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76B1 - Connector Apparatus having Damage Preven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Connector Apparatus having Damage Preven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5076B1 KR101705076B1 KR1020150078360A KR20150078360A KR101705076B1 KR 101705076 B1 KR101705076 B1 KR 101705076B1 KR 1020150078360 A KR1020150078360 A KR 1020150078360A KR 20150078360 A KR20150078360 A KR 20150078360A KR 101705076 B1 KR101705076 B1 KR 101705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terminal
- reinforcing
- tight contact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베이스의 단부에 제 1 보강부가 결합되고, 제 2 베이스의 단부에 제 2 보강부가 결합되므로, 제 1 베이스와 제 2 베이스가 결합될 때, 제 1 베이스의 단부와 제 2 베이스의 단부가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되며, 이에 따라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의 단부 또는 제 2 베이스의 단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은 제 1 베이스와 제 2 베이스에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 및 제 2 터미널의 전체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전체 높이 또한 줄어들게 되어, 커넥터를 저배화 하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base,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re coupled The end of the first base and the end of the second base are firmly pro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portions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base or the end of the second base, There is no effect.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insert molding method i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so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n be shortened,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lower the thickness of the conn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의 결합 과정에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의 단부 또는 제 2 베이스의 단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제품의 저배화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for enabling a low product of a product.
각종 전기, 전자기기는 갈수록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카메라 등의 분야에서는 다기능화를 위한 소형화, 박형화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전기, 전자장비는 내부에 PCB 회로 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기, 전자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소형화, 박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기판과 기판 간을 접속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가 개발되어 왔으나, 구성이 다수 필요하여 제조가 복잡하고, 결합력이 약해 커넥터의 접속이 차단 또는 불안정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smaller, thinner, lighter, and multifunctional. In the field of smart phones, notebooks, and cameras, there is a great need for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for versatility. Such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includes a PCB circuit board and a variety of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se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 Various board-to-board (B-to-B) connectors have been developed to connect between a substrate and a substrate.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ar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connector, .
도 1은 종래 기판과 기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BtoB 커넥터는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로 구성되며, 수커넥터(10)가 암커넥터(20)에 끼워짐으로써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ard to board (BtoB) connector for connecting a conventional substrate to a substrate.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B-to-B connector includes a
이러한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는 일단 삽입되어 체결된 후에는, 결합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외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터미널(12, 14)에 상호 마주보며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이 부분이 탄성에 의해 상호 넘어서면서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력이 생성되도록 한다.Once the
그러나 이러한 결합의 경우 터미널(12, 14)은 금속의 탄성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도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탄성적으로 재차 변형되면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약간의 충격이나 낙하시에 암수 커넥터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맞물리는 돌기의 크기나 형상을 좀 더 급격하게 변형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 및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동작을 유발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결합 자체가 매우 힘들어지며, 결합 또는 분리시에 변형,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ossible to deform the size and shape of the engaged protrusions more sharply so as to induce more rigid coupling, impact, and noise generating operation. In this case, however, the coupling itself becomes very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breakag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410호를 참조하면, 소켓과 헤더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소켓과 헤더에 각각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결합부재가 소켓과 헤더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6410 discloses a connector having a socket and a header, in which a coupling member is provided in each of a socket and a header, .
도 2는 종래 소켓과 헤더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켓(60)은 소켓용 베이스(62)와, 소켓용 베이스(62)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소켓용 콘텍트(64)와, 소켓용 베이스(62)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소켓용 결합부재(66)를 포함한다. 그리고 헤더(50)는 소켓용 베이스(62)에 삽입되는 헤더용 베이스(52)와, 헤더용 베이스(52)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헤더용 콘텍트(54)와, 헤더용 베이스(52)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헤더용 결합부재(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소켓용 베이스(62)와 헤더용 베이스(52)가 결합될 때, 소켓용 콘텍트(64)와 헤더용 콘텍트(54)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켓용 결합부재(66)와 헤더용 결합부재(56)가 상호 결합된다. 이때, 헤더용 결합부재(56)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양 단부에 돌출부(56a)가 형성되고, 소켓용 결합부재(66)는 헤더용 결합부재(56)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56a)와 대향되는 위치에 돌출부(56a)와 결합되는 유지부(6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60)에 헤더(50)가 결합될 때, 헤더용 결합부재(56)가 탄성 변형되면서 소켓용 결합부재(66)로 삽입된 후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때, 돌출부(56a)와 유지부(66a)가 상호 끼움 결합된다.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nector having a conventional socket and a header. 2, the
그러나 이러한 헤더용 결합부재(56) 및 소켓용 결합부재(66)는 헤더용 베이스(52)의 양 단부 및 소켓용 결합부재(66)의 양 단부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없어, 작업자가 실수로 헤더용 베이스(52)를 소켓용 베이스(62)의 정 위치가 아닌, 약간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을 시도할 경우, 헤더용 베이스(52)의 단부 및 소켓용 베이스(62)의 단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또한, 전자기기가 박형화 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기판과 기판을 결합시키는 커넥터에 대한 저배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데, 종래 커넥터는 소켓용 콘텍트(64)가 소켓용 베이스(62)에 끼움 결합되는바, 이들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요구되어, 커넥터를 저배화 하기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As the thickness of the electronic apparatus is reduced,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lowering the thickness of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board of the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board.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th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의 결합 과정에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의 단부 또는 제 2 베이스의 단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which can prevent breakage of an end of a first base or an end of a second base, And a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저배화를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that allows easy implementation of a low-cost produ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부에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제 1 보강부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상기 제 1 베이스가 삽입되도록 그 상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 상기 제 1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제 2 터미널과,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갖는 리셉터클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에 보강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보강부에서 상기 제 2 보강부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에서 상기 제 1 보강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ug connector comprising: a plug connector having a first base, a first terminal arranged at least one below the first base, and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coupled to cover both ends of the first base; A second base on which an inser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rst base is inserted, a second terminal arranged on the second base so as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coupl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wherein a reinforcement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or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nd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reinforcing portion or protrudes from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toward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1 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측에 밀착되는 보강판부와, 상기 보강판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테두리를 덮도록 절곡되는 외측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밀착부에 상기 보강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plate portion closely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base facing the second base; and an outer tightening portion bent to cover the rim of the first base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nd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tight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측은, 한 쌍의 상기 보강판부가 안내되도록 그 양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강안내부와, 상기 보강안내부의 일측에 상기 보강안내부보다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격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se facing the second base includes a pair of reinforcing guide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guide portion so that a pair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s are guided, And a spacing guide portion formed so as to be protruded more convex tha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또한, 상기 외측밀착부는, 상기 보강판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외측밀착부와, 상기 보강판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사이의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외측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outer tight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base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s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between the longitudinally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first base And a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에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안내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guide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외측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first outside guide portion is conca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guide the first external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제 1 외측밀착부가 상기 제 1 외측안내부로 안내될 때,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의 일측에는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1 외측안내부의 내측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When the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is guided to the first outer guiding portion, a press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inner side of the first outer guiding portion.