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4046B1 -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046B1
KR101704046B1 KR1020110017514A KR20110017514A KR101704046B1 KR 101704046 B1 KR101704046 B1 KR 101704046B1 KR 1020110017514 A KR1020110017514 A KR 1020110017514A KR 20110017514 A KR20110017514 A KR 20110017514A KR 101704046 B1 KR101704046 B1 KR 101704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light
light source
cover
paint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931A (ko
Inventor
우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046B1/ko
Priority to US13/288,651 priority patent/US8779913B2/en
Priority to DE102011055973.6A priority patent/DE102011055973B4/de
Priority to CN201110412692.7A priority patent/CN102650335B/zh
Publication of KR2012009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0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5Arrangement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controll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8Displaying information using colour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차량의 변속레버 측에 마련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광원(L)이 구비된 PCB회로(300); 상기 PCB회로(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내부구조를 차폐하되, 문자단(520)의 문자부(522)와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상기 광원(L)의 빛을 투과시켜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500); 및 상기 PCB회로(300)와 커버(50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커버(500)의 문자단(520)과 선택단(54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광원(L)에 의한 빛 간섭을 저지하는 격벽(700);을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TRANSMISSION INDIC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변속기레버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현재 변속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표시해주기 위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차량의 변속기가 현재 어느 단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려주는 변속단 표시장치가 클러스터게이지 및 콘솔 어퍼커버에 마련된다. 운전자는 이를 통해 현재 변속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단의 표시는 P(주차), R(후진), N(중립), D(드라이브), +(단 상승), -(단 하강)로 이루어지는바, 변속단 표시장치에는 이러한 문자들이 발광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주간의 경우에는 변속단의 문자가 발광되지 않더라도 변속레버의 위치와 문자부의 위치가 평행하게 배치된다면, 변속레버의 위치로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으나, 야간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식별을 위해 P,R,N,D,+,- 문자 자체를 발광시키고, 현재 기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선택단을 마련하여 발광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의 제조업체들은 이러한 문자단과 선택단을 모두 발광시키기 위해 문자단마다 발광부를 설치하고, 해당 문자의 선택단마다 추가로 발광부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물론, 선택단의 경우에는 변속단 표시장치에 포함시킬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도 있으며, 하기의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 선택단을 변속단 표시장치에 포함시킴으로써 문자단과 선택단이 함께 위치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PCB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는 커버(10)와 커버(10)에 표시된 문자단 P,R,N,D,+,-(20)로 구성된다. 이들 문자단(20)은 주야간에 항상 발광이 되도록 하며, 주야간 변속기의 선택된 단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선택된 단은 별도의 구별되는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PCB 회로(30)의 구성은 도 2와 같이, 각각의 문자마다 두 개씩의 발광부(41a, 41b, 42a, 42b, 43a, 43b, 44a, 44b, 45a, 45b, 46a, 46b)를 갖도록 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문자를 발광하는 6개의 발광부와 각 문자마다 선택단을 표시하기 위한 구별되는 색상의 6개의 발광부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경우 각각의 문자마다 최소 2개씩의 발광부가 필요하여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만 12개의 발광부가 소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증대되고 과도한 PCB 설계의 부피상 디자인 설계에도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최근의 디자인 트렌드에 따르면, 이러한 변속단 표시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나머지 공간을 컵홀더나 수납공간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함에 따른 변속단 위치 인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변속단 마다 구별되는 발광부가 필요하지만 설계 자유도를 위해 이러한 발광부의 개수를 줄이고 그에 따라 PCB의 간략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경우 변속단 표시장치의 커버와 문자단의 문자부는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문자단이 커버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됨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수분이 침투하여 변속단 표시장치 내부의 PCB회로가 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택단을 별도로 구성할 경우에는 변속단 표시장치의 커버에 문자단과 선택단이 모두 존재함으로써 디자인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디자인이 간결하고 수분의 침투에도 내구성이 향상되며, 발광부의 개수를 축소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는, 차량의 변속레버 측에 마련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광원이 구비된 PCB회로; 상기 PCB회로의 상부에 마련되어 내부구조를 차폐하되, 문자단의 문자부와 선택단의 표시부는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켜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 및 상기 PCB회로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커버의 