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274B1 -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Termin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5274B1 KR101705274B1 KR1020160069500A KR20160069500A KR101705274B1 KR 101705274 B1 KR101705274 B1 KR 101705274B1 KR 1020160069500 A KR1020160069500 A KR 1020160069500A KR 20160069500 A KR20160069500 A KR 20160069500A KR 101705274 B1 KR101705274 B1 KR 101705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unit
- watch module
- data
- vehicle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단말 유니트; 제2 서버와 통신하는 와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와 상기 와치 모듈은 서로 통신 가능할 수 있다.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unit mountable on a vehicle; And a watch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erver, wherein the terminal unit and the watch modul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in which a watch module is attached and detached.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수요 증대가 맞물리면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성이 강조되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increasing demand of users, the mobile market such as smartphone is emphasized and the terminal market that can access the internet is growing.
이런 시장성에 힘입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고, 스마트폰의 크기가 커지면서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스마트폰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such marketability, the spread of smartphones is expanding, and as the size of smartphones grow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other terminals that can check the content of smartphones without removing them from their pockets or bags.
스마트 와치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신체 착용형 단말기로 활발이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SmartWatch is actively researching and developing as a body wearable terminal that can meet the demands of this market.
스마트 와치는 일반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와 배터리 용량으로 인해 스마트폰과 비교해서 활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The smart watch can be worn on the wrist like an ordinary watch, and has the advantage of using contents of a smart phone. However, due to the limited display size and battery capacity, there is a drawback in that it is less usable than a smart phone.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가 있더라도 스마트폰을 함께 휴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마트 시계에 대한 기대감과 선호도가 낮아지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has a smart watch, the user can carry the smart phone together and as a result, the expectation and the preference for the smart watch are lower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117호에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신체적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품 선호도를 확인시켜주는 스마트 와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스마트 와치가 갖는 태생적 한계를 그대로 갖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25117 discloses a smart watch that confirms a user's preference of a user based on a behavior pattern and a physical change of a user, but has inherent limitations of the smart watch.
본 발명은 와치 모듈을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device forming an environment capable of utilizing the watch module in various angl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단말 유니트; 제2 서버와 통신하는 와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와 상기 와치 모듈은 서로 통신 가능할 수 있다.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unit mountable on a vehicle; And a watch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erver, wherein the terminal unit and the watch modul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와치 모듈은 사람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시계의 본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에 착탈될 수 있다.The watch module is formed in a body shape of a wristwatch to be worn on a wrist of a person,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rist band worn on the wrist.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와치 모듈을 이용해서 차량에 장착 가능한 단말 유니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utilize a terminal unit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using a watch module.
예를 들어, 단말 유니트는 와치 모듈로부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받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unit can receive and display navigation data from the watch module.
단말 유니트는 특정 서버를 이용해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특정 서버보다 실시간 교통 상황의 분석 능력이 높은 다른 서버를 이용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때, 와치 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서버를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단말 유니트에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can perform a navigation function using a specific server. However, the user may desire to use another server which is capable of analyzing real-time traffic situation more than a specific server. At this time, the watch module can display the navigation information using the server desired by the user on the terminal unit.
