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662B1 -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3662B1 KR101703662B1 KR1020100083488A KR20100083488A KR101703662B1 KR 101703662 B1 KR101703662 B1 KR 101703662B1 KR 1020100083488 A KR1020100083488 A KR 1020100083488A KR 20100083488 A KR20100083488 A KR 20100083488A KR 101703662 B1 KR101703662 B1 KR 1017036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let
- band
- inlet ring
- bl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21—Fastening lids on air-conditioning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부에 전환도어가 설치된 인렛덕트 및 상기 인렛덕트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인렛링을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입구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블로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렛링은 블로어 상단에 형성된 휠 밴드를 향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직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밴드에는 역류 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밴드가 상기 인렛링과 간격을 두고 휠 밴드의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 밴드의 일부에 역류방지밴드가 형성됨으로써 송풍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어 풍량을 증대할 수 있고, 인렛링과 마주보는 휠 밴드의 단부쪽에는 경사면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풍량 감소 및 소음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tructure of an in-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ventilation inlet and an outside air inlet formed in order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air can be respectively introduced into the inlet duct and the inlet duct, And a blower for suck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through an inlet ring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inlet duct and forcedly blowing air to the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the air blowing structur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Wherein the inlet ring comprises a curved portion having a constant curvature toward the wheel band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wer and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urved portion; Wherein the wheel band is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ng band which blocks the backflow air and protrudes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wheel band with an interval from the inle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ckflow prevention band is formed in a part of the wheel band, back flow of the blowing air is prevented to increase the air volume,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end side of the wheel band facing the inlet ring,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reducing air volume and preventing noi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팬 밴드의 높이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인렛링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외 공기를 유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43)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블로어(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43)과 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측(44)이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갖는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inside of a vehicle by heating or cooling the inside air of the vehicle after the inflow of the inside / outside air of the vehicle and blowing the air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1, 21 and an outside
여기서, 상기 전환도어(23)는 목적에 따라 플레이트(Plate)형, 공기의 압력을 적게 받는 돔(Dome)형, 원통형, 반구형 등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며, 도 2는 종래 돔형 전환도어가 적용된 송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The switching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송풍장치(10)는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전환도어(23)가 내부에 설치된 인렛덕트(20); 상기 인렛덕트(2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송풍하도록 블로어(31)가 설치된 스크롤부(32)와, 상기 스크롤부(32)와 연통하면서 스크롤부(32)의 출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출구부(33)와, 상기 스크롤부(32)의 스크롤 시작부와 출구부(33)의 경계부인 컷오프(34)와, 상기 스크롤부(32)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블로어(31)의 상측방향으로 벨마우스(36)가 관통 형성된 상판(35)으로 이루어진 스크롤케이스(30);로 구성되어 있다.2, the air blowing
이때, 상기 벨마우스(36)는 상판(35)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라운드 되어 형성되며 상기 블로어(31)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전환도어(23)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 및 모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Further, the switching
따라서, 상기 블로어(31)가 회전하게 되면, 이 블로어(31)의 회전에 의해 블로어(31)의 내부에는 저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통해 블로어(31)의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블로어(31)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며, 이 송풍 공기는 스크롤부(32)의 내벽면을 따라 흘러 출구부(33)를 통해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토출된다.Therefore, when the
즉, 상기 블로어(31)가 회전하게 되면, 블로어(31)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스크롤 시작부로부터 스크롤부(32)의 내벽면을 따라 블로어(3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구부(33) 쪽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그런데,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 3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블로어(31)의 블레이드(38) 상단에 구비된 휠 밴드(Wheel Band)(37)가 인렛덕트(20)에 형성된 인렛링(Inlet Ring)(24)과 무관하게 단순히 수평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풍량 증대시 휠 밴드(37)의 끝부분인 인렛링(24)을 통과한 공기가 역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풍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파생되었다.3, a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도 4의 예시와 같이 인렛링(24,24a)을 듀얼 링으로 구성한 예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방벽 기능을 수행하기는 하지만 하방이 뚫린 형태로 인렛덕트(20) 상에 구비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사실상 역류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n example in which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블로어의 블레이드 상단부를 연결하는 휠 밴드의 일단부를 높이방향으로 상향 연장하여 송풍 공기의 역류를 막되, 타단부는 인렛링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인렛링의 일부를 직선화시킴으로써 역류 방지는 물론 공기저항도 막아 풍량 증대에 기여함과 동시에 소음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er, The inlet ring is inclined toward the inlet ring, and a part of the inlet ring is rectilinearized, thereby preventing backflow, contributing to increase in airflow and preventing noise from occurring, and also providing a blowing structur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부에 전환도어가 설치된 인렛덕트 및 상기 인렛덕트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인렛링을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입구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블로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렛링은 블로어 상단에 형성된 휠 밴드를 향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직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밴드에는 역류 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밴드가 상기 인렛링과 간격을 두고 휠 밴드의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inflow inlet and an inflow inlet formed in order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respectively, an inlet duct provided with a changeover door therei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lets, And a blower for suck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through an inlet ring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inlet duct and forcedly blowing air to the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the air blowing structur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Wherein the inlet ring comprises a curved portion having a constant curvature toward the wheel band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wer and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urved portion; Wherein the wheel band is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ng band which blocks the backflow air and protrudes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wheel band with an interval from the inlet ring.
