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87B1 - Gentle back slope type parking stopper - Google Patents
Gentle back slope type parking stop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5087B1 KR101705087B1 KR1020160039846A KR20160039846A KR101705087B1 KR 101705087 B1 KR101705087 B1 KR 101705087B1 KR 1020160039846 A KR1020160039846 A KR 1020160039846A KR 20160039846 A KR20160039846 A KR 20160039846A KR 101705087 B1 KR101705087 B1 KR 1017050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 car body
- vehicle
- stopper
- vehicl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정적인 정차를 유도하는 주차 스토퍼(stopper)에 관한 것으로, 저면은 바닥에 밀착 고정되고, 정면에는 차단입면(11)이 형성되어 차륜(車輪)이 밀착되는 차단체(10)가 구성되되, 차단체(10)의 배면에는 차단체(10)의 정부(頂部)(12)와 차단체(10)의 배면측 하단을 연결하는 완경사의 등판면(20)이 형성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stopper installed on a floor of a parking lot for guiding a stable stop of a vehicle, wherein a bottom surface is closely fixed to the floor, The
주차 스토퍼는 주차중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는 돌출물로서, 세부 형태상 미차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정면에 차단입면(11)이 형성된 봉체로 본체가 구성되고, 주차장 바닥에 앵커볼트 등을 통하여 결속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080719호를 들 수 있다.The parking stopper is a protrusion for blocking the progress of the vehicle during parking. However, the parking stopper is basically composed of a main body made of a bag having a blocking
특허 제1080719호를 비롯한 종래의 주차 스토퍼는 주차중 또는 저속 이동중 차량의 주행을 차단하는 기본적 기능에 주안점을 두어 제작되는 것으로, 수직면 내지 급경사면이 형성되는 차단입면(11)이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되어, 차단입면(11)에 차륜이 밀착되면서 차륜의 회전 및 주행을 억지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parking stopper including the patent No. 1080719 is manufactured by focusing on the basic function of block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during parking or at low speed. The blocking
즉, 종래의 주차 스토퍼는 접근 방향을 막론하고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는 단편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스토퍼의 배후부에서 배면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단 필요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차 스토퍼의 배면 역시 주행 장애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ventional parking stopper performs only a fragmentary function of blocking the progress of the vehicle regardless of the approach direction. Even if there is no need to block the vehicle entering the rear side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topper, It also acts as a running obstacle.
통상 주차 스토퍼는 주차선으로 구획된 개별 주차면 전단부 또는 후단부의 차륜 정지 지점에, 개별 주차면 당 스토퍼 한쌍이 주차면 중심선을 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되는 바, 차량의 진입 방향이 일방향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차륜을 저지하는 차단입면(11)은 스토퍼 정면에만 형성되어도 충분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the parking stopper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parking surface in a pair of stoppers per individual parking surface at the front end of the individual parking surface divided by the parking line or at the stopping point of the rear end portion. Therefore, the blocking
그러나, 종래의 주차 스토퍼는 제작 및 시공 편의를 고려하여 정면은 물론 배면에도 차단입면(11)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급경사면이 형성되고 있으며, 따라서 스토퍼 배후에서 스토퍼 배면측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륜 역시 차단될 수 밖에 없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rking stopper, a steeply sloping surface that can be utilized as the blocking
전술한 바와 같이, 정면은 물론 배면에도 급경사면이 형성되어 정면과 배면 모두 차단입면(11)으로서 거동하는 종래의 주차 스토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arking stopper, in which both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formed with steep slopes so that both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act as the
우선, 주차 스토퍼 배후부에서 배면측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물체의 진행을 차단하게 되어, 주차장 이용상 제약과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First, the progress of the vehicle or the object proceeding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parking stopper to the rear side is blocked, thereby causing restriction and inconvenience to the parking lot use.
즉, 주차장을 통하여 차량 적재용 화물 등을 끌어서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주차 스토퍼가 심각한 장애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That is, assuming that the cargo for carrying the vehicle is dragged and moved through the parking lot, the parking stopper must act as a serious obstacle.
