll bar and serving as a rotary shaft of the first roll bar when the first roll bar rotates in place; A second rotation p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roll bar and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ll bar when the second roll bar rotates in place; A first rotating pin and a second rotating pin disposed in a plate form and having side ends bent at the opposite ends in the upward direction and having respective end portions of the first rotating pin and the second rotating pin, A support bracket for enabling the bracket; A tension unit disposed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up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And a housing bracket that supports a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portion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tension portion and surrounds a side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of the support brack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지지브라켓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롤바와 제 2 롤바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격벽을 구비한다.The support bracket preferably has a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ly on a corresponding upper surface between the first roll bar and the second roll ba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 보강수단은 커튼 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이때, 텐션부는 하나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이상의 용수철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nsion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one or more leaf springs, or may be constituted by one or more spring springs.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어트림과 별도로 커튼 릴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도어트림에 연결되는 커튼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우징 브라켓은 바람직하게는 커튼 하우징의 개부된 하부에 커튼 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urtain housing coupled to the door trim in a manner to enclose the curtain reel member separately from the door trim, and the housing bracket preferably comprises a curtain housing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housing, And can be integr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어트림과 별도로 커튼 릴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도어트림에 연결되는 커튼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우징 브라켓은 커튼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rtain housing connected to the door trim in a manner to surround the curtain reel member separately from the door trim, and the housing bracket can be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urtain housing.
본 발명은 수평유지 보강수단을 커튼부를 감거나 풀도록 하는 커튼 릴부재의 하면에 맞닿도록 설치하여 커튼 릴부재의 하방 처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orizontal holding and reinforcing means is provided so as to abut the lower surface of a curtain reel member that winds or unwinds the curtain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curtain reel member from sagging downwardly.
또한, 본 발명은 커튼부의 상하방향 슬라이딩시 노이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noise from occurring when the curtain portion is vertically slid.
또한, 본 발명은 커튼 릴부재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직경을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부수적인 장점도 있다.Further, since the diameter of the curtain reel member does not need to be increased in order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curtain reel member, there is an additional advantag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 보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 보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door curtain apparatus for a vehicle,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oor curtai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orizontal holding and reinfor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oor curtai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vehicle door curtain apparatus,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는 차량의 옵션에 따라 도어 글래스(미도시)가 장착되는 도어트림(20)의 내측에 도어 커튼 장치를 설치하여 도어 글래스를 통한 외부에서의 차실을 향한 시야를 차단하거나 햇빛의 투과율을 낮춘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door curtain device for a vehicle generally includes a door curtain device installed inside a
여기서, 커튼 릴부재(12)는 이 커튼 릴부재(12)를 감싸는 형태의 커튼 하우징(13)에 끼워진 상태로 커튼 하우징(13)과 함께 도어트림(20)의 내측에 설치되고, 커튼부(11)는 커튼 릴부재(12)에 감긴 상태에서 도어트림(20)의 상부를 출몰하면서 도어 글래스의 내측을 가린다.The
커튼 릴부재(12)는 커튼부(11)의 폭에 대응하여 긴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커튼 릴부재(12)에 커튼부(11)가 감기면 커튼 릴부재(12)는 자체의 하중보다 큰 하중을 부담하여야 하고, 커튼 릴부재(12)가 바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양단부가 도어트림(20)에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중앙부가 먼저 하방으로 쳐지게 된다.The
그 결과, 커튼 릴부재(12)의 내구성이 떨어짐은 물론 작동이 가능한 상태에서도 중앙부의 처짐으로 인해 제자리 회전시 소음을 유발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떨어뜨리게 된다.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커튼 릴부재(12)의 단면 직경을 크게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앙부가 쳐지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커튼 릴부재(12)의 단면 직경을 크게하는 경우 제조단가가 상승함은 물론 전체적인 도어의 중량을 무겁게 하는 단점도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본 발명은 이처럼 커튼 릴부재에 대한 중앙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ssential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 보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 보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oor curtai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holding reinforc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트림(200) 내측에 도어 글래스(미도시)와 별도로 장착되어 상,하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도어 글래스를 통한 시야를 차단하는 도어 커튼 장치로서, 커튼부(110), 커튼 릴부재(120), 수평유지 보강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curtain apparatus which is mounted separately from a door glass (not shown) inside a
