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4971B1 -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 Google Patents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971B1
KR101704971B1 KR1020160065924A KR20160065924A KR101704971B1 KR 101704971 B1 KR101704971 B1 KR 101704971B1 KR 1020160065924 A KR1020160065924 A KR 1020160065924A KR 20160065924 A KR20160065924 A KR 20160065924A KR 101704971 B1 KR101704971 B1 KR 10170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girder
displacement
girde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욱
서동영
Original Assignee
천진욱
서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1213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049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천진욱, 서동영 filed Critical 천진욱
Priority to KR102016006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받침장치는, 교량의 상부 거더의 높낮이 조절과 수평이동 변위 및 회전거동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하단은 교량 하부 구조물의 벽체측에 위치되고 상단은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길이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나사강봉과; 상기 상부거더의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나사강봉의 상부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한 쌍의 받침너트와; 상기 나사강봉에 삽입되고 한 쌍의 받침너트 위에 지지되어, 한 쌍의 받침너트의 위치 조정에 따라 높낮이 조절되면서 상기 상부거더를 받쳐주는 변위수용 받침판과;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나사강봉에 체결된 고정너트와; 상기 나사강봉과 상기 상부거더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강봉의 상부에 조립된 전도방지너트 및 상부와셔와; 상기 상부와셔와 상기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거더의 회전 거동시 발생되는 회전 변위를 수용하는 탄성판과; 상기 나사강봉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판과 상기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변위를 수용하는 미끄럼 상판 및 미끄럼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Support device for leveling-adjustment and displacement recipience and overturning prevention of upper girder and Rahmen bridge u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거더를 상부구조로 사용하는 라멘교(Rahmen Bridge, Rigid-frame Bridge)에서 상부거더를 벽체에 지지시키고 연결시키기 위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 단계에서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교량의 계획높이 변경이 쉽고, 벽체 높이관련 시공 오차 및 오류의 수용범위를 확대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수직하중과 온도변화에 대한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를 수용하여 받침장치의 안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부거더를 벽체와 연결하여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완공 후에는 벽체 상단의 휨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계획높이는 설계단계에서 관련 시방규정 및 현지 여건을 감안하여 결정되나 공사 중 접속도로의 선형변경, 홍수위에 대한 여유고 강화, 민가 등 건축물이 교량의 계획높이 보다 낮아져 저지대가 됨에 따라 발생되는 민원 등으로 교량의 계획높이는 시공 중 빈번히 변경된다. 상기 교량이 설치될 주변여건에 따른 계획높이 변경요인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교량의 계획높이 변경은 하부구조인 벽체가 시공되기 전에 가능하며,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철거한 후 다시 시공할 수밖에 없어 공사비 및 공기증대가 불가피하다.
거더를 상부구조로 사용하는 라멘교(이하 '거더-라멘교'라 함)에서, 교량의 계획높이에 관여하는 부분은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벽체(101)와 받침강형 또는 연결강형(이하 '연결부재(500)'라 함)이다. 연결부재(500)는 벽체(101) 위에 상부거더(200)를 연결 또는 거치시키기 위해 필요하며, 공사 초기에 발주되어 상부거더와 더불어 벽체보다 먼저 제작된다. 이러한 연결부재는 H형태 또는 I형태 단면의 강재로 자동 용접 및 절단기를 가진 공장에서 절단되어 조립되어 지며, 특히 구조용 목적으로 강재를 현장에서 절단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종래 거더-라멘교에서 계획높이가 시공 중 변경될 경우, 벽체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의 재시공도 요구된다.
또한 종래 거더-라멘교에서 벽체와 연결부재는 시공오차에 민감하여 재시공되는 사례가 빈번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경제적 손실 또한 종종 발생된다.
통상적인 차당 레미콘의 용량은 6㎥으로 규격화되어 있어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벽체의 1차타설높이에 맞는 용량을 정확히 발주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 초과 발주를 시행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비용 및 건설 폐기물이 증가된다. 만일 1차타설높이를 시공 오차 및 오류 등으로 맞추지 못할 경우 연결부재의 수정이 불가피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사비 및 공기증대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1차타설높이는 교량의 횡구배 및 이로 인한 단차로 횡단면상 변화되므로 시공 오차 및 오류를 빈번히 유발시킨다.
앞서 설명한 종래 거더-라멘교의 문제점 중 현장에서 변경사항에 맞게 수정할 수 없는 H형태 또는 I형태의 연결부재 대신, 단면이 작아 현장에서 절단이 가능한 강봉 또는 각강 등의 선부재를 연결부재로 사용할 경우 좌굴에 관련된 안정 및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구조부재로서 사용하기 어렵다.