특히, 소규모 어항 또는 물양장(物揚場) 등 부두에 차량이 진입하여 주차된 상태에서 선박과 차량간 화물을 이동하는 경우, 통상 부두 주차장에서 인력(人力)으로 화물을 끌어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주차 스토퍼가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어 심각한 불편이 초래되는 바, 부두 주차장의 최초 조성시 주차 스토퍼가 배제되거나, 기 설치된 주차 스토퍼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차량의 추락 사고가 빈발하는 등 심각한 안전상 문제도 초래된다.In particular, when moving a cargo between a ship and a car in a parked state with a vehicle entering the quay such as a small fishing port or a take-off place, the cargo is usually dragged from the parking lot to the manpower, As the parking stopper acts as an obstacle, the parking stopper is removed or the parking stopper is removed at the time of the first creation of the parking lot. Lt; / RTI >
또한, 도시 과밀화 및 자동차 보급 확대에 따라 주차장 면적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구획된 주차면 이외에 주차장내 차량 이동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실정인데, 주차 스토퍼가 차량의 진행을 차단함으로 인하여, 비어있는 주차면을 상황에 따라 차량 이동로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overcrowding of the vehicle and the spread of the automobile spreads are absolutely insufficient, the vehicle traveling path in the parking lot other than the divided parking surface can not be sufficiently secured. However, due to the parking stopper blocking the progress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rking side can not be utilized as a vehicle traveling path depending on the situation.
즉, 주차선으로 구획된 다수의 주차면이 배열된 주차장에서,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 스토퍼가 차량의 진행을 차단함에 따라 주차면을 종단하여 차량을 이동시키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주차면과 별도로 차량 이동로로 활용되는 부지를 반드시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n a parking lot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artitioned by parking lines are arranged, a parking stop provided on the parking surface interrupts the progress of the vehicle, so that it is hard to move the vehicle by terminating the parking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a site used as a vehicle traveling route must be ensured separately from the parking lo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정면에 급경사 차단입면(11)이 형성된 차단체(10)로 구성되는 주차 스토퍼에 있어서, 차단체(10)의 배면에는 완경사의 등판면(20)이 형성되되, 등판면(20)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차단체(10)의 배면측 하단을 연결하는 완만한 경사면이고, 등판면(20)의 전방측 상단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일치하며, 등판면(20)의 후방측 말단은 지면에 밀착되고,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은 차단체(10) 높이의 1.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s its object to provide a parking stopper comprising a car body (10) having a steeply sloped shut-off elevation surface (11) formed on its front surface, The
또한, 정면에 급경사 차단입면(11)이 형성된 차단체(10)로 구성되는 주차 스토퍼에 있어서, 차단체(10)의 배면에는 급경사 배후입면(17)이 형성되고, 배후입면(17)에는 차단체(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판(23)이 다수 형성되며, 돌출판(23)의 상면에는 완경사의 등판면(20)이 형성되되, 등판면(20)의 전방측 상단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일치하고 등판면(20)의 후방측 말단은 지면에 밀착되며,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은 차단체(10) 높이의 1.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이다.A parking stopper constituted by a
또한, 상기 배면측에 등판면(20)이 형성된 차단체(10)의 전방에는 정면에 차단입면(11)이 형성된 별도의 차단체(10)가 차륜 직경의 0.8배 내지 2배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등판면(20) 형성 후방 차단체(10)의 양단과 전방 차단체(10)의 양단은 측판(27)으로 연결되어, 평면상 전방 차단체(10), 후방 차단체(10) 및 양측 측판(27)으로 폐합된 차륜 포위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이며, 상기 차단체(10)의 일 측단에는 전방측 사선으로 돌출된 전개체(30)가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이다.
