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938B1 -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2938B1 KR101702938B1 KR1020150124727A KR20150124727A KR101702938B1 KR 101702938 B1 KR101702938 B1 KR 101702938B1 KR 1020150124727 A KR1020150124727 A KR 1020150124727A KR 20150124727 A KR20150124727 A KR 20150124727A KR 101702938 B1 KR101702938 B1 KR 1017029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shaft
- magnet
- wheel
- bra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장치는, 기어부가 형성된 바퀴를 가진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사용자와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기어부에 걸려서 상기 바퀴를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포함한다.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rame having wheels with gear portions; And brak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connected to the user by a wire, and interlocked by the pulling of the wire to engage with the gear to brake the wheel.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 보조장치로서, 사용자가 사용 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when a user uses the device.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은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행 보조장치구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유모차와 같이 바퀴가 구비된 보행 보조장치의 손잡이에 의존하여 보행을 하고 있다.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 movement or the elderly are not free to walk and use various types of walking aid devices. One of the typical ones is a walker depending on the handle of a walking aid provided with a wheel, such as a stroller.
그러나, 보행을 돕기 위하여 하부에 구름바퀴를 설치한 보행 보조장치의 경우, 적은 힘으로도 이동 가능하기는 하지만 내리막이나 오르막 등 도로 상태에 따라 그 속도를 제어할 수 없어서 안전에 커다란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walking aiding device provided with a rolling wheel on the lower side to assist the walking, although it can be moved by a small force, the speed can not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road condition such as downhill and uphill, have.
특히 일례로서, 내리막길에서 보행 보조장치의 속도가 증가하여 보행 보조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일정거리(안전범위)를 벗어난 경우, 보행 보조장치를 컨트롤할 수 없음에 따라 사용자가 낙상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as an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gait assist device increases on the downhill path and the gait assist device deviates from the user's body by a certain distance (safety range), the user can not control the gait assist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서 일정거리(안전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동되도록 구성되는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onfigured to be braked when a user's body is out of a certain distance (safety ran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장치는, 기어부가 형성된 바퀴를 가진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사용자와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기어부에 걸려서 상기 바퀴를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lking aid device comprising: a body frame having wheels with gears; And brak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connected to the user by a wire, and interlocked by the pulling of the wire to engage with the gear to brake the wheel.
여기에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바퀴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기어부에 걸림되거나 상기 기어부로부터 탈거되는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와 와이어를 연계하여, 상기 와이어의 당김에 따라 상기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링크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gear portion may protrude from a side surface of the wheel, and the braking means may include a brak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or is detached from the gear portion; And a link operating part connecting the braking part and the wire to operate the braking part according to the pulling of the wire.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작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1 레버축을 가지며, 일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자석이 장착된 자석레버;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 레버축을 가지며, 상기 자석레버의 자석에 자력으로 접하게 되는 자성블럭이 장착된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제동부를 연동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nk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base member mounted on the body frame; A magnet lever having a first lever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the magnet lev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other end mounted with a magnet; An operating lever having a second lever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having a magnetic block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magnet of the magnet lever by a magnetic force; And an eleva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the elevation unit moving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interlock the braking unit.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계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인장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자성블록이 자석레버의 자석에 의한 자력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인장스프링이 탄성력으로 상기 승강부재를 잡아당겨 하강시키며, 상기 작동레버가 상방회전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 lifting member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lever; And a tension spring whose lower end is fixed to the base member and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When the magnetic block of the operating lever is out of the magnetic force range of the magnet lever by the magnet, The elevating member can be lowered by pulling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elevating member can be elevated when the operating lever is rotated upward.
여기에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를 감싸면서 슬라이드 승강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작동레버와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되게 연결된 상부로드축과, 상기 슬라이더 및 인장스프링과 회전되게 연결된 하부로드축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elevating member may include: a slider that slides and raises while surrounding the base member;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operating lever and the slider. The connecting rod may have an upper rod shaft connected to the slider and connected to the slider, and a lower rod shaft connected to rotate the slider and the tension spring.
