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4669B1 - Functional folk guitar - Google Patents

Functional folk guit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669B1
KR101704669B1 KR1020160021759A KR20160021759A KR101704669B1 KR 101704669 B1 KR101704669 B1 KR 101704669B1 KR 1020160021759 A KR1020160021759 A KR 1020160021759A KR 20160021759 A KR20160021759 A KR 20160021759A KR 101704669 B1 KR101704669 B1 KR 10170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te
head
present
upp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4301A (en
Inventor
이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퍼우드
Priority to KR102016002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669B1/en
Publication of KR2016014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6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 전달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특정 헤드부의 구성을 통해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통기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잇는 측판을 구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네크(Neck); 상기 네크의 단부에 구비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과 하판 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formation of the sounding tube to prevent change of sound and to further increase sound transmission. Further, it is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sound rang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ventilator capable of reducing warpage of a neck portion due to tension of a string through a structure of a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body including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connecting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 neck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A head provided at an end of the neck; And at least one sound post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to support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o suppor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Description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FUNCTIONAL FOLK GUITA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auger having a weight member,

본 발명은 통기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 전달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특정 헤드부의 구성을 통해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통기타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that prevents deformation of a phantom, thereby preventing a change in sound and further enhancing sound transmission. Further, the sound field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ventilator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bowing of the neck portion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ing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pecific head portion.

일반적으로 기타는 현악기의 일종으로 줄을 튕기면서 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다른 악기에 비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타는 첼로나, 바이올린, 등과 같은 다른 현악기에 비하여 그 접근성이 용이하여 다른 현악기들에 비하여 비교적 널리 보급되어 있다.Generally, guitar is a type of stringed instrument, which produces a sound while bending the string.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genres of music compared to other instruments. In addition, the guitar is relatively popular compared to other string instruments because its accessibility is easier than other string instruments such as cello, violin, and the like.

이러한 기타는 크게 통기타, 어쿠스틱기타, 베이스기타, 클래식기타, 전기기타 등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These guitars are also widely varied, including guitars, acoustic guitars, bass guitars, classical guitars, and electric guitars.

도 1은 일반적인 통기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ventilator.

통기타는 크게 현(줄)에 의한 울림에 의하여 공명음이 발생되는 바디(10)와, 이 바디(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현을 이용하여 음계 및 화음 따른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현이 배치되는 네크(Neck)(20)와, 현에 대한 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네크의 단부에 접합되는 헤드(30)로 구성된다.The ventilator includes a body 10 having a resonance sound generated by resonating by a string, and a neck 10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10, (Neck) 20, and a head 30 joined to the end of the neck so as to adjust the pitch of the strings.

또한, 통기타의 음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바디(10)는 그 특성상 가문비나무, 향나무 및 삼나무 등과 같이 곧은 결의 연질 목재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바디는 땅콩 형태의 측판(11)과, 이 측판의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판(12) 및 하판(13)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ody 10,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ound of the ventilator, is made of soft wood of straight grain such as spruce, juniper and cedar. The body comprises a side plate 11 in the form of a peanut and an upper plate 12 and a lower plate 13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plate.

이와 같은 기타는 많은 생산 공정을 거치면서 제작되며, 최근에는 기계를 이용한 가공이 점차 증가되면서 생산공정의 많은 부분에 있어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Such a guitar is manufactured through a lot of production processes, and in recent years, machining has been progressing in many parts of the production process as processing using the machine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타는 연주시 줄의 장력과 소리울림의 공기흐름으로 통의 변형이 일어나며, 또한 계절이나 주위 환경의 영향(예를 들면, 습도)으로 인하여 상판과 하판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원래의 소리가 바뀌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guitars are deformed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ing and the sound of the sound when the guitar is played and deformation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occu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easo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example, humid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iginal sound changes due to the deformation.

