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0930B1 - 필름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930B1
KR101700930B1 KR1020150073241A KR20150073241A KR101700930B1 KR 101700930 B1 KR101700930 B1 KR 101700930B1 KR 1020150073241 A KR1020150073241 A KR 1020150073241A KR 20150073241 A KR20150073241 A KR 20150073241A KR 101700930 B1 KR101700930 B1 KR 10170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ing
bonding
contac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842A (ko
Inventor
정종천
정성우
문용기
Original Assignee
(주)예천화학
정종천
정성우
문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천화학, 정종천, 정성우, 문용기 filed Critical (주)예천화학
Priority to KR102015007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9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9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복수의 접합필름을 제공하는 필름공급부와,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접합필름들의 일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기 접합필름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압부에 의해 접합필름들이 접촉시 상호 접합되도록 접합필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가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는 가열유닛에 의해 상호 접하는 접함필름들의 일측면을 가열하여 가압하므로 접함필름들에 용이하게 열이 전달되어 비교적 단시간에 접합이 완료되고, 접합 불량 발생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필름 접합장치{Sealing machine for films}
본 발명은 필름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접합필름의 상호 접하는 일측면을 가열하여 접합하는 필름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름접합장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필름 원단이 롤(roll) 형태로 감겨져 있는 필름 원단 뭉치로부터 풀리는 두 겹의 필름을 서로 맞대어 접합한다.
종래의 상기 필름 접합 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142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름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열함으로써 접합하는 히터와, 상기 필름 원단 뭉치와 상기 히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름 원단 뭉치로부터 풀리는 필름을 이송하여 상기 히터로 공급하는 제1이송장치와, 상기 히터에 의하여 접합된 필름을 당겨서 이송하는 제2이송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필름의 상측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이격 위치와 상기 필름에 접촉하는 접합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제1롤러와, 상기 필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필름 접합 장치는 필름들이 상호 접하는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더욱, 상기 히터의 제1롤러만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두 겹의 필름 중 한 겹의 필름에 접촉한 상기 제1롤러로부터 나머지 겹의 필름까지 충분히 열을 전달하기 위해서 오랜 시간의 가열 가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필름의 재질이 폴리에틸렌과 같이 녹는점이 낮은 경우에는, 오랜 시간의 가열 가압으로 인하여 상기 필름이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호 접하는 접합필름들의 일측면을 가열하여 접합하는 필름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복수의 접합필름을 제공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접합필름들의 일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기 접합필름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접합필름들이 접촉시 상호 접합되도록 상기 접합필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가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가열유닛은 외주면이 상기 접합필름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롤러와, 상기 접촉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필름의 일측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상기 접촉롤러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외주면이 상기 접합필름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롤러와, 상기 접촉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접촉필름의 일측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판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열블럭과, 상기 접합필름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가열블럭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접합필름의 일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유닛은 일측면이 상기 접합필름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일측면이 발열되되, 타측면은 냉각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접합필름의 일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접합필름의 이송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접합필름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접합필름에 대한 가열온도가 높아지는 다수의 가열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는 가열유닛에 의해 상호 접하는 접합필름들의 일측면을 가열하여 가압하므로 접합필름들에 용이하게 열이 전달되어 비교적 단시간에 접합이 완료되고, 접합 불량 발생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의 가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의 가열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의 가열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의 가열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의 가열유닛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필름 접합장치(10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을 제공하는 필름공급부(120)와, 상기 필름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의 일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들을 가압하는 가압부(140)와, 상기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부(14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들이 접촉시 상호 접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가열유닛(130)을 구비한다.
상기 필름공급부(120)는 제1접합필름(121)이 다수회 권취된 제1필름롤(123)과, 제2접합필름(122)이 다수회 권취된 제2필름롤(124)을 구비한다. 상기 제1필름롤(123)은 프레임(110)의 전방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필름롤(124)은 제1필름롤(123) 하측의 프레임(1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필름롤(123) 및 제2필름롤(124)로부터 권출되는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은 프레임(110)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러(111)에 의해 지지되어 가압부(140)로 공급된다.
가압부(140)는 상측 외주면에 제2필름롤(124)로부터 공급되는 제2접합필름(122)의 하면이 접하도록 상기 제2필름롤(124)의 후방측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압롤러(141)와, 상기 제1가압롤러(141)의 상측 프레임(110)에, 하측 외주면에 제1필름롤(123)로부터 공급되는 제1접합필름(121)의 상면이 접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압롤러(142)와, 상기 제1 및 제2가압롤러(14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제2가압롤러(142)는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측 외주면이 제1가압롤러(141)의 상측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가압롤러(141) 및 제2가압롤러(142)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롤러(141) 및 제2가압롤러(14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가열유닛(130)은 제2접합필름(122)에 접하는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131)와, 제1접합필름(121)에 접하는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135)를 구비한다.