한편, 상기 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회전작동축을 가진 바퀴스토퍼; 및 상기 회전중심축에 감기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면서 상기 바퀴스토퍼의 상부를 탄성압박하는 스토퍼토션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회전작동축을 상방지지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회전작동축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방회전하며,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회전작동축의 상방지지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토션스프링이 상기 바퀴스토퍼의 상부를 밀어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braking unit may include: a wheel stopper having a rotation center shaft provided to rotate on the base member; and a rotation operation shaft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shaft; And a stopper torsion spring that is wound on the rotation center shaft and elastically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stoppe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The elevation member supports the rotation operation shaft upward, and when the elevation member is raised The stopper torsion spring may push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stopper to rotate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torsion spring when the elevation member is lowered and the upward support of the rotation operation shaft is released.
이때, 상기 바퀴스토퍼는 상기 기어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기어부의 기어요철과 형합되는 걸림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heel stopper may be formed with an engaging concavity and convexity to be engaged with the gear irregularities of the gear portion to engage with the gear portion.
이에 더하여, 상기 제동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바퀴를 마찰제동하는 브레이크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a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rake pad installed on the elevating member and descending by the descent of the elevating member to frictionally brake the wheel.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바퀴의 상측에 설치고정되며, 상기 제1 레버축이 연결된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레버축의 축방향으로 각각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 레버축이 연결된 베이스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ase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wheel in the main body frame, and the first lever shaft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a base sidewall extending from the base fram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lever shaf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shaft.
그리고, 상기 링크작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의 당김력 해제 시 상기 자석레버의 위치가 원상복귀되도록 상기 자석레버의 제1 레버축에 장착고정된 레버토션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link op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lever torsion spring supported on the base member and fixed to the first lever shaft of the magnet lev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agnet lever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is released .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장치는, 기어부가 형성된 바퀴와, 이러한 바퀴의 기어부를 제동하는 제동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거리(안전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바퀴를 제동할 수 있고, 나아가 기어맞물림 구조에 의한 제동으로 인하여 바퀴에 대한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heel having the gear portion and the braking means for braking the gear portion of the wheel are constituted, the wheel can be braked when the user is out of a certain distance (safety range), and furthermore, The braking force for the wheels can be increased due to the braking by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행 보조장치에서 제동수단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동수단에 의해 바퀴가 제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동수단에서 바퀴스토퍼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raking means in the walking aid device of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wheels are braked by the braking means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heel stopper in the braking means of Fig. 2;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행 보조장치에서 제동수단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동수단에 의해 바퀴가 제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king means in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of FIG. 1, FIG.