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233B1 - Flexible support - Google Patents
Flexible sup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3233B1 KR101703233B1 KR1020150037476A KR20150037476A KR101703233B1 KR 101703233 B1 KR101703233 B1 KR 101703233B1 KR 1020150037476 A KR1020150037476 A KR 1020150037476A KR 20150037476 A KR20150037476 A KR 20150037476A KR 101703233 B1 KR101703233 B1 KR 101703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tube
- elastic
- pipe
- tube fixing
-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는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되는 이중배관의 상기 내관에 설치되며, 동일한 형상을 한 4개 1조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외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내관의 외부에 밀착되는 곡선의 내관 고정부, 상기 내관 고정부의 일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1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외관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된 직선의 제1 연결부, 상기 내관 고정부의 타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2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외관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며, 고정구멍이 형성된 직선의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말단에 제2 연결부의 반대방향으로 굴절 형성된 곡선의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말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3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연장되어 외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곡선의 외관 아암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support. A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pairs of bodies each having the same shape and installed in the inner pipe of a double pipe composed of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and a sliding bearing provided on the body, . The body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inner tube fixing part of a curved lin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and a first elastic part of a round shape between the inner tube fixing part and one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art,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toward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rounded second elastic por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ortion and having a straight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with a fixing hole, And a curved outer arm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and positioned inside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rounded third elastic portion between the support portion of the curved lin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support.
파이프 형태의 외관(Outer pipe) 내부에 파이프 형태의 내관(Inner pipe)이 수용되는 이중배관의 경우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내관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여 내관을 지지토록 하고 있다.
In the case of a double pipe in which a pipe-shaped inner pipe is accommodated in an outer pipe of a pipe shape,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inner pipe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pipe and the inner pipe to support the inner pipe .
상기 이중배관의 지지구조는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외관 내에 한 개 또는 다수의 내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내관에 2개 1조의 같은 형상을 한 지지구를 설치하여 지지토록 하고 있다.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double pip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described above, one or a plurality of inner tubes are supported in the outer tube, and one pair of inner tubes each having the same shape is supported and supported.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이중배관의 파손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조립 작업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breakage of the double piping,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efficiency in assembling work.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는 내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로써, 상기 내관 하나당 2개 1조로 구성하고, 이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 등의 피팅류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표면상태 등에 따라 체결강도가 예상 설계치에 못 미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ing the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1) is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ner tube. The flexible support is composed of two pairs per inner tube, and fittings such as bolts and nuts are used And fastened and fix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strength is inferior to the expected design value depending on the surface condition and the like.
또한 이중배관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에서의 충격흡수는 다소 미흡하여 내관의 간격 유지 등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shock absorption in various directions applied to the double pipe is somewhat insufficient, so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interval of the inner pipe.
본 발명의 관점은, 구조개선을 통해 체결강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외관의 간격 유지 및 다양한 방향에서의 외부충격을 더욱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서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support capable of easily increasing the fastening strength through structure improvement and also capable of maintaining the interval between inner and outer tubes and absorbing external impacts in various directions more easily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는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되는 이중배관의 상기 내관에 설치되며, 동일한 형상을 한 4개 1조의 몸체; 및A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pairs of bodies installed in the inner pipe of a double pipe composed of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and having the same shape; And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외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베어링;A sliding bearing provided on the body and closely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을 포함하며,/ RTI >
상기 몸체는 내관의 외부에 밀착되는 곡선의 내관 고정부;Wherein the body has an inner tube fixing part of a curved lin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상기 내관 고정부의 일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1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외관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된 직선의 제1 연결부;A straight first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toward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first elastic portion of a round shape between the inner tube fix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ortion and having a fastening hole;
상기 내관 고정부의 타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2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외관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며, 고정구멍이 형성된 직선의 제2 연결부;A second connecting portion which extends integrally toward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rounded second elastic por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ortion and has a fixing hole formed therein;
상기 제1 연결부의 말단에 제2 연결부의 반대방향으로 굴절 형성된 곡선의 지지부; 및A curved support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being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상기 제2 연결부의 말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3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연장되어 외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곡선의 외관 아암부;A curved exterior arm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third elastic portion in a round shape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를 포함한다.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에 있어서, 상기 제1,2 탄성부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이보다 큰 곡률로 제3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arts may b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nd the third elastic part may be formed with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에 있어서, 상기 외관 아암부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arm part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and fastening the sliding bearing.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These solution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가 4개 1조로 구성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2개 1조의 분리형 플렉시블 서포트를 이중배관의 내관에 조립하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다양한 방향에서의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이는 이중배관의 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그리고 각각의 몸체를 서로에 대해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어 유격발생이나 이로 인한 불필요한 움직임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dy is constituted by four sets, it is possible to easily absorb an external impact in a relatively wide variety of directions, as compared with assembling two pairs of separate flexible support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the inner pipe of a double pipe This is effective in the management of double piping. Further, since each body can be more firmly fasten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occurrence of clearance and unnecessary movement due to the cl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를 이중배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를 이중배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part of a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uble pipe.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uble pipe.
