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5808B1 - 서랍용 롤러 유닛 - Google Patents

서랍용 롤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808B1
KR101705808B1 KR1020160002244A KR20160002244A KR101705808B1 KR 101705808 B1 KR101705808 B1 KR 101705808B1 KR 1020160002244 A KR1020160002244 A KR 1020160002244A KR 20160002244 A KR20160002244 A KR 20160002244A KR 101705808 B1 KR101705808 B1 KR 10170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pport shaft
guide groove
rotary suppor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US15/311,74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43305B2/en
Priority to CN201680001803.6A priority patent/CN107105897B/zh
Priority to EP16808894.6A priority patent/EP3175737B1/en
Priority to PCT/KR2016/006134 priority patent/WO201703413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43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28Construction of wheels; methods of assembling on ax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조립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부품의 수량을 감소하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부품의 정상적인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서랍용 롤러 유닛을 개시한다.
전술한 서랍용 롤러 유닛은 수납체에 고정되는 회전 지지축(100), 상기 회전 지지축(10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 롤러(200), 및 상기 회전 지지축(10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외주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160),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60)과 결합되는 돌기부(260), 및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형성되는 조립 안내홈(18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서랍용 롤러 유닛{ROLLER UNIT FOR DRAWER}
본 발명은 서랍용 롤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조립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부품의 수량을 감소하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부품의 정상적인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서랍용 롤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유닛(Roller Unit)은 원통형의 바퀴가 체결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발생하는 미끄럼마찰(Sliding Friction)을 구름마찰로 바꾸어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수납체가 구비된 가구 또는 냉장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수납체의 개폐 과정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롤러 유닛은, 등록특허 제10-0822749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퀴(회전체), 지지축 및 지지축의 장착부에 결합되어 바퀴와의 결합을 구속하는 구속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등록특허 제10-0822749호에 게재된 롤러 유닛은, 바퀴와 지지축 결합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구속부재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해, 제품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롤러 유닛은 바퀴와 지지축과의 결합을 위해 소성 변형된 부분이 부식되어 바퀴와 지지축이 이탈되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274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조립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조립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줄이고 이를 통해 부품의 조립성과 생산성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결합구조 중에서 조립을 안내하는 구조를 부가하여 조립성을 더욱 개선하고 조립후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품의 내구 수명을 연장하고 이를 통해 상품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납체에 고정되는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회전 지지축과 상기 아이들 롤러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결합후 원치않는 이탈을 제한하는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아이들 롤러의 체결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걸림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걸림홈과의 연속적인 접촉을 위해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아이들 롤러의 체결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을 향해 형성되는 조립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단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조립 안내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돌기부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1차 안내홈, 및 상기 1차 안내홈과 연속되고 상기 1차 안내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돌기부의 진입을 유도하고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2차 안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1차 안내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2차 안내홈은 상기 1차 안내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2차 안내홈은 상기 1차 안내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차 안내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2차 안내홈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걸림홈은 상기 조립 안내홈 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걸림홈의 깊이 보다 낮고 상기 조립 안내홈의 깊이 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조립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조립에 소요되는 부품을 회전 지지축과 아이들 롤러만으로 한정함으로써 기존 구성 대비 부품의 수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립성과 생산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구조 변경에 있어 조립을 안내하는 별도의 구조를 부가함으로써 회전 지지축에 대한 아이들 롤러의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조립후 회전 지지축의 걸림홈으로부터 아이들 롤러의 돌기부에 대한 이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내구 수명을 연장하고 이를 통해 부품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과 아이들 롤러의 내주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과 아이들 롤러의 내주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구체적으로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일반 가구 등의 서랍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관련 구성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련 구성이 서로 