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제동수단에서 바퀴스토퍼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heel stopper in the braking means of Fig. 2;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설치된 제동수단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에서,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일례로서 일정 정도의 적재물도 실을 수 있는 적재공간을 가진 의자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는 사용자의 보행을 도울 수 있도록 형태면 어떠한 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이러한 본체프레임(100)은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단에 바퀴(11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바퀴(110)에는 제동을 위해 기어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기어부(111)는 바퀴(110)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는데, 제동수단에 의해 맞물림 방식과 같이 걸림됨으로써 바퀴(110)를 제동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동수단은 본체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사용자와 와이어(201)로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201)의 당김에 의해 연동되어 기어부(111)에 걸려서 바퀴(110)를 제동하도록 구성된다.The brak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일례로서, 내리막길과 같은 곳에서 보행 보조장치의 속도가 증가하여 보행 보조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일정거리(안전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동수단은 와이어(201)가 당겨짐으로써 연동되어 기어부(111)에 걸림됨에 따라 바퀴(110)를 제동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gait assist device rises and the gait assist device deviates from the user's body by a certain distance (safety range), the braking device is interlocked by pulling the
참고로, 상기 와이어(201)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가능한 연결부재(201a)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재(201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집게가 활용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 connecting member 201a which can be fixed to a user's body may be mounted 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동수단은 기어부(111)에 걸림되거나 기어부(111)로부터 탈거되는 제동부, 상기 제동부와 와이어(201)를 연계하여 와이어(201)의 당김에 따라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링크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aking means includes a brak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여기에서, 상기 링크작동부는 본체프레임(100)에 장착된 베이스부재(310),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회전되게 설치된 자석레버(320)와 작동레버(330), 상기 작동레버(330)에 연결된 승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The link actuating part includes a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본체프레임(100)에서 바퀴(110)의 상측에 설치고정된 베이스프레임(311),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1)으로부터 후술되는 제1 레버축(322)의 축방향으로 각각 연장배치되고 후술되는 제2 레버축(322)이 연결된 베이스측벽(312)을 구비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자석레버(320)는 베이스부재(310)의 베이스프레임(311)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1 레버축(322)을 가지며, 일단부에 와이어(201)가 연결되는 연결홀(320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자석(321)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201)는 자석레버(32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배치되어 본체프레임(100)의 상부에 걸려서 사용자와 연결됨에 따라, 와이어(201)가 상방 당김 시 자석레버(320)의 일단부는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회전하게 된다.The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330)는 베이스부재(310)의 베이스측벽(312)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 레버축(322)을 가지며, 자석레버(320)의 자석(321)에 자력으로 접하는 되는 자성블럭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자성블럭은 자석(321) 또는 철재질로 이루어진 블럭으로서 자석레버(320)의 자석(321)에 인접 시 자력으로 붙게 된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와이어(201)가 당겨지는 경우 자석레버(320)의 일단부가 상방회전하고 이와 함께 자석레버(320)의 타단부가 하방회전함으로써, 자석레버(320)의 자석(321)이 작동레버(330)의 자성블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작동레버(330)는 후술되는 인장스프링(35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당겨짐으로써 하방회전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이에 더하여, 상기 링크작동부는 자석레버(320)에 장착된 레버토션스프링(329)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레버토션스프링(329)은 자석레버(320)의 제1 레버축(322)에 장착고정되되 베이스부재(310)에 지지되며, 와이어(201)의 당김력 해제 시 자석레버(320)의 위치가 원상복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토션스프링(329)은 자석레버(320)의 일단부 와이어(201)에 의해 상방회전 시 이러한 와이어(201)에 역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와이어(201)의 당김력 해제 시 자석레버(320)의 일단부가 하방회전되도록 자석레버(320)가 와이어(201)의 당김력이 발생하기 전의 위치까지 원상복귀하도록 한다.The link op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상기 작동레버(33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올림으로써 상방회전되어, 와이어(201)의 당김력이 발생하기 전의 위치로서 자석레버(320)의 자석(321)에 자성블럭이 자력으로 접하는 위치까지 원상복귀된다.