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 2 외측밀착부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사이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외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제 2 외측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외측안내부에는 상호 인접한 상기 제 2 외측밀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분리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A second outer guide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between the longitudinally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first base to guide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The second outer gu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guide portion And a separating protrusion is formed to be protruded from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adjacent second outside closely adhered parts.
또한,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삽입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베이스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ng portion of the second base. When the first bas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outer tightening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a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nd a connector for preventing breakage of the connector.
또한,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에서 상기 제 1 내측밀착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내측밀착부는 상기 보강결합부와 가까워지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toward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has elasticity so as to be close to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Device.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 사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내측과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을 일체로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의 상측을 지나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base may include a first sidewall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base is inserted along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first base and a second sidewall portion formed along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idewall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Wherein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nector device having such a connector.
또한, 상기 제 1 측벽부에는 상기 제 1 내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내측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부에는 상기 제 2 내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내측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sidewall portion may have a first inner guide portion recessed to guide the first inner close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inner guide portion formed concavely to guide the second inner close contact portion on the second sidewall portion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절곡되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3 연결부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상호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3 연결부가 안내되도록 결합안내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a third connection part ben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protrude downward from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And a coupling guide rib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corner so that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guided.
또한,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삽입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베이스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내측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 base, and when the first bas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an inner tight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또한, 상기 외측밀착부와 상기 내측밀착부의 폭은 상기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2 터미널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밀착부와 상기 내측밀착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width of the out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inner tight contac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he out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re closely conta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electrically energized.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터미널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내입단자; 및 상기 제 1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상기 제 1 터미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내입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내입단자; 및 상기 제 2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base and provided in the second terminal direction; And a first protruding terminal extending from the first inside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the second terminal being received in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base so as to face the first terminal A second inner lead terminal to which the first inner lead terminal is fitted; And a second protruding terminal extending from the second inside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se.
또한, 상기 제 2 내입단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절곡되는 제 3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internal terminal includes: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terminal;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terminal,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 distal end of the first round portion; an exten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rotrusion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A second round portion which is bent upward while being rounded in a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 third round portion which is bent while being roun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t the tip of the second round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round portions, wherein the first inside terminal includes: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rotruding terminal Is formed projecting in the direction extending por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and the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끼움돌출부와,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라운드부와, 상기 지지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닿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끼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internal terminal includes: a first fitting projection projecting downwardly to abut the contact portion at an end of the first projection terminal; and a second fitting projec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tting projec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fitting projection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upward to abut the second protrusion at a front end of the supporting round portion.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do.
또한, 상기 제 2 끼움돌출부에는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convex or concav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econd projection to engag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Lt; / RTI >
또한, 상기 지지라운드부는 상기 연장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support roun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nded portion.
또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Further, the first terminal is molded into the first base by an insert molding method, or the second terminal is molded into the second base by an insert molding method, thereby providing a connector device with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
본 발명은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제 1 베이스와 제 2 베이스에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 및 제 2 터미널의 전체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전체 높이 또한 줄어들게 되어, 커넥터를 저배화 하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by the insert molding method so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n be shortened, The height is also reduced, so that it is easy to lower the thickness of the connector.
또한, 제 1 베이스의 단부에 제 1 보강부가 결합되고, 제 2 베이스의 단부에 제 2 보강부가 결합되므로, 제 1 베이스와 제 2 베이스가 결합될 때, 제 1 베이스의 단부와 제 2 베이스의 단부가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실수로 제 1 베이스를 제 2 베이스의 정 위치가 아닌, 약간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을 시도한다 하더라도, 사출 성형 과정에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의 단부 또는 제 2 베이스의 단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base, whe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re engaged, The end portion is firmly protected by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so that even if the operator inadvertently tries to join the first base at a slightly oblique angle instead of the correct position of the second b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d of the first base or the end of the second base formed as a weak structure is not broken.
