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3997B1 - Test strip and assay device - Google Patents

Test strip and ass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997B1
KR101703997B1 KR1020100053755A KR20100053755A KR101703997B1 KR 101703997 B1 KR101703997 B1 KR 101703997B1 KR 1020100053755 A KR1020100053755 A KR 1020100053755A KR 20100053755 A KR20100053755 A KR 20100053755A KR 101703997 B1 KR101703997 B1 KR 101703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est strip
unit
identification structure
output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4017A (en
Inventor
현석정
한성수
임귀삼
곽금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997B1/en
Publication of KR2011013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9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7Association of two or more measuring systems or cells, each measuring a different parameter, where the measurement results may be either used independently, the systems or cells being physically associated, or combined to produce a value for a further para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test strip) 및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스트스트립의 출력특성을 고려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strip and an analyzer for measuring a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st strip and analyzer that more accurately measures a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in consideration of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Description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TEST STRIP AND ASSAY DEVICE} [0001] TEST STRIP AND ASSAY DEVICE [0002]

본 발명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test strip) 및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스트스트립의 출력특성을 고려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strip and an analyzer for measuring a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st strip and analyzer that more accurately measures a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in consideration of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삶의 질 향상이 점차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용 의료기기들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의료기기 분야에서 실수요자가 직접적으로 사용할 가정용 의료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제품의 성능이나 기능 못지않게 사용자의 편의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As society develops,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issue, and as interest in personal health increases, the development of home medical devices is advancing rapidly. According to this tendency, when a consumer selects a home medical device to be used directly by the end user in the medical device fiel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performance or the function of the product.

이와 같은 의료기기 분야에 있어서, 고혈압,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과 같이 평소에 일상적인 관리 및 측정이 요구되는 질병에 대해서는 휴대가 가능한 의료기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당뇨병을 측정하는 혈당측정기이다. 최근 세계 당뇨연맹의 발표에 따르면 향후 20년간 전 세계 당뇨환자가 무려 3억 6천만 명에 이를 것이며, 더욱이 불균형한 식생활과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성인뿐 아니라 저연령층에서도 매년 약 9%씩 당뇨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혈당측정기는 의료기기 분야에서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의 경우 당뇨병 환자는 매일 수회에 걸쳐 주기적으로 혈당의 농도 측정을 통하여 당뇨 여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혈당측정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In such medical devic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portable medical devices for diseases that require routine management and measurement,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one of which is diabetes mellitus It is a blood glucose meter. Recently, the World Diabetes Federation announced that there will be 360 million diabetic patients in the world over the next 20 years, and diabetic patients will increase by about 9% every year in adults as well as adults due to unbalanced diet and lack of exercise As expected, the blood glucose meter is the largest market for medical devic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diabetes, the diabetic patient has to check the diabetic state by measuring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periodically every several times a day,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more emphasized in the blood glucose meter.

최근의 혈당측정기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 병원에 가야만 자신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던 것이 간단하게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당뇨여부를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혈당측정에 사용되는 테스트스트립이나 바이오 칩의 경우, 제조상의 이유로 인하여 생산로트(lot)에 따라 개개의 테스트스트립이나 칩마다 측정한 혈당농도에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혈당측정기를 사용하여 혈당을 측정할 시에 올바른 측정결과를 얻기 위하여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테스트스트립이나 바이오 칩의 생산로트에 대한 코드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특히, 이러한 코드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환자가 아동이나 노인인 경우, 사용상의 제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Recent blood glucose meters have been able to diagnose diabet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simply by knowing their health condition by going to a hospital in the pas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owever, in the case of a test strip or a biochip currently used for blood glucose measurement, an error occurs i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ed for each test strip or chip according to the production lot due to manufacturing reasons. Therefore, the user has to input the code information for the production lot of the test strip or the bio chip to correct the error in order to obtain the correct measurement result when measuring the blood glucose using the blood glucose meter. In particular, the input of such code information may be a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patient when the patient is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strip and analyzing apparatus which minimizes an input of a user and thereby improves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코드정보에 대한 입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strip and an analyzing apparatus that operate normally without receiving input from a user for code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테스트스트립의 생산로트에 따른 출력특성을 인식하고, 이에 근거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보정하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st strip and analyzer that recogniz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production lot of a test strip and correct measured values based there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물질로부터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strip and an analyzing device for measuring a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from a plurality of substances.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alyz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by providing a test strip and an analyzing apparatus a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테스트스트립은, 복수의 출력특성들 중 하나의 출력특성을 가지는 테스트스트립으로서, 체액을 제공받아 체액 내에 포함된 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반응신호를 출력특성에 따라 출력하는 반응부 및 그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식별구조체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한다. 이때, 식별구조체는, 분석장치가 전자식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식별구조체로부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도록 한다.A test stri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st strip having output characteristics of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wherein the test strip is provided with a body fluid and outputs a reaction signal due to reaction of the indicator substance contained in the body fluid, And an identification unit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tructure reflecting the reaction unit and the output characteristics thereof.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allows the analyzer to acquire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an output characteristic from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nic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분석장치는, 복수의 출력특성들 중 하나의 출력특성을 가지며, 체액을 제공받아 체액 내에 포함된 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반응신호를 출력특성에 따라 출력하는 반응부 및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식별구조체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테스트스트립이 수납되는 수납부, 전자식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식별구조체로부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는 인식부 및 반응신호에 근거하여 측정값을 획득하고, 측정값 및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보정값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이다.
An analyz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unit having an output characteristic of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and outputting a reaction signal due to a reaction of an indicator substance contained in body fluids, A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a test strip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ection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tructure reflecting an output characteristic, a recognition section for obtaining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an output characteristic from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nic measurement device, And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and the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일 효과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 사용 시 사용자가 코드정보를 입력하지 아니하고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것이다.On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health status of a patient without the user entering code information when using the test strip and analyzer.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효과는, 분석장치가 자동으로 테스트스트립의 출력특성을 인식하여 이에 따라 측정값을 보정하는 것이다.Another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nalyzer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and corrects the measured values accordingly.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전기화학적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에 있어서, 전기적인 측정방법으로 테스트스트립의 출력특성을 인식하므로 생산 단가가 절감되는 것이다.Another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test strip and analyzer using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are recognized by the electrical measurement method,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분석장치가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nalyzing devic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o more efficiently manage the health state of the pat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 및 분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의 출력특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별구조체 및 인식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별구조체 및 인식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별구조체 및 인식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스트립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스트립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가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가 통신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가 사용하는 정보기록필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의 제어부 및 통신부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st strip and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st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test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a test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of output characteristics of a test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and the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structure and a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structure and a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test strip capable of measuring a plurality of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est strip capable of measuring a plurality of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a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14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n information recording field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of the analy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erms u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For the same compon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can be omitted.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100) 및 분석장치(2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100) 및 분석장치(200)의 구성도이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est strip 100 and the analysis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st strip 100 and an analysis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테스트스트립(100)은 체액을 제공받아 체액에 포함된 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반응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test strip 100 may be provided with a body fluid and output a reaction signal due to the reaction of the indicator substance contained in the body fluid.

이러한 테스트스트립(100)은 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10), 유입된 체액을 반응부(130)에 전달하는 유로(120), 체액 내의 지표물질이 반응하여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반응부(130), 출력된 반응신호를 분석장치(200)로 전달하는 신호부(140) 및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식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test strip 100 includes an inlet 110 through which the body fluid flows, a flow channel 120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body fluid is delivered to the reaction unit 130, a reaction unit 130 that outputs a reaction signal by reacting the indicator substances in the body fluid, A signal unit 140 for transmitting the output reaction signal to the analyzer 200 and an identification unit 150 for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given later.

분석장치(200)는 테스트스트립(100)으로부터 반응신호를 받아 이에 근거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상태에 대한 측정은 정량적 또는 정성적 분석일 수 있다.The analyzer 20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test strip 100 and can measur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Measurements of these health conditions can be quantitative or qualitative.

이러한 분석장치(200)는 테스트스트립(100)이 수납되는 수납부(210),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인식하는 인식부(220), 반응신호 및 출력특성 등에 근거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제어부(230),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240),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력부(250), 측정된 환자의 건강상태 및 그 외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60), 측정된 값들이나 그 외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70) 및 분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분석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술하기로 한다.
The analysis apparatus 200 includes a storage unit 210 in which the test strip 100 is stored, a recognition unit 220 that recognize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A communication unit 240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250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 output unit 260 for outputting the measured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A storage unit 270 for storing values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2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analysis apparatu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analyz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1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테스트스트립(100)의 전면도, 도 4는 테스트스트립(100)의 배면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est str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st str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test strip 100, and FIG. 4 is a rear view of the test strip 100.

