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5604B1 -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604B1
KR101705604B1 KR1020160060163A KR20160060163A KR101705604B1 KR 101705604 B1 KR101705604 B1 KR 101705604B1 KR 1020160060163 A KR1020160060163 A KR 1020160060163A KR 20160060163 A KR20160060163 A KR 20160060163A KR 101705604 B1 KR101705604 B1 KR 10170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ster batch
masterbatch
sodium hydrogencarbonat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란
정수연
이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6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29C47/0021
    • B29C47/66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용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필름 또는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하는 탈취용 마스터배치 조성물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필름이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Deodorizing functional masterbatch and its film an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 배치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 등 식품의 이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고, 그러한 마스터 배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 및 그 용기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발효 및 숙성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이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며 이에 따라 냄새를 유발하는 각종 휘발성 물질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김치의 주요 휘발성 물질로는 methyl allyl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disude, methyl allyl trisulde, methyl 2 - propenyldisulde, di - propenyldisulde 등의 황함유 성분과 ethanol, acetic acid, allyl mercaptan, 2,4 - diisocyanato - 1 - methylbenzene, 2 - phenylethyl isothiocyanate, 1,2 - benzenedicarboxlyic acid (Ha 2002)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휘발성 물질들로 인하여 과숙한 김치는 신맛이 강할 뿐만 아니라 휘발성 물질의 현저한 증가로 인하여 냄새도 강하여, 평소 김치를 좋아하던 외국인들도 꺼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김치를 담아두는 비닐 용기나 플라스틱 용기는 상기와 같은 각종 이취 성분이 스며들어 세척이 곤란하고, 용기를 세척한 후에도 냄새가 여전히 남아있어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이상에서와 같은 이취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마스킹제(Masking Material)나 결합제(Binding Material)를 사용하여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중 마스킹제에 의한 저감화는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보다도 향이 강한 물질을 첨가하여 기존의 이취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마스킹제로서는 로즈마리, 라벤더, 페퍼민트 등의 허브류, 마늘, 파, 양파 등의 양념류, 솔잎, 인산 등의 기타 식재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취유발물질과 결합함으로써 이취를 감소시키는 결합제 사용 방법은 강한 향을 이용하여 이취를 감소시키는 마스킹제와는 달리 냄새가 나지 않은 물질과 반응시켜 이취의 휘발성을 떨어뜨려 이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결합제의 일예로는 활성탄이나 숯을 이용하여 이취물질을 흡착시키는 경우, 카라기난과 같은 검류를 통하여 이취물질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마스킹제나 결합제는 인체에 대한 안정성 확보, 맛, 향 등과 관련된 관능적인 면이나 식품 자체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에 첨가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기존의 식품포장(food packaging)은 외부의 유해 인자들로부터 식품을 보호하고, 식품을 담는 역할을 하며 소비자에게 영양성분 및 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고하는 역할만을 해왔다. 그러나 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습도조절, 발생가스조절, 항균 및 탈취 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27038호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불석, 탄산나트륨(Na2CO3) 및 생균으로 이루어진 냄새제거 물질을 준비하고, 준비된 냄새제거 물질과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냄새제거물질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나 탄산수소나트륨, 불석 등을 식품에는 첨가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어, 이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식품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탈취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7038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취유발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는 탈취용 마스터배치(masterbatch)조성물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탈취용 마스터배치(masterbatch)조성물을 사용하여 탈취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탈취용 마스터배치(masterbatch) 조성물을 사용하여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터 배치 조성물은 탄산수소나트륨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은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마스터배치 조성물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배치를 압출 성형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배치는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 성형단계에서는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로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는 95℃ 내지 200℃로 운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탈취용 필름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0.2 중량% 내지 2중량%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제조방법은 마스터배치 조성물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배치를 성형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는 김치보관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용 마스터 배치는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어, 김치 등 식품에서 발생하는 이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용 마스터배치는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어, 이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름이나 용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본 발명의 마스터배치로 제조한 용기는 수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이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이취물질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이나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압출 성형시 탈취용 물질이 함유된 조성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탈취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어 제조비용이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탄산수소나트륨의 열분해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마스터배치의 배합비에 따른 필름의 투명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마스터배치의 배합비에 따른 필름의 화학적 구조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방법은 탈취용 필름 조성물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와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탈취용 필름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탈취용 필름 조성물은 탄산수소나트륨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킹 소다로 알려진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약알칼리성 천연물질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탈취제 중 하나이며, 냄새 분자를 중화시켜 휘발성 물질이나 중독성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아래와 같은 반응을 통하여 김치의 숙성과정중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유기산 성분인 아세트산(acetic acid)과 반응함으로써, 아세트산나트륨,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면서 김치의 신맛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식 1) NaHCO3 + CH3COOH → CH3COONa + H2O + CO2
특히, 탄산수소나트륨을 9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80℃로 열처리할 경우에는 아세트산과 더 많이 반응할 수 있어 탈취효과가 더욱 효과적이다.