좌굴(buckling)은 길고 곧은 부재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하중의 크기가 작은 경우 압축력을 받는 봉과 같이 수축하게 되나, 하중의 크기가 어느 한도 값을 초과하면 가로 방향으로 큰 휨이 발생되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휨 현상이 발생하는 순간의 하중을 임계하중 또는 Euler 좌굴하중이라 한다. 이러한 좌굴하중은 부재의 휨강성, 길이, 양단의 경계조건, 초기 처짐(변위), 하중의 편심 등에 따라 달라지며, 부재의 휨강성이 작을수록, 길이가 길수록, 경계조건의 구속정도가 약할수록(유효길이계수가 클수록), 초기 처짐(변위)이 클수록, 하중의 편심이 클수록 좌굴하중이 작아진다. 좌굴하중이 작아지면 실제 부재가 보유하고 있는 강도에 못 미치는 압축력에 의해 좌굴이 발생되므로 효율이 떨어져 비경제적이다. 또한 이러한 좌굴을 설계단계에 고려하지 않을 경우 갑작스런 붕괴가 발생하며, 최근 발생되는 슬래브 붕괴사고 역시 슬래브를 떠받치는 동바리의 수평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수평재 및 경사재의 부족이 큰 원인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연결부재는 상단이 구속정도가 없는 자유단인 상태에서 상부거더를 지지하므로 유효길이계수가 클 수밖에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휨강성이 I형 또는 H형 단면에 비해 상당히 작은 선부재를 사용할 경우 좌굴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 또한 연결부재는 상부거더에 작용하는 수직하중과 온도변화에 의한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를 연결부재가 감당함에 따라 연결부재는 단순히 압축부재가 아니며, 초기 수평변위를 가진 휨-압축부재가 됨에 따라 좌굴발생은 불가피하다.
일반적으로 양단이 단순지지된 기둥에서 일직선이 아닌 초기 수평변위(δH)를 가질 경우 기둥 중앙부의 전체 탄성 처짐(δT)은 다음과 같다.
δT=δH+δ=
Figure 112016051431117-pat00001
여기서, P는 압축력이며, PE는 단순지지된 기둥의 Euler 좌굴하중을 의미한다. 상기 식에서 초기 수평변위(δH)의 값의 변화에 따른 하중-변위 관계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으로부터 압축력의 크기가 Euler 좌굴하중에 접근할수록 초기 수평변위(δH)의 크기에 상관없이 과도한 횡변위(수평변위)가 발생한다. 즉, 초기 수평변위(δH)를 갖는 기둥의 좌굴하중은 항상 Euler 좌굴하중보다 작다. 또한 일정한 크기의 압축력이 작용하였을 때, 초기 수평변위(δH)의 크기가 큰 기둥일수록 발생되는 횡변위의 크기가 크다. 따라서 초기 수평변위(δH)의 크기가 큰 기둥일수록 Euler 좌굴하중과 비교하여 작은 압축력에 의하여 파괴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 받침강형 또는 연결강형의 연결부재 대신 단면이 작아 현장에서 절단이 가능한 강봉 또는 각강 등의 선부재를 사용할 경우 상부거더에 작용하는 온도변화에 의한 초기 수평변위(δH)로 인해 작은 압축력에 의해서도 파괴되기 쉽고, 선부재의 상단이 구속정도가 없는 상태에서 상부거더를 지지하므로 유효길이계수가 클 수밖에 없어 파괴에 대한 저항성능을 더욱 감소시키며, 상부거더의 수직하중에 의한 상부거더 단부의 회전변위로 인해 선부재의 휨변형을 더욱 증대시므로 구조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 거더-라멘교의 경우 공사 중 접속도로의 선형변경, 홍수위에 대한 여유고 강화, 민가 등 건축물이 교량의 계획높이 보다 낮아져 저지대가 됨에 따라 발생되는 민원 등으로 교량의 계획높이가 설계상 변경될 경우, 시공 오차 및 오류 등으로 벽체 높이가 잘못 시공된 경우 벽체 및 연결부재의 재시공이 요구되므로 공사비 및 공기 증대가 불가피하다. 또한 상부거더에 작용하는 수직하중과 온도변화에 의한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를 연결부재가 감당함에 따라 연결부재는 단순히 압축부재가 아닌 수평변위를 가진 휨-압축부재가 됨에 좌굴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31640호로서, '거더의 형식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거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거더 고정장치는, 교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거더의 단부가 정착되고 거더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힌지핀에 의해 기저부와 힌지결합하는 거더 정착부, 및 하단부가 교대 내에 정착되고 거더의 단부를 감싸면서 하방으로 눌러주는 긴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긴장부는, 하단부가 교대 내에 정착되고 거더 폭방향의 양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핀보다 거더의 말단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한 쌍의 수직 긴장재와, 거더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긴장재가 관통하는 제1누름판, 및 상기 제1누름판을 관통한 수직 긴장재 상부에 체결됨으로써 수직 긴장재를 긴장해주는 긴장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긴장재에 의해 보강된 거더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시공 중에 교량의 계획높이가 설계상 변경될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어렵고, 또한 상부거더에 작용하는 수직하중과 온도변화에 의한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를 수용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316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로서 현장에서 높이 조절이 어려운 H형태 또는 I형태 단면 대신 받침높이 이상의 노출길이를 가진 나사강봉과 너트를 사용하여 연결부재의 직접적인 절단 및 용접 없이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공 중 상부거더의 하중을 벽체에 전달하기 위해 나사강봉이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길이 외에 추가 매입길이 만큼 더 확보하고 상기 추가 매입길이 위에 하강 수용높이 만큼 나사강봉을 노출시켜 벽체 1차타설높이의 높낮이 변화에 따른 시공 오차를 현장에서 쉽게 수용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며, 4개로 구성된 나사강봉을 변위수용 받침판과 너트 및 와셔로 구속하여 이에 따른 유효길이계수의 증대로 좌굴하중이 증대되어 나사강봉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상부거더 하면과 변위수용 받침판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수직 반달판과, 상부거더를 나사강봉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너트 및 와셔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미끄럼 상판 및 미끄럼 하판과, 나사강봉과 상부거더의 직접적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부거더 단부 하면에 형성된 트랙형 홀을 통해 상부거더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평변위를 나사강봉에 전달하지 않고 수용함으로써 강봉의 좌굴하중이 감소되지 않으며, 상부거더를 나사강봉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너트 및 와셔와 상부거더 사이에 탄성판을 설치하여 상부거더의 수직하중에 대한 상부거더 단부의 회전변위를 수용함으로써 나사강봉의 휨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고, 나사강봉의 하측이 벽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부거더의 하면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됨에 따라 시공 중 상부거더의 전도가 방지되며, 나사강봉은 벽체에 지지길이 외에 추가 매입길이를 더 확보하고 있음에 따라 공용 중 벽체 상단의 휨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받침장치는,