제1가열부(131)는 외주면이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접촉롤러(132)와, 상기 제1접촉롤러(132)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접촉필름의 하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1접촉롤러(132)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접촉롤러(132)는 소정의 좌우방향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접합필름(122)에 접합되는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 단부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롤러(132)는 제1가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제1접합필름(121)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열부재는 상기 제1접촉롤러(132)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가열부(131)는 제1접합필름(121)을 기준으로 제1접촉롤러(132)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접합필름(121)을 제1접촉롤러(132)의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제1보조롤러(134)를 더 구비한다. 제1보조롤러(134)는 외주면이 상기 제1접촉롤러(132)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가열부(131)는 제2접합필름(122)에 접하는 제1접합필름(121)의 일측면인 하면 일부분을 가열한다.
제2가열부(135)는 외주면이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에 접하도록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접촉롤러(136)와, 상기 제2접촉롤러(136)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촉필름의 상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2접촉롤러(136)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2접촉롤러(136)는 소정의 좌우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접합필름(121)에 접합되는 제2접합필름의 상면 단부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접촉롤러(136)는 제2가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제2접합필름(12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제2접촉롤러(136)는 상기 제2접합필름(122)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접촉롤러(13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촉롤러(136)에 설치된 제2가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기 중 일부는 상측으로 상승하는 데, 상승하는 열기는 제1접촉롤러(132)를 통과한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을 가열하므로 제1접합필름(121)이 가압부(140)에 도달하기 전에 냉각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가압부(140)에 의한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의 접합효율이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
제2가열부재는 상기 제2접촉롤러(136)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가열부(135)는 제2접합필름(122)을 기준으로 제2접촉롤러(136)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접합필름(122)을 제2접촉롤러(136)의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제2보조롤러(138)를 더 구비한다. 제2보조롤러(138)는 외주면이 상기 제2접촉롤러(136)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열부(135)는 제1접합필름(121)에 접하는 제2접합필름(122)의 일측면인 상면 일부분을 가열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열유닛(130)은 제1 및 제2가열부(131,135)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필름롤(123) 및 제2필름롤(124)로부터 각각 제1접합필름(121) 및 제2접합필름(122)이 권출된다. 상기 제1접합필름(121) 및 제2접합필름(122)은 가이드롤러(111)에 의해 지지되어 가압부(140)로 이송된다. 이때, 제1가열부(131)는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 일부분을 가열하고, 제2가열부(135)는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 일부분을 가열한다. 가압부(140)로 이송된 제1접합필름(121) 및 제2접합필름(122)은 가열유닛(130)에 의해 가열된 부분이 상호 접촉하여 접합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접합장치(100)는 가열유닛(130)에 의해 상호 접하는 접합필름들의 일측면을 가열하여 가압하므로 접합필름들에 용이하게 열이 전달되어 비교적 단시간에 접합이 완료되고, 접합 불량 발생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212)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가열부는 외주면이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접촉롤러(132)와, 상기 제1접촉롤러(132)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접촉필름의 하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1접촉롤러를 가열하는 제1전열판(미도시)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접촉롤러(132)는 제1접합필름(121)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접합필름(122)에 접합되는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1전열판은 제1접촉롤러(132)의 좌측 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열판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제2가열부(212)는 외주면이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에 접하도록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접촉롤러(136)와, 상기 제2접촉롤러(136)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촉필름의 상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2접촉롤러(136)를 가열하는 제2전열판(216)을 구비한다.
상기 제2접촉롤러(136)는 제2접합필름(122)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접합필름(121)에 접합되는 제2접합필름의 상면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2전열판(216)은 상기 제2접촉롤러(136)의 좌측 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가열부(212)는 제2접합필름(122)을 기준으로 제2접촉롤러(136)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접합필름(122)을 제2접촉롤러(136)의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제2보조롤러(138)를 더 구비한다. 제2보조롤러(138)는 외주면이 상기 제2접촉롤러(136)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열부(212)는 제1접합필름(121)에 접하는 제2접합필름(122)의 일측면인 상면 일부분을 가열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열유닛(130)은 제1 및 제2가열부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열유닛(3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열유닛(310)는 제1필름롤(123)과 가압부(140) 사이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가열블럭(311)과, 상기 가열블럭(31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을 가열하는 제1전열선(312)을 구비한다.