간에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수납체(미도시)에 고정되는 회전 지지축(100), 상기 회전 지지축(100)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 롤러(200), 및 상기 회전 지지축(10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을 보다 단순하게 구현하는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축(100)은 수납체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어 본체에 대해 수납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수납체의 양측 부위에 각각 다수의 개소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축(100)은 일정 이상의 지지 강성을 구현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지지축(100)은 직경이 서로 다른 단차진 형태의 중실형 몸체로서 대경부(120)와 소경부(140)를 일체로 갖추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대경부(120)는 상기 아이들 롤러(200)를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위로서, 일측에 수공구(예컨대, 일자 또는 십자형태의 드라이버)에 의한 체결 작업을 위해 삽입홈(122)을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소경부(140)는 수납체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나사부(142)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200)는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와의 결합을 위해 중심부위에 소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체결홀(220)을 형성하고, 가이드레일(미도시)와의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의 전 둘레를 따라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24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아이들 롤러(200)는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하중의 감소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일예로 ABS, POM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에 대한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결합을 원터치 푸시 조작에 의한 강제 끼움방식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조립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결합후 원치않는 이탈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160), 및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60)과 결합되도록 외부를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돌기부(260)를 구비한다. 이와 반대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걸림홈(160)이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홈(160)이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가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걸림홈(160)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는 상기 걸림홈(160)과의 연속적인 접촉을 위해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은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과 적정의 공차를 두고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는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자유로운 공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체결홀(220)의 내주면의 직경 대비 다소의 여유공간을 설정하는 크기의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6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260) 사이의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회전 지지축(10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 사이의 조립이 보다 신속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즉, 조립시 상기 돌기부(260)는 상기 대경부(120)를 접촉하는 과정에서 소재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수축되었다가 상기 걸림홈(160)의 내부에서 복원됨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에 대한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자유로운 공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160)과 상기 돌기부(260) 사이의 상호 걸림상태의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축(10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 사이의 원치않는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림홈(160)과 상기 돌기부(260) 사이의 결합이 원터치 푸시 조작에 의한 강제 끼움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기존 대비 적은 수량의 부품만으로도 목적하고자 하는 기능을 전부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의 절감과 함께 조립성 및 생산성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과 아이들 롤러의 내주면의 구조를 각각 펼쳐 이해하기 쉬운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회전 지지축(100)과 아이들 롤러(200)를 구비하고, 다만 결합 구조물의 구성을 달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결합 구조물의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160),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60)과 결합되도록 외부를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돌기부(260), 및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형성되는 조립 안내홈(18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걸림홈(160)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는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단편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 안내홈(180)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 전 둘레에 걸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도 마찬가지로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상기 조립 안내홈(180)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조립 안내홈(180)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60)을 향해 굴곡형 또는 절곡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절곡형의 상기 조립 안내홈(180)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1차 안내홈(182), 및 상기 1차 안내홈(182)의 종단부와 연속되어 상기 1차 안내홈(182)으로부터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의 진입을 유도하고 상기 걸림홈(160)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60)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2차 안내홈(184)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1차 안내홈(182)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1차 안내홈(182)은 상기 대경부(12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경사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2차 안내홈(184)은 상기 1차 안내홈(182)으로부터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1차 안내홈(182)과 상기 2차 