이때, 상기 역류방지밴드는 상기 인렛링의 곡선부와 직선부의 경계선까지 돌출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backflow prevention band is also characterized by protruding to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curved portion and the straight portion of the inlet ring.
또한, 상기 역류방지밴드가 형성된 휠 밴드의 수평부는 상기 인렛링의 곡률반경 안쪽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Further,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wheel band on which the backflow preventing band is formed is also located inside the curvature radius of the inlet ring.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부는 상기 휠 밴드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인렛링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let r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heel band.
본 발명에 따르면, 휠 밴드의 일부에 역류방지밴드가 형성됨으로써 송풍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어 풍량을 증대할 수 있고, 인렛링과 마주보는 휠 밴드의 단부쪽에는 경사면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풍량 감소 및 소음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ckflow prevention band is formed in a part of the wheel band, back flow of the blowing air is prevented to increase the air volume,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end side of the wheel band facing the inlet ring,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reducing air volume and preventing noise.
도 1은 일반적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송풍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고, (b)는 종래 블로어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송풍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 구조의 기능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eneral air conditioner.
2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blowing structure.
Fig. 3 (a)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Fig. 2, and Fig. 3 (b)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lower.
4 is an exemplary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air blowing struct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showing a blow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exemplary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functional aspects of the air blow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송풍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한다.Reference is first made to Fig. 5, which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blow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풍 구조는 앞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던 일반적인 송풍 구조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모두 포함한다.The air blow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basic air blowing structures previously described in the prior art.
즉, 본 발명에 따른 송풍 구조는 특히, 인렛덕트(20, 도 2 참조)에 구비된 인렛링(24)의 구조와, 블로어(31)의 블레이드(38) 상단을 연결하는 휠 밴드(37)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 공기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저항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blow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the structur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인렛덕트(20)에서 일정 곡률(R, 도 6 참조)을 갖고 하방향으로 연장된 인렛링(Inlet Ring)(24)은 기존과 같이 곡률형상을 갖되 휠 밴드(37)의 중앙을 향해 벌어지는 형태가 아니라 휠 밴드(37)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된다.The
특히, 상기 인렛덕트(20)에서 일정 곡률(R)을 갖고 하방향으로 연장된 인렛링(Inlet Ring)(24)은 기존과 같이 단순 곡률형상이 아니라 단부를 향해 일정곡률을 갖는 곡선부(24a)와, 상기 곡선부(24a)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직선형태로 연장된 직선부(24b)가 조합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인렛링(24)은 기존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곡률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길이는 곡선부(24a)로 형성되고, 나머지 길이는 직선부(24b)로 처리된다는 점이다.In other words, the
이는 직선부(24b)가 휠 밴드(37)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후술될 역류방지밴드(37a)와 함께 송풍 공기의 역류를 이중으로 차단하게 되어 풍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그리고, 상기 휠 밴드(37)의 테두리 바깥쪽에는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일종의 격벽을 형성하는 역류방지밴드(37a)가 휠 밴드(37)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A