단말 유니트는 차량 주변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단말 유니트 자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 유니트가 아니라, 자신의 집에 마련된 컴퓨터 등의 다른 단말기에서 해당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와치 모듈은 단말 유니트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를 이용해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can photograph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can be stored in the terminal unit itself. At this time, the user may desire to check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from another terminal such as a computer provided in his / her home rather than the terminal unit mounted on the vehicle. The watch module can transmit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terminal unit to the server. The user can check the video data using another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와치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단말 유니트의 뒷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ch module constituting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unit.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는 차량(50)에 장착 가능한 단말 유니트(100) 및 제2 서버(92)와 통신하는 와치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에 장착되면 차량(50) 상태 또는 차량(50)의 운행 상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처리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The
일 예로, 단말 유니트(100)는 내비게이션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구체적으로, 단말 유니트(100)는 제1 서버(91)와 통신하고, 제1 서버(9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차량(50)의 운행을 안내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디스플레이(135)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135)는 단말 유니트(100)의 입력 수단이 되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사용자는 차량(50)에 장착된 단말 유니트(100)에 표시된 제1 데이터에 따라 차량(50)을 운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다른 예로,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 주변을 촬영해서 저장하는 블랙 박스로 이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구체적으로,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의 전방을 포함한 차량(50)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다른 예로,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으로부터 차량(50)의 각종 센싱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유니트(100)는 자체에 마련된 제1 키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차량(5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50)으로 제공된 입력 데이터는 차량(50)의 제어 신호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와치 모듈(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와치 모듈(10)은 사람의 손목에 감기거나 착용되는 손목 밴드(30)에 착탈될 수 있다. 손목 밴드(30)로부터 이탈된 와치 모듈(10)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될 수 있다.The
와치 모듈(10)은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이동 통신 서버 등의 제2 서버(92)와 통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와치 모듈(10)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분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차는 시계의 크기를 갖는 단말기로 정의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대형의 디스플레이와 케이스(150)를 갖는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로 스마트폰, 스마트폰보다 큰 크기의 스마트 패드가 있을 수 있다.The
와치 모듈(10)은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기본 기능 외에 서버 및 단말 유니트와 통신하는 기능, 서버, 단말 유니트, 각종 입력 수단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스마트폰 등의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해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차는 시계와 같은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칩 제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와치 모듈(10)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AP(Application Processor)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추종하는 용량의 메모리가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와치 모듈(10)의 데이터 처리 성능 및 데이터 저장 용량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Compared with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그러나,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하여 작은 크기로 인해, 작은 용량의 배터리가 적용되고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수단이 적용될 수 밖에 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 스피커와 마이크가 배제되고, 해당 스피커와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 잭만 탑재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동일한 컨텐츠를 처리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디스플레이 및 제한된 입력 수단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제한된 컨텐츠에만 활용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구현하는 셈이 되므로, 사용자는 와치 모듈(10)이 있다 하더라도 다른 컨텐츠의 이용을 위해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함께 휴대하게 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와치 모듈(10)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와치 모듈(10)에 대한 구매 욕구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Although the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조사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비교해서 와치 모듈(10)이 갖는 강점을 꾸준히 탐색하고 연구하는 방향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체에 접촉되는 와치 모듈(10)의 특징을 이용해서 신체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고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와치 모듈(10)에 부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하기는 부족한 실정이다.In order to satisfy the user's purchasing desire, the manufacturer takes a direction to search and study the strength of the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와치 모듈(10)의 활용 가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value of the
와치 모듈(10)은 사람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시계의 본체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30)에 착탈될 수 있다.The
단말 유니트(100)로부터 분리된 와치 모듈(10)은 손목에 채워지는 손목 밴드(30)에 장착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손목 밴드(30)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형성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손목 밴드(30)에 장착되면, 손목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가 되고, 웨어러블 기기에서 와치 모듈(10)을 분리하면 단말 유니트(100)에 착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손목 밴드(30)에는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는 안착부(31)가 형성되고, 안착부(3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밴드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The