또한, 제 1 보강부에는 제 1 베이스의 제 1 모서리부 방향으로 보강안내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보강안내돌출부가 제 1 베이스의 취약 부분인 제 1 모서리부를 견고하게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guide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rner of the first base, so that the reinforcing guide protrusion securely protects the first corner portion, which is a fragile portion of the first base.
또한, 제 1 보강부의 제 1 외측밀착부와 제 2 보강부의 제 1 내측밀착부 및 제 1 보강부의 제 2 외측밀착부와 제 2 보강부의 제 2 내측밀착부는 상호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되, 제 1 터미널 및 제 2 터미널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대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allow current to flow therethroug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so that a large current can flow.
또한, 제 1 베이스와 제 2 베이스가 상호 결합되어 제 1 베이스의 보강안내부와 이격가이드부가 제 2 베이스의 삽입부로 삽입될 때, 제 1 베이스의 보강안내부는 구조적으로 제 2 베이스와 이격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베이스의 보강안내부에 강한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취약 부분인 제 1 베이스의 보강안내부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re mutually coupled so that the reinforcing guide portion of the first base and the spacing guide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 base, the reinforcing guide portion of the first base is structurally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ase Therefore, a strong impact is not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guide portion of the first base, and therefore, the reinforcing guide portion of the first base, which is a fragile portion, is safely protected.
또한, 제 1 베이스와 제 2 베이스가 상호 결합되어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결합될 때, 제 1 터미널의 제 1 걸림부가 제 2 터미널의 제 2 걸림부로 안내되므로, 제 1 터미널이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정위치로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bas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upl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latching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guided to the second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guided to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turning in the direction.
도 1은 종래 기판과 기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소켓과 헤더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단부에 제 1 보강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제 1 외측안내부에 제 1 보강부의 가압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에 제 2 보강부가 각각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3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가 제 2 베이스에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3의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에 구비되는 이격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터미널과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될 때,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ard to board (BtoB) connector for connecting a conventional substrate to a substrate.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nector having a conventional socket and a header.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ug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an end of a first bas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ressing portion of a first reinforc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first outside guide portion of a first bas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reinforcing part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base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se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base at an oblique angl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acing guide portion provided in a first bas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terminal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erminal provided in a plug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nd a second terminal provid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coup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re in electrical contact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to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plug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70)는 예를 들면 제 1 기판(미도시)과 제 2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기판과 결합되는 플러그커넥터(100)와, 제 2 기판과 결합되되 상기 플러그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커넥터(200)를 포함한다.3 and 4, a
플러그커넥터(100)는 제 1 베이스(110)와,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터미널(120)과,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130)를 포함한다.The
제 1 베이스(110)는 리셉터클커넥터(200)의 후술하는 제 2 베이스(210)에 삽입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 1 터미널(12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제 2 터미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열, 예를 들면 2열이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병렬로 배열된 제 1 터미널(120)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제 1 보강부(130)는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 등의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 1 베이스(110)의 형상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이들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한다. 상기 제 1 보강부(130)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reinforcin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강부(130)는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제 2 베이스(210)와 마주보는 제 1 베이스(110)의 하측 단부를 덮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보강판부(132)와, 보강판부(132)의 양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 1 외측밀착부(134)와, 보강판부(132)의 양측 사이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외측밀착부(1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외측밀착부(134) 또는 제 2 외측밀착부(136)에는 보강결합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결합부(135)는 예를 들면 제 1 외측밀착부(134)에서 후술하는 제 1 내측밀착부(232: 도 11 도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외측밀착부(136)는 복수 개, 예를 들면 2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 2 외측밀착부(136) 중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 측부와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외측밀착부(136)에는 제 2 외측밀착부(136)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안내돌출부(1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5, the first reinforcing