테스트스트립(100)은 상술한 구성요소가 모두 마련된 하나의 기판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성요소가 마련된 다수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est strip 100 may be formed of a single substrate on which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provided, or a plurality of substrates on which some components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유입구(110)는 외부로부터 체액을 유입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소정의 기구를 사용해 손가락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한 후 이를 테스트스트립(100)의 유입구(110)로 유입할 수 있다. 여기서, 체액이란, 혈액, 소변, 타액, 정액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입구(110)는 이러한 체액이 테스트스트립(100)으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110)의 형상은 원형이나 다각형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일 수 있다. 원형이나 반원형의 형상은 체액의 유입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체액을 제공하는 환자의 심리상태가 편안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이 체액의 유입에 유리할 수 있다.The inlet 110 can receive body fluids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patient may use a predetermined instrument to collect blood from a finger and then flow it into the inlet 110 of the test strip 100. Here, the body fluid may be any one of blood, urine, saliva, semen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inlet 110 may be provided to allow such bodily fluids to flow smoothly into the test strip 100.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inlet 11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or semicircular as shown in FIG. Circular or semicircular shapes are not only suitable for influx of body fluids, but may also have the effect of relaxing the patient's psychological state of providing body fluids. In addition, the inlet 11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est strip 100, which may be advantageous for inflow of body fluids.

유로(120)는 유입구(110)에 유입된 체액을 반응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체액의 전달은 중력, 측면흐름(lateral flow) 또는 모세관현상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유로(120)는 측면흐름에 적합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120)는 다공성 멤브레인(porous membrain) 또는 종이나 솜 따위의 흡수성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유로(120)는 모세관현상에 적합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현상을 일으키도록 가는 홈 형태로 형성된 미세유로로 마련될 수 있다. 미세유로의 폭은 0.1mm~1mm일 수 있다.The flow path 120 can transfer the body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110 to the reaction part 130. This transfer of body fluids can be effected by gravity, lateral flow, or capillary action. The flow path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itable for side flow. For example, the flow path 120 may be provided with a porous membrane or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paper or cotton. 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120 may be adapted to capillary phenomenon. For example, the flow path 120 may be provided as a fine flow path formed in a thin groove shape to cause a capillary phenomenon, as shown in FIG. The width of the fine flow path may be 0.1 mm to 1 mm.

반응부(130)는 유로(120)로부터 체액을 전달받아 체액 내에 존재하는 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반응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reaction unit 130 can receive the body fluid from the channel 120 and output a reaction signal due to the reaction of the indicator substance present in the body fluid.

반응부(130)에는 체액 내의 지표물질과 분석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반응물질은 반드시 반응부(130)에 함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테스트스트립(100) 상에 반응물질이 함유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또는 유로(120)가 반응물질을 함유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반응물질은 체액 내의 특정한 지표물질과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일 수 있다.The reaction unit 130 may contain an indicator substance in the body fluid and a reaction substance that causes an analysis reaction. In addition, the reaction material is not necessarily contained in the reaction part 130, but a separate space for containing the reaction material may be provided on the test strip 100, or the reaction material may be contained in the flow path 120 You can do it. At this time, the reactant may be a substance that reacts with a specific indicator substance in body fluids.

반응부(130)는 반응물질을 함유하기 적합한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예로는, 멤브레인 또는 중합체 계층(polymer layer)일 수 있다.The reaction part 130 may be a material suitable for containing the reaction material. An example of such a material may be a membrane or a polymer layer.

반응부(130)에서 생화학적 반응이 일어날 때, 상기 생화학적 반응에는, 지표물질 및 반응물질 이외에 지표물질과 연결되는 접합물질이 반응에 더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합물질은 콜로이드 골드(colloidal gold)와 같이 반응 시 특정한 신호를 발생하는 물질일 수 있다. 반응부(130)에서 일어나는 분석반응은 항원항체 반응 또는 효소 반응 등의 생화학적인 반응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반응에 의하여 광학적인 신호 또는 전기화학적인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biochemical reaction occurs in the reaction part 130, in addition to the indicator substance and the reactive substance, a bonding substance which is linked to the indicator substance may participate in the biochemical reaction more. For example, the bonding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generates a specific signal during the reaction, such as a colloidal gold. The analysis reaction occurring in the reaction unit 130 may be a biochemical reaction such as an antigen-antibody reaction or an enzymatic reaction, and an optical signal or an electrochemical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analysis reaction.

테스트스트립(100)은 콜레스테롤수치 측정, 당뇨여부측정을 위한 혈당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테스트스트립(100)은 혈당을 측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원리를 사용할 수 있다.The test strip 100 may be used to measure cholesterol levels, and to measure blood glucose for determining diabetes. The test strip 100 may use, for example, the following principle to measure blood glucose.

당뇨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광학적 측정법과 전기화학적 측정법으로 나뉠 수 있다.The method of measuring diabet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optical measurement and electrochemical measurement.

여기서, 광학적 측정법은, 당산화효소와 과산화효소에 의한 당의 산화반응을 기본적인 원리로 이용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특정할 수 있다. 광학적 측정방법에는 광학적 신호를 공시액의 색조를 표준액의 색조와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비색법(colorimetry), 물질이 빛, 예를 들어 가시광선, 전자선, 엑스선 또는 방사선을 받았을 때에 내는 고유한 광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형광법(fluorescence) 및 분석반응에서 발생한 광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ce)이 포함될 수 있다. 당뇨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반응하는 지시약의 색깔변화를 분석하는 비색법으로 혈당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테스트스트립(100)의 유입구(110) 및 유로(120)를 통해 반응부(130)로 혈액을 제공한 다음, 소정의 반응시간 경과 후 이 상태에서 테스트스트립(100)의 반응부(130) 저면에 빛의 반사를 위한 불투명 방사판을 위치시키고, 분석장치(200)의 발광부를 통해 테스트스트립(100)의 반응부(130)에 빛을 조사하고, 수광부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그 반사량에 근거하여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Here, in the optical measurement method, the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blood can be specified by using the oxidation reaction of sugar by the peroxidase and the peroxidase as a basic principle. Optical measurement methods include colorimetry, which quantitatively measures the optical signal by comparing the hue of the sample with the hue of the standard solution, and the inherent optical signal that the material emits when it receives light, for example, visible light, Fluorescence in the measurement and chemiluminescence in the measurement of the optical signal generated in the assay reaction. In the measurement of diabetes, the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can be measured by a colorimetric method for analyzing the color change of a reagent to be reacted. The blood is supplied to the reaction part 130 through the inlet 110 and the flow path 120 of the test strip 100 and then the blood is supplied to the reaction part 130 of the test strip 100 in this state And the reaction part 130 of the test strip 100 is irradiated with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analyzer 200. Th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receiving part is received and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rt Based on this, blood glucose can be measured.

한편,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색소원을 사용하는 대신 테스트스트립(100)의 반응부(130)에 혈액이 제공되면 혈액 중 포도당(glucose) 및 포도당의 산화효소, 즉 당산화효소(glucose oxidase)의 산화환원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를 전극에서 수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전자전달매개체는 당산화효소를 산화시킨 후 자신은 환원되며, 이로 인해 환원된 전자전달매개체는 일정 전압이 가해진 전자 표면에서 전자를 잃고, 전기화학적으로 다시 산화되며, 여기서 발생되는 전류량이 혈액 내의 포도당 농도와 비례하므로 이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는 원리이다. 당뇨를 전기화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when blood is supplied to the reaction part 130 of the test strip 100 instead of using a dye source, oxidation of glucose and glucose in the blood, that is, oxidation of glucose oxidase And the current generated by accepting electrons generated in the reduction process at the electrode. At this time, the electron transfer mediator oxidizes the saccharide oxidizing enzyme, and then it is reduced, whereby the reduced electron transfer mediator loses electrons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 to which a certain voltage is applied, and is electrochemically reoxidized,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A method of electrochemically measuring diabetes melli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포도당 + GOx-FAD → 글루콘산 + GOx-FADH2 Glucose + GOx-FAD → Gluconic acid + GOx-FADH2

GOx-FADH2 + 전자전달매개체(산화) → GOx-FAD + 전자전달매개체(환원)
GOx-FADH2 + electron transfer mediator (oxidation) → GOx-FAD + electron transfer mediator (reduction)

위의 반응식에서, GOx는 당산화효소를 나타내고, GOX-FAD 및 GOX-FADH2는 각각 당산화효소의 활성부위인 FAD(flavin adenine dinucleotide)의 산화상태 및 환원상태를 나타낸다. 전자전달매개체로서 페로센(ferrocene), 페로센유도체, 퀴논(quinones), 퀴논유도체, 전이금속함유 유기 및 무기물(헥사아민 루테늄, 오스뮴 함유 고분자, 포타슘 페리시아나이드 등), 유기전도성 염(organic conducting salt), 비오로겐(viologen)과 같은 전자전달 유기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quation, GOx represents glucose oxidase, and GOX-FAD and GOX-FADH2 represent oxidation state and reduction state of FAD (flavin adenine dinucleotide), which is an active site of glucose oxidase, respectively. Examples of the electron transfer medium include ferrocene derivatives, ferrocene derivatives, quinones, quinone derivatives, transition metal-containing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hexaamine ruthenium, osmium-containing polymer and potassium ferricyanide) , Electron transport organic materials such as viologen, and the like can be used.