문자단과 선택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광원에 의한 빛 간섭을 저지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불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PCB회로를 차폐하되, 문자단의 문자부와 선택단의 표시부는 반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의 발광시 문자부와 표시부가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표시부는 평상시에는 내부의 PCB회로를 차폐하고 광원의 발광시에는 광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반투명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의 패널부, 패널부 상단의 반투명 화이트 페인트층, 반투명 화이트 페인트층 상단의 블랙 페인트층으로 구성되고, 문자단의 문자부는 블랙 페인트층이 문자부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선택단의 표시부는 블랙 페인트층이 표시부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고 커팅된 부분에 반투명 스모그 페인트층이 입혀질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선택단의 표시부는 블랙 페인트층과 반투명 화이트 페인트층이 표시부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고 커팅된 부분에 반투명 스모그 페인트층이 입혀질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문자단과 선택단에 각각 배치되고, 격벽은 문자단과 선택단을 가로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선택단의 표시부마다 각각 배치되고, 격벽은 문자단과 선택단의 사이 및 선택단의 표시부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문자단과 선택단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메인부 및 메인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선택단의 표시부 사이마다 배치된 복수의 리브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CB회로와 커버의 문자단 사이에는 도광판이 설치되고, PCB회로의 일측에 광원이 마련되며, 문자단의 문자부는 광원의 발광시 도광판의 빛 반사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는 도트형상의 빛확산잉크가 문자부를 이루도록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빛확산잉크는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일정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은 광원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잉크의 휘도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빛확산잉크는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일정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은 광원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잉크의 도트간 거리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에 따르면, 변속단 표시장치의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수분 침투에 대응한 내구성이 향상되고, 선택단의 표시부가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다가 선택시에만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시인성을 확보한다.
또한, 변속단 표시장치 PCB의 발광부 개수를 축소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PCB의 부피를 줄여 디자인상의 제약을 뛰어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PCB회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A-A 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B-B 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상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발광판의 빛확산잉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발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A-A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B-B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는, 차량의 변속레버 측에 마련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광원(L)이 구비된 PCB회로(300); 상기 PCB회로(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내부구조를 차폐하되, 문자단(520)의 문자부(522)와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상기 광원(L)의 빛을 투과시켜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500); 및 상기 PCB회로(300)와 커버(50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커버(500)의 문자단(520)과 선택단(54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광원(L)에 의한 빛 간섭을 저지하는 격벽(700);을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차량의 변속레버 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PCB회로(300)가 설치되는데 PCB회로(300)에는 광원(L)이 마련되어 변속단 표시장치가 야간에도 문자부(522)나 표시부(542)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PCB회로(300)의 상부에는 커버(500)가 결합된다. 커버(500)는 일체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할 수 있으며, 변속단 표시장치의 외장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한 커버(500)는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으로 구분되며, 문자단(520)은 각각의 문자부(522) 예를 들어, P, R, N, D, +, -로 이루어지고 선택단(540)은 각각의 문자부(522)마다 존재하여 해당 문자부(522)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부(5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은 커버(500)와 일물로 형성되도록 하여 수분이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변속단 표시장치의 커버(500)와 PCB회로 사이 내부에는 격벽(700)이 설치된다. 격벽(700)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 사이에 배치되어 문자단(520)의 광원과 선택단(540)의 광원 사이에서 빛 간섭을 저지한다. 이로써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은 독립적으로 발광이 가능해진다. 또한 문자단(520)과 선택단(540)간의 간섭을 제거하여 빛이 일정하고 고르게 빛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부에는 베이스(100)가 설치되고 베이스(100)에 PCB회로(300)가 설치된다. PCB회로(300)의 상단에는 커버(500)가 설치되는데 커버(500)는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으로 구분된다. 문자단(520)측에는 광원(도면 미도시)과 도광판(600)이 설치되어 하나의 광원으로도 문자단(520) 전체가 발광되도록 한다. 선택단(540)에도 광원이 마련되어 해당 변속단이 선택된 경우 표시부(542)가 점등되도록 한다. 이러한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의 발광을 독립적으로 이루지 위해 그 사이에 격벽(700)이 설치된다.