이하, 제 1 보강부(130)와 제 1 베이스(110)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단부에 제 1 보강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an end of a first bas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하측에 후술하는 제 2 베이스(210)와 결합되기 위한 삽입홈(110a)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그리고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제 1 보강부(130)가 위치되기 위하여, 보강안내부(112), 안내측부(115), 제 1 외측안내부(116) 및 제 2 외측안내부(117)를 포함하며, 분리돌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보강안내부(112)는 제 1 보강부(130)의 보강판부(132)가 위치되도록 제 2 베이스(210)와 마주보는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어, 제 1 보강부(130)의 보강판부(132)가 보강안내부(112)로 용이하게 안내된다. 안내측부(115)는 제 1 베이스(110)의 양측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강안내부(112)의 양측에서 그 상부로 연장된다. 제 1 외측안내부(116)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가 안내되도록 제 1 베이스(110)의 안내측부(115)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 1 외측밀착부(134)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외측안내부(117)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2 외측밀착부(136)가 안내되도록 제 1 베이스(110)의 안내측부(115) 사이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외측안내부(117)와 안내측부(115)의 경계 부분에 제 1 모서리부(119)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외측밀착부(136)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외측안내부(117)에는 상호 인접한 제 2 외측밀착부(136)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분리돌부(11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가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외측안내부(116)에 가이드되고, 제 1 보강부(130)의 제 2 외측밀착부(136)가 제 1 베이스(110)의 분리돌부(118)에 가이드되므로, 제 1 보강부(130)가 제 1 베이스(110)에 결합될 때, 제 1 베이스(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reinforcing
제 1 보강부(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보강부(130)의 보강판부(132)는 제 2 베이스(210)와 마주보는 제 1 베이스(110)의 하측 단부를 덮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는 보강판부(132)에서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보호하게 되고, 제 1 보강부(130)의 제 2 외측밀착부(136)는 보강판부(132)에서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측 사이의 단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 1 베이스(110)의 양측 사이의 단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제 2 외측밀착부(136)에는 제 1 베이스(110)의 제 1 모서리부(119)와 가까이 위치되도록 제 1 모서리부(119)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안내돌출부(1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안내돌출부(137)는 하기 도 1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가압부(134a)는 하기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reinforcin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제 1 외측안내부에 제 1 보강부의 가압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ressing portion of a first reinforc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first outside guide portion of a first bas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외측안내부(116)에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가 삽입될 때, 제 1 외측밀착부(134)에는 제 1 외측안내부(116)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부(134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보강부(130)의 외측밀착부가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외측안내부(116)에 삽입될 때, 외측밀착부의 가압부(134a)가 제 1 외측안내부(116)의 내측을 가압하게 되어, 제 1 보강부(130)의 외측밀착부가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외측안내부(116)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7, when the first outer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터미널(120)은 제 1 베이스(11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터미널(120)은 제 1 베이스(110)의 상측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126)와, 제 1 베이스(110)의 상측과 인접한 제 1 돌출단자(126)의 단부에서 제 1 베이스(110)의 하부로 내입되는 제 1 내입단자(121)를 포함한다. 제 1 내입단자(121)는 전체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돌출단자(126)의 단부에서 제 1 베이스(110)를 관통한 후 삽입홈(110a)의 내측을 따라 제 1 베이스(11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끼움돌출부(122)와, 제 1 끼움돌출부(122)의 하단에서 제 1 끼움돌출부(1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라운드부(123)와, 지지라운드부(123)의 선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 1 끼움돌출부(122)와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제 1 베이스(110)의 삽입홈(110a)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2 끼움돌출부(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끼움돌출부(124)에는 제 1 걸림부(124a)가 돌출 형성되어, 제 1 내입단자(121)가 후술하는 리셉터클커넥터(200: 도 9 도시)의 제 2 터미널(220: 도 9 도시)에 걸림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한편, 제 1 터미널(120) 및 후술하는 제 2 터미널(220)은 각각 제 1 베이스(110) 및 제 2 베이스(21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 공법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을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에 성형하게 되면, 제 2 베이스(210)의 높이를 기존보다 낮출 수 있어, 제품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하기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FIG. 10 is a cross-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is disassembl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리셉터클커넥터(200)는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제 2 베이스(210)와,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220)과,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보강부(230)를 포함한다.9 and 10, the
제 2 베이스(210)는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부(211)가 형성된다. 이때, 제 2 베이스(210)의 한 쌍의 삽입부(211) 사이의 공간은 제 1 베이스(110)의 삽입홈(110a: 도 6 도시)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부(210a)가 돌출 형성된다.The
제 2 터미널(220)은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터미널(120)과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 2 터미널(220)은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병렬로 배열된 제 2 터미널(220)은 2개의 열을 이루어,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2 터미널(220)은 하기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제 2 보강부(230)는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 1 보강부(130)와 결합되어, 이들 제 1, 2 베이스(110, 210)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한편, 견고한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삽입될 때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러한 제 2 보강부(230)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second reinforcing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보강부(230)는 제 1 보강부(130)와 마주보는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의 양 단부 내측을 보호하는 것으로, 연결부(236), 제 1 내측밀착부(232) 및 제 2 내측밀착부(234)를 포함한다. 연결부(236)는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를 둘러싼 측부 즉, 후술하는 제 1 측벽부(212: 도 12 도시)와 제 2 측벽부(214: 도 12 도시)를 커버하도록 전반적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 1 측벽부(212)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1 연결부(236a)와, 제 2 측벽부(214)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한 쌍의 제 1 연결부(236a) 사이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 2 연결부(236b)와, 제 2 연결부(236b)의 양 단부에서 제 1 연결부(236a)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3 연결부(236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연결부(236a)와 제 2 연결부(236b)는 제 3 연결부(236c)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내측밀착부(232)는 한 쌍의 제 1 연결부(236a)와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그 상측은 제 1 연결부(236a)와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제 2 내측밀착부(234)는 제 2 연결부(236b)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며 그 상측은 제 2 연결부(236b)와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내측밀착부(234)는 상술한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의 개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11, the second reinforcing