교량의 상부 거더의 높낮이 조절과 수평이동 변위 및 회전거동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하단은 교량 하부 구조물의 벽체측에 위치되고 상단은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길이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나사강봉과;
상기 상부거더의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나사강봉의 상부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한 쌍의 받침너트와;
상기 나사강봉에 삽입되고 한 쌍의 받침너트 위에 지지되어, 한 쌍의 받침너트의 위치 조정에 따라 높낮이 조절되면서 상기 상부거더를 받쳐주는 변위수용 받침판과;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나사강봉에 체결된 고정너트와;
상기 나사강봉과 상기 상부거더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강봉의 상부에 조립된 전도방지너트 및 상부와셔와;
상기 상부와셔와 상기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거더의 회전 거동시 발생되는 회전 변위를 수용하는 탄성판과;
상기 나사강봉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판과 상기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변위를 수용하는 미끄럼 상판 및 미끄럼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강봉은 상부거더 하중을 벽체에 전달하기 위해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길이 외에 추가 매입길이가 확보되고, 받침높이 이상의 상승 수용높이 및 하강 수용높이가 포함된 노출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강봉은 상부거더의 지점부에서 4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은 상기 나사강봉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된 수평 밑판과, 상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반달형상이며 하면이 상기 수평 밑판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수직 반달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 반달판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 반달판의 높이는 콘크리트의 원활한 채움을 위해 40mm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 반달판은 콘크리트의 원활한 채움을 위해 측면에 반원형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변위수용 받침판의 응력집중 방지를 위해 한 쌍의 받침너트와 변위수용 받침판 사이에 받침와셔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판은 상부거더의 강성보다 작은 강성을 가지며, 합성고무패드, 폴리우레탄, FRP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판은 중앙에 상기 나사강봉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끄럼 상판과 미끄럼 하판은 상부거더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가지며, 불소수지판, 스테인레스판, 비닐시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끄럼 상판은 상기 탄성판에 형성된 관통 홀과 동등한 크기의 관통 홀을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탄성판과 동등한 크기의 폭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끄럼 하판은 상기 미끄럼 상판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 상판에 형성된 관통 홀 보다 상부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더 긴 트랙형 홀을 갖고, 상기 트랙형 홀의 길이만큼 미끄럼 하판은 미끄럼 상판보다 더 길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거더는 상기 나사강봉과 상기 상부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상기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에 트랙형 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통 홀의 직경은 상기 나사강봉의 직경에 3mm 이상의 여유분을 더한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멘교는 상부거더가 어느 하나의 받침장치를 매개로 교량 하부구조물의 벽체에 지지되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트랙형 홀의 길이는 상기 받침장치에 포함된 나사강봉의 직경에 30mm 이상의 여유분을 더한 치수를 갖고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벽체의 벽체철근에 고정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받침철근과, 받침철근에 고정철선으로 연결되어 받침장치가 지지되는 묶음철근이 더 설치되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장치와 벽체의 상단 사이에 받침기둥이 더 연결되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높이와 지지길이로 구성되는 연결부재의 종래 높이에 더하여 받침높이에 해당하는 하강 수용높이 외에 상승 수용높이 및 추가 매입길이를 포함하는 길이를 가진 나사강봉과, 상기 나사강봉에 받침너트의 체결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직접적인 절단이나 용접 없이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효과는 시공 중 교량의 계획높이 변경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설계도에 결정된 벽체의 1차타설높이를 하강 수용높이만큼 증대시키거나 추가 매입길이만큼 감소시킬 수 있어 1차타설높이에 대한 시공 오차 및 오류를 쉽게 흡수할 수 있고, 교량의 횡구배로 인한 단차를 고정너트의 체결 높이로 수용함에 따라 1차타설높이 내 단차를 제거시킬 수 있어 시공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거더를 지지하는 변위수용 받침판의 상면에 상부거더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는 수직 반달판이 구비되고, 상부거더를 나사강봉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도방지너트 및 상부와셔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미끄럼 상판 및 미끄럼 하판이 설치되며, 나사강봉과 상부거더가 직접적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부거더 단부 하면에 트랙형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부거더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평변위를 나사강봉에 전달하지 않고 변위수용 받침판이 전수 수용한다. 