먼저 분석반응에서 포도당은 당산화효소의 촉매작용에 의해서 글루콘산으로 산화된다. 이때 당산화효소의 활성 부위인 FAD가 환원되어 FADH2로 된다. 환원된 FADH2는 전자전달매개체와의 산화환원반응을 하여 FADH2는 FAD로 산화되고, 전자전달매개체는 환원된다. 환원상태의 전자전달매개체는 전극표면까지 확산되는데, 이때 작동 전극표면에서 환원상태의 전자전달매개체의 산화전위를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혈당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First, in the assay reaction, glucose is oxidized to gluconic acid by the catalytic action of glucose oxidase. At this time, FAD which is an active site of glucose oxidase is reduced to FADH2. The reduced FADH2 undergoes a redox reaction with the electron transport mediator, whereby FADH2 is oxidized to FAD and the electron transport mediator is reduced. The reduced electron transfer mediator diffuses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electric current generated by applying the oxidation potential of the reduced electron transfer mediator on the working electrode surface.

이러한 전기화학적 측정방법은 종래의 비색법과는 달리 산소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시료가 혼탁하더라도 시료를 별도 전처리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화학적으로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은 전류량의 측정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혈당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당의 측정시간이 단축되고, 조작이 간편하다는 등 사용 시의 성능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Unlike the conventional colorimetric method, this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can reduce the influence of oxygen, and can have an advantage that the sample can be used without any pretreatment even if the sample is turbid. As described above, the test strip 100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electrochemically is obtained through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current,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can be measured relatively accurately, and the measurement time of blood glucose is shortened. The performance in use can be greatly improved.

신호부(140)는 반응부(130)에서 발생한 반응신호를 외부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는 테스트스트립(100)의 분석장치(200)일 수 있다. 반응신호가 전기화학적인 신호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부(140)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극(electrode)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은 그 일단이 반응부(130)에 연결되어 반응부로부터 분석반응에서 발생한 반응신호를 수용할 수 있다. 전극의 타 일단은 테스트스트립(100)이 분석장치(200)에 삽입되는 일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한 반응신호를 분석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극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 및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unit 140 may transmit a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reaction unit 130 to an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may be the analyzer 200 of the test strip 100. When the reaction signal is an electrochemical signal, as shown in FIG. 3, the signal unit 1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d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Here, one end of th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reaction part 130 to receive the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analysis reaction from the reaction part.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may be provided so as to extend to the side where the test strip 100 is inserted into the analyzer 200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o the analyzer 200. At this time, the electrode may include a working electrode and a counter electrode as shown in FIG. The electrode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electrode as shown in FIG.

식별부(15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반응신호에 대한 출력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부(150)는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식별구조체(151)를 마련함으로써, 출력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인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테스트스트립(100)의 경우에는 광학적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테스트스트립(100)보다 측정이 원활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측정의 정확도가 그 테스트스트립(100)의 제조공정에 따른 편차에 크게 좌우될 수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분석장치(200)에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150 may reflect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for the response signal. As shown in Fig. 4, the identification unit 150 can reflect the output characteristic by providing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In the case of the test strip 100 used in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asurement is more smooth and convenient than the test strip 100 used in the optical measurement method, And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to the analysis apparatus 200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evia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별구조체를 이용해 측정값을 보완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upplementing measurement values using an ident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혈당을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은 일반적으로 대량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생산로트별로 분석반응 시 발생하는 반응신호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편차는 측정값에 오차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상업적인 테스트스트립들(100)에 있어서, 공장에서 이러한 편차에 대한 출력특성 정보를 테스트스트립(100)의 외관 등에 식별코드 등으로 표시되어 출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식별코드를 읽어 분석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로써, 분석장치(200)가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측정값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사용자는 이러한 코드정보를 테스트스트립(100)으로부터 읽어내어 이를 분석장치(200)에 수동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입력 방법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며, 사용자가 입력오류를 범하게 됨으로써 결과를 부정확하게 얻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테스트스트립(100)이 출력특성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식별부(150)가 있어 분석장치(200)가 자동으로 식별부(150)로부터 테스트스트립(100) 고유의 생산로트정보, 즉 출력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테스트스트립(100)은 이러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식별구조체(151)가 마련된 식별부(150)를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The test strip 100 measuring blood glucose can generally be mass produced. In such a case, there may be a deviation in the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analysis reaction for each production lot, and this deviation may act as an error in the measured value. In order to eliminate such an error, in most commercial test strips 100, output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is deviation at the factory may be shipped in the form of an identification code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st strip 100. The user can read the identification code and input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analysis device 200.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analysis device 200 to correct the error of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user's input. Here, the user reads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test strip 100 and inputs the code information to the analyzer 200 manually. However, such a manual input method may inconvenience a user, and may cause a user to incorrectly obtain an input erro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n identification unit 150 in which the test strip 100 reflects information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so that the analysis apparatus 200 automatically acquires from the identification unit 150 the production There may be a need to acquire lot information, i.e., information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strip 100 includes the identification unit 150 provided with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hat reflect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이러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에는, 광학적 식별방법 및 전기적 식별방법이 있을 수 있다. 광학적 식별방법은, 테스트스트립(100)에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색조를 배열하거나 또는 바코드 등을 마련하고 분석장치(200)의 광학적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테스트스트립(100)에 마련된 색조패턴을 분석하거나 또는 바코드를 검출함으로써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이다.Methods for identifying information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may include an optical identification method and an electrical identification method. The optical identifica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color tone is arranged on a test strip 100 in a predetermined manner or a barcode or the like is provided and the color tone pattern provided in the test strip 100 is analyzed using an optical measurement device of the analysis device 200 And detec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by detecting bar codes.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전기적 식별방법으로 판단하는 것은 테스트스트립(100)에 저항체를 마련하여 분석장치(200)가 저항값에 따라 생산로트 정보를 구별하는 방법, 테스트스트립(100)에 전기적인 측정장치를 통해 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전도체나 돌출부를 배열하고 분석장치(200)가 전기적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전도체나 돌출부 등의 배열상태를 확인하여 그 배열상태에 따라 생산로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식별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술하기로 한다.The determination of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by the electrical identif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by providing a resistor on the test strip 100 so that the analysis apparatus 200 distinguishes the production lo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A conductor or protrusion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the conductor or protrusion is present through an electrical measuring device is arranged and the analyzer 200 checks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nductor or protrusion using an electrical measuring device, And the lik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electrical identification method will be given later.

광학적 식별방법은 주로 광학적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테스트스트립(100) 및 분석장치(200)에서 사용하기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분석반응에서 발생한 반응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적 측정장치를 테스트스트립(100)의 생산로트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반응부(130)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가 있는 분석장치(200)의 경우에는 이러한 발광부 및 수광부를 테스트스트립(100)에 마련된 식별부(150)의 색조패턴이나 바코드를 읽는데 다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전기화학적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테스트스트립(100) 및 분석장치(200)에 있어서는, 전기적 식별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전기화학적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광학적 식별방법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분광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는 기술적으로도 어렵고 경제적으로도 적절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기화학적 테스트스트립(100)이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분석장치(200)에 삽입되는 부분에 생산로트정보 등을 입력한 구조체 등을 분광학적으로 인식하는 장비 및 회로를 구성하기에는 공간적으로 지극히 제한되어 있을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시스템의 구성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The optical identification method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the test strip 100 and the analysis apparatus 200 mainly using optical measurement methods. This is because the optica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analysis reaction can be used again to confirm the production lot information of the test strip 10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nalyzer 200 having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for irradiating the light to the reaction unit 130,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arranged in the color pattern of the identification unit 150 provided in the test strip 100 It can be used again to read the bar code. However, in the test strip 100 and the analyzer 200 using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an electrical identification method. This is because, when an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is used, a separate spectroscopic system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use an optical identification method, which may be technically difficult and economically unsuitable. For example, in order to constitute an apparatus and a circuit for spectroscopically recognizing the structure or the like in which the production lot information or the like is inputted to the part where the electrochemical test strip 100 is inserted into the analysis apparatus 200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re may be a dis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cost of the system is greatly increased economical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스트립(100)의 식별부(15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대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identification unit 150 of the test str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lot of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FIG.

식별부(150)는 식별구조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장치(200)는 식별구조체(151)로부터 테스트스트립(100)의 생산로트 정보, 즉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관한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식별부(150) 및 식별구조체(151)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일부가 분석장치(200)에 삽입되는 경우에 분석장치(200)의 인식부(220)가 식별구조체(151)로부터 정보를 얻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테스트스트립(100)이 분석장치(200)에 삽입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스트스트립(100)의 일단일 수 있다. 전기화학적인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의 경우에는, 반응부(130)에서 발생한 전기적인 신호를 분석장치(200)로 전달하기 위하여 신호부(140), 예를 들어, 전극 등이 테스트스트립(10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식별부(150)가 신호부(140)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부(140), 즉 전극이 테스트스트립(100)이 분석장치(200)와 연결되는 전면의 일단에 마련된 경우, 식별부(15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배면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he analysis apparatus 200 can read the production lot information of the test strip 100 from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hat is, information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 The identification unit 150 and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cognition unit 220 of the analysis device 200 receives a part of the test strip 100 from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It can be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information can be easily obtained. This location may be the location where the test strip 100 is inserted into the analyzer 200 and may be, for example, one end of the test strip 100. In the case of a test strip 100 using an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a signal unit 140, for example, an electrode or the like is provid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in the reaction unit 130 to the analysis apparatus 200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part 15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ignal part 140. For example, when the signal unit 140, that is, the electrod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ont surface where the test strip 100 is connected to the analysis apparatus 200, the identification unit 15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ck surface of the test strip 100 .