본 발명의 특이성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pecificity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which are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one side", "another side"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는 외관(Outer pipe)과 내관(Inner pipe)으로 구성되는 이중배관의 내·외관의 간격 유지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LNG추진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의 연결배관에 적용 가능하다.
The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intaining the spa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ouble pipe composed of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and absorbing external impact, To the connecting piping of the fuel suppl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상기 플렉시블 서포트는 내관에 설치되는 몸체(Body)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외관의 내측에 밀착 고정되는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동일한 형상을 한 4개를 1조로 구성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내관 하나당 2개 1조의 분리형과 차별화된다.
To this end, the flexible support includes a body installed in an inner pipe, and a sliding bearing provided in the body and fixedly secur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pipe. In this case, the body is constituted by four sets of the same shape, and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one by one set of two sets per inner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즉 상기 몸체는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되는 이중배관의 상기 내관의 외부에 밀착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내관 고정부를 구성하고, 상기 내관 고정부의 일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1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외관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며, 조립구멍이 형성된 직선의 제1 연결부를 구성한 후 상기 내관 고정부의 타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2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외관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며, 고정구멍이 형성된 직선의 제2 연결부를 구성하게 된다.
That is, the body constitutes an inner tube fixing part formed of a curved lin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of the double tube composed of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fixing part is formed with a rounded first elastic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ereby constitut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의 말단에 제2 연결부의 반대방향으로 굴절 형성된 곡선의 지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말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3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연장되어 외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곡선의 외관 아암부를 구성하게 된다.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cur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forming a rounded third elastic portion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an inner side So that the outer arm portion of the curve is position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는 4개 1조로 구성된 몸체를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피팅류를 이용하여 내관의 외부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기술에 따른 2개 1조로 구성된 분리형보다 조립시간은 다소 증가할 수 있으나, 이중배관에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더욱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어 내·외관의 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Therefore, the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by using a fitting including four bolts and a nut, The assembling time may be slightly increased than that of the separated type, but it is effective in term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because it can more easily absorb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double pipe in various directions.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3에서 보듯이, 상기 몸체(10)(20)(30)(40)는 동일한 형상을 한 4개 1조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몸체(10)(20)(30)(40)를 도면상 왼쪽 상부에서 시계방향으로 제1,2,3,4 몸체(10)(20)(30)(40)로 지칭하게 되며, 상기 제1 몸체(10)를 중심으로 설명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상기 제1 몸체(10)는 폭 30㎜, 길이 140㎜, 두께 3㎜ 정도의 금속판재를 판금 굴절하거나,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The
즉 상기 제1 몸체(10)는 내관(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내관 고정부(11)를 중심으로 상기 내관 고정부(11)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제1 연결부(12)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제1 연결부(12)와 내관 고정부(11)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1 탄성부(12a)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 고정부(11)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제2 연결부(1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제2 연결부(13)와 내관 고정부(11) 사이에 제2 탄성부(13a)를 형성하게 된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제1,2 연결부(12)(13)와 내관 고정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제1,2 탄성부(12a)(13a)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제1 연결부(12)는 10㎜ 정도의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에 조립구멍(12b)이 형성되는데, 도면상 오른쪽 말단에 제2 연결부(13)와 반대방향으로 굴절 형성된 곡선의 지지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연결부(13)는 15㎜ 정도의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에 고정구멍(13b)이 형성되고, 도면상 상부 쪽 말단에 외관(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곡선의 외관 아암부(15)가 시계반대방향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관 아암부(15)와 제2 연결부(13)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3 탄성부(15a)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3 탄성부(15a)는 내관(120)의 진동시 탄성력을 통해 간격 유지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따라서 제1,2 탄성부(12a)(13a)보다 더 큰 곡률의 라운드로 형성하게 된다.
The third
이러한 제3 탄성부(15a)를 통해 제2 연결부(13)와 일체로 형성된 외관 아암부(15)의 외부에는 상기 제3 탄성부(15a)와 함께 이중배관(100)에 대한 충돌이나 충격을 느슨하게 하는 완충수단으로서의 슬라이딩 베어링(50)이 구비된다.