광원(L)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에 각각 배치되고, 격벽(700)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을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L)은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마다 각각 배치되고, 격벽(700)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의 사이 및 선택단(540)의 표시부(542)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이 기본적으로 분리되고 선택단(540)의 표시부(542) 역시 표시부(542)마다 분리되어 전체적으로 문자단(520)이 발광되고 변속단이 선택된 경우 각 문자별로 표시부(542)가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 격벽(700)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메인부(720) 및 메인부(720)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선택단(540)의 표시부(542) 사이마다 배치된 복수의 리브부(740)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500)의 경우 불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PCB회로(300)를 차폐하되, 문자단(520)의 문자부(522)와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반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L)의 발광시 문자부(522)와 표시부(542)가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문자부(522)와 표시부(542)를 레이저로 커팅한 후 반투명 페인트(580)를 도포하거나 커버(500) 자체의 성형시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게 처리하되 문자부(522)와 표시부(542)를 반투명으로 성형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커버(500)는 일물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500)의 표시부(542)는 평상시에는 내부의 PCB회로(300)를 차폐하고 광원(L)의 발광시에는 광원(L)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반투명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표시부(542)는 반투명으로 처리되어 평상시 가시영역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이를 위해서는 커버(500)와 PCB회로(300) 간의 깊이를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반투명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다가 광원(L)의 발광시에는 보이도록 하고, 격벽(700)에 의해 인접한 표시부는 여전히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상세 단면도로서, 커버(500)는 투명한 재질의 패널부(560), 패널부(560) 상단의 반투명 페인트층(570), 반투명 페인트층(570) 상단의 블랙 페인트층(580)으로 구성되고, 문자단(520)의 문자부(522)는 블랙 페인트층(580)이 문자부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500)는 기본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패널부(560)로 구성되어 하부의 광원(L)의 빛을 투과하도록 한다. 블랙 페인트(570)는 불투명한 페인트로서 빛을 차단한다. 따라서 커버(500)는 하부의 내부구조를 차폐하도록 한다. 또한 그 상단의 반투명 페인트(580)는 화이트 컬러 또는 다양한 컬러의 반투명 페인트로서, 평상시 페인트의 컬러로 표현되며 내부 구조를 차폐하고 발광시에는 해당 컬러로 발광되도록 한다.
문자부(522)는 블랙 페인트(570)를 문자의 형상으로 레이저 커팅(582)함으로써 형성되고, 그에 따라 하부의 PCB회로(300)에서 발광시 문자부(522)는 반투명 페인트(580)가 빛을 투과하고 이로써 해당 컬러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커버(500)의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블랙 페인트층(580)이 표시부(542)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고 커팅된 부분에 반투명 스모그 페인트층(584)이 입혀지도록 한다. 반투명 스모그 페인트(584)는 블랙 페인트의 밀도를 낮추거나 다크 그레이 컬러의 페인트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매우 강한 빛을 조사하지 않는 한 내부의 구조를 쉽게 노출하지 않는 성질의 페인트이다. 이를 통해 평상시의 빛에서는 내부구조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마치 표시부(542)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은 고스트 효과를 발생하고, 하부의 PCB회로(300)의 광원(L)이 발광시에만 표시부(542)가 발광되어 보이도록 함으로써 디자인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커버(500)의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블랙 페인트층(580)과 반투명 화이트 페인트층(570)이 표시부(542)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572)되고 커팅된 부분에 반투명 스모그 페인트층(592)이 입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표시부는 평상시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이 보이지 않고, 발광시에만 식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500)의 패널부(560)는 표시부(542)가 위치하는 지점의 하면에 옵틱형상(562)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부의 광원의 빛을 표시부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고 은은한 빛을 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의 최상단은 하이그로시 형태의 코팅층(590)을 입힘으로써 전체적인 마무리가 가능해진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발광판의 빛확산잉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발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PCB회로(300)와 커버(500)의 문자단(520) 사이에는 도광판(600)이 설치되는데, PCB회로(300)의 일측에는 광원(L)이 마련되며, 문자단(520)의 문자부(522)는 광원(L)의 발광시 도광판(600)의 빛 반사에 의해 식별되도록 한다. 이러한 도광판(600)의 일면에는 도트형상의 빛확산잉크(620)가 문자부(522)를 이루도록 인쇄되고, 빛확산잉크(620)는 광원(L)과의 거리에 따라 일정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은 광원(L)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잉크의 휘도가 상승되고 도트간 거리가 감소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광판(600)은 플라스틱재질로서, 내부로 조사되는 광원(L)의 빛을 난반사를 이용하여 반사하게 된다. 도광판(600)의 일면에는 빛확산잉크(620)가 인쇄되는데, 빛확산잉크(620)는 도트 형상으로서, 도트간의 빛 반사에 의해 난반사를 유도하고, 그에 따라 광원(L)의 빛이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광판(600)의 하면에는 빛확산시트(640)가 결합되는데, 빛확산시트(640)는 백색으로 채색될 수 있고, 이는 빛을 전단부로 확산되게끔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광판(600), 빛확산잉크(620), 빛확산시트(640)에 의해 후단부에 설치된 LED에 의한 빛은 전반적으로 난반사를 이루며 전단부로 확산되는 것이다.
