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360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609B1
KR101703609B1 KR1020150065571A KR20150065571A KR101703609B1 KR 101703609 B1 KR101703609 B1 KR 101703609B1 KR 1020150065571 A KR1020150065571 A KR 1020150065571A KR 20150065571 A KR20150065571 A KR 20150065571A KR 101703609 B1 KR101703609 B1 KR 10170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ired torque
mode
correction
vehicle
torq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2699A (en
Inventor
김도희
김태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609B1/en
Publication of KR2016013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6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60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60W10/113Stepped gearings with two input flow paths, e.g. double clutch transmission selection of one of the torque flow paths by the corresponding input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38Limiting the input power, torque or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3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요구토크 획득부, 상기 제1요구토크의 증가량을 토대로 급가속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상기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보정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제1요구토크를 감소 보정하여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요구토크 보정부, 그리고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2요구토크를 토대로 차량의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주행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veling mode of a vehicle.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unning mode of a vehicle includes a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for obtaining a first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iver, an event detecting section for detecting a rapid acceleration event based on an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required torque, A required torque correcting part for entering the correcting mode and correcting the first required torque when it enters the correcting mode to obtain a second required torque; And a traveling mod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mode.

Description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raveling mod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veling mod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veling mode of a hybrid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구동하는 차량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은 저속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속토크특성이 좋은 모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고속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속토크특성이 좋은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은 저속구간에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고 모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연비 개선과 배기가스의 저감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A hybrid vehicle represents a vehicle that drives two or more different power sources efficiently in combination. Generally, a hybrid vehicle uses a motor having a relatively low-speed torque characteristic as a main power source at a low speed and an engine having a relatively high-speed torque characteristic at a high speed as a main power source. As a result, the hybrid vehicle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fuel economy and reducing the exhaust gas by stopping the engine using the fossil fuel in the low speed section and using the motor as the main power source.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의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차량 모드인 EV 모드(electric vehicle mode), 엔진의 회전력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의 회전력을 보조동력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모드인 HEV 모드(hybrid electric vehicle mode),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 시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모터의 발전을 통해 회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회생제동 모드인 RB 모드(regenerative braking mode) 등의 주행모드로 운행할 수 있다.The hybrid vehicle includes an EV mode (electric vehicle mode), which is a pure electric vehicle mode using only the power of the motor, a hybrid electric vehicle mode (HEV mode), which us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ngine as the main power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as auxiliary power,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ich is a regenerative braking mode in which braking and inertia energy are recovered through power generation of the motor and charged to the battery when the vehicle is driven by braking or inertia, and the like.

하이브리드 차량은 운전자의 요구토크에 따라서 EV 모드에서 HEV 모드로 또는 HEV 모드에서 EV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급 가속 상황과 같이 운전자의 요구토크의 불확실성이 높은 구간에서는 운전자의 운전의지와 상관 없이 불필요한 모드 천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불필요한 모드 천이는 차량의 연비 저하를 발생시킨다. The hybrid vehicle is switched from the EV mode to the HEV mode or from the HEV mode to the EV mode according to the driver's requested torque. On the other hand, an unnecessary mode transition may occur in an interval of high uncertainty of the driver's demand torque, such as a rapid acceleration situation, irrespective of the driving intention of the driver. Such unnecessary mode transition causes a decrease in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불필요한 모드 천이를 최소화하여 연비를 개선하는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hich improves fuel economy by minimizing unnecessary mode transitions of a hybrid vehic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요구토크 획득부, 상기 제1요구토크의 증가량을 토대로 급가속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상기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보정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제1요구토크를 감소 보정하여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요구토크 보정부, 그리고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2요구토크를 토대로 차량의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주행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unning mode of a vehicle, comprising: a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a first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iver; A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for entering a correcting mode when the rapid acceleration event is detected and correcting the first required torque when it enters the correcting mode to obtain a second required torque, And a traveling mod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second required torque upon entering the m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방법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요구토크의 증가량을 토대로 급가속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보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1요구토크로부터 감소된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요구토크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controlling a travel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a first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iver, detecting a rapid acceleration event based on an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required torque, When the vehicle is in the correction mode, acquiring a second required torque reduced from the first required torque as the vehicle enters the correction mode, and calculating a driving mod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cond required torqu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불필요한 모드 천이를 최소화하여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급가속 상황에서의 연비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 간 연비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mode transitions can be minimized to improve fuel economy. In addition, fuel consumption expenditure in a rapid acceleration situation is minimized, so that fuel efficiency variation among driver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에서의 요구토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에서의 요구토크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의 주행모드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ybrid vehicle that performs a traveling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iv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demanded torque in a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equired torque correction method in the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mode control method of a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차량의 구동력 및 엔진의 효율적인 운전점을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n a direction that satisfies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and the efficient operating point of the engine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can be included.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veling mode of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ybrid vehicle that performs a traveling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듀얼 엔진 클러치 변속기(Dual Clutch Transmission, DCT)를 탑재한 후륜 구동형 하이브리드 차량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엔진과 모터가 별도로 분리된 동력 전달 경로를 가지도록 구현되는 모든 종류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 rear wheel drive hybrid vehicle equipped with a dual clutch transmission (DCT). However, FIG. 1 is for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kinds of hybrid vehicles in which the engine and the motor are implemented so as to have separately separated power transmission path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10), 모터(20), 변속기(30), 배터리(40), 시동발전기(50), 차륜(61, 6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10, a motor 20, a transmission 30, a battery 40, a starter generator 50, wheels 61 and 62, And the like.