따라서 나사강봉은 수평변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종래 기둥부재와 달리 좌굴하중이 감소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위수용 받침판의 상면에 상부거더의 회전변위를 간섭하지 않는 수직 반달판이 구비되고, 상부거더를 나사강봉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도방지너트 및 상부와셔와 상부거더 사이에 탄성판을 설치하여 상부거더의 수직하중에 대한 상부거더 단부의 회전변위를 수용함으로써 나사강봉의 휨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거더가 변위수용 받침판에 설치되기 전에, 4개로 구성된 나사강봉을 변위수용 받침판과 받침너트 및 고정너트로 구속하여 이에 따른 유효길이계수가 증대됨으로써 나사강봉의 좌굴하중이 증대되어 상부거더의 가설에 따른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강봉의 하측이 벽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부거더의 하면을 관통하여 전도방지너트로 체결됨에 따라 시공 중 상부거더의 전도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강봉은 벽체에 지지길이 외에 추가 매입길이와 상승 수용높이를 더 확보하고 있음에 따라 벽체 상단의 휨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교량이 설치될 주변여건에 따른 계획높이 변경요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 거더-라멘교에서 벽체의 1차타설높이 위에 설치되어 상부거더를 지지하는 받침강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종래 거더-라멘교에서 벽체의 1차타설높이 위에 설치되어 상부거더를 지지하는 연결강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횡구배에 의해 벽체의 1차타설높이에 단차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초기 처짐을 갖는 기둥의 하중-변위 관계곡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의 종단면상 상세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연결부의 횡단면상 상세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하는 받침부에 대해 횡단면상 1차타설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분리사시도에서 변위수용 받침판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에서 상부거더의 수직하강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에서 상부거더의 수직상승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에서 상부거더의 회전거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상부거더의 회전거동을 나타낸 도면에서 상세“A”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8a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에서 상부거더의 수평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상부거더의 수평이동을 나타낸 도면에서 상세“B”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받침장치가 다경간 교량의 중간지점부 벽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의 종단면상 상세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연결부의 횡단면상 상세도이다.
도 11a는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변위수용 받침판의 상세를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상부거더와 확장지지대의 조립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받침장치에 추가된 받침기둥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상 상세도 및 횡단면상 상세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의 종단면상 상세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연결부의 횡단면상 상세도이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하는 받침부에 대해 횡단면상 1차타설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받침장치를 포함한 받침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분리사시도에서 변위수용 받침판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거더(200)가 “강 거더(또는 빔)” 또는 “강합성 거더(또는 빔)”임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벽체(101)”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자중과 더불어 차량이나 사람 등의 상부하중을 지반이나 타 구조물에 전달하는 수직이나 수직에 가까운 하부구조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서, 교량에 사용될 경우 ‘교대’나 ‘교각’ 등을 포함하는 용어이며, 상기 “강 거더”는 강재만으로 거더를 이루는 아이빔(I-BEAM)과 플레이트 거더(Steel Plate Girder)를 포함하는 용어이며, “강합성 거더”는 강재와 콘크리트로 합성되고 소정의 선압축응력이 도입될 수 있는 프리플렉스 거더(Preflex Girder)와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를 총칭하는 용어이다.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장치(10)는, 시공 중 부재의 물량 변경 및 작업량 증대 없이 상부거더(200)의 설치높이를 변경할 수 있고, 벽체의 1차타설높이 또한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상부거더(200) 단부의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를 수용하여 받침장치(10)의 안전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상부거더(200)는 도 5a와 같이 후술할 나사강봉(12)과 그의 길이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하부플랜지(201)에 트랙형 홀(201a)이 구비된다.