이때, 상기 역류방지밴드(37a)는 상기 인렛링(24)의 단부 위치보다 더 높게 돌출되게 하여 송풍 공기의 역류방지 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특히, 상기 역류방지밴드(37a)의 돌출높이를 상기 인렛링(24)에 형성된 곡선부(24a)와 직선부(24b)의 경계선에 인접하게 돌출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밴드(37a)가 상기 경계선보다 현저히 낮게 되면 블로어(3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심한 역류 가능성이 높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다시 갖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밴드(37a)가 상기 경계선보다 현저히 높게 되면 인렛링(24)의 곡선부(24a) 안쪽면과 역류방지밴드(37a) 사이의 간격이 좁아 소음 및 간섭 발생의 우려가 높으므로 상기와 같이 경계선에 맞게 돌출시킴이 가장 타당하다.More preferably,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나아가, 상기 역류방지밴드(37a)가 형성된 휠 밴드(37)의 수평부(37b)는 상기 인렛링(24)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기유동시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즉, 송풍 공기의 유동은 도 5의 도시상 상기 인렛링(24)의 외표면과 접촉된 후 이를 따라 블로어(31)의 내부로 흡입 유동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평부(37b)가 상기 인렛링(24)의 곡률(R) 반경 밖에 위치하게 되면 유동 공기와 간섭되면서 공기 저항으로 작용됨은 물론 간섭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된다.That is, the flow of the blowing air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간섭을 없애야 하는데, 간섭을 없앨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구조가 상기 수평부(37b)가 상기 인렛링(24)의 반경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terference should be eliminated. The most preferable structure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is that the
다시 말해, 상기 수평부(37b)의 끝이 적어도 상기 역류방지밴드(37a)와 인렛링(24)이 이루는 사이의 공간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end of the
그러면, 송풍 공기는 인렛링(24)의 곡률(R) 반경을 따라 유동되기 때문에 상기 휠 밴드(37)의 수평부(37b)와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된다.Since the blowing air flows along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나아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37b)의 내테두리 저면을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37c)을 형성할 수 있다.Further,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5, the
이때, 상기 경사면(37c)은 길이가 짧기 때문에 특별히 곡률을 갖도록 구성할 필요는 없으나 가능한 한 상기 인렛링(24)의 곡률과 거의 일치되게 구성함으로써 송풍 공기의 유동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면 상기 경사면(37c)이 형성된 수평부(37b)는 당연히 인렛링(24)의 곡률(R) 반경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Of course,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operational relationship.
즉, 블로어(3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블로어(31)의 회전에 의해 블로어(31)의 내부에는 저압이 형성된다.That is, when the
이에 따라, 내,외기유입구(21,22, 도 2 참조)를 통해 블로어(31)의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블로어(31)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게 된다.Thus, air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공조케이스(40, 도 2 참조)의 내부로 토출된다.Then, air radiated in the radial direction is discharg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see Fig. 2).
즉, 상기 블로어(31)가 회전하게 되면, 블로어(31)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블로어(3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구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렛링(24)을 따라 흡입되는 공기는 그 반경방향으로 신속히 유동되게 되고, 휠 밴드(37)의 수평부(37b) 또는 경사면(37c)에 부딪힌 후 블레이드(38) 사이로 빠져나가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air sucked along the
이때, 상기 수평부(37b)는 상기 인렛링(24)의 곡률(R) 반경 안쪽에 있기 때문에 유동 공기와 간섭되지 않게 되며, 더구나 수평부(37b)의 내테두리 저면이 높이방향으로 인렛링(24)의 곡률(R) 반경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면(37c)을 가진 경우에는 유동공기의 유동이 더욱 더 원활하게 유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38)를 통과한 유동공기중 일부가 상부로 역류하려고 하더라도 상기 휠 밴드(37)에 수직하게 돌출된 역류방지밴드(37a)가 이를 차단하므로 역류 현상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a part of the f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구조는 블로어(31) 구동시 유발되는 송풍 공기의 역류를 완전히 차단함과 동시에 블로어(31)를 향해 흡입되는 유동 공기와 휠 밴드(37)와의 간섭 자체를 극소화시킴으로써 공기 저항도 제거되므로 풍량을 충분히 증대시킬 수 있고, 소음 발생도 없앨 수 있게 되어 보다 쾌적한 탑승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blow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blocks the reverse flow of the blowing air caused when the
20 : 인렛덕트 24 : 인렛링
24a : 곡선부 24b : 직선부
30 : 스크롤케이스 31 : 블로어
37 : 휠 밴드 37a : 역류방지밴드
37b : 수평부 37c : 경사면
38 : 블레이드20: inlet duct 24: inlet ring
24a: Curved
30: scroll case 31: blower
37:
37b:
38: the blade
Claims (4)
상기 인렛링(24)은 블로어(31) 상단에 형성된 휠 밴드(37)를 향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부(24a)와, 상기 곡선부(24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직선부(24b)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밴드(37)에는 역류 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밴드(37a)가 상기 인렛링(24)과 간격을 두고 휠 밴드(37)의 높이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역류방지밴드(37a)가 형성된 휠 밴드(37)의 수평부(37b)는 상기 인렛링(24)의 곡률반경 안쪽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37b)가 인렛링(24)의 끝단부 바로 아래까지 위치하면서 인렛링(24)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
An inlet port 21 and an outside air inlet port 22 are formed in order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air can be respectively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outlet ports 21 and 22, A blower 31 for suck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through the duct 20 and the inlet ring 24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inlet duct 20 and forcedly blowing air to the inlet side 43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And an air blowing device (10) including the air blowing device (10).