엔진(10)은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The engine 10 generates power by burning fuel.

모터(20)는 제동 시 발전기로 동작하여 차륜(62)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0)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4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otor 20 can act as a generator during braking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wheel 62. [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motor 20 can be stored in the battery 40. [

변속기(30)는 복수의 엔진 클러치(미도시)를 포함하는 듀얼 엔진 클러치 변속기로 구현되면, 엔진(10)과 연결되어 엔진(1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차륜(61)으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transmission 30 is implemented as a dual engine clutch transmission including a plurality of engine clutches (not shown), it is connected to the engine 10 to change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10 to a required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speed, ).

시동발전기(50)는 엔진(10)을 시동하거나, 엔진(10)의 동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동발전기(50)는 ISG(integrated starter & generator) 또는 HSG(hybrid starter & generator)를 포함한다. The starter generator 50 may start the engine 10 or perform the function of assisting the engine 10 with power. The starter generator 50 includes an integrated starter & generator (ISG) or a hybrid starter & generator (HS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은, 하이브리드 제어기(Hybrid Control Unit, HCU)(200), 엔진 제어기(Engine Control Unit, ECU)(110),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 Unit, MCU)(120), 변속 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TCU)(130), 배터리 제어기(Battery Control Unit)(140) 등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brid control unit (HCU) 200, an engine control unit (ECU) 110, a motor control unit (MCU) 120,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130, a battery control unit 140, and the like.

하이브리드 제어기(200)는 최상위 제어기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하위 제어기들을 통합 제어하고, 각 하위 제어기들의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하는 있다. The hybrid controller 200 is a top-level controller that integrally controls lower-level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collects and analyzes information of the lower-level controller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ybrid vehicle.

엔진 제어기(1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HCU(200)와 연동하여 엔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engine controller 1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ngine 10 in conjunction with the HCU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모터 제어기(12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HCU(200)와 연동하여 모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otor controller 12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tor 20 in conjunction with the HCU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변속 제어기(13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HCU(200)의 제어에 따라 변속기(30)에 구비되는 전기식 액추에이터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목표 변속단의 기어 결합을 제어한다. 즉, 변속 제어기(130)는 액추에이터를 통해 변속기(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엔진 클러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10)에서 발생하는 동력의 단속을 제어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30 controls the electric actuator or the hydraulic actuator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30 under the control of the HCU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to control the gear engagement of the target speed change stage. That is,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30 can control the intermittence of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10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engine clutches constituting the transmission 30 through the actuators.

배터리 제어기(140)는, 배터리(40)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정보를 종합 검출하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관리 제어하며, 배터리(40)의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하여 한계전압 이하로 과방전되거나 한계전압 이상으로 과충전되지 않도록 한다.The battery controller 140 manages and controls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40 by detecting the information such as the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40 and controls the amount of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40, Do not overcharge to below voltage or overcharge to above threshold voltage.