또한, 종래의 기타는 측판과 상판을 잇는 모서리 부분이 각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타를 감싸 안을 때 불편하고 자연스러운 자세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모서리부에 접촉하게 되는 신체 부위(대체로 팔뚝 안쪽)가 각진 모서리로 인해 눌림이나 고통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guitar has corner portions connecting the side plate and the upper plate, the body portion (generally, inside the forearm),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ressing or pain may occur due to corners.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1-0005392호(2011.06.01)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5392 (June 1, 20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의 음역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ounding tube to prevent sound change,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warpage of the neck portion due to the tension of the neck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 및 취향에 따라 음색(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ventilator which can finely adjust a tone color (a transliteration ran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ast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잇는 측판을 구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네크(Neck); 상기 네크의 단부에 구비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과 하판 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body;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connecting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 neck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A head provided at an end of the neck; And at least one sound post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to support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o suppor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측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with rounded corners at which the side plate and the upper plate are connec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상판과 하판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조절 가능한 사운드포스트로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상기 상판과 하판 중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면에 미세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폴; 상기 너트 폴과 나사결합 가능하고, 일단은 상기 상판과 하판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길이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post member may include a distance-adjustable sound post capable of adjusting a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sound post member may have one end fixed to on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ormed nut poles; And a length adjusting bolt which is threadably engageable with the nut pole and has one end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볼트의 머리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노출되는 길이조절 볼트의 머리부를 커버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coupled to cover the head portion of the exposed length adjusting bol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볼트의 헤드 또는 상기 길이조절 볼트가 위치되는 상판 또는 하판의 길이조절볼트의 헤드의 주변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회전 정도를 가늠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눈금계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cale system can be formed around the hea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or the hea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on which the length adjusting bolt is loca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일단이 상판과 하판에 각각 접촉하는 2분할된 분할 접촉구; 및 상기 분할 접촉구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분할 접촉구를 신축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post member may be divided into two divided contact portions,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and the other of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And a height adjust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ivided contact hole to expand and contract the divided contact ho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접촉구는 원추, 원추대, 원기둥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분할 접촉구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 및 상기 이동스크류의 중앙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lit contact member may be formed in one of a conical shape, a conical shape, and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fitt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ivided contact hole, a female screw portion formed in the fitting hole, And a control knob fixed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oving screw.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접촉구는 첨단이 라운드진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첨단이 접촉하는 상판과 하판에는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분할 접촉구는 첨단이 라운드진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 내면에는 라운드진 단면 형태를 갖는 보강 접촉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접촉대에는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ed contact holes are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rounded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with which the tips are in contact, or the divided contact holes are formed in rounded conical shapes, A reinforcing contact bar having a rounded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 rounded groove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contact ba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는 기어치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노브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축을 갖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과 오프(off)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knob may include a constant-rotation-capable motor formed with gear teeth and having a drive shaf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adjustment knob, and an operation switch for operating normal rotation and off of the motor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헤드의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량감 부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member for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hea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는 상기 헤드에 대응하는 형태의 금속류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에는 로고나 엠블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member is formed of a plate member of a metal type corresponding to the head, and the plate member is provided with a logo or an emblem.

본 발명에 있어서, 바디,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네크, 및 네크의 단부에 고정되어 기타 줄을 감거나 풀므로서 음색을 조절하는 헤드를 포함하며, 헤드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되어 헤드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기타 연주시 헤드를 전방으로 당기는 줄의 장력을 줄여 음의 서스테인을 늘리고, 깔끔하고 정확한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a neck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 head fixed to an end of the neck to adjust the tone color by winding or loosening other strings are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head, Wherein the weight of the head is increased to reduce the tension of the string that pulls the head forward when the guitar is played, thereby increasing negative sustain and producing a clean and accurate sound.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감 부가부재에 의해 장력을 줄임으로써 장력에 의한 네크의 휨을 방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k portion is prevented from warping due to the tension by reducing the tension by the weight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감 부가부재는 금속류의 판형 부재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member may be a plate-like member made of a metal.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감 부가부재는, 헤드의 앞면의 중앙영역 또는 상측 단부영역에 부착되거나, 헤드의 뒷면의 중앙영역 또는 상측 단부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portion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central region or the upper end reg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or may be attached to the central region or the upper end reg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head.

본 발명에 있어서, 바디는, 측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be formed with rounded corners where the side plate and the top plate are connected.