제1 밴드의 단부와 제2 밴드의 단부에는 서로 착탈되는 고리, 버클 등의 착탈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first band and the end of the second band, a detachment means such as a ring, a buckle or the like which is detachable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 환경에 맞춰 손목 밴드(30)에 와치 모듈(10)을 장착해서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use the
와치 모듈(10)은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와 같은 제2 서버(92)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와치 모듈(10)은 단말 유니트(1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단말 유니트(100)의 뒷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는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이 장착되는 상태가 개시된다.3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단말 유니트(100)에는 와치 모듈(10)이 착탈되는 착탈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착탈부(110)는 단말 유니트(100)의 케이스(150)보다 작은 크기의 와치 모듈(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홈 형상의 착탈부(110)에 와치 모듈(10)이 안착되면 와치 모듈(10)의 가장자리를 덮는 커버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A cover for covering the edge of the
커버를 분리하기 전까지 와치 모듈(10)은 착탈부(110)에 확실하게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커버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나사산에 대응하여 착탈부(110)의 주변에도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around the
커버는 나사 결합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150) 또는 착탈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cover may be mounted to the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특수한 상황에서는 와치 모듈(10)이 착탈부(110)에 장착된 경우에 한해, 단말 유니트(100)와 와치 모듈(10) 간의 통신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치 모듈(10)의 내비게이션 데이터가 단말 유니트(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유니트(100)로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는 와치 모듈(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와치 모듈(10)이 단말 유니트(100)와 다른 장소에 있다면, 단말 유니트(100)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쓸모없는 데이터에 불과할 것이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데이터가 제공되는 통신 채널은 와치 모듈(10)와 단말 유니트(100)가 동일한 장소 또는 동일한 차량(50)에 위치하는 경우에 한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동일한 장소 또는 동일한 차량(50) 위치를 만족하는 가장 확실한 조건은 와치 모듈(10)이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The
단말 유니트(100)의 착탈부(110)에는 제1 단자(111)가 마련되고, 와치 모듈(10)에는 제1 단자(111)와 접촉되는 제2 단자(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소통되면, 와치 모듈(10)은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를 통해 단말 유니트(100)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단말 유니트(100)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와치 모듈(10)의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매번 단말 유니트(100)에 장착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사용상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수m 이내의 제한된 통신 범위를 갖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와치 모듈(10)과 단말유니트에 마련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된다는 것은 이미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가 충분히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와치 모듈(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단말 유니트(100)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It may be cumbersome to mount the navigation data in the
와치 모듈(10)은 내비게이션 데이터와 같은 제2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또한, 와치 모듈(10)에는 특정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2 디스플레이(1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디스플레이(15)는 2인치보다 작은 손목 시계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내비게이션 데이터와 같이 큰 표시 영역을 요구하는 데이터의 표시에 부적합하다. 와치 모듈(10)의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와치 모듈(10)은 제2 데이터를 단말 유니트(1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단말 유니트(100)에는 평면상으로 와치 모듈(10)보다 큰 면적의 제1 디스플레이(135)가 마련될 수 있다. 공간 활용을 위해 단말 유니트(100)의 일면에 착탈부(110)가 마련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35)는 단말 유니트(1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가 차량(50)에 장착될 때, 제1 디스플레이(135)가 형성된 단말 유니트(100)의 타면은 차량(50)에 탑승한 사용자에 대면될 수 있다.The
단말 유니트(100)의 타면 또는 측면에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스피커(139)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레오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제1 스피커(139)는 제1 디스플레이(135)를 사이에 두고 케이스(1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A
와치 모듈(10)은 제2 데이터를 생성해서 단말 유니트(10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이때의 제2 데이터는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제2 디스플레이(15)에 표시될 수 없고, 단말 유니트(100)의 제1 디스플레이(135)에 표시 가능한 데이터일 수 있다. The
와치 모듈(10)은 제2 서버(9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차량(50)의 운행을 안내하는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유니트(100)는 와치 모듈(10)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 유니트(100)는 제1 서버(91)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버(91)로부터 제공된 전자 지도 또는 교통 상황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내비게이션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2 데이터는 제2 서버(92)로부터 제공된 전자 지도 및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를 이용해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사용자는 제1 데이터보다 제2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91)는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의 업데이트가 느린 내비게이션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반면, 제2 서버(92)는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의 업데이트가 빠른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서버(9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The user may prefer to use the second data rather than the first data. For example, the
제2 데이터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단말 유니트(100)는 와치 모듈(10)과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는 해당 통신 채널이 해제되면, 제1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request of the user who prefers the second data, the
단말 유니트(100)에 제2 데이터가 표시되는 중 와치 모듈(10)과의 통신 채널이 해제되더라도 제2 데이터를 대신해서 제1 데이터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와치 모듈(1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차량(50) 운행을 안내받을 수 있다.The first data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econd data even if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소방관 또는 경찰관과 같이 긴급 출동이 요구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ful environment for a user who is urgently required to be dispatched, such as a fire fighter or a police officer.