전술한 구조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20)의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 모드(electric vehicle mode), 엔진(10)의 회전력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20)의 회전력을 보조동력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모드인 HEV 모드(hybrid electric vehicle mode),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 시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모터(20)의 발전을 통해 회수하여 배터리(40)에 충전하는 회생제동 모드인 RB 모드(regenerative braking mode) 등의 주행모드로 운행할 수 있다. The hybrid vehicle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an EV mode (electric vehicle mode), which is a pure electric vehicle mode using only the power of the motor 20, Which is a regenerative braking mode for charging the battery 40 by recovering the braking and inertia energy through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of the motor 20 when the vehicle is braked or running due to inertia and the HEV mode (hybrid electric vehicle mode) A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the like.

전술한 구조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주행모드 제어장치(후술하는 도 2의 도면부호 300 참고)를 포함하며, 주행모드 제어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토크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The hybrid vehicle of the above structure includes a traveling mode control device (refer to reference numeral 300 in FIG. 2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control the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ed torque of the driver through the traveling mode control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110, 120, 130, 140, 2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하이브리드 제어기(200)에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de control device 300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controller 110, 120, 130, 140, 200 constituting the hybrid vehicle. For example, the traveling mode control device 300 may be included in the hybrid controller 200.

아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riv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에서의 요구토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에서의 요구토크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iv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quired torque in the traveling mod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equired torque correction method in the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 이벤트 검출부(320), 요구토크 보정부(330), 주행모드 제어부(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 the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n event detecting unit 320, a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a traveling mode controlling unit 340, And the like.

요구토크 획득부(310)는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산출한다.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calculates the required torque of the driver.

요구토크 획득부(310)는 가속페달 조작상태, 차속, 브레이크페달 조작상태, 현재 기어단 등을 토대로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요구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can calculate the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the vehicle spe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brake pedal, the present gear stage, and the like.

가속페달 조작상태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가속페달의 밟힌 정도를 나타내며, 가속페달센서(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APS)로부터 출력되는 APS 신호에 대응한다.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state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the accelerator pedal is depressed by the driver's accelerator pedal operation, and corresponds to the APS signal output from the 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APS).

브레이크페달 조작상태는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 조닥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의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며, 브레이크페달 센서(Break Pedal position Sensor, BPS)로부터 출력되는 BPS 신호에 대응된다.The brake pedal operation state indicates the on / off state of the brake pedal along the driver's brake pedal pad, and corresponds to the BPS signal output from the brake pedal position sensor (BPS).

차속은 엔진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며, 엔진회전속도센서(Engine Speed Sensor)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The vehicle speed represents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and can be detected through an engine speed sensor.

기어단은, 현재 기어단 위치를 나타낸다. The gear position indicates the present gear position.

도 3을 참고하면, 요구토크 획득부(310)는 도로 모드별 APS 스케일 맵(311)과, 휠 최대토크 맵(31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includes an APS scale map 311 for each road mode and a wheel maximum torque map 312.

도로 모드별 APS 스케일 맵(311)은 기어단, APS 신호 및 차속이 입력되면 이들을 토대로 현재 도로모드를 검출하고, 현재 도로모드에 대응하는 APS 스케일을 출력한다. The APS scale map 311 for each road mode detects the current road mode based on the gear stage, the APS signal and the vehicle speed, and outputs the APS sca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road mode.

휠 최대토크 맵(312)은 기어단, BPS 신호 및 차속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휠 최대토크를 출력한다. When the gear position, the BPS signal, and the vehicle speed are inputted, the wheel maximum torque map 312 outputs the corresponding wheel maximum torque.

요구토크 획득부(310)는 휠 최대토크 맵(312)으로부터 출력되는 휠 최대토크에 도로 모드별 APS 스케일 맵(311)으로부터 출력되는 APS 스케일을 곱함으로써, 요구토크를 산출한다.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calculates the required torque by multiplying the maximum wheel torque outputted from the wheel maximum torque map 312 by the APS scale outputted from the APS scale map 311 for each road mode.

다시, 도 2를 보면, 이벤트 검출부(32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분석하여 급가속 이벤트를 검출한다. 이벤트 검출부(320)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에서의 요구토크의 증가량이 기 설정된 기준 증가량 이상이면, 급가속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event detecting unit 320 analyzes a deman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to detect a rapid acceleration event. The event detec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a rapid acceleratio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increase amount of the required torque in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increase amount.