식별구조체(151)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를 반영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혈액 내의 포도당을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의 경우에는 그러한 테스트스트립(100)들이 전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출력특성을 가지도록 균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테스트스트립(100)은 그 생산공정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출력특성이란, 체액 내의 지표물질의 양에 따른 반응신호의 세기나 강도 등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내의 포도당의 농도가 특정한 수치에 해당하는 경우, 어떤 테스트스트립(100)들은 1의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다른 테스트스트립(100)들은 2의 신호를, 또 다른 테스트스트립(100)들은 3의 신호를 내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분석장치(200)가 테스트스트립(100)으로부터 정확한 포도당의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분석반응에 의한 반응신호로부터 얻어진 값의 측정값의 오차를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개개의 테스트스트립(100)의 고유한 출력특성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단, 여기서 출력특성이 항상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정보는 그 테스트스트립(100)의 생산로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may reflect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In the case of a test strip 100 that measures electrochemically glucose in a commercially used blood glucose, it may be practically difficult to uniformly manufacture all such test strips 100 so as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utput characteristics. Thus, such a test strip 100 may have different outpu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its production process. At this time, the output characteristic may mean the intensity or intensity of the response signal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indicator substance in the body flui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blood corresponds to a specific value, as shown in FIG. 5, some test strips 100 output a response signal of 1 while the other test strips 100 output 2 And the other test strips 100 are capable of outputting a signal of three. For this reason, in order for the analyzer 200 to accurately measure the glucose level from the test strip 100, the individual test strips 100 (in order to substantially eliminate the error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reaction signals by the analysis reaction Lt; RTI ID = 0.0 > of < / RTI > However, the output characteristic may not always have a linear characteristic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put information of such a test strip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lot of the test strip 1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구조체(151)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저항측정장치을 통하여 출력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구조체(151) 및 분석장치(200)의 인식부(22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정전용량측정장치을 통하여 출력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구조체(151) 및 인식부(220)의 사시도이며, 도 8는 압전측정장치을 통하여 출력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구조체(151) 및 인식부(22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an identification unit 22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capable of identifying output characteristics through a resistance measurement apparatus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a recognition unit 220 capable of identifying output characteristics through a piezoelectric measuring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스트립(100)은 모두 균일한 출력특성을 가지도록 생산되기 곤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스트스트립(100)은 생산일자 또는 생산로트별로 서로 다른 출력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대량생산된 테스트스트립(100)들은 생산로트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출력특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l of the test strips 100 may be difficult to produce so as to have uniform output characteristics. In general, test strips 100 may have different output characteristics by production date or production lot. Here, the mass-produced test strips 10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output characteristics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lot.

본 발명에 따르는 테스트스트립(100) 및 분석장치(200)에서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식별구조체(151)가 분석장치(200)의 인식부(220)가 검출할 수 있는 일정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분석장치(200)의 인식부(220)는 이러한 식별구조체(151)의 속성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인식부(220)에서 획득된 신호는 분석장치(200)의 제어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장치(200)의 저장부(270)에는 테스트스트립(100)의 복수의 출력특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저장부(270)에 저장된 출력특성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인식부(220)로부터 얻은 신호가에 따라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확인하거나 또는 측정값의 오차를 보정 할 수 있다.In the test strip 100 and the analysis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of the test strip 100 can have a certain property that the recognition unit 22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can detect have. Accordingly, the recognition unit 22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can acquir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the signal obtained by the recognition unit 220 can be obtained from the analysis apparatus 200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30. Herein,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The control unit 230 refers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characteristic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and check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or corrects the error of th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recognition unit 220 .

도 6은 저항측정장치를 통하여 출력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구조체(151) 및 인식부(220)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식별구조체(151)는 복수 개의 저항값 중 하나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저항값들은 각각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들에 해당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저항값은 복수의 출력특성 중 테스트스트립(100)의 고유의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값일 수 있다. 분석장치(200)의 인식부(220)는 이러한 식별구조체(151)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는 저항측정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저항측정장치는 식별구조체(151)에 연결되어 전기를 가하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전류값이나 전압값에 근거하여 저항값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식별구조체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분석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전류값, 전압값 또는 저항값 등에 근거하여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확인하거나 또는 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6 shows an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a recognition unit 220 capable of identifying output characteristics through a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may be provided to have a resistance value of one of a plurality of resistance values. The plurality of resistance values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respectively. Likewise, one resistance value may be a value that reflects the inherent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among a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The recognition unit 22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may be provided with a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 The resistance measuring device can measu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in such a manner that it is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o apply electricity, and obtains a resistance value based on the current value or the voltage value obtained from the identification value. The controller 230 of the analyzer 200 may check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based on a current value, a voltage value, a resistance value, or the like, or may use the measured output characteristics to correct the measured result.

식별구조체(151)의 저항값은 식별구조체(151)를 이루는 물질의 종류, 식별구조체(151)의 두께, 식별구조체(151)의 형상 및 식별구조체(151)가 도포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항체는 단일 물질일 수 있으며, 단일 물질로는 금속 또는 비금속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은 탄소(carbon), 은(Ag), 금(Au), 탄소나노튜브(CNT) 등일 수 있으며, 비금속은 ITO(indium tin oxide), IZC, 유기화합물 중합체 등일 수 있다. 한편 저항체는 둘 이상의 물질을 합성한 합성물질일 수 있는데, 이때에는 합성되는 물질들의 비율에 따라 저항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저항값은 식별구조체(151)의 두께를 조절하여 정해지거나 또는 도포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정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저항체를 이용한 식별구조체(151)는 구성이 간편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구조체(151)는 전도체를 식별부(150)에 얇게 도포한 뒤 이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resistance value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may be at least one of the type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he thickness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the manner in which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is appli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Such a resistor may be a single material, and a single material may be a metal or a nonmetal. For example, the metal may be carbon, silver (Ag), gold (Au), carbon nanotubes (CNT), etc., and the base metal may be indium tin oxide (ITO), IZC, On the other hand, a resistor may be a synthetic material synthesized from two or more materials,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the materials to be synthesized. In addition, the resistance value may b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or by changing the application method.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using such a resistor may be advantageous in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ductor is thinly coated on the identification portion 150 and then coated.

도 7은 정전용량측정장치를 통하여 출력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구조체(151) 및 인식부(220)를 도시하고 있다. 식별구조체(151)는 복수 개의 미리 정해진 배열 중 하나의 배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구조체(151)는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구획에는 전도체가 마련되거나 또는 마련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로써, 각 구획에 전도체의 유무에 따라 배열이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전도체의 배열방식에 따라 출력특성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디지털화된 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정보를 인식하는데 있어 오류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배열들은 각각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들에 해당할 수 있다. 7 shows an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a recognition unit 220 capable of identifying output characteristics through a capacitance measurement apparatus.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may be provided to have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rays.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compartments, and each compartment may or may not be provided with a conductor. As a result, the arrangement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ductor in each section. In the case of express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conductors, since the digitized method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rror in recogniz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test strip 100 is small.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s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respectively.

분석장치(200)의 인식부(220)는 정전용량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용량측정장치는 식별구조체(151)의 각 구획에 접근함에 따라 전도체가 있는 경우에는 정전용량이 발생하고, 전도체가 없는 경우에는 정전용량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식부(220)는 각 구획에 전도체의 배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인식부(220)는 각 구획의 전도체 배치여부에 따라 식별구조체(151)의 전도체가 배열된 방식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러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측정된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22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may include a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The capacitance measuring apparatus can detect that a capacitance is generated when a conductor is present as it approaches each section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that no capacitance is generated when there is no conductor. Accordingly, the recognition unit 220 can detect whether or not a conductor is disposed in each of the compartments. The recognition unit 220 may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conductors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re arran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nductors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sections. The controller 230 may correct the measured result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test strip 100. [