일 예로, 소방관 또는 경찰관은 손목 밴드(30)를 이용해 와치 모듈(10)을 소목에 차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긴급 출동 상황 발생시 서버는 와치 모듈(10)로 긴급 상황이 발생한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firefighter or police officer may be in the state of wearing the
와치 모듈(10)을 서버로부터 전달된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긴급 출동을 위채 차량(50)으로 접근하면, 와치 모듈(10)과 단말 유니트(100) 간의 통신 채널이 개통되고, 기생성된 내비게이션 데이터가 자동으로 단말 유니트(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는 수신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는 별다른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원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The
한편, 단말 유니트(100)에는 카메라 모듈(170)이 마련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는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해서 차량(50)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50)의 주변을 촬영하는 단말 유니트(100)는 소위 블랙 박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차량(50)에 장착된 단말 유니트(100)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영상 데이터의 확인을 위해 단말 유니트(100)의 제1 디스플레이(135)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저장부를 떼어서 다른 단말기에 연결시키거나, 단말 유니트(100) 자체를 차량(50)으로부터 떼어서 다른 단말기에 연결시키는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The
다른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와치 모듈(10)은 단말 유니트(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서버(92)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제2 서버(92)는 이동 통신 업체가 제공한 서버로 인터넷망을 통해서 각종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버(92)로 송신된 영상 데이터는 개인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서 다운받아 볼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The
차량(50)에 장착된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에 마련된 액추에이터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 유니트(100)에 마련된 제1 키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해서 차량(50) 도어를 개폐시키는 등의 차량(50)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50)에는 이미 차량(50)을 제어하는 각종 버튼(13)이 마련된 상태이므로, 차량(50)에 장착된 단말 유니트(100)를 직접 조작해서 차량(50)을 제어하는 것은 별다른 이익이 없을 수 있다.The
단말 유니트(100)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와치 모듈(10)이 개입되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when the
일 예로, 와치 모듈(10)은 액추에이터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 유니트(100)로 송신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은 차량(5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는 단말 유니트(100)로 송신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단말 유니트(100)는 액추에이터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액추에이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와치 모듈(10) 및 단말 유니트(100)에 따르면, 차량(5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차량(50)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한편, 자율 주행 시스템의 도입, 유지 보수 안내 등을 위해 서버에서 차량(50)의 각종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차량(50)에는 특정 서버와 통신하는 수단이 미비하다. 또한, 차량(50)에 장착되는 단말 유니트(100)는 내비게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1 서버(91)로부터 수신할 수 있을 뿐, 특정 데이터를 제2 서버(92) 등으로 송신할 수 없다. 이에 따르면, 차량(50)의 각종 센싱 신호를 서버에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necessary to monitor various states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서버(92) 및 단말 유니트(100)와 통신할 수 있는 와치 모듈(10)이 마련되므로, 차량(50)의 센싱 신호가 단말 유니트(100)와 와치 모듈(10)을 순서대로 거쳐 제2 서버(92)로 전송될 수 있다.The sensing signal of the
다른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단말 유니트(100)가 차량(50)과 와치 모듈(1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차량(50)에는 도어 개폐 등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 각 부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액추에이터 또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수단(5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에 장착되면 제어 수단(51)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유니트(100)는 제어 수단(51)과 와치 모듈(10)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The
제어 신호는 와치 모듈(10)로부터 제어 수단(51)으로 제공되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provided from the
센싱 신호는 제어 수단(51)으로부터 와치 모듈(10)로 제공되며 센서의 감지 신호일 수 있다.The sensing signal is provided from the control means 51 to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차량(50)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차량(50)에 탑재되지 않은 상태라도, 차량(50)에 탑재된 단말 유니트(100)를 차량(50)의 제어 수단(5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만 하면, 차량(50)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살펴본, 제1 서버(91), 제2 서버(92), 단말 유니트(100), 와치 모듈(10) 간에 소통되는 데이터는 도 5와 같을 수 있다.The data communicated betwe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와치 모듈(10)은 제2 데이터 ②를 단말 유니트(1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제2 데이터 ②는 제2 서버(9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성된 내비게이션 데이터 또는 와치 모듈(10)에 마련된 입력 수단을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ata (2) may include navigation data generated using data provided from the second server (92) or a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input means provided in the watch module (10).
제2 데이터 ②가 내비게이션 데이터인 경우, 제2 데이터 ②는 단말 유니트(100)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②가 제어 신호인 경우, 제2 데이터 ②는 단말 유니트(100)를 거쳐 차량(50)의 제어 수단(51)으로 전달될 수 있다.If the second data (2) is navigation data, the second data (2)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100). When the second data (2) is a control signal, the second data (2)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eans (51) of the vehicle (50) via the terminal unit (100).