도 4를 참고하면, 이벤트 검출부(32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에서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지속적으로 샘플링하여 각 시간구간에서의 요구토크 변동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구간(TI) 동안 요구토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요구토크 증가량이 기 설정된 기준 증가량 이상이면, 급가속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event detector 320 continuously samples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nd calculates a required torque variation amount in each time interval. If the required torque continuously increases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I and the required torque increase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ncrease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a rapid acceleration event has occurred.

다시, 도 2를 보면,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이벤트 검출부(320)에 의해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보정하고, 보정된 요구토크를 주행모드 제어부(340)로 출력한다. 즉, 요구토크 획득부(310)는 요구토크 보정모드로 진입하면, 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도록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켜 주행모드 제어부(340)로 출력한다. 요구토크의 감소 비율은 구배, APS 신호, APS 신호 변동량 등을 토대로 조절될 수 있다. 2, when a rapid acceleration event is detected by the event detecting unit 320,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corrects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nd outputs it to the traveling mode control unit 340. That is, when the target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enter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tio such that the required torque falls below the predetermined runn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And outputs it to the mode control unit 340. The reduction ratio of the required torque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gradient, the APS signal, the APS signal variation, and the like.

도 4를 참고하면, t11 시점에 이벤트 검출부(320)에 의해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된다. 이에 따라,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요구토크 보정모드에 진입하며,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켜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4, a rapid acceleration event is detected by the event detection unit 320 at a time t11. Thu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section 330 enter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mode, and reduces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outputs the reduced torque.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보정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면,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하고 요구토크에 대한 보정을 중단한다. When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satisfies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mode releasing condition,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section 330 cancel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mode and stops the correction to the required torque.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요구토크 보정부(330)에 의해 보정된 요구토크가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에 수렴하면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와 요구토크 보정부(330)에 의해 보정된 요구토크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t11 시점에 요구토크 보정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켜 출력한다. 이후,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와 요구토크 보정부(330)에 의해 보정된 요구토크 간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t14 시점에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와 요구토크 보정부(330)에 의해 보정된 요구토크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됨에 따라,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t14 시점 이후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는 보정 없이 주행모드 제어부(340)로 전달된다.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section 330 can release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when the required torque corrected by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section 330 has converged to the required torque acquir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acquisition section 310. [ That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torque obtain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and the required torque corrected by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section 33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section 330 set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mode Can be released. Referring to FIG. 4,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decreases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outputs the required torque as the input torque correction mode is entered at the time t11. Thereafter,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continuously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torque obtain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nd the required torque corrected by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 Then, at the time t14,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is cancel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torque obtain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and the required torque corrected by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section 330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value . Accordingly,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fter time t14 is transmitted to the running mode control unit 340 without correction.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보정모드 해제 기준치 이상이면,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요구토크 보정부(330)는 t21 시점에 요구토크 보정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켜 출력한다. 이후,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기 설정된 보정모드 해제 기준치와 비교하고, t22 시점에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가 보정모드 해제 기준치 이상이 됨에 따라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t22 시점 이후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는 보정 없이 주행모드 제어부(340)로 전달된다.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can release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mode when the required torque acquir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correcting mode canceling reference value. Referring to FIG. 5,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decreases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outputs the required torque as the inputting of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at time t21. Thereafter,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correction mode canceling reference value, and as the deman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become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correction mode cancel reference value at time t22, Release torque correction mode. Accordingly,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after time t22 is transmitted to the running mode control unit 340 without correction.

다시, 도 2를 보면, 주행모드 제어부(340)는 요구토크 보정부(330)로부터 요구토크를 수신한다. 요구토크 보정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요구토크 보정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는 보정을 거친 요구토크일 수 있다. 반면에, 요구토크 보정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요구토크 보정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는 보정 없이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된 요구토크일 수 있다. 2, the travel mode control unit 340 receives the requested torque from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unit 330. [ The request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section 330 in the state where the requested torque correction mode is entered may be the corrected desired torque. On the other hand, the requested torque outputted from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section 330 in the state in which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mode is released may be the required torque outputted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without correction.