In the front of the
본 발명을 통하여, 주차면으로 진입한 차량의 정위치 정차라는 주차 스토퍼 본연의 기능은 충분히 수행하면서도, 스토퍼 배후부에서 진입하는 차량 또는 화물의 원활한 진행을 보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ensuring smooth progress of the vehicle or cargo entering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topper, while sufficiently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arking stopper, namely, stopping the vehicle in the correct position .
또한, 주차면을 차량 이동로로 활용할 수 있어, 주차장 운용상 편의성 확보는 물론, 주차장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parking surface can be utilized as a vehicle moving path, not only the convenience of parking operation can be ensured, but also the parking space can be utilize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4는 오목면 및 볼록면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설명도
도 5는 돌출판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다중 차단체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사용상태 대표단면도
도 8은 경사전개체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시공상태 설명도
도 10은 분리형 등판면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대표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schematic cross-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cave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are formed;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multi-
FIG. 7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representative sec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embodiment of Fig. 8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separable backing surface is applied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이 주차장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동 도면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정면에 급경사 차단입면(11)이 형성된 차단체(10)로 구성되는 주차 스토퍼로서, 배면에는 완만한 경사면인 등판면(20)이 형성되며, 평면상 전후폭이 통상의 주차 스토퍼에 비하여 확대되어 형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rking lot. As in the excerpted enlargement part of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king stopper composed of a
즉, 도 1의 발췌 확대부 및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 스토퍼를 구성하는 차단체(10)의 정면에는 차단입면(11)이 형성되고, 차단체(10)의 배면에는 완경사의 등판면(20)이 형성되되, 등판면(20)은 차단체(10)의 정부(頂部)(12)와 차단체(10)의 배면측 하단을 연결하는 완만한 경사면으로서, 등판면(20)의 전방측 상단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일치하며, 예리하게 형성된 등판면(20)의 후방측 말단은 지면에 밀착된다.2, which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the blocking
차단체(10) 배면측에 형성되는 완경사 등판면(20)은 횡단면상 만곡된 곡선으로 형성되되, 전방측 상단에서의 접선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차단체(10)의 정부(12)와 등판면(20)의 접합부가 평활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W)은 차단체(10) 높이(H)의 1.5배 이상 10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tangential line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is formed horizontall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chain (10) The width W of the transversely facing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W)이 차단체(10) 높이(H)의 1.5배 미만일 경우 등판면(20)에 급경사가 형성되어 후술할 등판면(20)을 경유한 화물의 이동에 제약이 초래될 수 밖에 없으며,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W)이 차단체(10) 높이(H)의 10배를 초과할 경우 등판면(20)의 후방측 말단이 주차선으로 구획된 주차면을 이탈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등판면(20) 폭과 차단체(10) 높이의 비를 설정한다.When the width W of the transversely facing
이렇듯 구성된 본 발명 주차 스토퍼의 차단체(10)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차단체(10)를 상, 하로 관통하는 앵커공(15)이 형성되어 앵커볼트가 체결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주차장 지면에 차단체(10)가 고정되는데, 동 도면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체(10) 정면의 차단입면(11)으로 차량이 진입하여 주차를 시도하는 경우, 차륜이 차단입면(11)에 밀착되면서 차량의 정위치 정지를 유도하는 주차 스토퍼 본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동 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체(10) 배후부에서 화물을 끌어 이동하는 경우, 화물이 완만한 경사면인 등판면(20)을 경유하여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한편, 도 4는 등판면(20)을 형성함에 