The external
여기서 상기 외관 아암부(15)는 슬라이딩 베어링(50)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멍(15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5b)에 대응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50)에 체결용 돌기(51)가 형성되며, 이들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50)의 움직임이나 이탈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50)은 외관 아암부(15)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일면에 홈(50a)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통상 고무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베어링(50)은 제1,2,3,4 몸체(10)(20)(30)(40)에 모두 구비된다.
The sliding bearing 50 is formed with a
한편 상기 제1,2,3,4 몸체(10)(20)(30)(4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다. 먼저 제1 몸체(10)의 내관 고정부(11)를 내관(120)의 외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면상 상기 제1 몸체(10)의 오른쪽에 제2 몸체(20)를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몸체(10)의 고정구멍(13b)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다음으로 제2 몸체(20)의 하부에 제3 몸체(30)를 배치한 후 동일한 피팅류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3 몸체(30)의 왼쪽에 제4 몸체(40)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10)의 조립구멍(12b)에 볼트를 삽입 후 상기 제4 몸체(40)에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Next, the
따라서 상기 제1,2,3,4 몸체(10)(20)(30)(40)는 내관(120)의 1/4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됨으로써, 이중배관(100)에 가해지는 최소 4방향에 대한 충격을 나눠서 흡수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제1,2,3,4 몸체(10)(20)(30)(40)의 내구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second, third, and
또한 상기 제1,2,3,4 몸체(10)(20)(30)(40)는 지지부(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4a)를 이용하여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피팅류를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어 서로에 대한 체결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second, third, and
도 3 내지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는 제1,2,3,4 몸체(10)(20)(30)(40)에 슬라이딩 베어링(50)이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이중배관(100)의 내관(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중배관(100)의 내·외관(110)의 간격 유지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3 to 4, the flexible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ing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서포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lexible sup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제1 몸체 11 : 내관 고정부
12 : 제1 연결부 12a : 제1 탄성부
12b : 조립구멍 13 : 제2 연결부
13a : 제2 탄성부 13b : 고정구멍
14 : 지지부 14a : 공간부
15 : 외관 아암부 15a : 제3 탄성부
15b : 체결구멍 20 : 제2 몸체
30 : 제3 몸체 40 : 제4 몸체
50 : 슬라이딩 베어링 50a : 슬라이딩 베어링의 홈
51 : 체결용 돌기 100 : 이중배관
110 : 외관 120 : 내관10: first body 11: inner tube fixing part
12:
12b: Assembly hole 13: Second connection part
13a: second
14:
15:
15b: fastening hole 20: second body
30: third body 40: fourth body
50: Sliding bearing 50a: Sliding bearing groove
51: fastening protrusion 100: double piping
110: Appearance 120: Inner tube
Claims (3)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외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내관의 외부에 밀착되는 곡선의 내관 고정부와;
상기 내관 고정부의 일단에서 상기 외관을 향해 외부로 연장되고, 조립구멍을 갖춘 직선의 제1 연결부;
상기 내관 고정부의 타단에서 상기 외관을 향해 상기 제1 연결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구멍을 갖춘 직선의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말단에 상기 제2 연결부의 반대방향으로 굴절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에 공간부를 제공하는 곡선의 지지부;
상기 내관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제1 연결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라운드형상의 제1 탄성부;
상기 내관 고정부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라운드형상의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말단과의 사이에 라운드형상의 제3 탄성부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연장되어 외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곡선의 외관 아암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서포트.
A pair of four bodies each having the same shape and installed in the inner pipe of a double pipe composed of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And
And a sliding bearing provided on the body and closely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The body,
An inner tube fixing part of a curved lin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A straight first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the one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ortion toward the outer tube and having an assembly hole;
A straight secon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ortion toward the outer tube and having a fixing hole;
A curved support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being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 provide a space portion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first elastic part having a round shape and integrally connecting one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 second elastic part of a round shape integral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fix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And a curved outer arm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and positioned inside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third elastic portion of a round shape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1,2 탄성부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이보다 큰 곡률로 제3 탄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서포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ortions ar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nd the third elastic portion is formed with a curvature larger than the first curvature.