상기 가열블럭(311)은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 사이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하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열블럭(311)은 제2접합필름(122)에 접합되는 제1접합필름(121)의 좌측 단부에 대향되되, 제1 및 제2가압롤(141,142)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선(312)은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에 대향되는 상기 가열블럭(3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을 가열한다.
상기 가열블럭(311)의 상부를 통과하는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은 전열선(312)에 의해 가열되어 가압부(140)로 이송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열유닛(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열유닛(400)은 일측면이 상기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상기 프레임(11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일측면이 발열되되, 타측면은 냉각되는 제1 및 제2열전소자(401,402)와, 상기 제1 및 제2열전소자(401,4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3)를 구비한다.
제1열전소자(401)는 일측면이 제1필름롤(123)과 가압부(140) 사이의 제1접합필름(121) 하면에 접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이때, 제1열전소자(401)는 제2접합필름(122)에 접합되는 제1접합필름(121)의 좌측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열전소자(402)는 일측면이 제2필름롤(124)과 가압부(140) 사이의 제2접합필름(122)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이때, 제2열전소자(402)는 제1접합필름(121)에 접합되는 제2접합필름(122)의 좌측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열전소자(401) 및 제2열전소자(402)는 펠티어 소자라고도 하며, 서로 다른 두 개의 N,P형 반도체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두 금속의 접합부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면 그 접합부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흡수되는 펠티에 효과(peltier's effect)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이다. 이는 전류방향에 따라 발열ㆍ흡열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발열ㆍ흡열량이 조절된다. 즉, 어느 한 방향으로 전류를 흘려보내면 일측면은 열을 방출하여 가열작용을 하고, 타측면은 열을 흡수하여 냉각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반해 역방향으로 전류를 흘려보내면 열을 방출하고 흡수하는 면이 바뀌게 되는 특성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유닛(400)이 제1 및 제2열전소자(401,402)에 의해 접합필름을 가열하므로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제1 및 제2열전소자(401,402)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열전소자(401,402)의 발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열유닛(40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및 제2열전소자(401,402)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가열부(510) 및 제2가열부(5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가열부(510)는 상기 제1접합필름(121)의 일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상기 프레임(110)에, 상기 제1접합필름(121)의 이송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1가열체(511)를 구비한다.
상기 제1가열체(511)들은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 또는 열전소자로 구성된다. 이때, 제1가열체(511)들은 제2접합필름(122)에 접합되는 제1접합필름(121)의 좌측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열체(511)들은 상기 제1접합필름(12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접합필름(121)에 대한 가열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제1접합필름(121)이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라 외형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510)는 외주면이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에 접하도록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접촉롤러(512)와, 상기 제3접촉롤러(512)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3접촉롤러(512)를 가열하는 제3가열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3접촉롤러(512)는 제1접합필름(12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가열체(511)들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소정의 좌우방향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접합필름(122)에 접합되는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 단부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접촉롤러(512)는 제3가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제1접합필름(121)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가열부재는 상기 제3접촉롤러(5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3가열부재는 제1가열체(511)들보다 더 고온으로 발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열부(520)는 상기 제2접합필름(122)의 일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공급부(120)와 가압부(140) 사이의 상기 프레임(110)에, 상기 제2접합필름(122)의 이송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가열체(521)를 구비한다.
상기 제2가열체(521)들은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 또는 열전소자로 구성된다. 이때, 제2가열체(521)들은 제1접합필름(121)에 접합되는 제2접합필름(122)의 좌측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가열체(521)들은 상기 제2접합필름(122)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접합필름(122)에 대한 가열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제2접합필름(122)이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라 외형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2가열부(520)는 외주면이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에 접하도록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접촉롤러(522)와, 상기 제4접촉롤러(522)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촉필름의 상면에 열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4접촉롤러(522)를 가열하는 제4가열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4접촉롤러(522)는 제2접합필름(122)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2가열체(521)들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소정의 좌우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접합필름(121)에 접합되는 제2접합필름(122)의 상면 단부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접촉롤러(522)는 제4가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제2접합필름(12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제4접촉롤러(522)는 상기 제2접합필름(122)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3접촉롤러(51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접촉롤러(522)에 설치된 제4가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기 중 일부는 상측으로 상승하는 데, 상승하는 열기는 제3접촉롤러(512)를 통과한 제1접합필름(121)의 하면을 가열하므로 제1접합필름(121)이 가압부(140)에 도달하기 전에 냉각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가압부(140)에 의한 제1 및 제2접합필름(121,122)의 접합효율이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