주행모드 제어부(340)는 요구토크 보정부(330)로부터 수신되는 요구토크를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제어한다. The running mode control unit 340 analyzes the required torque received from the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330 and controls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주행모드 제어부(340)는 현재 주행모드가 EV 모드인 상태에서 요구토크 보정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상이면, 주행모드를 HEV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주행모드 제어부(340)는 현재 주행모드가 HEV 모드인 상태에서, 요구토크 보정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보다 작아지면, 주행모드를 EV 모드로 전환한다. The traveling mode control unit 340 can switch the traveling mode to the HEV mode if the deman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unit 33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ravel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in the current traveling mode being the EV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HEV mode, the traveling mode control unit 340 switches the traveling mode to the EV mode when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unit 330 become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ravel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요구토크에 기반한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요구토크를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하로 보정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급가속으로 요구토크가 급속히 증가하더라도 주행모드가 HEV 모드로 불필요하게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apid acceleration event based on the required torque is detected, the required torque is correct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runn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veling mode from being unnecessarily switched to the HEV mode even if the required torque rapidly increases due to rapid acceleration of the driver,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도 4를 참고하면, 보정 전의 요구토크를 토대로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경우, 운전자의 급가속 직후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구토크 오버슛(overshoot)에 의해 t12 시점에서 요구토크는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t12 시점에서 차량의 주행모드는 EV 모드에서 HEV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t13 시점에서 요구토크는 다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며, t13 시점에서 차량의 주행모드는 HEV 모드에서 EV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보정 전의 요구토크를 토대로 주행모드를 제어할 경우, 차량은 운전자의 급가속 직후 발생하는 요구토크 오버슛으로 인해 t12 시점에서 t13 시점까지 짧은 시간 동안 HEV 모드로 주행하기 위해 엔진(10)을 켜고 연료를 소비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running mode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quired torque before correction, the required torque at the time t12 becomes larger than the runn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due to the uncertain demand torque overshoot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rapid acceleration of the driver. Accordingly, the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is switched from the EV mode to the HEV mode at the time t12. Thereafter, at time t13, the demanded torque is again lowered to the travel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or less, and at time t13, the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is switched from the HEV mode to the EV mode. In this way, when the running mode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quired torque before correction,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engine 10 to travel in the HEV mode for a short time from the time t12 to the time t13 due to the required torque overshoot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rapid acceleration of the driver. And consumes fuel.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10)를 적용하는 경우, 운전자의 급가속 직후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구토크 오버슛은 요구토크 보정부(330)에 의해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하로 감소된다. 이에 따라, 차량은 운전자의 급가속 직후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구토크 오버슛에 의해 주행모드를 HEV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없어, 급가속 직후 발생하는 불필요한 HEV 모드 전환을 방지하여 연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pplying the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certain demand torque overshoot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driver's rapid acceler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ravel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 Thereby, the vehicle does not need to switch the traveling mode to the HEV mode due to the uncertain demand torque overshoot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rapid acceleration of the driver, thereby preventing the unnecessary switching of the HEV mode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rapid accel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fuel economy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의 주행모드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mode control method of a traveling mod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운전자의 주행의지에 대응하는 요구토크를 획득한다(S100). Referring to FIG. 6, the driving mode contro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the required torque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will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S100).

상기 S100 단계에서, 요구토크 획득부(310)는 가속페달 조작상태, 차속, 브레이크페달 조작상태, 현재 기어단 등을 토대로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요구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100,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can calculate the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state, the vehicle speed, the brake pedal operation state, the current gear stage, and the like.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상기 S100 단계에서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를 분석하여 급가속 이벤트를 검출한다(S101). In step S101, the driving mode control device 300 detects a rapid acceleration event by analyzing the required torque acquir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in step S100.

상기 S101 단계에서,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요구토크의 증가량이 기 설정된 기준 증가량 이상이면, 급가속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In step S101, the travel mode control device 300 determines that a rapid acceleratio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increase amount of the required torque for a predetermined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increase amount.

상기 S101 단계를 통해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보정모드로 진입한다(S102). 또한, 요구토크 보정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를 보정하여 출력한다(S103). If the rapid acceleration event is detected in step S101, the travel mode control device 300 enter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S102). Further, as the engine enter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it corrects the required torque acquir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and outputs it (S103).