본 발명에 있어서, 바디의 상판과 하판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음색을 조절하는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며,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기타 사운드가 좀 더 뻗어나고 단단한 사운드가 생성되어 핑거 스타일에 적합하며,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늘어나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성한 소리를 생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post member further includes a sound post member for adjusting the tone of the body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When the sound post member is adjust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guitar sound extends more, Style and produces a relatively richer soun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ound post member is adjusted in the decreasing direction when adjusted in the decreasing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바디의 변형에 의해 기타의 음색이 변한 경우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해 바디의 상판과 하판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음색을 유지 또는 변화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ne color of the guitar changes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body, the tone color can be maintained or change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ound post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에 의하면,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하고 소리 전달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즉,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울림통의 음색(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주자의 취향에 맞는 음색을 제공하고, 소비 선택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nding tube from being deformed, thereby preventing the sound from changing and increasing the sound transmission, and by finely selecting the tone color (transliteration)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ne suitable for a player's taste, and to expand the range of consumer cho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주자가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고, 헤드부에 엠블럼 등을 구비하여 중량감을 증가시킴으로써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rm in which a player has a comfortable form to perform, and an emblem or the like is provided in the head part to increase the weight feeling, thereby reducing the warping phenomenon of the neck part due to the tension of the string .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통기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의 울림통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1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와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구성하는 접촉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넥 부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ventilator.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part of the sounding part of the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pacing adjusting sound post member of a first embodiment constituting a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ce adjusting sound post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ap adjusting sound post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hole constituting the sound adjusting post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neck portion constituting a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erms such a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의 울림통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1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와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ounding part of the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pace adjusting sound post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constituting the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는, 현(줄)에 의한 울림에 의하여 공명음을 발생시키며, 상판(110)과 하판(120) 그리고 상판(110)과 하판(120)을 연결하는 측판(130)을 구성되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현을 이용하여 음계 및 화음 따른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현이 배치되는 네크(Neck)(200)(도 7 참조); 현에 대한 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네크의 단부에 접합되는 헤드(300)(도 7 참조); 및 상기 바디(100)의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100)의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포함한다.2 and 3, the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esonance sound by ringing by a string, and includes a top plate 110, a bottom plate 120, an upper plate 110, (100) constituting a side plate (130) connecting the upper plate (120). A neck 200 (see FIG. 7)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arranged in a string so as to catch a chord according to a scale and a chord using a string; A head 300 (see Fig. 7) bonded to an end of the neck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ound to the strings; And at least one sound post member 4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of the body 100 to support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of the body 100 .

상기 바디(100)는 기본적으로 땅콩 형태의 측판(130)과, 이 측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판(110) 및 측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판(120)으로 구성된다.The body 100 basically comprises a side plate 130 in the form of a peanut, an upper plate 110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a lower plate 120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ide plate.

또한, 상기 바디(100)에 있어서, 상기 측판(130)과 상판(110)이 연결되는 모서리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특히, 초보자)는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바디의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감싸 안을 수 있고, 또한 연주 시에도 편안한 자세에서 연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body 100, a corner portion 150 to which the side plate 130 and the upper plate 110 are connected is rounded as shown in FIG. Accordingly, a player (particularly, a novice) has an advantage that a corner of a body contacting with a body part is rounded to be easily enclosed, and that the player can play in a comfortable posture even when playing.

상기 바디(100)는 예를 들면 가문비나무, 향나무 및 삼나무 등과 같이 곧은 결의 연질 목재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body 100 may be made of soft wood, such as, for example, spruce, oak, and cedar.

본 발명에서, 상기 네트 및 헤드(300)는 통상적인 재질과 형상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et and head 300 can adopt a common material and shap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바디(100)의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의 공간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sound post member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of the body 10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is always constant And the like.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 상판(110)과 하판(120)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post memb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adjust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

구체적으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상판(110)과 하판(120) 중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면에 미세 나사산이 형성된 장방형 너트 폴(longitudial nut pole)(410)과, 상기 너트 폴(410)과 나사결합되고, 일단은 상판(110)과 하판(120)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길이조절 볼트(420)를 포함한다.The sound post member 400 includes a longitudinal nut pole 410 having one end fixed to one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having a fine threa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one en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is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400)의 길이조절은, 길이조절 볼트(420)를 특수한 전용 조절 기구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gap adjusting sound post member 400 can be made length-adjustable by rotating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through a special dedicated adjusting mechanism.