있어서, 단순한 직선 경사면 또는 단순 만곡면을 적용하지 않고, 등판면(20)의 후방측 부위에는 오목면(21)을 형성하고, 차단체(10)의 정부(12)와 연결되는 등판면(20)의 전방측 부위에는 볼록면(22)을 형성하여, 동 도면의 하부에서와 같이, 이동하는 화물이 일층 용이하게 등판면(20)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즉, 도 4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지면과 접하는 등판면(20)의 말단부에 오목면(21)을 형성하여 해당 부위의 등판면(20) 표면이 횡단면상 이루는 곡선의 외접선이 주차장 지면선과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화물의 등판면(20) 진입시 사실상 경사면이 아닌 수평면으로 진입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후 등판면(20)에 볼록면(22)을 형성하여 등판면(20)과 정부(12)간 연결지점에서도 등판면(20)의 곡선과 정부(12)의 수평면이 횡단상 접선을 이루도록 하여, 이동 화물의 용이하고 안정적인 등판면(20) 진입 및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4, a
도 5는 스토퍼 차단체(10)의 전체 연장에 걸처 동일한 횡단면이 형성되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판(23)을 형성하고, 돌출판(23) 상면에 등판면(20)을 구성함으로써, 주차 스토퍼의 구조적 안정성은 물론 전술한 화물의 등판 이동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자재를 절감하고 전체 스토퍼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즉, 도 5에서와 같이, 차단체(10)의 배면에는 급경사 배후입면(17)이 형성되고, 배후입면(17)에는 차단체(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판(23)이 다수 형성되며, 돌출판(23)의 상면에는 완경사의 등판면(20)이 형성되되, 등판면(20)의 전방측 상단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일치하고 등판면(20)의 예리한 후방측 말단은 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5, a steeply inclined
이러한 돌출판(23) 적용 실시예에 있어서도,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은 차단체(10) 높이의 1.5배 이상 10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is embodiment of the
한편, 도 6 및 도 7은 한쌍의 차단체(10)를 평면상 전후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이들 한쌍의 차단체(10) 양측 말단을 측판(27)을 통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평면상 폐합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a pair of
즉, 도 6에서와 같이, 배면측에 등판면(20)이 형성된 차단체(10)의 전방에는 정면에 차단입면(11)이 형성된 별도의 차단체(10)가 주차 대상 차량 차륜 직경의 0.8배 내지 2배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등판면(20) 형성 후방 차단체(10)의 양단과 전방 차단체(10)의 양단은 측판(27)으로 연결되어, 평면상 전방에 위치한 차단체(10), 후방에 위치한 차단체(1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양측 측판(27)으로 폐합된 차륜 포위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6, in the front of th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체(10) 및 측판(27)의 저면에는 배수홈(29)을 형성하여, 우천시 강수가 전술한 차륜 포위 공간에 저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6,
따라서, 일반적인 주차 상황에서는 차륜이 전방측 차단체(10)의 차단입면(11)에 밀착되면서 차량이 정지되며, 차량이 과속으로 진입하는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설령 차륜이 전방 차단체(10)를 넘어 통과하더라도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후방 차단체(10)에 의하여 차륜의 주행이 차단될 수 있다.Therefore, in a general parking situation,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the wheel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hut-off
이러한 본 발명의 2열 차단체(10)는 단순히 차단체(10)를 반복 배치함에 그 의의가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평면상 차단체(10) 및 측판(27)으로 폐합 구성된 차륜 포위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가속거리를 제한함에 그 의의가 있는 것으로, 일단 차륜 포위 공간에 차륜이 포착된 상태에서는 가속거리의 제한으로 인하여 제한된 엔진출력으로 충분한 추력이 생성될 수 없는 바, 주행 관성에 힘입어 차량의 차륜이 설령 전방 차단체(10)를 넘어 통과한다 하여도, 이후 현격히 감속된 상태에서 후방측 차단체(10)를 재차 넘을 수는 없으며, 전방 차단체(10)와 후방 차단체(10)간 제한된 공간내에서는 가속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으므로, 후방 차단체(10)의 통과가 극히 어려운 것이다.The two-
이러한, 차륜 포위 공간의 조성 및 차륜 포착을 통하여, 운전자가 주차 스토퍼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과속으로 주차면에 진입하는 경우에도 차량이 주차면을 이탈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부두 주차장 등 수변(水邊) 주차장이나, 야간 주차시 안전확보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Such a construction of a space surrounded by a wheel and the detection of a wheel can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vehicle leaves the parking surface even when the driver enters the parking surface at a high speed without recognizing the parking stopper. I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securing the waterfront parking lot and the safety of parking at night.