이하, 제 2 보강부(230)와 제 2 베이스(210)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에 제 2 보강부가 각각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2 and 1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base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부(211)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베이스(110)의 단부와 마주보는 삽입부(211)의 내주연 단부에는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측벽부(212)와,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측 사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측벽부(214)가 구비된다. 제 1 측벽부(212)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 2 측벽부(214)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2 외측밀착부(136)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측벽부(212)와 제 2 측벽부(214) 사이의 경계에는 제 2 모서리부(217)가 구비된다.12 and 13, a pair of
그리고 제 2 보강부(230)가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에 결합될 때, 제 2 보강부(230)의 제 1 연결부(236a)가 제 1 측벽부(212)의 외측을 덮도록 위치되고, 제 2 보강부(230)의 제 2 연결부(236b)가 제 2 측벽부(214)의 외측을 덮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보강부(230)의 제 1 내측밀착부(232)는 제 1 측벽부(212)의 내측을 덮도록 위치되어, 제 1 내측밀착부(232)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보강부(230)의 제 2 내측밀착부(234)는 제 2 측벽부(214)의 내측을 덮도록 위치되어, 제 2 내측밀착부(234)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2 외측밀착부(136)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When the second reinforcing
한편, 제 2 보강부(230)의 제 1 내측밀착부(232)가 제 2 베이스(210)의 제 1 측벽부(212)의 내측에 위치될 때, 제 2 베이스(210)의 제 1 측벽부(212)의 내측에는 제 1 내측밀착부(232)를 안내하도록 오목하게 제 1 내측안내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보강부(230)의 제 2 내측밀착부(234)가 제 2 베이스(210)의 제 2 측벽부(214)의 내측에 위치될 때, 제 2 베이스(210)의 제 2 측벽부(214)의 내측에는 제 2 내측밀착부(234)를 안내하도록 오목하게 제 2 내측안내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측벽부(212)와 제 2 측벽부(214)의 상호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제 2 보강부(230)의 제 3 연결부(236c)가 안내되도록 결합안내리브(2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inner
이처럼 제 2 베이스(210)에 제 2 보강부(230)가 결합될 때, 제 2 베이스(210)에는 제 1, 2 내측안내부(213, 215) 및 결합안내리브(216)가 구비되므로, 제 2 보강부(230)는 이들 제 1, 2 내측안내부(213, 215) 및 결합안내리브(216)에 안내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second reinforcing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3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FIG. 15 is a cross- Fig.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가 결합되면,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제 2 베이스(210)의 한 쌍의 삽입부(211)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베이스(110)에 구비된 제 1 보강부(130)의 제 1, 2 외측밀착부(134, 136)가 제 2 보강부(230)의 제 1, 2 내측밀착부(232, 234)에 맞닿게 되어,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는 제 1 보강부(1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되고,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는 제 2 보강부(2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실수로 제 1 베이스(110)를 제 2 베이스(210)의 정 위치가 아닌, 약간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을 시도한다 하더라도,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는 제 1 보강부(130)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고, 제 2 베이스(210)의 양 단부는 제 2 보강부(230)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으므로, 사출 성형 과정에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110)의 단부 또는 제 2 베이스(210)의 단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14 and 15, when the
한편,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에는 보강결합부(135)가 형성되고, 제 2 보강부(230)의 제 1 내측밀착부(232)는 보강결합부(135)와 가까워지도록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보강부(130)가 제 2 보강부(230)에 삽입되면, 제 2 보강부(230)의 제 1 내측밀착부(232)가 제 1 보강부(130)의 보강결합부(135)를 가압하게 되어, 제 1 보강부(130)는 제 2 보강부(230)에서 잘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The reinforc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결합부(135)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제 2 보강부(230)에 보강결합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강결합부는 제 2 보강부(230)의 제 1 내측밀착부(232)에서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4)는 상기 보강결합부를 가압하게 되어, 제 1 보강부(130)는 제 2 보강부(230)에서 잘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Als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에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3의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가 결합되면,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제 2 베이스(210)의 한 쌍의 삽입부(211)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베이스(110)에 구비된 제 1 보강부(130)의 제 1, 2 외측밀착부(134, 136)가 제 2 보강부(130)의 제 1, 2 내측밀착부(232, 234)에 맞닿게 되어,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는 제 1 보강부(1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되고,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는 제 2 보강부(2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실수로 제 1 베이스(110)를 제 2 베이스(210)의 정 위치가 아닌, 약간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을 시도한다 하더라도,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는 제 1 보강부(130)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고, 제 2 베이스(210)의 양 단부는 제 2 보강부(230)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으므로, 사출 성형 과정에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110)의 단부 또는 제 2 베이스(210)의 단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16 and 17, when the
또한, 제 2 외측밀착부(136)에는 제 1 베이스(110)의 제 1 모서리부(119)와 가까이 위치되도록 제 1 모서리부(119)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안내돌출부(137)가 더 구비되어, 제 1 보강부(130)가 제 1 베이스(110)의 제 1 모서리부(119)를 견고하게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e second outer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에 구비되는 이격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acing guide portion provided in a first bas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의 하측에는 삽입홈(110a)이 형성되고, 삽입홈(110a)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보강안내부(112)가 형성되는데, 보강안내부(112)의 일측 즉, 삽입홈(110a)의 길이방향 양 단부와 보강안내부(112) 사이에 이격가이드부(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격가이드부(114)는 보강안내부(112)보다 볼록하게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가 상호 결합되어 제 1 베이스(110)의 보강안내부(112)와 이격가이드부(114)가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로 삽입될 때, 제 1 베이스(110)의 이격가이드부(114)는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의 저면과 맞닿는 반면, 제 1 베이스(110)의 보강안내부(112)는 이격가이드부(114)의 높이 차(d)에 의하여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의 저면에서 그 상부로 이격된다. 이처럼 제 1 베이스(110)의 보강안내부(112)는 구조적으로 제 2 베이스(210)와 이격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 1 베이스(110)의 보강안내부(112)에 강한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가 상호 결합될 때, 취약 부분인 제 1 베이스(110)의 보강안내부(112)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18, an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terminal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와 마주보는 제 2 베이스(210)의 상면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출부(210a)가 돌출 형성되며, 결합돌출부(210a)의 양 단부는 제 2 베이스(210)의 양 단부에 구비된 삽입부(211)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돌출부(210a)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내입단자(221)가 내입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결합돌출부(210a)의 길이방향 양측과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호 이격되고 이들 사이 공간에 삽입공간부(210c)가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돌출부(210a)의 길이방향 양측와 마주보는 삽입공간부(210c)의 일측에 오목하게 제 1 단자공간부(210b)가 형성되고,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측과 마주보는 삽입공간부(210c)의 타측에 제 2 단자공간부(210d)가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19, an engaging