The inlet ring 24 includes a curved portion 24a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the wheel band 37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wer 31 and a straight portion 24b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urved portion 24a under;
A backflow preventing band 37a for blocking the backflow air is formed on the wheel band 37 so as to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heel band 37 with a distance from the inlet ring 24,
The horizontal portion 37b of the wheel band 37 on which the backflow preventing band 37a is formed is formed to be located insid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let ring 24,
Wherein the horizontal portion (37b) is located below the end of the inlet ring (24) and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ring (24).
상기 역류방지밴드(37a)는, 상기 인렛링(24)의 곡선부(24a)와 직선부(24b)의 경계선까지 돌출된 것을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backflow prevention band 37a protrudes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urved portion 24a of the inlet ring 24 and the straight line portion 24b.
상기 수평부(37b)는 상기 휠 밴드(37)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인렛링(24)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경사면(37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horizontal portion (37b)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37c) corresponding to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let ring (24)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heel band (3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488A KR101703662B1 (en) | 2010-08-27 | 2010-08-27 |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488A KR101703662B1 (en) | 2010-08-27 | 2010-08-27 |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9903A KR20120019903A (en) | 2012-03-07 |
KR101703662B1 true KR101703662B1 (en) | 2017-02-07 |
Family
ID=4612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3488A Active KR101703662B1 (en) | 2010-08-27 | 2010-08-27 |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366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3680B1 (en) * | 2012-12-06 | 2015-05-28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Blow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KR101540006B1 (en) * | 2012-12-06 | 2015-07-28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Blow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KR102122265B1 (en) * | 2018-04-06 | 2020-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irocco fan |
WO2019194638A1 (en) * | 2018-04-06 | 2019-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an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
KR20230049406A (en) * | 2021-10-06 | 2023-04-13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40751B2 (en) * | 1992-02-19 | 1999-08-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Multi-wing blower |
JPH05332293A (en) * | 1992-06-03 | 1993-12-14 | Nippondenso Co Ltd | Multi-blade blower |
JP3649815B2 (en) * | 1996-08-14 | 2005-05-18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Centrifugal blower |
JP4185654B2 (en) * | 2000-08-04 | 2008-11-26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Centrifugal multi-blade blower |
-
2010
- 2010-08-27 KR KR1020100083488A patent/KR101703662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9903A (en) | 2012-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64555B2 (en) | Centrifugal blower | |
KR101703662B1 (en) |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US9624932B2 (en) |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20160044998A (en) |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JP2018155219A (en) | Air conditioner | |
WO2015115065A1 (en) | Blower | |
EP3193097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JP2018084232A (en) | Air blower and outdoor machine for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EP3715730A1 (en) |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 |
KR20140141775A (en) | Air Cleaner | |
KR101692221B1 (en) | Blow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CN208382343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JP3582366B2 (en) | Blower | |
JP5076324B2 (en) | Centrifugal fan | |
KR101540006B1 (en) | Blow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JPH10148345A (en) |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
KR20140007579A (en) | Intake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 |
KR102121971B1 (en) | Intake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 |
CN112833476B (en) | Air Conditioner | |
KR100272540B1 (en) | structure of bellmouth for sirocco fan | |
CN208332463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JP2000120582A (en) | Centrifugal blower | |
KR20210113958A (en) |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JP3775973B2 (en) | Blower and refrigerator-freezer using it | |
KR101465513B1 (en) | Blower in vehicle for air circula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