도 8 및 도 9는 차단체(10)의 일 측단에 평면상 전방측 사선으로 돌출되는 전개체(30)를 접합 구성하여, 주차선으로 구획된 주차면을 차량이 과도하게 이탈하여 진입하는 경우에도 차륜을 차단체(10) 측으로 유도하여 정위치 정차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Figs. 8 and 9 show an example in which a
즉, 차륜이 주차면의 중심부에 위치할 정도로 차량이 정위치를 이탈하여 진입하는 경우에도, 차륜이 일단 전개체(30)에 접촉되면서 평면상 사선으로 유도되어 결국 차단체(10) 측으로 차륜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even when the vehicle moves away from the correct position to the extent that the wheel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arking surface, the wheel is once in contact with the
한편, 도 10은 등판면(20)을 분리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렇듯 차단입면(11) 형성 부위와 등판면(20) 형성 부위를 분할하여 구성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시공함으로써, 배후에 벽체가 인접한 주차면 등 등판면(20)이 불필요한 지점에서는 등판면(20)이 구성되지 않은 차단체(10)를 시공하는 등 지점별로 등판면(20) 구성 여부를 선택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주차 스토퍼에 등판면(20)만을 추가하여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10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10 : 차단체
11 : 차단입면
12 : 정부
15 : 앵커공
17 : 배후입면
20 : 등판면
21 : 오목면
22 : 볼록면
23 : 돌출판
27 : 측판
29 : 배수홈
30 : 전개체10: Tea group
11: Blocking elevation
12: Government
15: Anchor ball
17: rear elevation
20: back plate side
21: concave surface
22: convex surface
23: Stone Publishing
27: shroud
29: drainage groove
30: All objects
Claims (4)
차단체(10)의 배면에는 화물을 끌어 이동하기 위한 완경사의 등판면(20)이 형성되되, 등판면(20)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차단체(10)의 배면측 하단을 연결하는 완만한 경사면이고;
등판면(20)의 전방측 상단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일치하며, 등판면(20)의 후방측 말단은 지면에 밀착되고;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은 차단체(10) 높이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
A parking stopper comprising a car body (10) having a steeply sloping shut-off elevation surface (11) formed on its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20 of the car body 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r body 10 and the back surface side 20 of the car body 10, A gentle slope connecting the bottom;
The front upper end of the backing surface 20 coincides with the upper portion 12 of the carbody 10 and the rear end of the backing surfac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rein a width of the transversely facing surface (20) of the car body (10) is at least twice the height of the car body (10).
차단체(10)의 배면에는 급경사 배후입면(17)이 형성되고, 배후입면(17)에는 차단체(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판(23)이 다수 형성되며;
돌출판(23)의 상면에는 화물을 끌어 이동하기 위한 완경사의 등판면(20)이 형성되되, 등판면(20)의 전방측 상단은 차단체(10)의 정부(12)와 일치하고 등판면(20)의 후방측 말단은 지면에 밀착되며;
차단체(10)의 횡단면상 등판면(20)의 폭은 차단체(10) 높이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
A parking stopper comprising a car body (10) having a steeply sloping shut-off elevation surface (11) formed on its front surface,
A steeply inclined rear elevation surface 17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0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jections 23 protruding rearward of the vehicle body 10 are formed on the rear elevation surface 17;
The back side upper end of the back side plate 20 coincides with the upper side 12 of the car body 10 and the back side upper surface of the back side plate 20 coincides with the back side surface 12 of the car body 10,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rein a width of the transversely facing surface (20) of the car body (10) is at least twice the height of the car body (10).