상기 S103 단계에서,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도록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켜 출력한다. 여기서, 요구토크의 감소 비율은 구배, APS 신호, APS 신호 변동량 등을 토대로 조절될 수 있다. In step S103, the driving mode control device 300 decreases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by a predetermined ratio so that the required torque falls below the predetermined travel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Here, the reduction ratio of the required torque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gradient, the APS signal, the APS signal fluctuation amount, and the like.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상기 S103 단계를 통해 요구토크가 보정됨에 따라, 보정된 요구토크를 기반으로 주행모드를 제어한다(S104). The driving mode control device 300 controls the driving mode based on the corrected required torque as the required torque is corrected through step S103 (S104).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보정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하기 위해 요구토크 보정모드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105). As the traveling mode control device 300 enter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it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to release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S105).

상기 S105 단계에서,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토크에 상기 S103 단계를 통해 보정된 요구토크가 수렴하면 요구토크 보정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105, the running mode control device 300 determines that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cancella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required torque corrected through step S103 converges to the required torque output from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unit 310 .

또한, 상기 S105 단계에서,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보정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보정모드 해제 기준치 이상이면, 요구토크 보정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required torque obtain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mode cancel reference value in the state where the driving mode control device 300 enter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in step S105,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d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S105 단계에서, 요구토크 보정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유지한다. 즉,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지속적으로 요구토크를 획득 및 보정하고(S106, S103), 보정된 요구토크 기반의 주행모드 제어를 수행한다(S10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5 that the requested torque correction mode cancellation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traveling mode control device 300 maintain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That is, the traveling mode control device 300 continuously acquires and corrects the required torque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S106, S103), and performs the traveling mode control based on the corrected required torque (S104).

반면에, 상기 S105 단계에서, 요구토크 보정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보정모드를 해제한다(S107). 이에 따라,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를 보정 없이 주행모드 제어를 위해 사용한다(S108). On the other hand, if the requested torque correction mod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in step S105, the travel mode control device 300 cancels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mode (S107). Accordingly, the running mode control device 300 uses the required torque acquir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310 for the running mode control without correction (S108).