받침장치(10)는 교량이 단경간인 경우 상부거더(200)의 양쪽 단부에 각기 설치되고, 다경간인 경우 도 9와 같이 이웃한 상부거더(200과 200)를 연결하는 유사 단면을 갖는 상부 연결거더(210)의 중앙에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받침장치(10)는 전 길이에 걸쳐 나사산을 갖는 나사강봉(12)과, 나사강봉(12)의 상측에 설치된 후 상부거더(200)에 접하여 상부거더(20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거더(200)의 수평이동 변위 및 회전 변위를 수용하는 변위수용 받침판(16)과, 나사강봉(12)에 조립되어 상부거더(200)의 수평이동 변위를 원활하게 하는 미끄럼 상판(26) 및 미끄럼 하판(28)과, 나사강봉(12)에 조립되어 상부거더(200)의 회전 변위를 탄성 압축변형을 통해 수용하는 탄성판(24)과, 나사강봉(12)에 체결되어 변위수용 받침판(16)의 설정 위치를 확보하는 받침너트(14)와, 나사강봉(12)에 지지되어 있는 변위수용 받침판(16)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강봉(12)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고정너트(18)와, 나사강봉(12)의 상부에 체결되어 그 구속력으로 상부거더(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너트(20)와, 부가적으로 받침와셔(15)와 상부와셔(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판(24)은 중앙에 상기 나사강봉(12)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홀(241)을 갖는다.
미끄럼 상판(26)은 상기 탄성판(24)에 형성된 관통 홀(241)과 동등한 크기의 관통 홀(261)을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탄성판(24)과 동등한 크기의 폭과 길이를 갖는다. 미끄럼 상판(26)과 미끄럼 하판(28)은 상부거더(200)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가지며, 불소수지판, 스테인레스판, 비닐시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다.
미끄럼 하판(28)은 상기 미끄럼 상판(26)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 상판(26)에 형성된 관통 홀(261) 보다 상부거더(200)의 길이방향으로 더 긴 트랙형 홀(281)을 갖고, 상기 트랙형 홀(281)의 길이만큼 미끄럼 하판(28)은 미끄럼 상판(26)보다 더 길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받침와셔(15)는 변위수용 받침판(16)의 응력집중 방지를 위해 나사강봉(12)에 삽입되어 한 쌍의 받침너트(14)와 변위수용 받침판(16) 사이에 설치된다. 상부와셔(22)는 나사강봉(12)에 삽입되어 전도방지너트(20)의 하면에 설치된다.
우선 도 4a 내지 4c에서, 나사강봉(12)은 받침높이(DS)와 지지길이(DF)로 구성되는 종래 연결부재의 높이에 더하여 받침높이(DS)에 해당하는 하강 수용높이(DD) 외에 상승 수용높이(DU)를 포함한 노출길이(DE)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강봉(12)은 상부거더(200)에 작용하는 시공 중 모든 하중을 벽체(101)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지지길이(DF) 외에 상기 하중 전달의 목적이 아닌 추가 매입길이(DL)를 더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나사강봉(12)은 받침높이(DS)와 지지길이(DF)로 구성되는 종래 연결부재의 높이가 아닌, 상승 수용높이(DU)와 하강 수용높이(DD)를 포함하는 노출길이(DE)와 지지길이(DF) 및 추가 매입길이(DL)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강봉(12)은 벽체(101)에 지지길이(DF) 만큼 최소한 고정되며 추가 매입길이(DL)는 노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나사강봉(12)의 하강 수용높이(DD)는 상부거더(200)의 하강에 대응하고, 상승 수용높이(DU)는 상부거더(200)의 상승에 대응하므로 시공 중 교량의 계획높이가 변경되더라도 나사강봉(12)의 절단 또는 용접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나사강봉(12)은 벽체(101)에 고정되는 지지길이(DF)에 더하여 추가 매입길이(DL)가 더 확보된다. 상기 지지길이(DF)는 시공 중 상부거더(200)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을 벽체(101)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추가 매입길이(DL)는 벽체(101)에 고정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추가 매입길이(DL)는 설계도서에 결정된 벽체의 1차타설높이를 상기 추가 매입길이(DL) 만큼 하강시킬 수 있고, 상기 하강 수용높이(DD) 만큼 상승시킬 수 있어 1차타설높이에 대한 시공 오차 및 오류를 쉽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교량의 횡구배로 인한 단차를 한 쌍의 받침너트(14)의 체결 높이로 수용함에 따라 1차타설높이 내 단차를 제거시킬 수 있어 시공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a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장치(10)의 설치는, 상부거더(200)의 가설 전 작업과 가설 후 작업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상부거더(200)의 가설 전 받침장치(10)의 설치는, 벽체(101)에 설치된 나사강봉(12)에 한 쌍의 받침너트(14)가 체결되고, 상기 받침너트(14) 상에 받침와셔(15)가 설치되며, 나사강봉(12)의 설치 개수만큼 관통 홀(161a)이 형성된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16)이 상기 나사강봉(12)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와셔(15) 위에 가설된 다음 고정너트(18)로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16)이 고정된 이후,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201)에 형성된 트랙형 홀(201a)에 나사강봉(12)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거더(200)를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16) 위에 가설한 다음 받침장치(10)의 설치를 마무리한다.