배면측에 등판면(20)이 형성된 차단체(10)의 전방에는 정면에 차단입면(11)이 형성된 별도의 차단체(10)가 차륜 직경의 0.8배 내지 2배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등판면(20) 형성 후방 차단체(10)의 양단과 전방 차단체(10)의 양단은 측판(27)으로 연결되어, 평면상 전방 차단체(10), 후방 차단체(10) 및 양측 측판(27)으로 폐합된 차륜 포위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eparate carbody 10 having a blocking face 11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car body 10 on which the back side 20 is formed is spaced apart from the wheel by a distance of 0.8 to 2 times the wheel diameter ;
Both ends of the rear vehicle body 10 forming the backing surface 20 and both ends of the front vehicle body 10 are connected by a side plate 27 so that the front vehicle body 10, the rear vehicle body 10, And a wheel surrounding space formed by the side plate (27) is formed.
차단체(10)의 일 측단에는 전방측 사선으로 돌출된 전개체(30)가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경사 배면 주차 스토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10) is joined to an entire body (30) protruded by a forward slant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846A KR101705087B1 (en) | 2016-03-31 | 2016-03-31 | Gentle back slope type parking stop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846A KR101705087B1 (en) | 2016-03-31 | 2016-03-31 | Gentle back slope type parking stopp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5087B1 true KR101705087B1 (en) | 2017-02-14 |
Family
ID=5812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9846A Active KR101705087B1 (en) | 2016-03-31 | 2016-03-31 | Gentle back slope type parking stop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508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609A (en) * | 2017-05-05 | 2020-01-15 |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77357A (en) * | 1995-12-25 | 1997-07-08 | Naigai Tekunika Kk | Wheel positioning device for parking space |
KR200225823Y1 (en) * | 2000-12-27 | 2001-06-01 | 신도산업주식회사 | Parking block for car |
KR200350748Y1 (en) * | 2004-02-19 | 2004-05-13 | 아이월드 주식회사 | Car Stopper To Keep Off Pushing |
KR20110008096U (en) * | 2010-02-09 | 2011-08-18 | 김육봉 | Parking block |
-
2016
- 2016-03-31 KR KR1020160039846A patent/KR1017050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77357A (en) * | 1995-12-25 | 1997-07-08 | Naigai Tekunika Kk | Wheel positioning device for parking space |
KR200225823Y1 (en) * | 2000-12-27 | 2001-06-01 | 신도산업주식회사 | Parking block for car |
KR200350748Y1 (en) * | 2004-02-19 | 2004-05-13 | 아이월드 주식회사 | Car Stopper To Keep Off Pushing |
KR20110008096U (en) * | 2010-02-09 | 2011-08-18 | 김육봉 | Parking bloc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609A (en) * | 2017-05-05 | 2020-01-15 |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61010A (en) | Concrete block | |
US20070258764A1 (en) | One-way speed bump | |
US5080397A (en) | Vehicle tire water spray control system | |
KR101705087B1 (en) | Gentle back slope type parking stopper | |
US3459280A (en) | Boundary barrier | |
CN105672168A (en) | Automobile stopping system | |
JP6275913B1 (en) | Vehicle forced stop device | |
US3844538A (en) | Highway guard trap device | |
US1551556A (en) | Safety-zone guard | |
CN207062802U (en) | A kind of road surface deceleration strip | |
KR101213075B1 (en) | Bending joint type low profile movable barrier | |
JP3128292U (en) | Parking stopper | |
EP0149665B1 (en) | Water spray control for vehicle wheels | |
US20110164922A1 (en) | Roadway marker and reflector guard | |
JP6993856B2 (en) | Reverse run prevention structure | |
KR200234778Y1 (en) | Barricade preventing car overspeeding | |
JP4112565B2 (en) | A mat with ridges to warn automobiles of entering the road entry prohibited area | |
KR100662543B1 (en) | Bus lane | |
KR200357085Y1 (en) | Protection apparatus for road | |
JP3102142U (en) | Car stop | |
KR20090026235A (en) | Lane Regulation Block | |
JP3829247B1 (en) | Car stop seat | |
KR20080004292U (en) | Parking position guidance device on the parking surface | |
KR101437776B1 (en) | Snow Flip The Snow Plow | |
CA1214348A (en) | Concrete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3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