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19B1 -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7119B1 KR101707119B1 KR1020150080299A KR20150080299A KR101707119B1 KR 101707119 B1 KR101707119 B1 KR 101707119B1 KR 1020150080299 A KR1020150080299 A KR 1020150080299A KR 20150080299 A KR20150080299 A KR 20150080299A KR 101707119 B1 KR101707119 B1 KR 1017071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body
- rotating
- rotation
- charging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a 내지 도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무선충전 거치대를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를 설명한다.
도3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4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요소가 포개어 접혀진 상태를 설명한다.
도5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함께 움직이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6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에 이른 상태를 설명한다.
도7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보조회전체를 설명한다.
도8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내 제2회전체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9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2회전체가 최대 회전값에 이른 상태를 설명한다.
도10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2회전체를 설명한다.
도11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2회전체의 역회전 방지를 설명한다.
도12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1회전체를 설명한다.
도13a및 도13b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가 외부로부터 강한 힘 혹은 충격을 받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4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가 외부에서 인가된 힘에 의해 이탈한 후 복구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15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120: 충전본체
180: 제1회전체
140: 제2회전체
310: 보조회전체
Claims (67)
-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충전본체;
충전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
상기 충전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 및
상기 충전본체,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보조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2경로보조부; 및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충전본체에 고정되어 있거나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2회전체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동시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회전장치는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충전본체에 붙어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최대 회전값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90도에서 140도 범위이고,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270도에서 330도 사이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유도부와 제2경로보조부는 링 구조의 내면과 외면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링 구조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링구조의 내면에 맞물려 상기 제1경로유도부를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충전본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끝에 곡면을 포함하는 막대형태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보다 더 크게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회전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로유도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제1경로유도부가 안내하는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측면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힌지부와 맞물리는 제1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제2홀;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정하기 위해 상기 제2홀 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보다 상기 제2홀의 지름이 더 큰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2홀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에 대응하는 걸림새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새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새는 상기 홈에 위치하기 전에 상기 제2회전체에 맞닿아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리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2홀에 의한 회전 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제2회전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경고부는 상기 제2차단부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기 충전본체를 상기 힌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변형방지부와 상기 충전본체를 상기 제2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변형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1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1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2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2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충전대상에 전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 및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하부 구조물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의 반대면에 상기 충전대상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2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막대형상의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포함하고, 서로 맞닿는 상기 홀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외곽면의 일부가 상기 방향으로 기울어진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 휴대용 물건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상기 휴대용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
상기 받침판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 및
상기 받침판,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보조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2경로보조부; 및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어 있거나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2회전체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동시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회전장치는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받침판에 붙어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90도에서 140도 범위이고,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270도에서 33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최대 회전값을 가지는 휴대용 거치대. - 삭제
-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유도부와 제2경로보조부는 링 구조의 내면과 외면인 휴대용 거치대.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링 구조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링구조의 내면에 맞물려 상기 제1경로유도부를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받침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끝에 곡면을 포함하는 막대형태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보다 더 크게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회전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로유도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제1경로유도부가 안내하는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측면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힌지부와 맞물리는 제1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제2홀;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정하기 위해 상기 제2홀 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보다 상기 제2홀의 지름이 더 큰 휴대용 거치대.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2홀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에 대응하는 걸림새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새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새는 상기 홈에 위치하기 전에 상기 제2회전체에 맞닿아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리는 휴대용 거치대.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2홀에 의한 회전 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제2회전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경고부는 상기 제2차단부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은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기 받침판을 상기 힌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변형방지부와 상기 받침판을 상기 제2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변형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1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1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2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2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하부 구조물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의 반대면에 상기 휴대용 물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2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막대형상의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포함하고, 서로 맞닿는 상기 홀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외곽면의 일부가 상기 방향으로 기울어진 휴대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299A KR101707119B1 (ko) | 2015-06-08 | 2015-06-08 |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