상기 외관 아암부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서포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arm part has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sliding bea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476A KR101703233B1 (en) | 2015-03-18 | 2015-03-18 | Flexible sup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476A KR101703233B1 (en) | 2015-03-18 | 2015-03-18 | Flexible suppo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208A KR20160112208A (en) | 2016-09-28 |
KR101703233B1 true KR101703233B1 (en) | 2017-02-06 |
Family
ID=5710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7476A Active KR101703233B1 (en) | 2015-03-18 | 2015-03-18 | Flexible suppo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323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0843B1 (en) | 2020-07-03 | 2021-11-24 | 이선우 | Double piping support for transfer of the ship fuel |
KR20230069489A (en) * | 2021-11-12 | 2023-05-19 |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 Inner pipe supporter and double pipe including the same |
KR20250032459A (en) | 2023-08-31 | 2025-03-07 | 탈렌트엘엔지(주) | Supporter for dual pip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2000B (en) * | 2016-11-14 | 2020-12-29 |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一研究所 | Construction process of double-wall pipe of liquefied natural gas power ship gas supply system |
KR102017849B1 (en) | 2018-10-10 | 2019-10-21 | 주식회사 해강하이테크 | Double pipe support for ship fuel transfer |
KR102198220B1 (en) * | 2019-05-08 | 2021-01-04 | (유)성문 | Support unit for inner pipe of gas transper line |
CN111912257B (en) * | 2020-07-14 | 2022-03-15 | 东方电气(广州)重型机器有限公司 | Cooling sleeve and heat exchange device |
KR102500961B1 (en) * | 2020-10-26 | 2023-02-16 | 하도겸 | Flexible support for double pipe |
CN112815181A (en) * | 2021-02-03 | 2021-05-18 | 迈宇环保技术(浙江)有限公司 | LNG double-wall pipe with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
CN112815180A (en) * | 2021-02-03 | 2021-05-18 | 迈宇环保技术(浙江)有限公司 |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for LNG double-wall pipe |
KR102604436B1 (en) * | 2021-09-10 | 2023-11-22 | (주)성일엔케어 |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
KR102604447B1 (en) * | 2021-09-29 | 2023-11-22 | (주)성일엔케어 |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
CN115430970B (en) * | 2022-08-22 | 2023-11-17 | 江苏恒宇管业科技有限公司 | Steam heat-insulating pipe and inner and outer pipe welding process system of heat-insulating pip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9741A (en) | 2002-11-18 | 2004-06-17 | Kubota Corp | Inner tube holding device in insulated double tube |
JP2014234869A (en) * | 2013-06-03 | 2014-12-1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Double tube support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6595A (en) * | 1989-09-08 | 1991-04-22 | Kubota Corp | Casing pipe spacer for propulsion method and casing pipe for propulsion method |
US6158475A (en) * | 1999-03-04 | 2000-12-12 | Clemmer; David Grant | Underground pipe support |
-
2015
- 2015-03-18 KR KR1020150037476A patent/KR1017032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9741A (en) | 2002-11-18 | 2004-06-17 | Kubota Corp | Inner tube holding device in insulated double tube |
JP2014234869A (en) * | 2013-06-03 | 2014-12-1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Double tube support structur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US6158475A A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0843B1 (en) | 2020-07-03 | 2021-11-24 | 이선우 | Double piping support for transfer of the ship fuel |
KR20230069489A (en) * | 2021-11-12 | 2023-05-19 |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 Inner pipe supporter and double pipe including the same |
KR102648280B1 (en) | 2021-11-12 | 2024-03-18 |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 Inner pipe supporter and double pipe including the same |
KR20250032459A (en) | 2023-08-31 | 2025-03-07 | 탈렌트엘엔지(주) | Supporter for dual pip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208A (en) | 2016-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3233B1 (en) | Flexible support | |
KR101703234B1 (en) | Flexible support | |
EP3258753B1 (en) | Supporting device for rail member | |
JP6702679B2 (en) | Plastic holder for vibration isolation mounting of oblong objects | |
JP6344189B2 (en) | Fuel tank mounting structure | |
CN108340774A (en) | Vehicle fuel tank | |
US9827851B2 (en) | Fuel tank with an internal support structure | |
KR20090030157A (en) | Bumper Reinforcement for Automobile | |
JP5719063B1 (en) | U bolt unit | |
JP6032168B2 (en) | Fuel tank and fuel tank mounting structure | |
JPWO2020250806A5 (en) | ||
KR102097145B1 (en) | Suspension arm for a motor vehicle intended to absorb a side impact | |
CN207311348U (en) | A kind of crossbeam energy-absorption box | |
KR101398722B1 (en) | Device for fixing steel-frame structure | |
KR20230037903A (en) | Support for double pipe | |
JP3130849U (en) | Hollow aluminum frame | |
US20120133107A1 (en) | Bicycle seat post | |
KR102319677B1 (en) | Support apparatus for fuel tank for vehicle | |
KR101210153B1 (en) | Structure for mounting shock absorber of vehicle | |
US7172243B1 (en) | Bicycle seat | |
KR101868916B1 (en) | Frame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JP2014080997A (en) | Vibration damper | |
KR101348612B1 (en) | Pipe Assembly | |
CN208564160U (en) | Outdoor fence | |
JP6520313B2 (en) | Vehicl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4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