또한, 상기 S101 단계에서,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주행모드 제어장치(300)는 요구토크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요구토크를 보정 없이 주행모드 제어를 위해 사용한다(S108).If the rapid acceleration event is not detected in step S101, the driving mode control device 300 uses the required torque obtained through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part 310 for the driving mode control without correction (step S108) .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방법은, 운전자의 급가속 직후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구토크 오버슛을 보정함으로써, 불필요한 HEV 모드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엔진 구동을 방지하여 연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급가속 습관에 의한 연비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운전자간 연비 편차를 개선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unnecessary HEV mode switching by correcting the uncertain demand torque overshoot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driver's rapid acceleration. Thus, unnecessary driving of the engine can be prevented and the fuel consumption can be improved. Also, fuel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wasting fuel consumption due to rapid acceleration hab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주행모드 제어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The driving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through software. When executed in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the necessary tasks.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on a processor read functional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upled with a carrier wave in a transmission medium or a communication network.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 includ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lso,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connected computer device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select and substitute i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appreciate tha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herein can be omitted without degrading performance or adding components to improve performanc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order of the method steps described herein depending on the process environment or equipmen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not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Claims (17)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요구토크 획득부,
상기 제1요구토크의 증가량을 토대로 급가속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상기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보정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제1요구토크를 감소 보정하여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요구토크 보정부, 그리고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제2요구토크를 토대로 차량의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주행모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A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for obtaining a first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iver,
An event detector for detecting a rapid acceleration event based on an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required torque,
A required torque correcting unit for entering a correction mode when the rapid acceleration event is detected and correcting the first required torque when it enters the correction mode to obtain a second required torque;
A traveling mode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second required torqu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mode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토크 보정부는, 상기 제1요구토크를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켜 상기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section reduces the first required torque to a predetermined driv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or less to obtain the second required torq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토크 보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요구토크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보정모드를 해제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section releases the correction mod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quired torqu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토크 보정부는,
상기 제1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해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보정모드를 해제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quired torque correction unit comprises:
And releases the correction mode when the first required torq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lease reference valu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 제어부는, 상기 보정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1요구토크를 토대로 상기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running mode control unit controls the running mode based on the first required torque when the correction mode is releas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 제어부는, 현재 주행모드가 EV 모드(electric vehicle mode)인 상태에서 상기 제1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주행모드를 HEV 모드(hybrid electric vehicle mode)로 전환하는 주행모드 제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first required torq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riv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while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electric vehicle mode, the traveling mod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traveling mode to the HEV mode (hybrid electric vehicle mode) Mode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토크 획득부는, 가속페달 조작상태, 차속, 브레이크페달 조작상태 및 현재 기어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quired torque obtaining section obtains the first required torqu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state, a vehicle speed, a brake pedal operation state, and a current gear s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제1요구토크의 증가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급가속 이벤트로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vent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event is a rapid acceleration event if the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required torqu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요구토크의 증가량을 토대로 급가속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급가속 이벤트가 검출되면 보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보정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1요구토크로부터 감소된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요구토크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행모드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traveling mode of a vehicle,
Obtaining a first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iver,
Detecting a rapid acceleration event based on an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required torque,
Entering a correction mode when the rapid acceleration event is detected,
Obtaining a second desired torque reduced from the first required torque as it enters the correction mode, and
Controlling the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cond required torque
/ RTI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요구토크를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켜 상기 제2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인 주행모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acquiring the second required torque comprises:
And decreasing the first required torque to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riv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to obtain the second required torqu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요구토크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보정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모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canceling the correction mod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quired torques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해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보정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모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canceling the correction mode if the first required torq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lease reference valu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정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1요구토크를 토대로 상기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모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leasing the correction mode, and
And when the correction mode is released, controlling the traveling mode based on the first required torqu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구토크를 토대로 상기 주행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주행모드가 EV 모드(electric vehicle mode)인 상태에서 상기 제1요구토크가 기 설정된 주행모드 천이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주행모드를 HEV 모드(hybrid electric vehicle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행모드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running mode based on the first required torque includes:
And switching the driving mode to a hybrid electric vehicle mode if the first required torq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riving mode transition reference value while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EV mode (electric vehicle mode) Control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속페달 조작상태, 차속, 브레이크페달 조작상태 및 현재 기어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제1요구토크를 획득하는 단계인 주행모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acquiring the first required torque comprises:
Obtaining the first required torqu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state, a vehicle speed, a brake pedal operation state, and a current gear sta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제1요구토크의 증가량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급가속 이벤트로 판단하는 단계인 주행모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etecting comprises:
And determining that the event is a rapid acceleration event if the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required torqu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7.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9 to 16.
KR1020150065571A 2015-05-11 2015-05-11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 Active KR101703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71A KR101703609B1 (en) 2015-05-11 2015-05-11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71A KR101703609B1 (en) 2015-05-11 2015-05-11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99A KR20160132699A (en) 2016-11-21
KR101703609B1 true KR101703609B1 (en) 2017-02-07

Family

ID=5753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571A Active KR101703609B1 (en) 2015-05-11 2015-05-11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6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46B1 (en) * 2016-10-19 2023-09-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in electronic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7623A (en) * 2007-01-04 2008-07-17 Toyota Motor Corp Electric vehicle
JP2009234565A (en) * 2008-03-06 2009-10-15 Nissan Motor Co Ltd Engine stop controller for hybrid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7623A (en) * 2007-01-04 2008-07-17 Toyota Motor Corp Electric vehicle
JP2009234565A (en) * 2008-03-06 2009-10-15 Nissan Motor Co Ltd Engine stop controller for hybri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99A (en)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8620B2 (en) Creep cut-off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8634987B2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JP5640007B2 (en) Car regenerative braking method
US8414450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KR101588789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creep torque for vehicle including driving motor
US8521351B2 (en) Creeping-cu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ly driven vehicle
JP6023480B2 (en) Engine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JP5125293B2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US20120330505A1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06347137B (en) Adaptive regenerative braking method and system
US9139106B2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JP2012029461A (en) Electric vehicle and drive control device of the same
JP6729142B2 (en)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and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KR1017137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control of vehicle
US11926310B2 (e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limit for the same
JP2014103771A (en) Regen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210188254A1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 vehicle
JP5262692B2 (en) Vehicle brake operation evaluation device, vehicle brake operation evaluation method, brake control device, and battery control device
KR1017245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control of vehicle
KR1017036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ode control of vehicle
JP2009171727A (en) Energy regener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10077083A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power for the same
KR201700080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control of engine
JP2015116871A (en) Controller of hybrid electric vehicle
JP7568113B2 (en) Regenerative control method and regenerative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