US15/151,243 US10236717B2 (en) | 2015-06-08 | 2016-05-10 | Portable wireless charger and cradle |
CN201610403038.2A CN106253364B (zh) | 2015-06-08 | 2016-06-08 | 便携式无线充电器和支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299A KR101707119B1 (ko) | 2015-06-08 | 2015-06-08 |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4043A KR20160144043A (ko) | 2016-12-16 |
KR101707119B1 true KR101707119B1 (ko) | 2017-02-27 |
Family
ID=5745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02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7119B1 (ko) | 2015-06-08 | 2015-06-08 |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236717B2 (ko) |
KR (1) | KR101707119B1 (ko) |
CN (1) | CN106253364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8449A (ko) * | 2019-09-04 | 2021-03-12 | 조준래 |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
KR20210093717A (ko) | 2020-01-20 | 2021-07-28 | 안영철 |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365742A1 (en) * | 2015-06-12 | 2016-12-15 | Fiber Fix Usa, Llc | Portable back-up battery pack |
USD803779S1 (en) * | 2015-08-05 | 2017-11-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Battery |
KR102661490B1 (ko) * | 2016-12-23 | 2024-04-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충전 장치 |
US10389180B2 (en) * | 2017-09-12 | 2019-08-2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Inductive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
CN107968489A (zh) * | 2017-12-29 | 2018-04-27 | 中山市飞特五金制品有限公司 | 一种形变展纳无线充电装置 |
CN207530626U (zh) * | 2018-02-06 | 2018-06-22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无线充电器 |
CN108258774A (zh) * | 2018-03-15 | 2018-07-06 | 卢华装 | 一种带支架结构的无线充电器 |
CN108418286B (zh) * | 2018-05-14 | 2024-11-15 | 深圳市新维度产品设计策划有限公司 | 立式无线充电装置 |
WO2020013405A1 (ko) * | 2018-07-13 | 2020-01-16 | (주)엑스퍼넷 | 스마트 식기 및 이의 충전 장치 |
KR102127187B1 (ko) * | 2019-02-15 | 2020-06-26 |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 다목적 사용기능을 갖는 휴대용 점프스타터 |
CN111049236B (zh) * | 2020-01-13 | 2025-07-25 | 傲基(深圳)跨境商务股份有限公司 | 一种可折叠无线充电器 |
CN117450362A (zh) * | 2022-07-18 | 2024-01-26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功能组件及具有该功能组件的显示装置 |
USD1049027S1 (en) * | 2022-11-09 | 2024-10-29 | Shenzhen south China yingcai technology co. LTD | Wireless charg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288Y1 (ko) | 2010-04-13 | 2011-02-16 | 주식회사 필리 | 핸드폰 거치대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6220B1 (ko) * | 2001-01-05 | 2006-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접점 배터리 충전기 |
KR100663503B1 (ko) | 2003-12-29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 |
US8169185B2 (en) * | 2006-01-31 | 2012-05-01 | Mojo Mobility, Inc. |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
KR100754586B1 (ko) | 2006-02-21 | 2007-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접이 거치대 |
US8294418B2 (en) * | 2010-02-03 | 2012-10-23 | ConvenientPower, Ltd. |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
KR20110103295A (ko) * | 2010-03-12 | 2011-09-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
KR200467441Y1 (ko) | 2011-07-06 | 2013-06-14 | 성부현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KR20130008317A (ko) * | 2011-07-12 | 2013-01-22 | 원혜숙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화장품 케이스 |
KR101332224B1 (ko) * | 2011-12-28 | 2013-11-25 | 주식회사 스파콘 | 무선 전력전송장치 |
KR20130118413A (ko) * | 2012-04-20 | 2013-10-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
US9325187B2 (en) * | 2012-05-21 | 2016-04-26 | Lg Electronics Inc. | Structur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 wireless charging system |
CN203466598U (zh) | 2013-09-05 | 2014-03-05 | 湖北联云电子科技有限公司 | 无线充电器 |
KR101443007B1 (ko) | 2014-01-15 | 2014-09-23 | (주)디아이디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
CN203788012U (zh) | 2014-03-18 | 2014-08-20 | 深圳市科帝电子有限公司 | 充电中心可调的无线充电装置 |
CN204145016U (zh) | 2014-10-16 | 2015-02-04 | 凯晖皮草科技(南通)有限公司 | 一种便携式无线充电折叠支架 |
-
2015
- 2015-06-08 KR KR1020150080299A patent/KR10170711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5-10 US US15/151,243 patent/US10236717B2/en active Active
- 2016-06-08 CN CN201610403038.2A patent/CN10625336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288Y1 (ko) | 2010-04-13 | 2011-02-16 | 주식회사 필리 | 핸드폰 거치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8449A (ko) * | 2019-09-04 | 2021-03-12 | 조준래 |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
KR102253037B1 (ko) | 2019-09-04 | 2021-05-18 | 조준래 |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
KR20210093717A (ko) | 2020-01-20 | 2021-07-28 | 안영철 |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359356A1 (en) | 2016-12-08 |
KR20160144043A (ko) | 2016-12-16 |
US10236717B2 (en) | 2019-03-19 |
CN106253364B (zh) | 2019-03-15 |
CN106253364A (zh) | 2016-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7119B1 (ko) |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 |
EP2953002B1 (en) | Extendable wireless power delivery for small devices | |
US9948134B2 (en) | Battery pack for wirelessly charging two or more devices | |
US20210203764A1 (en) | Mobile terminal and drop protection method thereof | |
CN207852016U (zh) | 低剖面商品安全系统 | |
EP3100638B1 (en) | Protective case | |
TWI433424B (zh) | 具有導引定位機構之無線充電器 | |
KR20220000871U (ko) | 모바일기기용 그립톡 | |
JP2009500233A (ja) | 荷物用電子装置 | |
KR102119928B1 (ko) |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 |
US20160091926A1 (en) | Docking apparatus and system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 |
KR20170059456A (ko) | 유도성 주변기기 보유 디바이스 | |
US20080002340A1 (en) | Input device charging system | |
HK1221299A1 (zh) | 用於便攜電子裝置的防盜裝置 | |
EP3716590A1 (en) | Portable device holder | |
EP3395051A2 (en) | Flexible structures | |
US20170012457A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101280887B1 (ko) | 케이블 거치대 | |
US1063726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charging module | |
WO2014097105A2 (en) | A device for holding an electronic apparatus | |
US20230026280A1 (en) | Device charging system | |
KR20160072437A (ko) | 이동 단말기 거치대 | |
CN213043724U (zh) | 防摔保护壳 | |
KR101827859B1 (ko) | 이송 및 패킹이 용이한 캐리어 | |
KR200484442Y1 (ko) |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