정전용량측정장치를 통해서 출력특성을 식별하는 식별구조체(151)에 있어서, 정전용량측정장치는 각각 구획에 전도체 유무에 따라 디지털화된 전기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열방식의 총 수는 구획의 숫자의 이승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구획을 가지는 식별구조체는 총 8개의 출력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배열방식의 수는 적어도 복수의 출력특성의 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스트립(100)의 생산로트 또는 출력특성이 10종류인 경우라면 구획의 수는 4개 이상으로 16가지의 종류를 반영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반면, 구획은 일정한 공간적 제한을 받으므로 지나치게 많을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구획이 많이 나뉠수록 정전용량측정장치가 보다 정밀한 감지도를 가져야 하므로 제조 단가 상 문제가 될 수 있고, 또한 측정하고자 하는 구획이 아닌 인접 구획에 설치된 전도체로부터 정전용량측정장치가 간섭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획은 최소한의 공간에 필요로 하는 구획이 형성되도록 정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은 가로, 세로 각각 2구획씩 총 4구획 또는 가로, 세로 3구획씩 총 9구획일 수 있다. In an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hat identifies output characteristics through a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the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may obtain an electrical signal digiti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ductors in the respective compartments. In this case, the total number of arrangements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division. For example, an identification structure having three sections may reflect a total of eight output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arrangements may be at least greater than the number of output properties. For example, if the production lot or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are 10 types, the number of compartments can be set to reflect 16 types of 4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compartments are subject to certain spatial restrictions and may not be overly large. In addition, the more the division of the division is, the more the precision of the capacitance measurement apparatus must be,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a problem. Moreover, the capacitance measurement apparatus may be interfered with by the conductor provided in the adjacent division not the division to be measured. Here, the compartment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so as to form a compartment that requires a minimum of space. For example, the compartment may be a total of four compartments, two compartments each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r a total of nine compartments, three compartment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도 8는 압전측정장치를 통하여 출력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구조체(151) 및 인식부(220)를 도시하고 있다. 식별구조체(151)는 복수 개의 배열 중 하나의 배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식별구조체(151)는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에는 돌출부가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로써, 각 구획의 돌출부의 유무에 따라 배열이 정해지며, 이러한 배열들은 각각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들에 해당할 수 있다. 돌출부의 배열방식에 따라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경우에는 디지털화된 방식을 사용하므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정보를 인식하는데 오류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8 shows an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nd a recognition unit 220 capable of identifying output characteristics through a piezoelectric measuring device.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may be provided to have one of the plurality of arrangements.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is divided into one or more sections, and each section may or may not have a protrusion. Thereby, the arrangement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jections of the respective sections, and these arrangements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eflec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protrusions, since the digitized method is used, it may be advantageous in that errors are less recognized in recogniz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test strip 100.

분석장치(200)의 인식부(220)는 압전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측정장치는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압전측정장치가 식별부(150)로 이동하여 돌출부가 있는 경우에는 압력이 발생하고 돌출부가 없는 경우에는 압력이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가 있는 경우 압력이 발생함에 따라 압전측정장치에서는 전압이 발생하므로 인식부(220)는 이를 통해 각 구획의 돌출부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돌출부의 배열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전압에 의하여 인식부(22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고 제어부(230)는 이에 따라 측정값을 보정하여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22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measurement device. Piezoelectric measuring devices can generate a voltage when a pressure is applied. In this case, when the piezoelectric measuring apparatus moves to the identifying unit 150 and there is a protrusion, a pressure is generated, and when there is no protrusion, no pressure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when the protrusion is present, th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measuring device as the pressure is generated, so that the recognition unit 220 can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trusion of each compartment through this, and consequently, can recognize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protrusion. The recognition unit 220 obtain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ve of an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test strip 100 according to the voltage thus generated, and the controller 230 can calculate the correction value by correcting the measured value accordingly.

이하에서는 복수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스트립(100)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Hereinafter, a test strip 100 capable of measuring a plurality of substanc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test strip 100 capable of measuring a plurality of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st str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테스트스트립(100) 및 분석장치(200)를 사용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경우에, 체액으로부터 단일의 지표물질을 측정하여 그 농도 또는 양에 따라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일한 지표물질로부터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체액 내의 다른 간섭물질들에 의하여 반응 시에 간섭이 발생하여 부정확한 반응신호가 출력되거나 또는 분석장치(200)에서 테스트스트립(100)의 반응신호를 측정 또는 분석 시에 간섭이 발생하여 부정확한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 When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a patient using the test strip 100 and the analysis apparatus 200, it is possible to measure a single indicator substance from the body fluid and measur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r amount thereof. However, when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a patient from such a single indicator material, interference may occur during the reaction due to other interference substances in the body fluids, resulting in an inaccurate reaction signal, or the test strip 100), it is possible that interference may occur during measurement or analysis, resulting in inaccurate results.

예를 들어, 광학적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의 경우에는, 핼액 내의 적혈구 등에 의하여 측정 시 적혈구의 붉은 색이 빛의 반사되는 정도에 영향을 미쳐 부정확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당뇨여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포도당 농도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혈중 포도당 농도는 Hct(헤마토크릿), Hb(헤모글로빈)이나 글로블린, 유리게시드, 락테이드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러한 간섭물질에 대한 고려없이는 정확한 결과를 얻기 곤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ct의 경우에는, 사람마다 혈액의 혈구용적율이 모두 다르므로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지 아니하고는 정확한 포도당의 농도를 획득하기 곤란할 수 있다. 즉, Hct가 15%인 사람과 20%인 사람의 경우, 일정한 혈액 안에 동일한 포도당이 포함된 경우라도 각각 혈중 포도당 농도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est strip 100 measuring an amount of cholesterol using an optical measurement method, the red color of red blood cells may affect the degree of reflection of light when measured by erythrocytes in the solution, resulting in inaccurate results . For example, in order to measure diabetes, glucose concentration should be measured. This blood glucose concentration is influenced by Hct (hematocrit), Hb (hemoglobin), globulin,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results without consideration of. For example, in the case of Hct, since the blood cell volume ratio of blood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glucose concentration without considering these factors. That is, in the case of people with 15% of Hct and 20% of peopl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ay be different even if the same glucose is contained in a certain blood.

도 9 및 도 10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표물질 이외에 간섭물질에 대한 측정을 동시에 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을 나타낸 것이다. 테스트스트립(100)은 체액을 유입받는 유입구(110), 체액을 제1반응부(131)로 전달하는 제1유로(121), 지표물질을 분석하는 제1반응부(131), 체액을 제2반응부(132)로 전달하는 제2유로(122), 간섭물질을 분석하는 제2반응부(132) 및 신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 부위의 기본적인 원리는 단일 지표물질에 대한 테스트스트립(100)과 동일할 수 있다. 제1반응부(131)에서는 지표물질이 반응하여 제1반응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반응부(132)에서는 간섭물질이 반응하여 제2반응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응부(131)에는 지표물질과 반응하는 제1반응물질이 함유되어 전달된 체액 내의 지표물질과 반응을 하고, 제2반응부(132)에는 간섭물질과 반응하는 제2반응물질이 함유되어 전달된 체액 내의 간섭물질과 반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유로(121)는 체액 내에서 선택적으로 지표물질만을 제1반응부(131)로 전달하고, 제2유로(122)는 체액 내에서 선택적으로 간섭물질만을 제2반응부(132)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제1반응부(131)과 제2반응부(132)에는 각각 신호부(14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하고자 하는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지표물질 및 간섭물질이 복수인 경우에는, 반응부(130)는 해당 물질들의 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당뇨측정의 예를 들면, 포도당, Hct, Hb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반응부(131), 제2반응부(132) 및 제3반응부(133)로써 3개의 반응부(130)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9 and 10 illustrate a test strip 100 that simultaneously measures interference substances in addition to the indicator material to compensate for this. The test strip 100 includes an inlet 110 for receiving body fluids, a first flow path 121 for transferring the body fluid to the first reaction part 131, a first reaction part 131 for analyzing the indicator substance, 2 reaction unit 132, a second reaction unit 132 for analyzing the interference substance, and a signal unit 140. The second reaction unit 132 may include a second reaction unit 132, At this time, the basic principle of each site can be the same as the test strip 100 for a single indicator material. In the first reaction part 131, the indicator material reacts to output the first reaction signal, and in the second reaction part 132, the interference material reacts to output the second reaction signal. For example, the first reaction part 131 contains a first reaction material that reacts with the indicator material, reacts with the indicator material in the transferred body fluid, and the second reaction part 132 includes a second reaction part 132, The reaction material may contain and react with the interfering substances in the delivered body fluids. Alternatively, the first flow path 121 selectively transfers the indicator material only to the first reaction part 131 in the body fluid, and the second flow path 122 selectively transmits only the interference substance in the body fluid to the second reaction part 131. [ (132).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ignal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eaction unit 131 and the second reaction unit 132, respectively. If there are a plurality of index substances and interference substances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to be analyzed, the reac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for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substances. Three reaction parts 130 are provided as the first reaction part 131, the second reaction part 132 and the third reaction part 133 in order to measure glucose, Hct and Hb, for example, .

유입구(110), 유로(120), 반응부(130), 및 신호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기판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0), 유로(120), 반응부(130), 및 신호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된 기판과 다른 기판들 사이에는 절연층이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은 신호부(140)에서 체액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 등이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inlet 110, the flow path 120, the reaction part 130, and the signal part 140 may be provided on another substrate. At this time, an insulating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inlet 110, the flow path 120, the reaction part 130, and the signal part 140 and other substrates. The insulating layer may prevent the electrical signal or the like from interfering with the body fluid in the signal unit 140.