와치 모듈(10)은 크기의 제한으로 인해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복잡한 키패드 대신 수개 이내의 버튼(13)을 입력 수단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몇 개의 버튼(13) 입력 또는 별도의 버튼(13) 입력없이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 신호는 통신 채널의 형성 여부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다. 와치 모듈(10)의 접근으로 인해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 도어의 락(lock)을 해제시키는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의 이탈로 인해 통신 채널이 해제되면,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 도어를 락(lock)시키는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depending on whether a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due to the approach of the
단말 유니트(100)는 제1 데이터 ① 또는 제3 데이터 ③을 와치 모듈(10)로 송신할 수 있다.The
제1 데이터 ①은 단말 유니트(100)에서 생성된 데이터이며, 카메라 모듈(170)을 이용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ata (1) is data generated in the terminal unit (100), and may include image data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module (170).
제1 데이터 ①은 제1 서버(9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형성된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 ①은 와치 모듈(10)로 전송되지 않아도 무방하고, 단말 유니트(100)의 제1 디스플레이(135)에 표시되면 충분하다.The first data (1) may include navigation data formed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server (91). In this case, the first data (1)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watch module (10), but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35) of the terminal unit (100).
제3 데이터 ③은 차량(50)의 제어 수단(51)으로 수신된 것으로 센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ata (3) is received by the control means (51) of the vehicle (50) and may include a sensing signal.
한편, 단말 유니트(100)에는 착탈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제1 디스플레이(135), 제1 스피커(139), 제1 배터리, 착탈부(110)는 모두 하나의 케이스(150)에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와치 모듈(10)이 착탈부(110)에 장착되면, 착탈부(110)에 마련된 제1 단자(111)와 와치 모듈(10)의 제2 단자(11)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단자(111)는 제1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고, 제2 단자(11)는 와치 모듈(10)의 제2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가 접촉하면, 제2 배터리는 제1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전력은 와치 모듈(10)의 구동 전력이 되는 동시에 제1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력이 될 수 있다.The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는 각각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단자(111)의 일부와 제2 단자(11)의 일부는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의 소통 통로가 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와치 모듈(10)의 경우,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배터리의 문제로 인해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직접 표시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50)에 장착 가능한 단말 유니트(100)의 도움을 받아 각종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각종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와치 모듈(10)의 부족한 배터리 용량을 제1 배터리의 도움을 받아 해소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단말 유니트(100)는 차량(5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도 와치 모듈(10)과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차량(50)으로부터 이탈된 단말 유니트(100)에 와치 모듈(10)을 장착하면, 제2 서버(92)와 연계된 내비게이션 데이터가 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유니트(100)에 카메라 모듈(170)이 마련되면, 단말 유니트(100)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용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와치 모듈(10)이 장착된 단말 유니트(100)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 휴대용 카메라가 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와치 모듈 11...제2 단자
13...버튼 15...제2 디스플레이
30...손목 밴드 31...안착부
50...차량 51...제어 수단
91...제1 서버 92...제2 서버
100...단말 유니트 110...착탈부
111...제1 단자 135...제1 디스플레이
139...제1 스피커 150...케이스
170...카메라 모듈10 ... watch
13 ...
30 ...
50 ...
91 ...
100 ...
111 ...
139 ...
170 ... camera module
Claims (10)
제2 서버와 통신하는 와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와 상기 와치 모듈은 서로 통신 가능하며,
상기 단말 유니트는 제1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의 운행을 안내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와치 모듈은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의 운행을 안내하는 제2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 유니트는 상기 와치 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는 상기 통신 채널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
A terminal unit mountable on a vehicle;
And a watch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a second server,
The terminal unit and the watch modul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erminal unit communicates with a first server, generates first data for guid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server,
Wherein the watch module generates second data guid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server,
Wherein the terminal unit receives the second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and displays the second data when a communication channe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atch module is formed,
And the terminal unit displays the first data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released.
상기 와치 모듈은 사람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시계의 본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에 착탈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ch module is formed in a body shape of a wristwatch to be worn on a wrist of a person,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rist band to be worn on the wrist.
상기 단말 유니트에는 평면상으로 상기 와치 모듈보다 큰 면적의 제1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와치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단말 유니트로 송신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isplay having a larger area than that of the watch module is provided in a plane on the terminal unit,
And the watch module transmits the second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to the terminal unit.
상기 단말 유니트에는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가 마련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면, 상기 단말 유니트와 상기 와치 모듈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이 생성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uni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for detachably mounting the watch module,
Wherein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terminal unit and the watch module is generated when the watch module is mounted on the detachable unit.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기 단말 유니트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액추에이터와 통신하고,
상기 와치 모듈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로 송신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unit mounted on the vehicle communicates with an actuator provided in the vehicle,
Wherein the watch module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actuator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unit.