안내홈(18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돌기부(260)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60)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60)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 안내홈(180)의 2차 안내홈(184)에 있어 상기 돌기부(260)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160)은 상기 조립 안내홈(180) 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는 상기 걸림홈(160)의 깊이 보다 낮고 상기 조립 안내홈(180)의 깊이 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6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260) 사이의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회전 지지축(10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 사이의 조립이 보다 신속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특히,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가 상기 조립 안내홈(180)을 경유하여 상기 걸림홈(16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1차 안내홈(182)과 상기 2차 안내홈(184)은 상기 돌기부(260)의 진입을 원활하게 안내하여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기능 외에도 조립후 원치않는 이탈을 제한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걸림홈(160)의 깊이가 상기 조립 안내홈(180) 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의 높이가 상기 걸림홈(160)의 깊이 보다 낮고 상기 조립 안내홈(180)의 깊이 보다 더 높게 돌출됨에 따라 가능한 것이고, 특히 상기 조립 안내홈(180)을 구성하는 1차 안내홈(182)과 2차 안내홈(18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돌기부(260)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설정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160)과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과 아이들 롤러의 내주면의 구조를 각각 펼쳐 이해하기 쉬운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도 5와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회전 지지축(100)과 아이들 롤러(200) 및 결합 구조물을 구비하고, 다만 결합 구조물에 있어 조립 안내홈(180)의 구성을 달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조립 안내홈(180)의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립 안내홈(180)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1차 안내홈(182), 및 상기 1차 안내홈(182)의 종단부와 연속되어 상기 1차 안내홈(182)으로부터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의 진입을 유도하고 상기 걸림홈(160)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60)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2차 안내홈(184')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1차 안내홈(182)은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1차 안내홈(182)은 상기 대경부(120)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경사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2차 안내홈(184')은 상기 1차 안내홈(182)으로부터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차 안내홈(18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1차 안내홈(182)과 상기 2차 안내홈(18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돌기부(260)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60)으로부터 상기 돌기부(260)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 안내홈(180)의 2차 안내홈(184')에 있어 상기 돌기부(260)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160)은 상기 조립 안내홈(180) 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는 상기 걸림홈(160)의 깊이 보다 낮고 상기 조립 안내홈(180)의 깊이 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랍용 롤러 유닛은 제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회전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6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의 체결홀(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260) 사이의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회전 지지축(100)과 상기 아이들 롤러(200) 사이의 조립이 보다 신속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가 상기 조립 안내홈(180)을 경유하여 상기 걸림홈(16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1차 안내홈(182)과 상기 2차 안내홈(184')은 상기 돌기부(260)의 진입을 원활하게 안내하여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기능 외에도 조립후 원치않는 이탈을 제한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걸림홈(160)의 깊이가 상기 조립 안내홈(180) 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60)의 높이가 상기 걸림홈(160)의 깊이 보다 낮고 상기 조립 안내홈(180)의 깊이 보다 더 높게 돌출됨에 따라 가능한 것이고, 특히 상기 조립 안내홈(180)을 구성하는 1차 안내홈(182)과 2차 안내홈(18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돌기부(260)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설정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160)과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달리 상기 2차 안내홈(184')이 상기 1차 안내홈(182)으로부터 상기 걸림홈(160)을 향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조립후 상기 걸림홈(160)과 상기 단편 형태의 돌기부(260) 사이의 원치않는 분리는 더욱 적극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회전지지축 120-대경부
122-삽입홈 140-소경부
142-나사부 160-걸림홈
180-조립 안내홈 182-1차안내홈
184,184'-2차안내홈 200-아이들롤러
220-체결홀 240-안착홈
260-돌기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납체에 고정되는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회전 지지축과 상기 아이들 롤러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아이들 롤러의 체결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결합되는 돌기부; 및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을 향해 형성되는 조립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단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롤러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립 안내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돌기부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1차 안내홈; 및
    상기 1차 안내홈과 연속되고 상기 1차 안내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돌기부의 진입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2차 안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롤러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1차 안내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 일단부에서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롤러 유닛.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차 안내홈은 상기 1차 안내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롤러 유닛.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차 안내홈은 상기 1차 안내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상기 회전 지지축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차 안내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롤러 유닛.