각각의 반응부(130)들은 동일한 기판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응부(131), 제2반응부(132), 제1유로(121) 및 제2유로(122)가 하나의 평면 상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각각의 반응부(130)마다 별개의 기판 상에 마련되어 이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테스트스트립(100)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마다 하나의 반응부(130)가 마련되도록 하여 3개의 반응부(131,132,133)가 각각 마련된 3개의 기판을 적층하여 테스트스트립(100)을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수의 반응부(130)가 동일한 평면상에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제조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을 수 있는 반면, 복수의 기판을 적층하는 방식의 경우, 공간적 제약에서부터 자유롭게 더욱 다양한 물질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정 시 각 물질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Each reaction part 130 may be provided on the same substrate. The first reaction part 131, the second reaction part 132, the first flow path 121 and the second flow path 122 may be provided on one plan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test strips 100 may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provided on a separate substrate for each of the reaction units 130 and stacked. The test strip 100 may be provided by laminating three substrates each having three reactors 131, 132, and 133, respectively, so that one reaction unit 130 is provided for each substrate as shown in FIG. When a plurality of reaction parts 130 are on the same plane,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relatively low.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method of stack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it is possible to analyze more various materials at the same time And it may be advantageou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ubstances in the measure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200)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가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Hereinafter, the analyz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health state of a patient according to an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2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분석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200)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method for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analysis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analysis apparatus 200 is used to easily explain a method of measuring a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nalysis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2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easuring the health state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other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analyz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장치(200)는 테스트스트립(100)이 출력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분석장치(200)는 테스트스트립(100)이 수납되는 수납부(210), 수납된 테스트스트립(100)의 식별부(150)로부터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관한 전기적인 신호를 획득하는 인식부(220), 환자의 건강상태를 산출하는 제어부(230),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240),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력부(250),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260), 측정한 결과가 저장되는 저장부(270) 및 분석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analyzer 200 may acquire a response signal output from the test strip 100 and measure the health state of the patient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he analyzer 200 obtains an electrical signal relating to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from the storage unit 210 in which the test strip 100 is stored and the identification unit 150 of the received test strip 100 A control unit 230 for calculating a health state of the patient, a communication unit 240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250 for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an output unit 260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user, A storage unit 270 for storing the measurement result, and a power unit 2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analysis device 200.

수납부(210)는 테스트스트립(100)을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210)에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측정의 경우 매번의 측정 시마다 테스트스트립(100)이 삽입 또는 수납되어야 할 수 있으므로, 수납부(21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탈착이 용이한 형상일 수 있다. 전기화학적인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신호부(140), 즉 전극이 분석장치(200)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연결이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의 테스트스트립(100)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수납부(210)도 사각형의 형상으로 분석장치(2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can accommodate the test strip 100. A part or the whole of the test strip 100 may be stored or inserted into the storage part 21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blood glucose measurement, the test strip 100 may be inserted or housed in each measurement, so that the storage part 210 may be a shape easily detachable from the test strip 100. In the case of using an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since the signal unit 140 of the test strip 100, that is,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analyzer 200, this connection can be facilitated. For example, when the test strip 100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inserted, the receiving part 2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nalyzer 200 in a rectangular shape.

인식부(22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식별부(150)로부터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 또는 생산로트정보를 지시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인식부(220)는 테스트스트립(100)에 마련된 식별부(150)의 식별구조체(151)로부터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부(220)는 광학적인 식별방법 또는 전기적인 식별방법을 통하여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광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인식부(22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식별구조체(151)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식부(220)는 수광된 빛의 강도나 양 등에 따라 테스트스트립(100)의 츨력특성을 지시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220 may obtain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r production lot information of the test strip 100 from the identification unit 150 of the test strip 100. [ The recognition unit 220 may obtain a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from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of the identification unit 150 provided in the test strip 100. [ For example, the recognition unit 220 may acquire a signal regard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through an optical identification method or an electrical identification method. The recognition unit 220 using the optical method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to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of the test strip 100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At this time, the recognition unit 220 may acquire a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test strip 100 according to the intensity or amount of the received light.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분석장치(200)의 경우에는 전기적인 식별방법으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인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부(220)는 저항측정장치, 정전용량측정장치 및 압전측정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구조체(151)가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그에 해당하는 저항값으로 반영하는 경우에는 저항측정장치를 통해 식별구조체(151)에 전기를 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전류값이나 전압값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식별구조체(151)가 전도체의 배열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경우에는, 정전용량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전도체에 정전용량측정장치를 접근시켜 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통해 전도체의 유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전도체의 배열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식별구조체(151)가 돌출부의 배열로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경우에는, 압전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식별구조체(151)에 압력을 가하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압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돌출부의 유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돌출부의 배열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for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a patient by an electrochemical method, it may be advantageous to recogniz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by an electrical identif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unit 220 may be one of a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a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and a piezoelectric measurement device.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reflects the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test strip 100 a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hereto, the current value or voltage value obtained by applying electricity to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through the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An electric signal can be obtained. In anothe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reflect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with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s, the capacitance is measured by approaching the capacitance to the conductor using the capacitance measurement apparatu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ductor can be determined and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an be obtain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reflect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by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pressure is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151 using the piezoelectric measurement device, It is possible to acquire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b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trusion us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the voltage.

제어부(230)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테스트스트립(100)의 반응부(130)에서 발생한 반응신호에 근거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S101). 예를 들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반응부(130)에서 고밀도지단백(HDL: high density lipoprotein) 또는 저밀도지단백(LDL: low density lipoprotein) 등이 반응하여 발생하는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230)에서는 이러한 반응신호에 근거하여 환자의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 등의 질환의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당뇨여부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반응부(130)에서 혈중 포도당 농도에 의한 반응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230)에서는 이로부터 당뇨여부에 관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30 can measur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As shown in FIG. 12, the control unit 230 may measur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based on the rea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reaction unit 130 of the test strip 100 (S101). For example, in the case of measuring blood cholesterol, when a signal generated by a reaction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or low density lipoprotein (LDL) or the like occurs in the reaction unit 130, 23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ease such as hyperlipidemia or atherosclerosis in a patient based on the reaction sig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measuring diabetic state, when a reaction signal due to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ccurs in the reac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230 can acquire a measurement value regarding diabetic state therefrom.

이때, 단일 지표물질로부터 측정값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간섭물질의 영향을 고려하지 아니하므로 측정값에 다소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복수의 물질을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분석장치(200)는 이러한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 측정에 있어서, 복수물질을 측정하는 테스트스트립(100)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른 제1반응신호, Hct에 대한 제2반응신호 및 기타 간섭물질에 대한 제3반응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분석장치(200)는 제1반응신호, 제2반응신호 및 제3반응신호에 근거하여 오차가 제거된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제1반응신호에 근거하여 제1측정값을 획득하고(S102), 제2반응신호 또는 제3반응신호에 따라 간섭효과 등에 따른 오차가 보정된 제2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S103).In this case, when the measurement value is calculated from a single index material,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substance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so that a slight error may occur in the measured value. Accordingly, the analysis apparatus 200 for analyzing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using the test strip 100 for measuring the plurality of substances described above can eliminate such an error. For example, i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when the first rea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glucose concentration, the second reaction signal with respect to the Hct and the third reaction signal with respect to the other interference substance are outputted in the test strip 100 for measuring a plurality of substances , The analyzer 200 can calculate a measurement value in which an error is removed based on the first reaction signal, the second reaction signal, and the third reaction signal.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30 may acquire the first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first response signal (S102) and calculate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whose error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effect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econd reaction signal or the third reaction signal (S103).

그런데, 제어부(230)가 획득 또는 산출한 측정값은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고려하지 아니한 것이므로 이로 인하여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인식부(220)로부터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관한 전기적인 신호를 획득하여 이에 근거하여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S104). 제어부(230)는 얻이진 전기적인 신호에 근거하여 저장부(270)로부터 이에 해당하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을 획득하고 측정값을 보정하여 보정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measurement value obtain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230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test strip 100, an error may occur in the measured value. The control unit 230 may acquire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the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test strip 100 from the recognition unit 220 and correct the measured value based on the obtained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 unit 230 may obtai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electrical signal from the storage unit 270 and may calculate the correction value by correcting the measured value.

저장부(270)에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출력특성에 관한 정보, 기 측정된 결과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기 측정되어 저장부(270)에 저장된 결과는 입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출력부(2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270)에는 분석장치(200)가 측정한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측정을 위한 분석장치(200)의 저장부(270)에는 그 측정시간이 중요할 수 있으므로 매 측정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당뇨병의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으므로 출력부(260)는 사용자에게 혈당측정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측정해야 할 시간은 저장부(27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230)는 측정해야 할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부(260)는 사용자가 측정해야 할 시간이 된 것임을 알 수 있도록 측정해야 할 시간이 된 경우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100, measured result values, and the like. And the resul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260 through the input unit 250 by the user's input. The time measured by the analysis apparatus 20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For example, since the measurement time may be important in the storage unit 270 of the analysis device 200 for measuring blood glucose, each measurement time may be stored. In the case of diabetes, it may be important to periodically measure the blood glucose level, so that the output unit 260 can inform the user that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time has passed. Here, the time to be measure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and the control unit 230 may determine whether the time is to be measured, and the output unit 260 may determine that the time to be measured by the user is This can be reported to the user when the time has come to be measured.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50)를 통해 분석장치(200)의 각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50)는 복수 개의 버튼 또는 터치패드나 음성인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250 may receive input from a user. The user can operate various functions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through the input unit 250. [ The input unit 250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used by a us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250 may receive input from a user through a plurality of buttons or a touch pad or voice recognition.