광원(L)은 도광판(600)의 두께 부분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원(L)이 도광판(600)의 두께부분을 향해 조사될 경우 조사된 빛이 도광판(600)의 내부에서 반사되며 전방부로 확산되고, 빛확산잉크(620) 및 빛확산시트(640)와도 반사가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도광판(600)은 하면에 빛확산잉크(620)가 인쇄된 후 그 아래에 빛확산시트(64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광원(L)의 빛은 도광판(600)의 상단과 하단사이에서 반사되며 전방부로 나아가고, 하단의 빛확산잉크(620)에 의해 난반사를 이루며 난반사에 의해 하방으로 나아가는 빛은 다시 빛확산시트(640)에 의해 상방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상단의 커버(500)에는 최대량의 빛이 조사될 수 있는 것이어서 광원(L)을 충분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빛확산잉크(620)는 문자단의 문자부에 위치가 대응되도록 도광판(600)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인쇄되도록 한다. 즉, 모든 부분에 빛확산잉크(620)를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 즉, 문자단(520)의 하방에만 도트를 인쇄함으로써 불필요한 반사를 줄이고, 빛을 광원(L)으로부터 거리가 먼 지점까지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모든 도광판(600)의 영역에 빛확산잉크(620)를 인쇄할 경우에는 광원(L)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지점에서 빛이 모두 반사됨으로써 거리가 먼 지점에는 충분한 양의 빛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빛확산잉크(620)는 도트로 이루어진 변속단의 문자모양으로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문자부(522)의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를 인쇄하는 방식에 더해 더욱 효율적인 방안으로서, 문자에 대응되는 형상 즉, 도시된 것과 같이 문자모양으로 빛을 인쇄함에 따라 문자부(522)의 테두리 부분에서 빛이 더욱 밝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반사를 줄이며, 문자부(522)의 테두리를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빛확산잉크(620)는 광원(L)과의 거리에 따라 일정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은 광원(L)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잉크의 휘도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동시에 각 구간은 광원(L)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잉크의 도트간 거리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인쇄되는 빛확산잉크(620)를 도광판(600)에서 광원(L)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일정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마다 잉크의 휘도를 달리하고 도트간의 거리를 및 패턴을 달리할 경우 광원(L)과 가까운 거리의 도트에서는 빛을 덜 반사하여 본래보다 빛이 약하게 조사될 것이고, 광원(L)과 거리가 먼 지점에서는 상대적으로 잉크의 휘도가 높고 도트간의 거리가 가까워 반사가 빈번하고 빛이 강하게 조사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광원(L)의 빛은 거리가 가까운 지점에서 약하게 나타나고, 거리가 먼 지점에서 강하게 나타나게 되어 전체적으로 빛을 골고루 이용하게 되며, 문자단(520)의 밝기가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밝기를 가지고 빛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빛확산잉크(620)의 도트는 다각형의 테두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광판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제1지점(+,-), 제2지점(N,D), 제3지점(P,R)으로 나뉘는데, 각 지점은 잉크의 휘도, 도트의 패턴이 변화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지점의 경우는 광원(L)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서, 잉크의 휘도를 낮추고 도트의 형상을 도 9와 같이 육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하며 각 도트간의 이격거리가 가장 멀어지도록 패턴을 구성한다.