The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은 작동레버(330)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레버(330)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여 제동부를 연동시킨다.The elev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유닛은 작동레버(330)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340)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설치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재(340)에 연결된 인장스프링(350)을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fting unit includes a
여기에서, 상기 승강부재(340)는 베이스부재(310)를 감싸면서 슬라이드 승강하는 슬라이더(341), 및 상기 작동레버(330)와 슬라이더(341)를 연결하는 연결로드(3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342)는 슬라이더(341)에 회전되게 연결된 상부로드축(342a)과, 상기 슬라이더(341)와 회전되게 연결된 하부로드축(342b)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로드축(342b)은 베이스측벽(312)의 통과홀(312a)을 통해 연장되어 인장스프링(350)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The
이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330)의 자성블록(331)이 자석레버(320)의 자석(321)에 의한 자력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인장스프링(350)이 탄성력으로 승강부재(340)를 잡아당겨 하강시키며, 상기 작동레버(330)가 상방회전하는 경우 승강부재(340)를 상승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350)의 하단부는 베이스부재(310)에 연계되어 위치고정되는데, 위치만 고정되면 될 뿐 위치고정되기 위한 설치대상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스토퍼(210)에서 베이스부재(310)에 장착된 회전중심축(211)에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한편, 상기 제동부는 기어부(111)에 걸림되거나 기어부(111)로부터 탈거되도록 구성되는데, 상술된 링크작동부에 의해 와이어(201)와 연계되어 와이어(201)의 당김에 따라 작동되어 기어부(111)에 걸림되고, 와이어(201)의 당김이 해제 시 기어부(111)로부터 탈거되는 구조를 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ak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동부는 베이스부재(310)에 회전되게 설치된 바퀴스토퍼(210), 상기 바퀴스토퍼(210)에 장착된 스토퍼토션스프링(220)을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aking unit may include a
여기에서, 상기 바퀴스토퍼(210)는 베이스부재(310)에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211)과, 상기 회전중심축(211)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회전작동축(212)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중심축(211)은 베이스부재(310)의 베이스측벽(312)에 단부가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작동축(212)은 슬라이더(341)에 상방지지된다.The
또한, 상기 스토퍼토션스프링(220)은 상기 회전중심축(211)에 감기어 베이스부재(310)에 지지되면서 바퀴스토퍼(210)의 상부를 탄성압박한다.The
이때, 상기 승강부재(340)는 회전작동축(212)을 상방지지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즉 회전작동축(212)은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과홀(312b)을 통해 연장되어 승강부재(340)의 슬라이더(341)에 형성된 지지홀(341a)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vating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340)가 상승하는 경우 회전작동축(212)이 회전중심축(211)을 중심으로 상방회전하면서 바퀴스토퍼(210)의 하단부가 바퀴(110)의 기어부(111)로부터 탈거되어 걸림해제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승강부재(340)가 하강하여 회전작동축(212)의 상방지지가 해제되는 경우 스토퍼토션스프링(220)이 바퀴스토퍼(210)의 상부를 밀어서 회전시켜 바퀴스토퍼(210)의 하단부가 바퀴(110)의 기어부(111)에 삽입되어 걸림된다.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이 바퀴(110)를 제동하는 바퀴스토퍼(210)는, 바퀴(110)의 기어부(111)에 걸림되도록 기어부(111)의 기어요철과 형합되는 걸림요철(210a)이 형성됨으로써, 기어부(111)에 삽입걸림 시 견고한 걸림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바퀴(110)에 대한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나아가, 상기 제동부는 바퀴(110)의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패드(23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브레이크패드(230)는 승강부재(340)에 설치되어 승강부재(340)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여 바퀴(110)를 마찰제동하는 구조를 취한다.
Further, the bra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바퀴(110)가 제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braking the
보행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보행하는 사용자가 보행 보조장치로부터 일정거리(안전범위)를 벗어난 경우, 와이어(201)가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자석레버(320)가 상방회전하게 된다.When the user who is walking using the walking assist device is out of a certain distance (safety range) from the walking aiding device, the
이와 같이 자석레버(320)의 일단부가 상방회전하면 이와 함께 자석레버(320)의 타단부가 하방회전함으로써, 자석레버(320)의 자석(321)이 작동레버(330)의 자성블럭으로부터 멀어지게 됨에 따라, 작동레버(330)의 위치고정력이 해제된다.When one end of the
이때, 하단부가 바퀴스토퍼(210)의 회전중심축(211)에 고정된 인장스프링(350)이, 작동레버(330)와 연결된 연결로드(342)의 하부로드축(342b)과 연결되어 하부로드축(342b)을 잡아당김으로써, 작동레버(330)를 하방회전시킨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이와 함께 상기 하부로드축(342b)이 베이스부재(310)의 베이스측벽(312)을 감싸는 슬라이더(341)에 연결되는데, 하부로드축(342b)의 하강에 의해 슬라이더(341)가 베이스측벽(312)을 따라 슬라이드 하강함으로써, 슬라이더(341)의 지지홀(341a)에 의해 지지되는 바퀴스토퍼(210)의 회전작동축(212)에 대한 상방지지력이 해제된다.The
이와 같이, 바퀴스토퍼(210)의 회전작동축(212)에 대한 상방지지력이 해제되는 경우, 베이스프레임(311)에 지지되어 바퀴스토퍼(210) 상부를 탄성압박하고 있는 스토퍼토션스프링(220)이, 바퀴스토퍼(210)의 상부를 밀어서 회전시켜 바퀴스토퍼(210)의 하단부가 바퀴(110)의 기어부(111)에 삽입되어 걸림된다.