상기 상부거더(200)의 가설 후 받침장치(10)의 설치로는, 트랙형 홀(281)이 형성된 미끄럼 하판(28)과 관통 홀(261)이 형성된 미끄럼 상판(26)을 상기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에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나사강봉(12)에 삽입하고, 상기 미끄럼 상판(26) 위에 노출된 상기 나사강봉(12)에 탄성판(24)과 상부와셔(22)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최종적으로 전도방지너트(20)로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b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위수용 받침판(16)은 수평으로 평평한 판에 나사강봉(12)의 설치 개수만큼 관통 홀(161a)이 구비된 수평 밑판(161)과, 상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이루도록 반달형상이며 하면이 상기 수평 밑판(161)에 용접되는 수직 반달판(162)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반달판(162)은 상부 곡면이 상부거더(200)와 선접촉을 통해 상부거더(200)를 지지한다. 또한 수직 반달판(162)은 상부거더(200)와 선접촉을 통해 상부거더(200)의 수평 변위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반달판(162)의 높이는 콘크리트의 원활한 채움을 위해 40mm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반달판(162)은 그의 측면에 후 시공되는 콘크리트가 조밀하게 타설될 수 있도록 반원형 홀(162a)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교량의 계획높이가 ΔV만큼 낮아질 경우 하강 수용높이(DD)를 활용하여 상부거더(200)의 설치높이를 낮출 수 있고, 도 6b와 같이 교량의 계획높이가 ΔV만큼 높아질 경우 상승 수용높이(DU)를 활용하여 상부거더(200)의 설치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상부거더(200)의 회전변위(θ) 발생시 변위수용 받침판(16)에 형성된 수직 반달판(162)과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201)에 설치된 탄성판(24)이 회전변위를 수용할 수 있다. 이같이 탄성판(24)이 회전변위를 수용하므로 회전변위를 일으키는 모멘트는 받침장치(10)의 나사강봉(12)에 미치지 아니한다.
또한,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상부거더(200)의 수평변위(Δh) 발생시 변위수용 받침판(16)에 형성된 수직 반달판(162)과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에 설치된 미끄럼 상판(26)과 미끄럼 하판(28)이 수평변위를 수용한다. 또한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트랙형 홀(201a)로 인해 나사강봉(12)은 상부거더(200)의 수평변위(Δh)에 간섭받지 않으므로, 수평변위(Δh)가 받침장치(10)의 나사강봉(12)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벽체(101)의 상부에 받침장치(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너트(14)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부거더(200)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바닥판을 시공하게 되면, 상부거더(200)의 높이가 조절된 라멘교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다경간 교량에서 중간지점부 벽체(101)에 설치된 받침장치(10)를 나타내는 것으로, 받침장치(10)에 상부 연결거더(210)의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길이방향으로 이웃한 상부거더(200와 200)를 각각 플레이트와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연결거더(210)와 연결시키는 공정을 통해 다경간 교량의 가설이 이루어진다.
도 10a, 10b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거더(200)를 제작할 때 보강지지대(220)를 매입하여 일체로 제작하고, 추후 확장지지대(230)를 상기 보강지지대(220)에 포함된 결합너트(222)에 결합볼트(224)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보강지지대(220)와 확장지지대(230)가 일체화된 상부거더(200)를 변형된 형태의 변위수용 받침판(16a)에 가설한다. 이때 나사강봉(12)은 도 11a의 변형된 변위수용 받침판(16a)의 관통홀(161a)에 삽통하여 위치된다.
여기서, 상부거더(200)는 “콘크리트 거더(또는 빔)” 또는 “PSC 거더(또는 빔)” 임을 전제로 한다. 변형된 변위수용 받침판(16a)은 수직 반달판(162)이 4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16a)은 콘크리트의 원활한 타설을 위해 블록아웃부(161b)를 갖을 수 있다.
한편, 국내 도로교설계기준((사)한국도로교통협회)에 강교 및 합성형교의 선팽창계수(α)는 1.2×10-5이며, 온도변화량(ΔT)은 강교의 경우 ±25℃이고, 일체식교대교량에서 강교의 최대 경간장(L)을 90m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온도변화에 의한 강교의 수평변위량(δ)은 다음과 같다.
δ=α·ΔT·(L/2)=1.2×10-5·(2×25)·(90,000/2)=27mm
상기 수평변위량(δ)에 시공오차 3mm를 더한 총 30mm를 트랙형 홀(201)의 여유분으로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트랙형 홀(201)의 길이는 나사강봉 직경+30(mm)가 된다.