제2지점 및 제3지점의 경우는 휘도가 갈수록 높아지도록 잉크를 구별하여 사용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각형의 패턴으로 구성하고 광원(L)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도트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다각형의 도트 형상은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어긋나게 배열됨으로써 상호 난반사가 원활히 일어나도록 구성한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의 발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러한 도광판 및 빛확산잉크의 휘도와 패턴변화를 통해 커버의 문자단에는 하나의 광원으로도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밝기를 갖도록 빛이 조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문자단마다 선택단이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선택단이 보이지 않다가 선택단을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조사하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P,R,N,D,+,- 6개의 문자단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의 개수가 6개에서 1개로 축소됨에 따라 PCB의 설계가 간단해지고 부피가 축소되며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선택단의 고스트 효과에 의해 디자인 상품성이 개선되고 빛이 차단됨으로써 각 발광부의 명확한 구분이 가능하며 일체형 커버로서 수분에 대응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 300 : PCB회로
L : 광원 500 : 커버
520 : 문자단 522 : 문자부
540 : 선택단 542 : 표시부
600 : 도광판 700 : 격벽

Claims (14)

  1. 차량의 변속레버 측에 마련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광원(L)이 구비된 PCB회로(300);
    상기 PCB회로(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내부구조를 차폐하되, 문자단(520)의 문자부(522)와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상기 광원(L)의 빛을 투과시켜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500); 및
    상기 PCB회로(300)와 커버(50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커버(500)의 문자단(520)과 선택단(54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광원(L)에 의한 빛 간섭을 저지하는 격벽(700);을 포함하고,
    상기 PCB회로(300)와 커버(500)의 문자단(520) 사이에는 도광판(600)이 설치되며,
    상기 도광판(600)의 일면에는 도트형상의 빛확산잉크(620)가 문자부(522)를 이루도록 인쇄되되,
    상기 빛확산잉크(620)는 광원(L)과의 거리에 따라 일정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은 광원(L)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잉크의 휘도가 상승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문자단(520)의 문자부(522)는 광원(L)의 발광시 도광판(600) 및 빛확산잉크(620)의 빛 반사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는 불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PCB회로(300)를 차폐하되, 문자단(520)의 문자부(522)와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반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L)의 발광시 문자부(522)와 표시부(542)가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의 표시부(542)는 평상시에는 내부의 PCB회로(300)를 차폐하고 광원(L)의 발광시에는 광원(L)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반투명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는 투명한 재질의 패널부(560), 패널부(560) 상단의 반투명 페인트층(570), 반투명 페인트층(570) 상단의 블랙 페인트층(580)으로 구성되고, 문자단(520)의 문자부(522)는 블랙 페인트층(580)이 문자부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의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블랙 페인트층(580)이 표시부(542)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고 커팅된 부분에 반투명 스모그 페인트층(584)이 입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의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는 블랙 페인트층(580)과 반투명 페인트층(570)이 표시부(542)의 형상에 따라 레이저 커팅되고 커팅된 부분에 반투명 스모그 페인트층(592)이 입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의 패널부(560)는 표시부(542)가 위치하는 지점의 하면에 옵틱형상(5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L)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에 각각 배치되고, 격벽(700)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을 가로막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원(L)은 선택단(540)의 표시부(542)마다 각각 배치되고, 격벽(700)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의 사이 및 선택단(540)의 표시부(542) 사이마다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격벽(700)은 문자단(520)과 선택단(54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메인부(720) 및 메인부(720)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선택단(540)의 표시부(542) 사이마다 배치된 복수의 리브부(7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빛확산잉크(620)는 광원(L)과의 거리에 따라 일정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은 광원(L)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잉크의 도트간 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KR1020110017514A 2011-02-28 2011-02-28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Active KR10170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14A KR101704046B1 (ko) 2011-02-28 2011-02-28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US13/288,651 US8779913B2 (en) 2011-02-28 2011-11-03 Transmission indicator for vehicle
DE102011055973.6A DE102011055973B4 (de) 2011-02-28 2011-12-02 Anzeigevorrichtung eines Getriebes eines Fahrzeuges
CN201110412692.7A CN102650335B (zh) 2011-02-28 2011-12-12 用于车辆的变速器指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14A KR101704046B1 (ko) 2011-02-28 2011-02-28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31A KR20120097931A (ko) 2012-09-05