Th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바퀴(110)의 제동이 해제되어 다시 초기상태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brakes of the
먼저, 상기 자석레버(320)는 일단부에 연결된 와이어(201)의 당김력 해제 시, 레버토션스프링(329)에 의해 일단부가 하방회전되어 자석레버(320)가 와이어(201)의 당김력이 발생하기 전의 위치까지 원상복귀된다.First,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또한, 상기 작동레버(33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올림으로써 상방회전되어, 와이어(201)의 당김력이 발생하기 전의 위치로서 자석레버(320)의 자석(321)에 자성블럭이 자력으로 접하는 위치까지 원상복귀된다.
The operating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어부(111)가 형성된 바퀴(110)와, 이러한 바퀴(110)의 기어부(111)를 제동하는 제동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거리(안전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바퀴(110)를 제동할 수 있고, 나아가 기어맞물림 구조에 의한 제동으로 인하여 바퀴(110)에 대한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본체프레임 110 : 바퀴
111 : 기어부 201 : 와이어
201a : 연결부재 210 : 바퀴스토퍼
210a : 걸림요철 211 : 회전중심축
212 : 회전작동축 220 : 스토퍼토션스프링
230 : 브레이크패드 310 : 베이스부재
311 : 베이스프레임 312 : 베이스측벽
312a : 제1 통과홀 312b : 제2 통과홀
320 : 자석레버 320a : 연결홀
321 : 자석 322 : 제1 레버축
329 : 레버토션스프링 330 : 작동레버
331 : 자성블록 332 : 제2 레버축
340 : 승강부재 341 : 슬라이더
341a : 지지홀 342 : 연결로드
342a : 상부로드축 342b : 하부로드축
350 : 인장스프링100: body frame 110: wheel
111: gear portion 201: wire
201a: Connecting member 210: Wheel stopper
210a: engaging concavity 211: rotation center axis
212: rotation operation shaft 220: stopper torsion spring
230: Brake pad 310: Base member
311: base frame 312: base side wall
312a: first through
320:
321: Magnet 322: First lever shaft
329: Lever torsion spring 330: Operation lever
331: magnetic block 332: second lever shaft
340: lift member 341: slider
341a: Support hole 342: Connection rod
342a:
350: Tension spring
Claims (10)
상기 기어부는 상기 바퀴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기어부에 걸림되거나 상기 기어부로부터 탈거되는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와 와이어를 연계하여, 상기 와이어의 당김에 따라 상기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링크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링크작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1 레버축을 가지며, 일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자석이 장착된 자석레버;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 레버축을 가지며, 상기 자석레버의 자석에 자력으로 접하게 되는 자성블럭이 장착된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제동부를 연동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A body frame having wheels formed with gear portions; And brak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connected to the user by a wire and interlocked by the pulling of the wire to engage with the gear portion to brake the wheel,
Wherein the gear portion is protruded from a side surface of the wheel, and the braking means includes a brak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or is detached from the gear portion; And a link operating portion connecting the braking portion and the wire to operate the brak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lling of the wire,
The link operation unit includes: a base member mounted on the body frame; A magnet lever having a first lever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the magnet lev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other end mounted with a magnet; An operating lever having a second lever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having a magnetic block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magnet of the magnet lever by a magnetic force; And an eleva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the elevation unit moving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interlock the braking unit.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계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인장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자성블록이 자석레버의 자석에 의한 자력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인장스프링이 탄성력으로 상기 승강부재를 잡아당겨 하강시키며, 상기 작동레버가 상방회전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lif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And a tension spring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elevation member,
When the magnetic block of the operating lever is out of the range of magnetic force by the magnet of the magnet lever, the tension spring pulls the elevating member down by elastic force and raises the elevating member when the operating lever rotates upward. A walking assist device.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를 감싸면서 슬라이드 승강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작동레버와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되게 연결된 상부로드축과, 상기 슬라이더 및 인장스프링과 회전되게 연결된 하부로드축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ng member
A slider that slides and raises while covering the base member; And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operating lever and the slider,
Wherein the connecting rod has an upper rod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lider and a lower rod shaft connected to rotate with the slider and the tension spring.