커튼부(110)는 도어트림(200)의 내측에 롤링된 상태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되면서 도어트림(200)을 출몰한다. 이때, 커튼부(110)는 사용자가 상단부를 잡아당겨 도어의 상부에 대응하는 차실의 천장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커튼 릴부재(120) 도어트림(200)의 내측에 공간에 설치되며 커튼부(110)의 상하방향 왕복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커튼부(110)의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커튼부(110)의 하부로부터 커튼부(110)를 감거나 풀어 확장시키도록 구성된다.The
수평유지 보강수단(130)는 커튼 릴부재(120)의 하부에 별도로 장착되어 커튼 릴부재(120)의 현재 수평을 유지시킨다.The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130 is separately moun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수평유지 보강수단(130)은 커튼 릴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와 같이 커튼 릴부재(120)의 중앙부 하면에 배치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r more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130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여기서, 수평유지 보강수단(130)은 커튼 릴부재(120)의 하부에 맞닿은 상태로 커튼 릴부재(120)의 제자리 회전과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holding and
이를 위해, 수평유지 보강수단(130)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롤바(131), 제 2 롤바(132), 제 1 회전핀(133), 제 2 회전핀(134), 지지브라켓(135), 텐션부(136), 하우징 브라켓(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130 preferably includes a
제 1 롤바(131)는 커튼 릴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튼 릴부재(120)의 하부에 맞닿은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커튼 릴부재(120)를 지지한다. 그리고, 제 1 롤바(131)는 커튼 릴부재(120)의 제자리 회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제 2 롤바(132)는 커튼 릴부재(120)를 기준으로 제 1 롤바(131)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제 1 롤바(131)와 협동하여 커튼 릴부재(120)를 지지한다. 그리고, 제 1 툴바(131)와 함께 커튼 릴부재(120)의 제자리 회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제 1 회전핀(133)은 제 1 롤바(131)를 관통하여 제 1 롤바(131)의 제자리 회전시 제 1 롤바(131)의 회전축을 담당하고, 제 2 회전핀(134)은 제 2 롤바(132)를 관통하여 제 2 롤바(132)의 제자리 회전시 제 2 롤바(132)의 회전축을 담당하도록 구성된다.The
지지브라켓(135)은 플레이트 형태로 제 1 회전핀(133)과 제 2 회전핀(134)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양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측벽부를 이루어 그 측벽부에 제 1 회전핀(133)과 제 2 회전핀(134)의 각 단부가 걸쳐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지지브라켓(135)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롤바(131)와 제 2 롤바(132)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격벽(135a)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격벽(135a)은 제 1 롤바(131)와 제 2 롤바(132)를 상호 구획하여 제 1 롤바(131)와 제 2 롤바(132)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자리 회전시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텐션부(136)는 하우징 브라켓(137)을 지지 기반으로 하여 지지브라켓(135)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브라켓(135)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지지브라켓(135)의 상부에 위치한 제 1,2 롤바(131,132)가 탄성력을 가지고 커튼 릴부재(120)을 가압하도록 한다.The
이를 통해, 커튼 릴부재(120)는 자체 하중은 물론 커튼부(110)가 최대한 감긴 상태의 하중에서도 중앙부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고 현재의 수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때, 텐션부(136)는 하나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이상의 용수철로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하우징 브라켓(137)은 텐션부(136)가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텐션부(136)의 하부를 지지하고, 지지브라켓(135)의 측벽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브라켓(135)의 측부를 감싼다.The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도어트림(200)과 별도로 커튼 릴부재(120)를 감싸는 형태로 도어트림(200)에 연결되는 커튼 하우징(140)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하우징 브라켓(137)은 커튼 하우징(140)의 개부된 하부에 커튼 하우징(140)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도어트림(200)과 별도로 커튼 릴부재(120)를 감싸는 형태로 도어트림(200)에 연결되는 커튼 하우징(140)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하우징 브라켓(137)은 커튼 하우징(140)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의 (a)는 커튼 릴부재(120)에 커튼부(110)가 최대한 감긴 상태로서, 커튼부(110)의 감긴 두께에 의해 텐션부(136)가 눌린 상태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oor curtai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is a state in which the
이렇게 눌린 텐션부(136)는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커튼 릴부재(120)의 하부를 지탱하게 되어 커튼 릴부재(12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ensioned
도 6의 (b)는 커튼 릴부재(120)에 감긴 커튼부(110)가 풀린 상태로서, 커튼 릴부재(120)에 감긴 커튼부(110)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텐션부(136)가 상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이다.6 (b) is a state in which the
이렇게 상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의 텐션부(136)도 지속적으로 감긴 커튼부(110)의 두께가 얇아진 커튼 릴부재(120)의 하면을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커튼 릴부재(120)의 하부를 지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커튼 릴부재(12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11 : 커튼부
12 : 커튼 릴부재
13 : 커튼 하우징
20 : 도어트림
110 : 커튼부
120 : 커튼 릴부재
130 : 수평유지 보강수단
131 : 제 1 롤바
132 : 제 2 롤바
133 : 제 1 회전핀
134 : 제 2 회전핀
135 : 지지브라켓
135a : 격벽
136 : 텐션부
137 : 하우징 브라켓
140 : 커튼 하우징
200 : 도어트림11: Curtain portion
12: Curtain reel member
13: Curtain housing
20: Door trim
110: Curtain portion
120: Curtain reel member
130: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131: first roll bar
132: second roll bar
133: first rotation pin
134: second rotating pin
135: support bracket
135a:
136:
137: housing bracket
140: Curtain housing
200: Door trim
Claims (11)
도어트림의 내측에 롤링된 상태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되면서 도어트림을 출몰하는 커튼부(110);