또한, 트랙형 홀(201)의 폭과 관통 홀의 직경은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나사강봉 직경+3(mm)가 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라멘교의 시공시 받침장치(10)는 벽체(10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즉 배근시 벽체철근(103)에 고정철선(104)으로 받침철근(105)을 연결한 후, 다수의 나사강봉(12)을 둘러싸는 묶음철근(107)을 받침철근(105)에 고정철선(106)으로 연결하여 나사강봉(12)을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이때 나사강봉(12)은 묶음철근(107)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받침철근(105)과 묶음철근(107)은 나사강봉(12)의 하부측에 적어도 2개소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라멘교의 시공시 받침장치(10)는 콘크리트가 1차 타설된 벽체(101)의 상단에 앵커볼트(150)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받침기둥(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받침기둥(50)은 H형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단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받침장치(10)의 나사강봉(12)은 하단부가 받침기둥(50)의 상단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나사강봉
14; 받침너트
15: 받침와셔
16: 변위수용 받침판
161: 밑판
162: 수직반달판
18: 고정너트
20: 전도방지너트
22: 상부와셔
24: 탄성판
26: 미끄럼 상판
28: 미끄럼 하판

Claims (19)

  1. 교량의 상부 거더(200)의 높낮이 조절과 수평이동 변위 및 회전거동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하단은 교량 하부 구조물(100)의 벽체(101)측에 위치되고 상단은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201)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길이(DT)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나사강봉(12)과;
    상기 상부거더(200)의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나사강봉(12)의 상부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한 쌍의 받침너트(14)와;
    상기 나사강봉(12)에 삽입되고 한 쌍의 받침너트(14) 위에 지지되어, 한 쌍의 받침너트(14)의 위치 조정에 따라 높낮이 조절되면서 상기 상부거더(200)를 받쳐주는 변위수용 받침판(16)과;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16)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나사강봉(12)에 체결된 고정너트(18)와;
    상기 나사강봉(12)과 상기 상부거더(200)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강봉(12)의 상부에 조립된 전도방지너트(20) 및 상부와셔(22)와;
    상기 상부와셔(22)와 상기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201)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거더(200)의 회전 거동시 발생되는 회전 변위(Δθ)를 수용하는 탄성판(24)과;
    상기 나사강봉(12)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판(24)과 상기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201)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변위(Δh)를 수용하는 미끄럼 상판(26) 및 미끄럼 하판(28)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강봉(12)과 상기 상부거더(200)가 길이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상기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201)에 트랙형 홀(201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강봉(12)은,
    상부거더(200)의 하중을 벽체(101)에 전달하기 위해 벽체(101)에 고정되는 지지길이(DF) 외에 추가 매입길이(DL)가 확보되고, 받침높이(DS) 이상의 상승 수용높이(DU) 및 하강 수용높이(DD)가 포함된 노출길이(D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강봉(12)은 상부거더(200)의 지점부에서 4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용 받침판(16)은,
    상기 나사강봉(12)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홀(161a)이 형성된 수평 밑판(161)과, 상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반달형상이며 하면이 상기 수평 밑판(161)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수직 반달판(1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수직 반달판(162)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수직 반달판(162)의 높이는 콘크리트의 원활한 채움을 위해 40mm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수직 반달판(162)은, 콘크리트의 원활한 채움을 위해 측면에 반원형 홀(162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변위수용 받침판(16)의 응력집중 방지를 위해 한 쌍의 받침너트(14)와 변위수용 받침판(16) 사이에 받침와셔(15)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탄성판(24)은 상부거더(200)의 강성보다 작은 강성을 가지며, 합성고무패드, 폴리우레탄, FRP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탄성판(24)은 중앙에 상기 나사강봉(12)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홀(24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미끄럼 상판(26)과 미끄럼 하판(28)은 상부거더(200)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가지며, 불소수지판, 스테인레스판, 비닐시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미끄럼 상판(26)은 상기 탄성판(24)에 형성된 관통 홀(241)과 동등한 크기의 관통 홀(261)을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탄성판(24)과 동등한 크기의 폭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미끄럼 하판(28)은 상기 미끄럼 상판(26)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 상판(26)에 형성된 관통 홀(261) 보다 상부거더(200)의 길이방향으로 더 긴 트랙형 홀(281)을 갖고, 상기 트랙형 홀(281)의 길이만큼 미끄럼 하판(28)은 미끄럼 상판(26)보다 더 길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관통 홀(281)의 직경은 상기 나사강봉(12)의 직경에 3mm 이상의 여유분을 더한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16. 상부거더(200)가 청구항 제 1항의 받침장치(10)를 매개로 교량 하부구조물의 벽체(101)에 지지되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부거더(200)의 하부플랜지(201)에 형성된 트랙형 홀(201a)의 길이는 상기 받침장치(10)에 포함된 나사강봉(12)의 직경에 30mm 이상의 여유분을 더한 치수를 갖고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18. 제 16항에 있어서,
    벽체(101)의 벽체철근(103)에 고정철선(104)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받침철근(105)과, 받침철근(105)에 고정철선(106)으로 연결되어 받침장치(10)가 지지되는 묶음철근(107)이 더 설치되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19. 제 16항에 있어서,
    받침장치(10)와 벽체(101)의 상단 사이에 받침기둥(50)이 더 연결되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KR1020160065924A 2016-05-27 2016-05-27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Active KR10170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924A KR101704971B1 (ko) 2016-05-27 2016-05-27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924A KR101704971B1 (ko) 2016-05-27 2016-05-27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971B1 true KR101704971B1 (ko) 2017-02-10