상기 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의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회전작동축을 가진 바퀴스토퍼; 및
상기 회전중심축에 감기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면서 상기 바퀴스토퍼의 상부를 탄성압박하는 스토퍼토션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회전작동축을 상방지지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회전작동축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방회전하고,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회전작동축의 상방지지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토션스프링이 상기 바퀴스토퍼의 상부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raking unit
A wheel stopper having a rotation center shaft provided to rotate on the base member and a rotation operation shaft arranged in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shaft; And
And a stopper torsion spring which is wound on the rotation center shaft to be elastically pres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stoppe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The elevating member upwardly supports the rotary actuating shaft,
The stopper torsion spring pushes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stopper when the elevation member is lifted and the rotation operation shaft rotates upward about the rotation center axis and the upward support of the rotary operation shaft is released by the descent of the elevation member And the rotation of the gait is rotated.
상기 바퀴스토퍼는 상기 기어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기어부의 기어요철과 형합되는 걸림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heel stopper is formed with an engaging concavity and convexity that are engaged with the gear irregularities of the gear portion to engage with the gear portion.
상기 제동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바퀴를 마찰제동하는 브레이크패드;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raking unit includes:
A brake pad installed on the elevating member and descending due to the descent of the elevating member to frictionally brake the wheel;
Further comprising: a walking assist device that is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바퀴의 상측에 설치고정되며, 상기 제1 레버축이 연결된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레버축의 축방향으로 각각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 레버축이 연결된 베이스측벽;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comprises:
A base fram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wheel in the main body frame and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shaft; And
A base sidewall extending from the base fram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lever shaf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shaf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ait.
상기 링크작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의 당김력 해제 시 상기 자석레버의 위치가 원상복귀되도록 상기 자석레버의 제1 레버축에 장착고정된 레버토션스프링;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operation unit includes:
A lever torsion spring supported on the base member and fixed to the first lever shaft of the magnet lev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agnet lever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is released;
Further comprising: a walking assist device that is provided on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4727A KR101702938B1 (en) | 2015-09-03 | 2015-09-03 |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4727A KR101702938B1 (en) | 2015-09-03 | 2015-09-03 |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2938B1 true KR101702938B1 (en) | 2017-02-07 |
Family
ID=5810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47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2938B1 (en) | 2015-09-03 | 2015-09-03 |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293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92512A (en) * | 2019-06-21 | 2019-10-01 | 北京机械设备研究所 | One kind is novel to prevent falling walk helper |
US20200101949A1 (en) * | 2018-09-28 | 2020-04-02 | Mu Chang Tsai | Brake Device |
KR102302230B1 (en) * | 2020-12-30 | 2021-09-14 | 주식회사 월드케어 | Walking aid |