상기 도어트림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튼부의 상하방향 왕복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상기 커튼부의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상기 커튼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커튼부를 감거나 풀어 확장시키는 커튼 릴부재(120);
상기 커튼 릴부재의 하부에 별도로 장착되어 상기 커튼 릴부재의 현재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 보강수단(130);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유지 보강수단은,
상기 커튼 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커튼 릴부재의 하부에 맞닿은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커튼 릴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커튼 릴부재의 제자리 회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는 제 1 롤바(131); 및
상기 커튼 릴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롤바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롤바와 협동하여 상기 커튼 릴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커튼 릴부재의 제자리 회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는 제 2 롤바(132);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A door curtain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a door glass inside a door trim of a vehicle and slides upward and downward to block a view through a door glass,
A curtain portion 110 which reciprocally slide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olled state inside the door trim to protrude and retract the door trim;
A curtain reel member 120 installed inside the door trim and cooperating with the upwardly and downwardly reciprocating slide of the curtain portion to rotate and rotate whil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urtain portion is fixed and to wind or unwind the curtain por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portion;
(130) separate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reel unit to maintain a current horizontal position of the curtain reel unit,
Wherein the horizontal holding /
A first roll bar (131)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tain reel unit to be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reel unit to support the curtain reel unit an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urtain reel unit; And
A second roll bar (132) cooperating with the first roll bar to support the curtain reel member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roll bar with respect to the curtain reel member an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Wherein the door curtain device comprises:
상기 수평유지 보강수단은 상기 커튼 릴부재의 하부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커튼 릴부재의 제자리 회전과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holding and reinforcing means is configured to rotate in place while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curtain reel unit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reel member.
상기 수평유지 보강수단(130)은,
상기 제 1 롤바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롤바의 제자리 회전시 상기 제 1 롤바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 1 회전핀(133);
상기 제 2 롤바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롤바의 제자리 회전시 상기 제 2 롤바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 2 회전핀(134);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제 1 회전핀과 상기 제 2 회전핀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측벽부를 이루어 그 측벽부에 상기 제 1 회전핀과 상기 제 2 회전핀의 각 단부가 걸쳐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브라켓(135);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130)
A first rotation pin (133) passing through the first roll bar and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ll bar when the first roll bar rotates in place;
A second rotation pin (134) passing through the second roll bar and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ll bar when the second roll bar rotates in place;
A first rotating pin and a second rotating pi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pin and the second rotating pin in a plate form and having both side ends bent upwardly, A support bracket (135) for rotating the support bracket in a state of being rotatable;
Wherein the door curtain device further comprises: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 1 롤바와 상기 제 2 롤바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격벽(135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bracket includes a partition wall (135a) protruding upward from a top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oll bar and the second roll bar.
상기 수평유지 보강수단(130)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텐션부(136);
상기 텐션부가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텐션부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측벽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브라켓의 측부를 감싸는 하우징 브라켓(137);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holding and strengthening means (130)
A tension part 136 disposed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and exerting an elastic force up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A housing bracket (137)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portion so as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tension portion and surrounding a side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a side wall of the support bracket;
Wherein the door curtain device further comprises:
상기 도어트림과 별도로 상기 커튼 릴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도어트림에 연결되는 커튼 하우징(1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브라켓은 상기 커튼 하우징의 개부된 하부에 상기 커튼 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curtain housing (140) connected to the door trim in a manner to wrap the curtain reel member separately from the door trim;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housing bracke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curtain housing with the curtain housing.