Family

ID=5812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924A Active KR101704971B1 (ko) 2016-05-27 2016-05-27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97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758B1 (ko) * 2017-04-28 2017-10-17 김성 임시 유압잭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교량 시공방법
KR101809166B1 (ko) * 2017-03-31 2017-12-15 (주)리튼브릿지 높이와 위치변경이 가능한 힌지받침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004277B1 (ko) 2018-05-09 2019-07-26 정병목 지점부에 t형강을 보강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거더를 구비한 합성라멘교 시공방법
KR102059631B1 (ko) * 2019-03-25 2019-12-26 김준영 설치 시의 오차 보정을 위한 변위 수용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의 변위 수용이 가능한 거더용 받침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CN110656579A (zh) * 2019-08-13 2020-01-07 苏清彬 一种桥梁施工支撑托架
CN111560852A (zh) * 2020-05-12 2020-08-21 陕西中立检测鉴定有限公司 一种大跨度斜拉桥施工期抗风装置及施工方法
KR102179576B1 (ko) * 2020-05-22 2020-11-17 (주)금호엘리베이터 교대용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기초구조물 장착구조
CN114319129A (zh) * 2018-12-28 2022-04-12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一种钢牛腿和支撑系统
KR102704345B1 (ko) * 2023-07-27 2024-09-06 (주)지아이건설 연직하중이 도입된 라멘교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018A (ko) * 2000-09-22 2002-03-28 이선구 복합소재 또는 프리캐스트 상판과 지지보와의 연결 방법
KR100403158B1 (ko) * 2000-10-12 2003-10-30 코벡주식회사 교량의 교좌부와 교좌장치 성능 보강 공법 및 그 교좌장치
KR101305522B1 (ko) * 2013-04-08 2013-09-06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기둥 접합 구조를 이용한 교량
KR101431640B1 (ko) 2014-03-28 2014-08-20 박정환 거더의 형식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거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JP2015086595A (ja) * 2013-10-31 2015-05-07 大成建設株式会社 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018A (ko) * 2000-09-22 2002-03-28 이선구 복합소재 또는 프리캐스트 상판과 지지보와의 연결 방법
KR100403158B1 (ko) * 2000-10-12 2003-10-30 코벡주식회사 교량의 교좌부와 교좌장치 성능 보강 공법 및 그 교좌장치
KR101305522B1 (ko) * 2013-04-08 2013-09-06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기둥 접합 구조를 이용한 교량
JP2015086595A (ja) * 2013-10-31 2015-05-07 大成建設株式会社 接合構造
KR101431640B1 (ko) 2014-03-28 2014-08-20 박정환 거더의 형식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거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166B1 (ko) * 2017-03-31 2017-12-15 (주)리튼브릿지 높이와 위치변경이 가능한 힌지받침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786758B1 (ko) * 2017-04-28 2017-10-17 김성 임시 유압잭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교량 시공방법
KR102004277B1 (ko) 2018-05-09 2019-07-26 정병목 지점부에 t형강을 보강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거더를 구비한 합성라멘교 시공방법
CN114319129A (zh) * 2018-12-28 2022-04-12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一种钢牛腿和支撑系统
CN114319129B (zh) * 2018-12-28 2023-10-20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一种钢牛腿和支撑系统
KR102059631B1 (ko) * 2019-03-25 2019-12-26 김준영 설치 시의 오차 보정을 위한 변위 수용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의 변위 수용이 가능한 거더용 받침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CN110656579A (zh) * 2019-08-13 2020-01-07 苏清彬 一种桥梁施工支撑托架
CN111560852A (zh) * 2020-05-12 2020-08-21 陕西中立检测鉴定有限公司 一种大跨度斜拉桥施工期抗风装置及施工方法
KR102179576B1 (ko) * 2020-05-22 2020-11-17 (주)금호엘리베이터 교대용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기초구조물 장착구조
KR102704345B1 (ko) * 2023-07-27 2024-09-06 (주)지아이건설 연직하중이 도입된 라멘교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971B1 (ko)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KR101808825B1 (ko)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KR100948359B1 (ko)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0989586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024209B1 (ko)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KR102059631B1 (ko) 설치 시의 오차 보정을 위한 변위 수용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의 변위 수용이 가능한 거더용 받침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0632816B1 (ko) 아이(i)형 거더의 전도방지 안전장치
KR101527782B1 (ko)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방법
KR10179106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KR101203815B1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KR20200056062A (ko) 벤딩 철골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및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KR100946716B1 (ko)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03972A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방법 및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2332409B1 (ko) 작용 하중에 대한 반력이 발생되게 한 지주식 인도교용 강관 거더
JP3898509B2 (ja)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JP3946527B2 (ja)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JP3910029B2 (ja) 水管橋の端末支持構造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0646329B1 (ko) 교량의 내진 장치
KR101664100B1 (ko) 조립식 가교
KR102132338B1 (ko)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KR101585072B1 (ko) 교량 구조물의 보강구조체를 이용한 성능개선 및 내진보강 공법
KR101414811B1 (ko) 보강 강판을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KR200471594Y1 (ko) 자정식 스트레스 리본 교량
KR100952182B1 (ko) 탄성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