제 2 터미널(220)은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는 것으로, 각각의 제 2 터미널(220)은 제 2 베이스(210)의 하측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229)와, 제 2 돌출단자(229)의 단부에 연결되되 제 2 베이스(210)의 제 2 단자공간부(210d)를 통하여 삽입공간부(210c)로 연장되는 제 2 내입단자(221)를 포함한다. 제 2 돌출단자(229)는 일측은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하측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제 2 베이스(210)의 제 2 단자공간부(210d)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내입단자(221)는 제 2 베이스(210)의 제 2 단자공간부(210d)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돌출단자(229)의 타측에서 제 2 단자공간부(210d)부(210d)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222)와, 제 1 돌출부(222)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돌출부(2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223)와, 상기 제 1 라운드부(223)의 선단부에서 삽입공간부(210c)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224)와, 상기 제 2 돌출부(224)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224)와 멀어지는 방향 즉, 제 1 단자공간부(210b)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5)와, 상기 연장부(225)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22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2 라운드부(226)와, 상기 제 2 라운드부(226)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224)와 멀어지는 방향 즉, 제 1 단자공간부(210b)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절곡되는 제 3 라운드부(228)와, 상기 제 2 라운드부(226)와 상기 제 3 라운드부(228)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부(227)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이하,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제 2 터미널(220)에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터미널(120)이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터미널과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erminal provided in a plug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nd a second terminal provid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coup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제 2 베이스(210)에 구비된 삽입부(211)에 삽입되고, 제 2 베이스(210)의 결합돌출부(210a)가 제 1 베이스(110)의 삽입홈(110a)에 삽입된다. 그리고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터미널(120)은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제 2 터미널(220)에 접촉된다. 이때,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가 제 2 베이스(210)의 삽입공간부(210c)로 삽입된 후, 삽입공간부(210c)로 노출된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돌출부(224)와 접촉부(227)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제 1 내입단자(121)와 제 2 내입단자(221)는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20, both ends of the
그리고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돌출부(224)에는 제 1 터미널(120)의 제 1 걸림부(124a)와 걸림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제 2 걸림부(224a)가 형성되고, 제 2 터미널(220)의 제 3 라운드부(228)는 제 1 터미널(120)의 끼움홈부(122a)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은 견고하게 걸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와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내입단자(221)의 통전 상태 또한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제 1 터미널(120)이 제 2 터미널(220)에 끼움 결합될 때, 제 1 걸림부(124a)가 제 2 걸림부(224a)로 안내되므로, 제 1 터미널(120)이 틀어지지 않고 정위치로 유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걸림부(124a)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 2 걸림부(224a)는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 제 1 걸림부(124a)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걸림부(224a)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
그리고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가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내입단자(221)에 결합될 때,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라운드부(226) 및 접촉부(227)는 제 2 돌출부(22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며,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는 상기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2 베이스(210)의 삽입공간부(210c)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irst
그리고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에 구비된 제 1 끼움돌출부(122)는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돌출단자(126)의 단부에서 제 2 터미널(220)의 연장부(225)와 맞닿도록 연장부(225)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는 제 1 터미널(120) 및 제 2 터미널(220)을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에 별도로 끼움 결합시키지 않고,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공법으로 일체로 성형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특히, 제 2 터미널(220)의 경우, 제 2 베이스(210)에 끼움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부(미도시)가 요구되며, 이는 제 2 터미널(22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며,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 사이에는 제 2 터미널(220)의 길어진 길이만큼의 별도의 이격 공간이 구비되었다. 반면, 본 발명은 제 2 터미널(220)이 제 2 베이스(210)에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상기 고정부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이 결합될 때,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끼움돌출부(122)가 제 2 터미널(220)의 연장부(225)와 맞닿도록 제 2 터미널(220)의 전체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 사이에 별도의 이격 공간이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 높이 또한 상기 이격 공간 만큼 줄어들게 되어, 커넥터를 저배화 하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한편, 제 2 터미널(220)의 전체 길이를 짧게 형성하면,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 간의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면적 또한 작아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제 2 터미널(220)의 접촉부(227)를 길게 형성하여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 간의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지지 않도록 하여,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 간의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The overall length of the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될 때,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re in electrical contact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to be.