다른 예로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400)의 길이조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가 상판이나 하판 중 어느 하나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외부로 노출된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를 미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상판과 하판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length of the sound post member 400 may be adjusted such that the hea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either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an be finely adjusted by finely rotating the hea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

일 예로,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는 육각 머리 구성으로 구성되고, 이 경우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hexagonal head, and in this case,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may be rotated by using a hexagonal wrench.

이때,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가 설치되는 상판(110)과 하판(120) 중에는 길이조절 볼트(420)가 외측으로 노출되기 위한 노출 구멍이 형성되고, 이 경우 통기타의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를 덮어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재(430)(도 3 참조)를 더 포함한다.At this time, an exposure hole for exposing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on which the length adjusting bolts 420 are installed. In this case, And a cover member 430 (see Fig. 3) that can cover and cover the head of the adjustment bolt 420. [

또한,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헤드 또는 길이조절 볼트(420)가 위치되는 상판과 하판 중 해당 구멍 주변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회전 정도를 가늠하거나 결정할 수 있도록 미세한 눈금계(44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ne graduation scale 440 is formed around the hol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n which the hea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or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is position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rotation for adjusting the gap .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헤드가 노출되는 대상 판은 하판인 것이 미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target plate on which the head of the length adjusting bolt 420 is exposed is preferably a lower plate in view of the appearance.

이와 같은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연주자 자신만이 갖고 있는 소리의 특성과 음색을 유지조절 할 수 있으며, 바디(100)에 변형에 의해 음색이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통해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Such a sound post member 400 can maintain and control the sound characteristics and tone of the user's own choice or only the player himself or herself, and even if the tone 100 changes due to deformation, the sound post member 400 ) To adjust the gap.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사운드포스트 부재(400)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구성하는 접촉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Next, the sound post member 4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ce adjusting sound post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ace adjusting sound post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hole constituting the space adjusting sound post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일단이 상판(110)과 하판(120)에 각각 접촉하는 2분할된 분할 접촉구(460); 및 상기 분할 접촉구(460)의 타단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4 to 6, the sound post member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two-part split contactor 460,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respectively; And a height adjust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ivision contactor 460.

상기 분할 접촉구(460)는 각각 원추, 원추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그 일단은 라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split contact holes 460 is formed into a cone, a truncated cone, or a cylindrical shape. When the split contact hole 46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one end is preferably formed as a lounger.

또한, 상기 분할 접촉구(460)가 라운드진 형태의 첨단을 갖는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이 라운드진 첨단이 접촉하는 상판(110)과 하판(120) 각각에는 보강 접촉대(140)가 형성된다.When the split contactor 46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rounded tip shape, a reinforcing contact bar 140 is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20, do.

상기 보강 접촉대(140)는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상판과 하판을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띠로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contact bar 140 is protruded in a round shape, and is composed of a reinforcing band which crosse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보강 접촉대(140)에는 상기 라운드진 첨단이 안정적으로 위치되고, 또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라운드진 요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 접촉대(14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라운드진 첨단이 접촉하는 상판(110)과 하판(120)의 내면 각각에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rounded grooves (not shown)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reinforcing contact bar 140 to stably position the rounded tip and facilitate sel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user. When the reinforcing contact bar 140 is omitted, rounded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20, respectively, where the rounded tip contacts.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분할 접촉구(460)가 상대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분할 접촉구(460)가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대적으로 신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height adjusting mea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viding contact member 460 is moved in a screw moving manner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ivided contact member 460, So that i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분할 접촉구(460)의 각 타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461)과, 상기 결합구멍(461)에 형성되는 암나사부(462)와, 상기 암나사부(462)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471)와, 상기 이동스크류(471)의 중앙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 노브(47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 fitting hole 461 formed at each of the other ends of the split contact hole 460, a female threaded portion 462 formed in the fitting hole 461, And a control knob 472 fixed to the center of the moving screw 471. The control screw 472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knob 472 fixed to the center of the moving screw 471. [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의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조절노브(472)를 회전시킴으로써 암나사부(462)와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471)의 회전을 통해 분할 접촉구(460)는 신축하게 된다.The sound post member 400 of the second embodiment rotates the adjustment knob 472 so that the split contact hole 460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rotation of the movable screw 471 screwe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462.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노브(472)를 통하여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조절노브(472)를 기어치로 형성하고, 상기 기어치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축을 갖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과 오프(off)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it i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at manual adjust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adjustment knob 472,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normal / reverse rotatable motor having a drive shaft for forming the adjustment knob 472 as a gear tooth and rotationally driving the gear teeth, And an operation switch for operat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off operation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in an automatic manner.