상기 도어트림과 별도로 상기 커튼 릴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도어트림에 연결되는 커튼 하우징(1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브라켓은 상기 커튼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curtain housing (140) connected to the door trim in a manner to wrap the curtain reel member separately from the door trim;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housing bracket is dispos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urtain housing.
상기 수평유지 보강수단은 상기 커튼 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horizontal holding and reinforcing means is disposed along at least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tain reel unit.
상기 텐션부는 하나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ension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leaf spring.
상기 텐션부는 하나이상의 용수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ension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sp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006A KR101707442B1 (en) | 2015-11-30 | 2015-11-30 | door curtain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006A KR101707442B1 (en) | 2015-11-30 | 2015-11-30 | door curtain device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7442B1 true KR101707442B1 (en) | 2017-02-17 |
Family
ID=5826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90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7442B1 (en) | 2015-11-30 | 2015-11-30 | door curtain devic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744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81284A (en) * | 2019-08-20 | 2019-11-22 |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reparation process of car side window sunshade curtain assembly |
CN112498060A (en) * | 2020-03-06 | 2021-03-16 | 陈勤达 | Elastic buckle fixing devic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1633A (en) | 2002-04-12 | 2003-10-2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Stacking apparatus for lead frame |
KR20050017198A (en) | 2003-08-11 | 2005-02-2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a Bus Lid |
KR20060046010A (en) | 2004-05-11 | 2006-05-17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KR20080105582A (en) | 2007-05-31 | 2008-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ulti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
KR20100102067A (en) | 2009-03-10 | 2010-09-20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KR20130096414A (en) | 2012-02-22 | 2013-08-30 | 강명석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pile |
KR20130007184U (en) | 2012-06-07 | 2013-12-17 | 최판조 | The golf glove against hook and slice |
KR20150019470A (en) * | 2013-08-14 | 2015-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oor Curtain for Vehicle |
-
2015
- 2015-11-30 KR KR1020150169006A patent/KR1017074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1633A (en) | 2002-04-12 | 2003-10-2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Stacking apparatus for lead frame |
KR20050017198A (en) | 2003-08-11 | 2005-02-2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a Bus Lid |
KR20060046010A (en) | 2004-05-11 | 2006-05-17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KR20080105582A (en) | 2007-05-31 | 2008-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ulti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
KR20100102067A (en) | 2009-03-10 | 2010-09-20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KR20130096414A (en) | 2012-02-22 | 2013-08-30 | 강명석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pile |
KR20130007184U (en) | 2012-06-07 | 2013-12-17 | 최판조 | The golf glove against hook and slice |
KR20150019470A (en) * | 2013-08-14 | 2015-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oor Curtain for Vehic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81284A (en) * | 2019-08-20 | 2019-11-22 |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reparation process of car side window sunshade curtain assembly |
CN112498060A (en) * | 2020-03-06 | 2021-03-16 | 陈勤达 | Elastic buckle fix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017335A1 (en) | Roll-up window blind assembly for motor vehicles | |
US8403407B2 (en) | Deflector apparatus for vehicle | |
US9387748B2 (en) | Roll shade apparatus for vehicle | |
US9776489B2 (en) | Vehicle deflector device | |
KR101707442B1 (en) | door curtain device for vehicle | |
EP2505401A2 (en) | Wind deflector for roof openings of automotive vehicles | |
JP6204010B2 (en) | Roof assembly for automobile | |
KR20170049980A (en) | Vertical awning apparatus | |
KR102136219B1 (en) | Hinge assembly for trunk lid of vehicle | |
BE1026695A9 (en) | Roll-up winding system | |
US20120205058A1 (en) | Semi-automatic sunshade device | |
EP0918118B1 (en) | Screen structure | |
US9186959B2 (en) | Sunshade assembly | |
WO2015044970A1 (en) | Element for moving mosquito nets, curtains and the like | |
JP2016205011A (en) | Roll screen | |
JP5713496B2 (en) | Opening / closing device combined with awning device | |
JP5713497B2 (en) | Opening / closing device combined with awning device | |
KR101251276B1 (en) | Apparatus for roller blind of sun roof | |
JP2012072581A (en) | Awning device | |
KR101476736B1 (en) | A electric pole changing the height position of distribution line | |
EP1555384B1 (en) |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covering | |
KR101261615B1 (en) | Device for rotating supporter, rail assembly and roll-driven screen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9001267A (en) | Electric side window roll-up shade | |
KR20110100561A (en) | Car blind device | |
KR101855862B1 (en) | Sun roof comprising fabric-shaft rotating module and fabric-blade moving module in roller bli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