즉, 아래 반응식 2에서와 같이, 탄산수소나트륨은 열분해에 의하여 탄산나트륨,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고, 생성된 1몰의 탄산나트륨은 반응식 3과 같이 2몰의 아세트산과 반응하게 된다.
반응식 2) 2NaHCO3 → Na2CO3 + H2O + CO2
반응식 3) Na2CO3 + 2CH3COOH → 2CH3COONa + H2O + CO2
한편, 가공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본발명의 탈취용 필름 조성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은 열에 강하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주방용품 및 각종 용기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또한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어도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탈취제인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흩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혼합하여 작은 구형태나 칩형태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를 제조한다.
여기서, 마스터배치는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수소나트륨이 전혀 포함되지 않으면 제조된 필름에 탈취 기능이 없고,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된 필름의 인장강도나 연신율 등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스터 배치의 제조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는 준비한 마스터 배치와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을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에는 마스터배치 0 초과 1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9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배치의 함량이 0중량%인 경우에는 제조된 필름의 탈취 기능이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필름의 인장강도나 연신율 등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마스터배치의 함량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는 압출 성형시에 부가적으로 혼입될 수 있는 안정제, 분산제 및 활제 등 각종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압출 성형단계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하여 압출 성형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로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로 압출 성형하는 경우 95℃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80℃로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산수소나트륨이 아세트산과 더욱 많이 반응하기 위해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의 열분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의 운전온도가 95℃ 미만인 경우에는 탄산수소나트륨의 열분해가 곤란하고,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전력비가 낭비되기 때문에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는 상기 온도 범위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준비한 마스터배치와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하는 경우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마스터배치의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마스터배치만으로 압출 성형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고농도의 마스터배치를 제조한 후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를 혼합하는 것이 배합비 조절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탈취용 필름은 이취가 발생하는 음식을 수용하는 각종 포장용기로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김치보관용 포장용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기계적 강도나 투명성 등을 고려하여 6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0.2 중량% 내지 2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수소나트륨의 함유량이 0.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탈취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탈취효과는 향상되지만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필름이나 용기로서 사용하기가 곤란하므로, 탄산수소나트륨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스터 배치 단독, 또는 마스터배치와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혼합물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용기로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구체적인 방법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탄산수소나트륨의 열분해 특성 및 탈취능
탄산수소나트륨 99%, 명반 1%로 이루어진 베이킹소다를 (주)청은에프엔비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이 열분해되어 탄산나트륨이 생성되는지를 확인하여 위하여, 180℃에서 10분 동안 열처리 한 탄산수소나트륨과 대조군으로 열처리하지 탄산수소나트륨을 대상으로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탄산수소나트륨(베이킹소다)에서는 3425, 3042, 2900, 2500, 2045, 1900, 1669, 1606, 1410, 1240, 1016, 1000, 979, 838, 653, 642 cm1에서 고유 피크가 발견되었다. 반면, 열처리한 탄산수소나트륨에서는 탄산나트륨의 고유피크인 2500, 1770, 1413, 878, 851, 700 cm1 에서 피크가 생성되었고, 이러한 결과로부터 탄산수소나트륨을 열처리하게 되면 탄산나트륨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치는 숙성과정 중에서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증가하며, 이 중 포장 용기에서 새어 나오는 김치의 냄새는 휘발성 물질인 acetic acid에 기인한다. 아래 표 1은 상기 대조군과 열처리한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아세트산을 대상으로 탈취효과를 조사한 결과이다.
여기서, 대조군 및 열처리한 탄산수소나트륨은 각각1.0g이며, 5ℓ 용량의 가스백에 50ppm의 아세트산 3ℓ와 함께 주입하여 탈취율을 계산하였다.
구분 탈취율 (%)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대조군 0 31.3±1.3 61.3±3.8 70.0±5.0 81.3±1.3 86.3±1.3
열처리한
탄산수소
나트륨
0 95.0±0.0 97.5±2.9 >99.9±0.0 >99.9±0.0 >99.9±0.0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대조군 및 열처리한 탄산수소나트륨 모두 접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탈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열처리한 탄산수소나트륨의 경우에는 30분 접촉 후 95%의 아세트산이 제거되었고, 15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대부분의 아세트산이 제거되었다.