이와 같은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구비함으로써 나무로 이루어지는 바디(100)의 변형, 특히 상판(110)과 하판(120) 간의 변형을 방지하고, 신축 조절을 통해 사운드홀을 통해 나오는 소리가 달라지도록 조절하게 된다. 즉,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통해 확장되는 방향(사운드포스트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 소리가 좀더 뻗어나고 단단한 소리가 나서 핑거스타일에 적합하며,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축소시키는 방향(사운드포스트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좀더 풍성한 소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By providing such a sound post member 4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body 100 made of wood, in particular, the deform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20, . That is, when the sound is expanded through the sound post member 4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post extends), the sound is more extended, the sound is stronger and suitable for the finger sty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post shrinks), it is possible to obtain a richer soun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구비를 통해 변형 방지 및 소리 전달의 증대와 동시에, 울림통(바디)의 울림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헤드 반대 측의 바디의 아치형부의 곡률을 1만 R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and increase sound transmission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sound post member, the curvature of the arcuate portion of the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ead is set to 10,000 R so as to further secure the sounding of the sounding body desirable.

또한, 울림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판의 플랫의 높이과 바디 측의 새들의 돌출 높이를 제품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ringing effect, the height of the flat of the fingerboard and the height of the saddle of the bird on the body side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oduc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넥 부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7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neck portion constituting a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300)에는 그 헤드 부분에 무게감을 주는 중량감 부가부재(500)를 더 포함한다.The head 300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inger further includes a weight member 500 for giving weight to the head portion.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500)는 금속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헤드에 대응하는 형태의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500)에는 로고나 엠블럼이 부착되어 미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악기 제작사의 광고 효과도 부가할 수 있다.The weight member 5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formed of a plat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head. A logo or an emblem is attached to the weight member 500 so that not only aesthetic effect but also advertising effect of a musical instrument manufacturer can be added.

이와 같은 중량감 부가부재(500)에 의해 기타의 헤드(300)에 무게감이 부여됨으로써 줄(현)의 장력에 의해 넥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heavy weight member 500 imparts weight to the other head 300, thereby preventing the neck from being warped due to tens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는,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음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formation of the sounding tube to prevent change in sound, and can finely adjust the tone color according to the player's choice, has a comfortable shape for play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rp phenomenon of the neck portion due to the tension can be reduced.

이상의 설명에서는 통기타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통기타를 포함하는 현악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entilator is described and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string instrument including an air filt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combina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thing to do.

100: 바디
110: 상판
120: 하판
130: 측판
140: 보강대
200: 네트
300: 헤드
400: 포스트사운드 부재
410: 장방형 너트 폴
420: 볼트
430: 커버부재
440: 눈금계
460: 분할 접촉구
461: 결합구멍
462: 암나사부
471: 이동스크류
472: 조절 노브
500: 중량감 부가부재
100: Body
110: top plate
120: lower plate
130: side plate
140: Receptacle
200: Net
300: Head
400: absence of post sound
410: Rectangular nut pole
420: Bolt
430: cover member
440: scale meter
460: Split contact
461: Coupling hole
462: Female threads
471: Moving screw
472: Adjustment knob
500: weight member