도 21을 참조하면,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이 접촉될 때,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에는 예를 들면 0.25 ~ 0.3A 정도의 소전류가 흐르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 간에 상기 소전류보다 큰 대전류(High Current)가 흐르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은 폭이 좁아 전기 안전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 1 보강부(130)와 제 2 보강부(230)를 이용하여,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 간에 대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즉, 제 1 보강부(130)의 제 1, 2 외측밀착부(134, 136)와, 제 2 보강부(230)의 제 1, 2 내측밀착부(232, 234)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상호 밀착되어 있어, 제 1, 2 외측밀착부(134, 136)와 제 1, 2 내측밀착부(232, 234)는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2 외측밀착부(134, 136)와 제 1, 2 내측밀착부(232, 234)는 제 1, 2 터미널보다 폭이 크도록 구성되므로, 제 1, 2 외측밀착부(134, 136)와 제 1, 2 내측밀착부(232, 234) 간에 대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가 안전하게 대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21,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70: 커넥터 장치 100: 플러그커넥터
110: 제 1 베이스 110a: 삽입홈
112: 보강안내부 114: 이격가이드부
115: 안내측부 116: 제 1 외측안내부
117: 제 2 외측안내부 118: 분리돌부
119: 제 1 모서리부 120: 제 1 터미널
121: 제 1 내입단자 122: 제 1 끼움돌출부
122a: 끼움홈부 123: 지지라운드부
124: 제 2 끼움돌출부 124a: 제 1 걸림부
126: 제 1 돌출단자 130: 제 1 보강부
132: 보강판부 134: 제 1 외측밀착부
134a: 가압부 135: 보강결합부
136: 제 2 외측밀착부 137: 보강안내돌출부
200: 리셉터클커넥터 210: 제 2 베이스
210a: 결합돌출부 210b: 제 1 단자공간부
210c: 삽입공간부 210d: 제 2 단자공간부
211: 삽입부 212: 제 1 측벽부
213: 제 1 내측안내부 214: 제 2 측벽부
215: 제 2 내측안내부 216: 결합안내리브
217: 제 2 모서리부 220: 제 2 터미널
221: 제 2 내입단자 222: 제 1 돌출부
223: 제 1 라운드부 224: 제 2 돌출부
224a: 제 2 걸림부 225: 연장부
226: 제 2 라운드부 227: 접촉부
228: 제 3 라운드부 229: 제 2 돌출단자
230: 제 2 보강부 232: 제 1 내측밀착부
234: 제 2 내측밀착부 236: 연결부
236a: 제 1 연결부 236b: 제 2 연결부
236c: 제 3 연결부70: Connector device 100: Plug connector
110:
112: reinforcing guide portion 114: spacing guide portion
115: guide side portion 116: first outside guide portion
117: second outside guide portion 118: separating projection
119: first corner portion 120: first terminal
121: first internal terminal 122: first fitting projection
122a: fitting groove portion 123: supporting round portion
124: second
126: first protruding terminal 130: first reinforcing portion
132: reinforcing plate portion 134: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134a: Pushing part 135: Reinforcing part
136: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137: reinforcing guide projection
200: receptacle connector 210: second base
210a: engaging
210c:
211: insertion portion 212: first side wall portion
213: first inside guide portion 214: second side wall portion
215: second inner guide portion 216: coupling guide rib
217: second corner portion 220: second terminal
221: second internal terminal 222: first protrusion
223: first round section 224: second protrusion
224a: second latching part 225: extension part
226: second round section 227: contact section
228: third round section 229: second protruding terminal
230: second reinforcing part 232: first inner tightening part
234: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236:
236a:
236c: third connection portion
Claims (21)
상기 제 1 베이스가 삽입되도록 그 상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 상기 제 1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제 2 터미널과,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갖는 리셉터클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에 보강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보강부에서 상기 제 2 보강부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에서 상기 제 1 보강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측에 밀착되는 보강판부와, 상기 보강판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테두리를 덮도록 절곡되는 외측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밀착부에 상기 보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밀착부는, 상기 보강판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외측밀착부와, 상기 보강판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사이의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외측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삽입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베이스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 사이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내측과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을 일체로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의 상측을 지나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A plug connector having a first base, a first terminal arranged at least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and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coupled to cover both ends of the first base; And
A second base on which an inser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rst base is inserted, a second terminal arranged on the second base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rranged to face the first reinforcement, And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coupl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portion,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or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towar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or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Direction,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comprises:
A reinforcing plate portion closely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base facing the second base and an outer tight contact portion bent to cover the rim of the first base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outer tight contact portion,
Wherein the outer tight contact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s in the end direction between the longitudinally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first base And a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comprises:
And a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 base and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when the first bas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 first side wall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se and a second side wall portion formed along an end portion betwee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se are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base is inserted and,
The first inner side clos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inside close contact por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and the outside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Wherein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tight contact portion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 2 베이스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측은, 한 쌍의 상기 보강판부가 안내되도록 그 양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강안내부와, 상기 보강안내부의 일측에 상기 보강안내부보다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격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se facing the second base includes a pair of reinforcing guide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guide portion so that the pair of reinforcing plate portions are guided, And a spacing guide portion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에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안내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guide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외측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outer guide portion is formed concavely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first outer contact portion.
상기 제 1 외측밀착부가 상기 제 1 외측안내부로 안내될 때,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의 일측에는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1 외측안내부의 내측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ress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inner side of the first outer guiding portion when the first outer close contact portion is guided to the first outside guid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or is a connector.