실시예 2 : 마스터 배치 및 제조한 필름 특성
먼저, 탄산수소나트륨과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을 중량 비율로 2:8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한 후, 마스터배치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을 아래 표 2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필름용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필름용 혼합물은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70±2 ㎛ 두께를 갖는 탈취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LDPE는 SKY GREEN PN200을 SK케미칼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MFI(Melt flow index) 3.0g/10min을 사용하였다. 또한 마스터배치 및 복합필름 제조시의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 배럴(barrel)의 압력은 29.0 kgf/㎠, 온도는 Header 175 ℃, Metering and Compression Zone은 140~175 ℃, Feed Zone은 100℃의 조건으로 운전하였다.
마스터배치
(탄산수소나트륨+LDPE)
LDPE(g) 총중량(g)
배합비(%) 중량(g) 배합비(%) 중량(g)
0 0 100 400 400
1 4 99 396 400
3 12 97 388 400
4 20 95 380 400
10 40 90 360 400
제조한 필름의 투명성과 색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름을 5×5cm2 로 잘라 인쇄된 종이 위에 올렸다. 제조한 필름은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제조 되었으며, 마스터배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투명성이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도 2).
LDPE와 탄산수소나트륨과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FT-I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LDPE의 경우에는, 2847cm-1 (-CH3 symmetric stretching), 2913cm-1 (-CH2 anti symmetric deformation), 1604cm-1 (-CH3 symmetric deformation), 1470cm-1 (-CH2 symmetric deformation), 1376cm-1 (-CH3 anti symmetric deformation), 729cm-1 (-CH3 Rocking vibration) 피크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탈취용 필름에서는 순수한 LDPE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탄산나트륨 고유 피크가 1413 cm-1, 878 cm-1, 700cm-1에서 발견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탈취용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탄산수소나트륨의 열분해가 일어났음을 예측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제조한 필름을 사용하여 아세트산에 대한 탈취효과를 실험한 결과이다.
여기서, 대조군(마스터배치 0%) 및 실험군(마스터배치 1%~20%)은 각각1.0g이며, 5ℓ 용량의 가스백에 50ppm의 아세트산 3ℓ와 함께 주입하여 탈취율을 계산하였다.
구분 탈취율 (%)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마스터배치 0% 0 14.2±4 11.2±7 2.0±2 6.1±2 12.2±4
마스터배치 1% 0 12.3±4 9.2±3 17.4±3 18.4±4 30.8±5
마스터배치 3% 0 8.0±4 7.0±1 20.0±2 22.0±2 36.0±4
마스터배치 5% 0 20.8±1 16.8±3 22.8±1 28.7±5 41.6±2
마스터배치 10% 0 9.0±1 22.0±0 35.0±1 41.0±1 45.0±1
마스터배치 20% 0 18.5±2 35.1±1 45.3±1 50.5±1 57.7±0
아세트산에 대한 탈취효과를 분석한 결과, 마스터배치의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탈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용 필름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를 대변하는 관능평가로서, 투명도, 색의 명확도, 플라스틱 냄새, 표면의 거친 정도, 필름의 딱딱한 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항목 마스터배치
0%
마스터배치
1%
마스터배치
3%
마스터배치
5%
마스터배치
10%
투명도 8.76±0.4 6.12±1.3 5.76±1.3 4.76±1.6 3.29±1.3
색의 명확도
(흰 정도)
1.71±1.4 4.94±1.6 4.94±1.7 6.00±1.5 6.94±1.5
플라스틱(첨가)냄새 6.94±1.8 5.18±1.6 5.59±1.6 4.88±1.2 4.18±1.5
표면의 거친 정도 1.53±1.2 4.59±2.2 5.06±2.2 5.47±2.4 7.06±1.7
필름의 딱딱한 정도 3.82±2.7 5.29±1.8 5.41±1.5 5.47±1.6 5.88±2.0
전체적인 기호도 6.18±1.5 5.12±1.1 5.12±1.3 5.29±1.6 5.00±1.5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투명도는 마스터배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의 명확도(흰 정도), 표면의 거친 정도, 필름의 딱딱한 정도는 마스터배치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가장 큰 특징인 탈취와 관련하여서는 마스터베치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플라스틱의 냄새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플라스틱 냄새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필름용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60 내지 8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으로 성형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필름용 혼합물 준비 단계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이 0.2 중량% 내지 2.0중량% 포함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트산 제거기능을 갖는 김치보관용기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60163A 2016-05-17 2016-05-17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Active KR10170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63A KR101705604B1 (ko) 2016-05-17 2016-05-17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63A KR101705604B1 (ko) 2016-05-17 2016-05-17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604B1 true KR101705604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163A Active KR101705604B1 (ko) 2016-05-17 2016-05-17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6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02B1 (ko) * 2017-09-11 2019-02-0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포장 용기
KR102021295B1 (ko) 2018-04-13 2019-09-16 김치곤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생분해성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20200025239A (ko)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pet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080274B1 (ko) 2018-08-27 2020-04-23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102303B1 (ko) 2018-11-16 2020-05-29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내열성과 투명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1461U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싱싱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KR102255395B1 (ko) 2020-11-24 2021-05-24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고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시트