CN113521549A (en) * | 2021-06-15 | 2021-10-22 | 吴修宝 | A kind of clinical infant jaundice treatment equipment and its supporting sewage cleaning |
CN114159279A (en) * | 2021-12-17 | 2022-03-11 | 何双勇 | Walking assisting devi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1213U (en) * | 2009-05-08 | 2010-11-17 | 이기백 | Break apparatus of walking support machine |
KR20130007100A (en) * | 2011-06-29 | 2013-01-18 | 주식회사 삼주유니콘 | Silver car having a seat break |
KR20140096439A (en) * | 2013-01-25 | 2014-08-06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wheelchair with brake using eddy current |
KR101428420B1 (en) * | 2013-09-17 | 2014-09-23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Breaking apparatus of walking supporter |
-
2015
- 2015-09-03 KR KR1020150124727A patent/KR1017029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1213U (en) * | 2009-05-08 | 2010-11-17 | 이기백 | Break apparatus of walking support machine |
KR20130007100A (en) * | 2011-06-29 | 2013-01-18 | 주식회사 삼주유니콘 | Silver car having a seat break |
KR20140096439A (en) * | 2013-01-25 | 2014-08-06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wheelchair with brake using eddy current |
KR101428420B1 (en) * | 2013-09-17 | 2014-09-23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Breaking apparatus of walking supporte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101949A1 (en) * | 2018-09-28 | 2020-04-02 | Mu Chang Tsai | Brake Device |
US11447107B2 (en) * | 2018-09-28 | 2022-09-20 | Mu Chang Tsai | Brake device |
CN110292512A (en) * | 2019-06-21 | 2019-10-01 | 北京机械设备研究所 | One kind is novel to prevent falling walk helper |
KR102302230B1 (en) * | 2020-12-30 | 2021-09-14 | 주식회사 월드케어 | Walking aid |
CN113521549A (en) * | 2021-06-15 | 2021-10-22 | 吴修宝 | A kind of clinical infant jaundice treatment equipment and its supporting sewage cleaning |
CN113521549B (en) * | 2021-06-15 | 2024-03-29 |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 Clinical infant jaundice treatment facility |
CN114159279A (en) * | 2021-12-17 | 2022-03-11 | 何双勇 | Walking assisting devi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
CN114159279B (en) * | 2021-12-17 | 2023-12-19 | 浙江蔚嘉电机有限公司 | Walking auxiliary devi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2938B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 |
JP5738843B2 (en) | Lifting barrow | |
KR200456241Y1 (en) | Break apparatus of walking support machine | |
JP4491775B2 (en) | Wheelbarrow going through stairs | |
JP6040316B2 (en) | Mobi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driving assistance system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al force | |
KR20190105020A (en) | Pedal device | |
JP5361792B2 (en) | Caster with brake, caster unit, mobile vehicle equipped with them | |
JP6260069B1 (en) | Walking assistance combined transfer car | |
CN105935204A (en) | Brake mechanism and movable table provided with brake mechanism | |
KR101089997B1 (en) | Braking Device of Walking Aid | |
KR101589940B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 |
JP2016022836A (en) | Hand cart | |
KR102765060B1 (en) | Anti-rolling wheel | |
JP2003327130A (en) | Running device | |
JP5981377B2 (en) | Brake operation mechanism on movable table | |
KR102663739B1 (en) | Safety wheel and walking aid using the same | |
KR200163435Y1 (en) | Traveling and park braking device of rollator | |
JP2011218121A (en) | Wheelchair riding on and down step clearing step between earth floor and floor face while making patient sit on the same | |
JP2010075328A (en) | Carry bag having handle | |
JP3166358U (en) | Front wheel mechanism of walking assist vehicle | |
CN103921623A (en) | Smart casters with free swivel function | |
JP3869407B2 (en) | Walking aid | |
KR101611509B1 (en) | brake of the ring type built in wheel | |
JP6931000B2 (en) | Wheelchair foot support and safety devices | |
AU2009101264A4 (en) | An automatic braking system for pram or strol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