상기 제 2 외측밀착부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부 사이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외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제 2 외측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외측안내부에는 상호 인접한 상기 제 2 외측밀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분리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outer tight contact portion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 second outer guide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between the longitudinally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first base so as to guide the second outer contact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second outer close contact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separat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or housing.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에서 상기 제 1 내측밀착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내측밀착부는 상기 보강결합부와 가까워지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outer tight contact portion toward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Wherein the first inner tight contact portion has elasticity so as to be close to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상기 제 1 측벽부에는 상기 제 1 내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내측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부에는 상기 제 2 내측밀착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내측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inside guide portion concave to guide the first inside clos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inside guide portion concave to guide the second inside close contact portion.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절곡되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3 연결부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상호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 3 연결부가 안내되도록 결합안내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hird connection part,
Wherein a coupling guide rib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opposite corner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so that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is guided.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터미널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내입단자; 및
상기 제 1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상기 제 1 터미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내입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내입단자; 및
상기 제 2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erminal comprising:
A first internal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base and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And a first protruded terminal extending from the first inner terminal to an outer side of the first base,
The second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internal terminal received in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base so as to face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internal terminal being fitted into the first internal terminal; And
And a second protruding terminal extending from the second inside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ase.
상기 제 2 내입단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절곡되는 제 3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inner terminal comprises: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terminal; a first round portion bent downward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ip of the second protrusion; an exten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rotrusion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ip of the extension toward the second protrusion A third round portion that is bent while being roun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round portion and a third round portion that is bent between the second round portion and the third round portion, Comprising a contact,
The first inner terminal includes: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end of the first protruding terminal toward the extending portion and is fitted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nd the contacting portion.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끼움돌출부와,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라운드부와, 상기 지지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닿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끼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inner terminal includes:
A first fit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so as to abut the contact portion at an end of the first protruding terminal; and a support round formed to be roun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at a lower end of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upward to abut the second protrusion at a tip end of the supporting round portion.
상기 제 2 끼움돌출부에는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econd fitting projection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convex or concav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econd projection to engag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상기 지지라운드부는 상기 연장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support roun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nded portion.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in the first base by an insert molding method or the second terminal is formed in the second base by insert mo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8360A KR101705076B1 (en) | 2015-06-03 | 2015-06-03 | Connector Apparatus having Damage Preven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8360A KR101705076B1 (en) | 2015-06-03 | 2015-06-03 | Connector Apparatus having Damage Prevention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520A KR20160142520A (en) | 2016-12-13 |
KR101705076B1 true KR101705076B1 (en) | 2017-02-09 |
Family
ID=5757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8360A Active KR101705076B1 (en) | 2015-06-03 | 2015-06-03 | Connector Apparatus having Damage Preven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507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76317B2 (en) | 2018-10-29 | 2024-01-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WO2024071635A1 (en) * | 2022-09-30 | 2024-04-0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Conn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243B1 (en) | 2011-06-24 | 2012-11-08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Connector |
JP2014038768A (en) | 2012-08-16 | 2014-02-27 | Molex Inc | Connector |
JP2014239001A (en) | 2013-06-10 | 2014-12-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 connector with guide metal fitting |
KR101489491B1 (en) | 2013-08-23 | 2015-02-09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Release locking board to board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3925A (en) | 2003-07-04 | 2005-01-12 | 주식회사 씨엔텍 | Pin connector |
JP4784673B2 (en) | 2009-03-24 | 2011-10-05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connector |
-
2015
- 2015-06-03 KR KR1020150078360A patent/KR1017050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243B1 (en) | 2011-06-24 | 2012-11-08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Connector |
JP2014038768A (en) | 2012-08-16 | 2014-02-27 | Molex Inc | Connector |
JP2014239001A (en) | 2013-06-10 | 2014-12-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 connector with guide metal fitting |
KR101489491B1 (en) | 2013-08-23 | 2015-02-09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Release locking board to board connec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76317B2 (en) | 2018-10-29 | 2024-01-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WO2024071635A1 (en) * | 2022-09-30 | 2024-04-0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520A (en) | 2016-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5031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9362637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 fitting with a bottom portion connecting a lock plate portion and an reinforcing plate portion | |
CN104733897B (en) | Electric connector | |
JP6385815B2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1656514B1 (en) | Connector Apparatus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 |
KR101921117B1 (en)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
CN104241951B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e member | |
KR100835264B1 (en) | Connector for a Module | |
JP4938746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60009491A (en)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
JP2017162774A (en)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
KR101766198B1 (en) | Connector apparatus with multi-power contact | |
KR101912622B1 (en) | Connector Apparatus having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1705076B1 (en) | Connector Apparatus having Damage Prevention Function | |
KR20180043742A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KR101089789B1 (en) | connector | |
TWM499690U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6259003B2 (en) | Circuit board plug electrical connector | |
KR101651653B1 (en) |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 |
KR101754261B1 (en) | Connector Apparatus for Preventing Crack | |
JP6057372B2 (en) | connector | |
KR101695777B1 (en) | Connector for SMT with Cover | |
KR20160042549A (en) | Connector Apparatus having Coupling Structure | |
KR20090006783U (en) | Connector assembly | |
CN105305165B (en) | Circuit board electric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