KR102264102B1 (ko) 2020-11-27 2021-06-14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고내열성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972A (en) * 1977-06-21 1983-05-24 Toppan Printing Co., Ltd. Foodstuff freshness keeping agents
JPS6327561A (ja) * 1986-07-22 1988-02-05 Dainichi Color & Chem Mfg Co Ltd ホルマリンの脱臭方法
US6037022A (en) * 1997-09-16 2000-03-14 International Paper Company Oxygen-scavenging filled polymer blend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KR20130127038A (ko) 2012-05-13 2013-11-22 이유나 아동용 방한용 귀마개 겸용 마스크
KR20150047231A (ko) * 2013-10-24 2015-05-04 김명규 음식물 쓰레기 냄새제거 물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972A (en) * 1977-06-21 1983-05-24 Toppan Printing Co., Ltd. Foodstuff freshness keeping agents
JPS6327561A (ja) * 1986-07-22 1988-02-05 Dainichi Color & Chem Mfg Co Ltd ホルマリンの脱臭方法
US6037022A (en) * 1997-09-16 2000-03-14 International Paper Company Oxygen-scavenging filled polymer blend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KR20130127038A (ko) 2012-05-13 2013-11-22 이유나 아동용 방한용 귀마개 겸용 마스크
KR20150047231A (ko) * 2013-10-24 2015-05-04 김명규 음식물 쓰레기 냄새제거 물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02B1 (ko) * 2017-09-11 2019-02-0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포장 용기
KR102021295B1 (ko) 2018-04-13 2019-09-16 김치곤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생분해성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080274B1 (ko) 2018-08-27 2020-04-23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20200025239A (ko)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pet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102303B1 (ko) 2018-11-16 2020-05-29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내열성과 투명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1461U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싱싱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KR200493116Y1 (ko) * 2018-12-21 2021-02-05 주식회사 싱싱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KR102255395B1 (ko) 2020-11-24 2021-05-24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고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시트
KR102264102B1 (ko) 2020-11-27 2021-06-14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고내열성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04B1 (ko)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US4670288A (en) Chemically-active composition containing divalent iron ions
KR102256087B1 (ko) 항균성 및 악취유발화합물 분해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CN101313698A (zh) 果蔬纳米抗菌保鲜膜
KR101654547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11752A (zh) 一种能有效吸附和自动降解甲醛的环保竹炭板材及其制备工艺
KR101410680B1 (ko) 기능성 친환경 박스를 제작하기 위한 기능성 친환경 골판지 및 기능성 친환경 골판지의 제조 방법
CN104650450A (zh) Pe类经济型透气不透水吸氧抑菌的果蔬保鲜膜
BR9905461A (pt) Composição de polpa fotocatalìtica, espuma de polpa fotocatalìtica utilizando dita composição de polpa fotocatalìtica, polpa fotocatalìtica moldada utilizando dita composição de polpa fotocatalìtica e espuma de polpa fotocatalìtica moldada utilizando dita espuma de polpa fotocatalìtica, assim como, processo para produzir dita composição de polpa fotocatalìtica, dita espuma de polpa fotocatalìtica, dita polpa fotocatalìtica moldada e dita espuma de polpa fotocatalìtica moldada e aparelho para produzir dita composição de polpa fotocatalìtica
CN102993541A (zh) 特殊生物矿物源性食品包装袋(膜)
KR101944702B1 (ko) 김치 포장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포장 용기
CN103665510A (zh) 抗菌保鲜膜
DE60009471D1 (de) Mehrschichtiges photokatalytisches Papier,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Formteil das das Papier beinhaltet
KR101697514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이 부여된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KR20120105094A (ko) 숯이 함유된 친환경 플라스틱 도마 조성물
JP5150254B2 (ja) 抗菌フィルム
KR102167839B1 (ko) 바이오매스 시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바이오매스 시트
KR102541783B1 (ko) 천연소재인 숯과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필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의 성형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6035B1 (ko)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102304066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펠릿
KR101545288B1 (ko) 신선도 기능이 부여된 친환경 원료 펠릿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3077B1 (ko)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61012B1 (ko) 다공성 이온화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15728A (ko) 산소투과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2464Y1 (ko)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