출력부(260)는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분석장치(200)를 통해 측정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30)에서 분석된 측정결과를 출력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주기적으로 측정해야 하는 환자를 위한 분석장치(200)의 경우에는 환자에게 측정시간이 되었음을 알람 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혈당을 측정하는 분석장치(200)의 경우에는 출력부(260)를 통해 혈당수치를 출력하거나 1주일치 혈당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분석장치(200)의 사용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출력부(260)에 오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출력부(260)에는 현재시간, 측정해야 할 시간, 측정한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테스트스트립(100)이 분석장치(200)의 내부와 보관되는 경우에는, 테스트스트립(100)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보관되어 있는 테스트스트립(100)의 개수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260 can output video or audio. When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analyzer 200, the controller 230 may inform the user of the measurement result analyzed through the output unit 26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nalysis device 200 for a patient to be periodically measured, the patient can be notified of the measurement time through an alarm or the like. In the case of the analyzer 200 for measuring blood glucose, the blood glucose value may be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unit 260 or the one-week coincidence blood glucos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if an error occurs in the use of the analyzer 200, an error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260. In addition, the output unit 260 can display the current time, the time to be measured, the measured time, and the like. When the test strip 100 is stored inside the analyzer 200, it may indicate whether the test strip 100 is stored or the number of the stored test strips 100 and the like.

전원부(280)는 분석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다. 특히 휴대형 분석장치(20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치나 시간에 상관없이 분석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분석장치(200)에 독립적인 전원부(28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280)는 배터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80 may supply power to the analyzer 20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ortable analyzer 200, an independent power unit 280 can be mounted on the analyzer 2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analyzer 200 regardless of position or time.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80 may be a battery, and preferably a rechargeable batte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200)가 통신하는 환경에 대하여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는 분석장치(200)의 통신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nalysis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analyzer 200. As shown in Fig.

통신부(240)는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건강관리서버 등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는 예를 들어, 병원, 약국, 건강관리센터 또는 그 외의 인터넷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는 환자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부(240)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일단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건강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달할 수도 있다. 분석장치(200)의 사용자가 유아 또는 노인 등 분석장치(200)의 사용 및 이를 통한 건강관리의 이해도가 낮은 사용자의 경우는 통신부(240)가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통해 이에 대하여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제3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13,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ealth care server, or the like. A health care server may be provided on, for example, a hospital, pharmacy, health care center or other Internet. The health care server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4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ce and then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in a manner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When the user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is a user who has low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such as an infant or the elderly and the health managem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40, the communication unit 240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apparatus, Can be assisted by a third party with

이때, 통신부(240)는 유선을 통하여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통신은 RS-232와 같은 직렬통신 방식 또는 USB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통신부(240)는 무선으로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직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Wi-Fi 등의 통신규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240 can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network. Wired communication can be done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232 or USB method. Or the communication unit 24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wirelessly.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Zigbee, Bluetooth or Wi-Fi.

이하에서는 통신부(240)가 통신하는 정보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240)에서 사용하는 정보기록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information communica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recording field used in the communication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분석장치(200)의 통신부(240)는 SPP(serial port profile)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가상의 직렬포트를 만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정보에는 패킷 프레임(packet frame)과 정보기록필드(data record field)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기록필드는 측정절대시간정보, 테스트스트립(100)의 생산로트정보 또는 출력특성정보, 제어부(230)에서 산출된 측정값 및 이벤트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측정절대시간정보는 분석장치(200)가 측정을 수행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측정절대시간 정보는 년, 월, 일, 시간 및 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값은 측정상대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측정상대시간정보는 측정시간과 소정의 사건 간의 상대적인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여부확인을 위한 혈당의 측정에 있어서는, 음식물 섭취 시 혈당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게 되므로, 식사 여부나 공복 여부 또는 식사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 등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상대시간정보는 측정 및 식사 사이의 경과시간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PP (serial port profile). The communication unit 240 can create a virtual serial port and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may include a packet frame and a data record field. As shown in FIG. 14, the information recording field may include measurement absolute time information, production lot information or output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est strip 100, measured values and event values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230, and the like. The measurement absolute time information may indicate the time at which the analysis apparatus 200 performed the measurement. The measurement absolute time information may include year, month, day, hour, and minute. The event value may include measurement relative time information. The measurement relative time information may mean the relative time between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in the measurement of blood glucose for confirming diabetes, the blood glucose level is relatively high at the time of consuming food, so the elapsed time from the meal time, fasting time, or meal time may be important. Therefore, the measured relative time information may be related to the elapsed time between the measurement and the meal.

이하에서는, 분석장치(200)의 제어부(230) 및 통신부(240)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분석장치(200)의 제어부(230) 및 통신부(240)의 구성도이다.Hereinafter, the control unit 2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unit 2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analysis apparatus 200. FIG.

분석장치(200)의 통신부(240)는 의료관련 통신표준 규격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통신표준 규격은 IEEE11073 개인의료기기통신규격(personal health device communication standard)일 수 있다. 이때 분석장치(200)는 혈압계, 혈당계, 산소포화도측정기 등일 수 있다. 특히 혈당측정기인 경우에는, 분석장치(200)는 IEEE11073-10417 규격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규격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에는, 외부기기와 통신이 원활할 수 있으며 호환성 면에서 장점이 있을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analyzer 200 can communicate according to a medical standard. For example, such a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an IEEE 1103 personal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standard. The analyzer 200 may be a blood pressure monitor, a blood glucose meter, an oxygen saturation meter, or the lik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lood glucose meter, the analyzer 200 can communicate according to the IEEE 11073-10417 standard. When communicating using these standard standard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can be smooth,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compatibility,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테스트스트립(100)으로부터 반응신호를 받아 측정값 및 보정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분석장치(200)의 입력부(250) 및 출력부(260)를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 측정된 값을 표준규격에 맞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이를 통신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송받은 결과를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15, the control unit 230 includes an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 reaction signal from the test strip 100 and calculating a measurement value and a correction value, an input unit 250 and an output unit 260 of the analysis device 200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measured value into a format conforming to a standard standard,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value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240 can transmit a result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30 to an external device.

이때, 분석장치(200)가 IEEE11073-10417 규격에 따라 블루투스로 통신하는 혈당측정기인 경우에는 이러한 정보통신 과정은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if the analyzer 200 is a blood glucose meter that communicates by Bluetooth according to the IEEE 11073-10417 standard,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 is as follows.

입출력제어부는 입력부(250) 및 출력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산부는 테스트스트립(100)의 신호부(140)로부터 반응신호를 획득하여 측정값 내지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변환부는 입출력제어부나 연산부로부터 얻은 정보들을 외부기기와 통신을 위한 데이터구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정보들은 의료표준규격에 맞는 데이타구조로 변환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정보들은 통신을 위한 통신표준규격에 맞는 데이타구조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측정에 있어서, 2000년 1월 1일에 혈당치 100mg/dL을 측정한 경우에는, 날짜 및 측정값이 먼저 IEEE11073에 따르는 패킷형태로 구성되고 다시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맞는 패킷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변환부에서 변환된 정보는 전송부에서 다시 통신부(240)로 보내기 적합한 구조로 변환되어 보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에서는 연산부로부터 정보를 받아, OEP stack을 통해 IEEE11073에 맞는 패킷을 만들고, LTP를 통해 블루투스통신규격에 맞는 패킷으로 재가공하고, 이를 UART를 이용하여 통신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nput unit 250 and the output unit 260.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can acquire the reaction signal from the signal unit 140 of the test strip 100 and calculate the measurement value or the correction value. The conversion unit can convert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or the operation unit into a data structure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such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into a data structure conforming to a medical standard. In addition, such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into a data structure conform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for communi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measuring blood glucose level of 100 mg / dL on Jan. 1, 2000, the date and the measurement value are firstly formed in a packet format conforming to IEEE 11073 and again in a packet format conform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 Th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may be converted into a structure suitable for transmission from the transmission unit to the communication unit 240 and then transmit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3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unit, creates a packet conforming to the IEEE 11073 via the OEP stack, re-processes the packet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through LTP,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communication unit 240 using the UART .