KR101704046B1 true KR101704046B1 (ko) 2017-02-07

Family

ID=4663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14A Active KR101704046B1 (ko) 2011-02-28 2011-02-28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79913B2 (ko)
KR (1) KR101704046B1 (ko)
CN (1) CN102650335B (ko)
DE (1) DE10201105597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831B1 (ko) * 2012-12-20 2019-10-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3017767A1 (de) * 2013-10-25 2015-04-30 Linden Gmbh Anzeigefläche
JP6189731B2 (ja) * 2013-12-03 2017-08-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DE102014226146A1 (de) * 2014-12-17 2016-06-23 Zf Friedrichshafen Ag Anzeigevorrichtung zur Anzeige zumindest eines Symbols, Schal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zeigevorrichtung
JP6370426B1 (ja) * 2017-03-16 2018-08-08 Nissha株式会社 表示パネル
DE102017205246A1 (de) * 2017-03-28 2018-10-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zeigeelemen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zeigeelements und Verwendung eines Anzeigeelements und Fahrzeug mit einem Anzeigeelement
DE102017219587A1 (de) * 2017-11-03 2019-05-09 Zf Friedrichshafen Ag Gangwahlschalter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ptischen Hervorheben einer gewählten Fahrstufe
CN109278552A (zh) * 2018-09-21 2019-01-2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换挡挡位指示窜光的结构
KR102505684B1 (ko) * 2019-04-22 2023-03-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N110481322A (zh) * 2019-08-26 2019-11-22 重庆市大明汽车电器有限公司 镜片、换挡显示器及镜片的丝印工艺
CN111457087A (zh) * 2020-04-14 2020-07-28 长春盖尔瑞孚艾斯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耐磨档标装置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258Y2 (ja) * 1991-01-25 1997-08-2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の操作位置表示装置
US5245313A (en) 1991-02-20 1993-09-14 Atoma International, In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position indicating device
JP2643729B2 (ja) * 1992-08-03 1997-08-2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の操作位置表示装置
JPH08282318A (ja) * 1995-04-10 1996-10-29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のハウジング
JP3871093B2 (ja) * 1998-03-13 2007-01-24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KR100331647B1 (ko) * 1999-11-05 2002-04-09 이계안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유닛용 슬라이더
US6595575B2 (en) * 2001-09-25 2003-07-22 Mike Morris Protective and decorative vehicle body panels
DE102004029248B4 (de) 2004-06-17 2008-12-11 Lisa Dräxlmaier GmbH Beleuchtungssystem für Anzeigen, insbesondere in Fahrzeugen sowie Abdeckungsbauteil für derartiges Beleuchtungssystem
JP4590977B2 (ja) * 2004-08-18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100773527B1 (ko) * 2006-01-04 200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용 조명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WO2007088607A1 (ja) * 2006-02-01 2007-08-0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893392B2 (ja) * 2007-03-15 2012-03-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94504A (ko) * 2007-04-20 2008-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기의 발광 장치
US20090096900A1 (en) * 2007-10-11 2009-04-16 Chin-Poh Pang Image sensor device
KR101539956B1 (ko) * 2008-12-16 2015-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55973B4 (de) 2024-08-22
DE102011055973A1 (de) 2012-08-30
CN102650335A (zh) 2012-08-29
US8779913B2 (en) 2014-07-15
US20120218097A1 (en) 2012-08-30
CN102650335B (zh) 2016-04-06
KR20120097931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046B1 (ko)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US20060185576A1 (en) Meter panel for use in automotive instrument
KR101316267B1 (ko)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JP2006160136A (ja) 車両用発光表示装置
US12163653B2 (en) Decorative sheet and interior member
CN103707804B (zh) 车辆的换档位置显示装置
JP5429691B2 (ja) 照明装置
JP5104249B2 (ja) 指針計器
JP4949051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9036647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08454533A (zh) 车辆用装饰部件
JP2007085983A (ja) 計器
JP2008020294A (ja) 車両用計器装置
JP2016047693A (ja) 車両室内用照明装置
JP5563681B1 (ja) 車両用装飾表示装置
KR101382283B1 (ko)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JP2009046003A (ja) ギアシフト用表示装置
JP5469702B2 (ja) 車両のシフトノブ
JP4812500B2 (ja) 計器装置
KR20140079906A (ko)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JP3134621U (ja) コースター
JP2007030774A (ja) 車両室内照明装置
JP2005337895A (ja) 照明装置
JP2009046002A (ja) ギアシフト用表示装置
JP2007017165A (ja) 計器及び文字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