Claims (7)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네크,
상기 네크의 단부에 고정되어 기타 줄을 감거나 풀므로서 음색을 조절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뒷면의 상측 일부영역에 상기 헤드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크기로 부착되는 중량감 부가부재, 및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하는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에 각각 접촉하는 분할 접촉구, 및
상기 분할 접촉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할 접촉구를 신축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body,
A neck secured to one side of the body,
A head fixed to an end of the neck to adjust a tone color by winding or loosening other strings,
A weight member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head at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head,
And a sound post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and adjust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sound post member includes:
A partitioning contac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body,
And a height adjus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divided contact holes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divided contact 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에 의해 장력을 줄임으로써 상기 장력에 의한 네크의 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neck portion is prevented from warping due to the tension by reducing the tension by the weigh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는 금속류의 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member is a plate-like member made of met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는,
상기 헤드의 앞면의 중앙영역 또는 상측 단부영역에 부착되거나,
상기 헤드의 뒷면의 중앙영역 또는 상측 단부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The method of claim 3,
The weight-
A central region or an upper end reg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Wherein the weight member is attached to a central region or an upper end reg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h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측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nd a corner portion to which the side plate and the upper plate are connected is roun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음색을 조절하는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기타 사운드의 주파수가 본음에 가까워져 핑거 스타일에 적합하며,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상기 늘어나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타 사운드의 주파수가 본음에서 멀어지며,
상기 바디의 변형에 의해 기타의 음색이 변한 경우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음색을 유지 또는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und post member for adjusting the tone of the body by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When the sound post member is adjust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frequency of the guitar sound is close to the fundamental sound and is suitable for the finger style,
When the sound post member is adjusted in the shrinking direction, the frequency of the guitar sound moves away from the sound of the sound,
Wherein when the tone of the guitar changes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body,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ound post member to maintain or change the tone colo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기타 연주시 상기 헤드를 전방으로 당기는 줄의 장력을 줄여 기타 사운드의 소리가 유지되는 지속시간인 음의 서스테인을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member is provided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head so as to reduce the tension of the line pulling the head forward during guitar playing to thereby increase the sustain of the sound, .
KR1020160021759A 2016-02-24 2016-02-24 Functional folk guitar Active KR101704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59A KR101704669B1 (en) 2016-02-24 2016-02-24 Functional folk guit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59A KR101704669B1 (en) 2016-02-24 2016-02-24 Functional folk guita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753A Division KR20150070082A (en) 2013-09-23 2015-06-08 Functional folk guit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301A KR20160144301A (en) 2016-12-16
KR101704669B1 true KR101704669B1 (en) 2017-02-08

Family

ID=5773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759A Active KR101704669B1 (en) 2016-02-24 2016-02-24 Functional folk guit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6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441A1 (en) * 2008-04-24 2009-10-29 Harald Gillis Method for adding a string to a stringed instrument, system for adding a string to a stringed instrument, clamping member, hooking member and fixing member as part of the system, and stringed instrument provided with such 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2813B1 (en) * 1989-10-09 1993-05-28 Solvay PROCESS FOR REDUCING CRUSHING OF REACTORS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VINYLIDENE FLUORIDE IN AN AQUEOUS SUSPENSION MEDIUM.
KR200455642Y1 (en) 2009-11-25 2011-09-16 이주보 Acoustic Guitar
KR101245381B1 (en) * 2009-12-04 2013-03-19 주식회사 제이원뮤직 acoustic and electrical string instruments of violin grou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441A1 (en) * 2008-04-24 2009-10-29 Harald Gillis Method for adding a string to a stringed instrument, system for adding a string to a stringed instrument, clamping member, hooking member and fixing member as part of the system, and stringed instrument provided with such 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301A (en)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614B2 (en) Tone adjustment member
US7507885B2 (en) Structure for musical instrument body
DE60130167T2 (en) Electric string instrument with detachable frame
US6051765A (en) Guitar with controlled neck flex
US7659464B1 (en)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3858480A (en) Stringed instrument
US20140100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string instruments
US4646613A (en) Practical stick bass
US9495941B2 (en) Tuning mechanism
JP2011520143A (en) Adjustable clarinet barrel
JP4064985B2 (en) Nuts for stringed instruments and stringed instruments
KR101704669B1 (en) Functional folk guitar
US9305527B2 (en) Acoustic instrument with neck through body
EP3419015B1 (en) Guitar having unitary neck support and fingerboard brace
KR20150070082A (en) Functional folk guitar
US11074893B1 (en) Tuning assembly for stringed instrument
CN218631356U (en) Plucked instrument of automatically controlled automatic control string
US8404956B2 (en) Fingerboar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1474203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imbre of stringed instrument
CN103632654B (en) A kind of micro-toning mechanism for wooden guitar
JP3580208B2 (en) String instrument
JP2018163332A (en) Bridge, stringed instrument
JP6882305B2 (en) Stringed instrument
TW202105360A (en) Bowed instrument
CN220709941U (en) Integrated headless gui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60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8075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