통신부(240)는 제어부(230)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 및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IEEE11073규격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하는 통신부(240)의 경우에는, 제1통신부는 제어부(230)와 직렬통신하는 UART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는 블루투스모듈일 수 있다. 블루투스모듈은 제어부(23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RF 신호로 바꾸어 외부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는 건강관리서버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23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apparatus.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unit 240 that performs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IEEE 11073 standar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be a UART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230 in serial. 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Bluetooth module. The Bluetooth module can convert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230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 the RF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or an RF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health care serv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테스트스트립
110: 유입구
120: 유로 121: 제1유로 122: 제2유로 123: 제3유로
130: 반응부 131: 제1반응부 132: 제2반응부 133: 제3반응부
140: 신호부 150: 식별부
200: 분석장치
210: 수납부 220: 인식부 230: 제어부 240: 통신부
250: 입력부 260: 출력부 270: 저장부 280: 전원부
100: Test strip
110: inlet
120: Euro 121: First Euro 122: Second Euro 123: Third Euro
130: Reactor 131: First Reactor 132: Second Reactor 133: Third Reactor
140: signal part 150: identification part
200: Analyzer
210: storage part 220: recognition part 230: control part 240: communication part
250: input unit 260: output unit 270: storage unit 280:

Claims (14)

복수의 출력특성들 중 하나의 출력특성을 가지는 테스트스트립에 있어서,
체액을 제공받아 상기 체액 내에 포함된 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반응신호를 상기 출력특성에 따라 출력하는 반응부; 및
상기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식별구조체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구조체는,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특성들을 반영하는 복수의 배열형태들 중 하나의 배열형태에 따라 배치되는 돌출부고,
분석장치가 압전압력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구조체의 배열형태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는
테스트스트립.
1. A test strip having an output characteristic of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A reaction unit which receives a body fluid and outputs a reaction signal due to a reaction of the indicator substance contained in the body fluid according to the output characteristic; And
And an identification unit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tructure reflec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Wherei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comprises:
A protrusion disposed in accordance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arrangement types reflecting the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Wherein the analyzing device obtain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ve of the output characteristic by measuring an arrangement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 piezoelectric pressure measuring device
Test strips.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구조체는,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특성들을 반영하는 복수의 저항값들 중 하나의 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분석장치가 저항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는
테스트스트립.
2.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resistors having a resistance value of one of a plurality of resistance values reflecting the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the analyzer obtaining the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by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using a resistance measuring device
Test strips.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은,
상기 식별구조체를 형성하는 물질의 종류, 상기 식별구조체의 형상, 상기 식별구조체의 도포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정해지는
테스트스트립.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ype of the material forming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Test strips.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구조체는,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특성들을 반영하는 복수의 배열형태들 중 하나의 배열형태에 따라 배치되는 전도체이고,
상기 분석장치가 정전용량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구조체의 배열형태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는
테스트스트립.
2.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Each conductor being arranged according to one of a plurality of array shapes reflecting the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Wherein the analyzer obtain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ve of the output characteristic by measuring an arrangement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Test strips.
삭제delete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제1반응부 및 제2반응부를 포함하고,
제1반응부는, 제1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제1반응신호를 상기 출력특성에 따라 출력하고,
제2반응부는, 제2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제2반응신호를 상기 출력특성에 따라 출력하는
테스트스트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ction part includes a first reaction part and a second reaction part,
The first reaction unit outputs a first reaction signal due to the reaction of the first indicator material according to the output characteristic,
The second reaction unit outputs the second reaction signal due to the reaction of the second indicator material according to the output characteristic
Test strips.
복수의 출력특성들 중 하나의 출력특성을 가지며, 체액을 제공받아 상기 체액 내에 포함된 지표물질의 반응에 의한 반응신호를 상기 출력특성에 따라 출력하는 반응부 및 상기 출력특성을 반영하는 식별구조체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테스트스트립;
상기 테스트 스트립이 삽입되는 수납부;
전자식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식별구조체로부터 상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는 인식부; 및
상기 반응신호에 근거하여 측정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측정값 및 상기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보정값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구조체는,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특성들을 반영하는 복수의 배열형태들 중 하나의 배열형태에 따라 배치되는 돌출부고,
분석장치가 압전압력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구조체의 배열형태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장치.
A reaction unit having an output characteristic of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and outputting a reaction signal based on the reaction of the indicator substance contained in the bodily fluid with the bodily fluid according to the output characteristic and an identification structure reflec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A test strip including an identification por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portion;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test strip is inserted;
A recognition unit for acquiring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from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n electronic measuring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a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and acquiring a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obtained measurement value and the electrical signal,
Wherei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comprises:
A protrusion disposed in accordance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arrangement types reflecting the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zing device obtain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by measuring the arrangement form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 piezoelectric pressure measuring device
Analysis device.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구조체는,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특성들을 반영하는 복수의 저항값들 중 하나의 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인식부는, 저항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구조체의 상기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는
분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has a resistance value of one of a plurality of resistance values each reflecting the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Wherein the recognition unit acquire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by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Analysis device.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구조체는,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특성들을 반영하는 복수의 배열형태들 중 하나의 배열형태에 배치되는 전도체이고,
상기 인식부는, 정전용량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구조체의 배열형태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출력특성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하는
분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is a conductor disposed in an array form of a plurality of array types each reflecting the plurality of output characteristics,
The recognition unit acquires an electric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by measuring the arrangement form of the identification structure using a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Analysis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제1지표물질과 반응하여 제1반응신호를 상기 출력특성에 따라 출력하는 제1반응부 및 제2지표물질과 반응하여 상기 출력특성에 따라 제2반응신호를 출력하는 제2반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반응신호 및 상기 제2반응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값을 획득하는
분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a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reaction unit reacting with the first indicator material and outputting a first rea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characteristic and a second reaction unit reacting with the second indicator material and outputting a second rea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characteristic, ≪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first reaction signal and the second reaction signal
Analysis device.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7항에 있어서,
의료표준규격 및 통신표준규격에 따라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 및 상기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표준규격에 따라 환자의 건강상태를 지시하는 제1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통신표준규격에 따르는 제2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패킷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분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medical standard and a communication standard,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first packet indicating a health state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medical standard using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value and the correction value, 2 packet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econd packet to the external device
Analysis device.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표준규격은 IEEE11073이고,
상기 통신표준규격은 블루투스방식이고,
상기 제어부는, UART를 이용하여 통신부로 상기 제2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전송받은 제2패킷을 상기 블루투스방식에 따라 RF 신호형태로 송출하는
분석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dical standard is IEEE 11073,
The communication standard is Bluetooth,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packet to the communication unit using the UART,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received second packet in the form of an RF signal according to the Bluetooth system
Analysis device.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킷은, 상기 측정값, 상기 보정값, 상기 테스트스트립의 상기 출력특성, 측정일자 및 환자의 식사로부터 측정 시까지 경과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packe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measurement value, the correction valu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trip, the measurement date,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patient's meal to the measurement
Analysis device.
KR1020100053755A 2010-06-08 2010-06-08 Test strip and assay device Active KR101703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755A KR101703997B1 (en) 2010-06-08 2010-06-08 Test strip and ass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755A KR101703997B1 (en) 2010-06-08 2010-06-08 Test strip and ass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17A KR20110134017A (en) 2011-12-14
KR101703997B1 true KR101703997B1 (en) 2017-02-08

Family

ID=4550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755A Active KR101703997B1 (en) 2010-06-08 2010-06-08 Test strip and ass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9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4025A1 (en) * 2018-12-02 2020-06-04 Polymer Technology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bined strip detection and heating system in an electrochemical test stri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67B1 (en) 2005-09-16 2007-02-08 주식회사 인포피아 Biosenso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ing device of the biosenso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JP2007309947A (en) 2001-08-29 2007-11-29 F Hoffmann La Roche Ag Bio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83B1 (en) * 2007-09-04 2009-09-03 주식회사 휴빛 Biosensor and readout meter
KR101403732B1 (en) * 2008-01-25 2014-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Particle for identifying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947A (en) 2001-08-29 2007-11-29 F Hoffmann La Roche Ag Biosensor
KR100680267B1 (en) 2005-09-16 2007-02-08 주식회사 인포피아 Biosenso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ing device of the biosenso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17A (en)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3612C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electrochemical analyte
JP4667418B2 (en) Electrochemical biosensor and its measuring instrument
CA2724911C (en) Fill sufficiency method and system
CN113330305B (en) Portable electrochemical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user health status
JP4991882B2 (en) Electrochemical biosensor measurement system
CN105181776B (en)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with error capture
KR100896234B1 (en) Electrochemical Biosensors and Measuring Instruments
CN113164106A (en) Determination of elevated levels of circulating ketone bodies in physiological fluids
CN104024857B (en) Individual's blood glucose meter and the method for sensing the exception measurement using individual blood glucose meter
KR101703997B1 (en) Test strip and assay device
CN113588935A (en) Electrochemical bar-code-free blood glucose test pap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WI603083B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 analyte in a sample and calculating hematocrit-insensitive glucose concentrations
KR101149818B1 (en) Electrochemical biosensor and measuring instrument thereof
JPH026737A (en) Sugar content measuring instrument
Vyas et al. Point-of-Care Biosensors for Glucose Sensing
Wang et al. Blood‐Glucose Biosensors, Development and Challenges
KR101077111B1 (en) Diagnosis strip and measuring apparatus for it
TW200411174A (en) Method for improving a reading resolution of a biosensor
US20140116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perceived inaccuracy of analyte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