  9. 청구항 5,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안내홈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내측면의 폭이 상기 걸림홈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롤러 유닛.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조립 안내홈 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걸림홈의 깊이 보다 낮고 상기 조립 안내홈의 깊이 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롤러 유닛.
KR1020160002244A 2015-08-24 2016-01-07 서랍용 롤러 유닛 Active KR10170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11,740 US10143305B2 (en) 2015-08-24 2016-06-09 Roller unit for drawer
CN201680001803.6A CN107105897B (zh) 2015-08-24 2016-06-09 用于抽屉的辊单元
EP16808894.6A EP3175737B1 (en) 2015-08-24 2016-06-09 Drawer roller unit
PCT/KR2016/006134 WO2017034133A1 (ko) 2015-08-24 2016-06-09 서랍용 롤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72 2015-08-24
KR20150118672 2015-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808B1 true KR101705808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244A Active KR101705808B1 (ko) 2015-08-24 2016-01-07 서랍용 롤러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43305B2 (ko)
EP (1) EP3175737B1 (ko)
KR (1) KR101705808B1 (ko)
CN (1) CN1071058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70B1 (ko) 2022-08-11 2023-09-21 김두식 하중 지지용 롤러 유닛과 롤러 성형용 금형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7787U1 (de) * 2018-01-12 2023-02-15 Blum Gmbh Julius Schubladenausziehführung mit wenigstens einer Führungsschiene
CN112146341B (zh) * 2019-06-27 2024-03-0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抽屉组件和家用器具
CN111895716A (zh) * 2020-07-17 2020-11-06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冰箱及滚轮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94U (ja) * 1992-10-29 1994-05-24 株式会社山科精工所 ガイドローラ付きネジ
KR20060101363A (ko) * 2006-08-23 2006-09-22 (주)삼본정공 조립성이 개선된 롤러
KR100822749B1 (ko) 2006-09-04 2008-04-17 (주)삼본정공 정숙성이 개선된 롤러
KR200452543Y1 (ko) * 2008-08-20 2011-03-07 박용운 수납 장치용 롤러 어셈블리
KR101391249B1 (ko) * 2014-01-29 2014-05-02 박윤식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6726A (en) * 1954-10-25 1957-03-26 Kwikset Locks Inc Sintered powdered metal rotary bearing
US3361489A (en) * 1966-03-14 1968-01-02 Gen Motors Corp Guide roller assembly
FR2177283A7 (ko) * 1972-03-18 1973-11-02 Zanussi A Spa Industrie
DE4212415A1 (de) * 1992-03-12 1993-11-04 Rixen & Kaul Gmbh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von zubehoer an einem zweirad
JPH0638964A (ja) * 1992-07-23 1994-02-15 Toshitsugu Tanizawa 超音波診断方法とその装置
AT6364U1 (de) * 2002-08-29 2003-09-25 Blum Gmbh Julius Ausziehführungsgarnitur für schubladen
AT500212B1 (de) * 2003-03-21 2006-12-15 Blum Gmbh Julius Schublade
KR101475490B1 (ko) * 2007-10-05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AT508140B1 (de) * 2009-10-29 2010-11-15 Blum Gmbh Julius Ein- oder auszugs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es
AU2013266104A1 (en) * 2012-05-25 2014-12-11 Lockdowel Inc. Drawer slide
CN202820194U (zh) * 2012-08-20 2013-03-27 夏暮辉 麻将桌双向驱动的隐藏式桌盖
KR101917415B1 (ko) 2012-11-30 2018-11-09 구로다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축 단말용 어댑터 및 볼 나사 조립체
NZ618908A (en) * 2012-12-19 2014-05-30 Anthony Innovations Pty Ltd Cavity door roll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94U (ja) * 1992-10-29 1994-05-24 株式会社山科精工所 ガイドローラ付きネジ
KR20060101363A (ko) * 2006-08-23 2006-09-22 (주)삼본정공 조립성이 개선된 롤러
KR100822749B1 (ko) 2006-09-04 2008-04-17 (주)삼본정공 정숙성이 개선된 롤러
KR200452543Y1 (ko) * 2008-08-20 2011-03-07 박용운 수납 장치용 롤러 어셈블리
KR101391249B1 (ko) * 2014-01-29 2014-05-02 박윤식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70B1 (ko) 2022-08-11 2023-09-21 김두식 하중 지지용 롤러 유닛과 롤러 성형용 금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5737A1 (en) 2017-06-07
US10143305B2 (en) 2018-12-04
EP3175737A4 (en) 2018-01-24
CN107105897B (zh) 2019-09-06
EP3175737B1 (en) 2019-03-06
US20180177296A1 (en) 2018-06-28
CN107105897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808B1 (ko) 서랍용 롤러 유닛
US6470627B2 (en) Guiding structure for moving member
US10240625B2 (en) Assembly unit
CN106122399B (zh) 用于张紧轮或惰轮的滑轮装置
US9856685B1 (en) Garage door hinge with noise reduction insert
KR100822749B1 (ko) 정숙성이 개선된 롤러
JP2006138340A (ja) ころ軸受用保持器
WO2014157236A1 (ja) 一方向クラッチ装置
WO2017010207A1 (ja) 駒式ボールねじの駒の固定構造
KR101391249B1 (ko)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JP5324164B2 (ja) 逆入力防止クラッチ
KR101722581B1 (ko) 냉장고 수납장치용 롤러어셈블리
US8471161B2 (en) Rolling-ball switch
US5026175A (en) Shaft supporting structure
TWI390124B (zh) 具整合型保持器之線性滑軌
US10165857B2 (en) Roller unit having integrated fastening portion
KR101557103B1 (ko)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JPH11230336A (ja) 係止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玉保持体
JP2019210997A (ja) ボールねじ
JP4080433B2 (ja) 管継手
JP6349762B2 (ja) 軸受装置及び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2008115979A (ja) ころ軸受及びころ軸受のずれ止め構造
JP5165470B2 (ja) 円すいころ軸受
JP2008232285A (ja) 転がり軸受の密封装置
JP2007064436A (ja) 円錐ころ軸受および円錐ころ軸受の組み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