제4가열부재는 상기 제4접촉롤러(5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13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4가열부재는 제2가열체(521)들보다 더 고온으로 발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열유닛은 제1 및 제2가열부(510,520)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필름 접합장치
110: 프레임
111: 가이드롤러
120: 필름공급부
121: 제1접합필름
122: 제2접합필름
123: 제1필름롤
124: 제2필름롤
130: 가열유닛
131: 제1가열부
132: 제1접촉롤러
134: 제1보조롤러
135: 제2가열부
136: 제2접촉롤러
138: 제2보조롤러
140: 가압부
141: 제1가압롤러
142: 제2가압롤러

Claims (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접합필름을 제공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 1 및 제 2접합필름이 접촉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접합필름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필름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접합필름들이 접촉시 상호 접합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접합필름을 가열하는 가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필름공급부는 상기 제 1접합필름이 권취된 제 1필름롤과, 상기 제 1필름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접합필름이 권취된 제 2필름롤을 구비하며,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제 1접합필름의 하면을 가열하는 제 1가열부와, 상기 제 2접합필름의 상면을 가열하는 제 2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가열부는 상기 제 1접합필름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접합필름의 이송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 1접합필름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가열온도가 높아지는 다수의 제 1가열체들과, 외주면이 상기 제 1접합필름의 하면에 접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가열체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3접촉롤러와, 상기 제 3접촉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 3접촉롤러를 가열하는 제 3가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가열부는 상기 제 2접합필름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접합필름의 이송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접합필름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가열온도가 높아지는 다수의 제 2가열체들과, 외주면이 상기 제 2접합필름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가열체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4접촉롤러와, 상기 제 4접촉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접촉롤러를 가열하는 제 4가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4접촉롤러는 상기 제 2접합필름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3접촉롤러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73241A 2015-05-26 2015-05-26 필름 접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0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241A KR101700930B1 (ko) 2015-05-26 2015-05-26 필름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241A KR101700930B1 (ko) 2015-05-26 2015-05-26 필름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842A KR20160138842A (ko) 2016-12-06
KR101700930B1 true KR101700930B1 (ko) 2017-01-31

Family

ID=5757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2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0930B1 (ko) 2015-05-26 2015-05-26 필름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9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486Y1 (ko) * 2002-12-02 2003-03-26 전일프라스틱(주) 비닐하우스용 보온팩의 제조장치
KR101033828B1 (ko) * 2010-02-08 2011-05-13 주식회사 대부 열융착성형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표면처리장치
JP2014205298A (ja) * 2013-04-12 2014-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複合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797Y1 (ko) * 1989-11-15 1991-10-05 김진섭 반포 폴리스티렌 합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486Y1 (ko) * 2002-12-02 2003-03-26 전일프라스틱(주) 비닐하우스용 보온팩의 제조장치
KR101033828B1 (ko) * 2010-02-08 2011-05-13 주식회사 대부 열융착성형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표면처리장치
JP2014205298A (ja) * 2013-04-12 2014-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複合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842A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664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sealing packages
US76944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luid filled units
US9907118B2 (en) Current applying apparatus, current applying method and direct resistance heating apparatus
US20150298491A1 (en) Hot Stamping Machine
EP304615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abricating an interconnector assembly
KR101700930B1 (ko) 필름 접합장치
JP5242363B2 (ja) 太陽電池用リード線半田付け装置
KR100683173B1 (ko) 카본면상발열체의 코팅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3458A (ko) 막-전극 조립체의 전극 정렬 장치
ITBO20010242A1 (it) Apparato con unita' di saldatura ad aria calda ed a bassa inerzia termica, per la termosaldatura di confezioni od imballaggi di materia term
CN108995342B (zh) 塑胶地板的辊压成型设备
TW20113221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nar heater
KR101253307B1 (ko) 순간 직접가열 방식의 카드 라미네이션 장치
KR100813649B1 (ko) 면상발열체 제조장치
JP2015214033A (ja) パウチの折り曲げ加工方法、折り曲げ加工装置及びそのパウチ
JP5834013B2 (ja) 電磁誘導加熱接着装置
WO2002085711A1 (en) Apparatus for heat-sealing plastic packagings or wrapping, for example packagings with sets of rolls of paper
KR101846144B1 (ko) 손상방지층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제조장치
KR20150123441A (ko) 다층 복합 비닐 포대의 제조 장치
JP5075666B2 (ja) ラミネート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熱圧着搬送装置
JP3779492B2 (ja) 3次元造形機
JP5912730B2 (ja) 樹脂フィルムのヒートシール装置及びヒートシール方法
US20230264431A1 (en) Composite material bonding apparatus and composite material bonding method
KR101484643B1 (ko) 열압착용 패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20111421A (ko) 필름 접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