상기 차량에는 액추에이터 또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단말 유니트는 상기 차량에 장착되면 상기 제어 수단과 통신하며,
상기 단말 유니트는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와치 모듈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중계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와치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신호이며,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와치 모듈로 제공되며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인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ctuator or a sensor,
Wherein the terminal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means when mounted on the vehicle,
Wherein the terminal unit relays a control signal or a sensing signal between the control means and the watch module,
Said control signal being a signal provided from said watch module to said control means and controlling said actuator,
Wherein the sensing signal is provided from the control means to the watch module and is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상기 단말 유니트에는 상기 와치 모듈이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터리가 마련되고,
상기 와치 모듈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와치 모듈로 제공되는 단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uni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for detachably mounting the watch module and a first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power of the first battery is provided to the watch module when the watch module is mounted on the detachabl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9500A KR101705274B1 (en) | 2016-06-03 | 2016-06-03 | Termin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9500A KR101705274B1 (en) | 2016-06-03 | 2016-06-03 | Terminal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5274B1 true KR101705274B1 (en) | 2017-02-09 |
Family
ID=5815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95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5274B1 (en) | 2016-06-03 | 2016-06-03 | Termina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527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709B1 (en) | 2017-11-30 | 2018-11-29 |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 Pager cas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86663A (en) * | 1994-09-16 | 1996-04-02 | Toshiba Corp | Navigation system |
KR20010056452A (en) * | 1999-12-15 | 2001-07-04 | 이계안 | Navigation system of automobile |
KR20140105881A (en) * | 2013-02-24 | 2014-09-03 | 최재덕 | Real-tim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Video Data Car Blackbox |
KR101514255B1 (en) * | 2013-12-12 | 2015-04-22 | 자동차부품연구원 | Apparatus for tracing vehicle position and method thereof |
KR20160025117A (en) | 2014-08-26 | 2016-03-0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mart watch,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customer |
-
2016
- 2016-06-03 KR KR1020160069500A patent/KR1017052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86663A (en) * | 1994-09-16 | 1996-04-02 | Toshiba Corp | Navigation system |
KR20010056452A (en) * | 1999-12-15 | 2001-07-04 | 이계안 | Navigation system of automobile |
KR20140105881A (en) * | 2013-02-24 | 2014-09-03 | 최재덕 | Real-tim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Video Data Car Blackbox |
KR101514255B1 (en) * | 2013-12-12 | 2015-04-22 | 자동차부품연구원 | Apparatus for tracing vehicle position and method thereof |
KR20160025117A (en) | 2014-08-26 | 2016-03-0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mart watch,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custom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709B1 (en) | 2017-11-30 | 2018-11-29 |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 Pager ca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28293B1 (en) | Modular smart necklace | |
KR102517610B1 (en) | Electronic device | |
KR101889922B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elf-balanced vehicl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KR101643869B1 (en) | Operating a Mobile Termianl with a Vibration Module | |
KR101517083B1 (en) | A Portable terminal controlling refrigerator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 |
US7826876B2 (en) | Multi-functional detachable mobile phone | |
CN105373464B (en) | The charging reminding method and device of wearable device | |
CN105450883B (en) | Operating system switching and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vehicle | |
CN113212257B (en) | Automatic driver seat position adjust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based on Internet of vehicles | |
KR20160066951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7407932A (en) | Condition Response Indication Components and Methods | |
KR20190103877A (en) | Electronic device | |
KR102342559B1 (en) | Earset and its control method | |
CN114079838A (en) | Audio control method, equipment and system | |
KR20160078711A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
KR101560389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 |
JP2003520497A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suitable control unit therefor | |
CN108292417A (en) | Portable data assistance and it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ed | |
KR101021438B1 (en) | Vehicle black box adjusting device and method | |
KR102689437B1 (en) | Mobile terminal for setting home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 |
KR101705274B1 (en) | Terminal device | |
KR101686822B1 (en) | Real time monitoring device using smartphone | |
KR101731362B1 (en) | Terminal device | |
US20240036323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volume using acoustic signal output from external object | |
CN114118408B (en) | Image processing model training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002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20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