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0666B1 -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 Google Patents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666B1
KR101700666B1 KR1020150094117A KR20150094117A KR101700666B1 KR 101700666 B1 KR101700666 B1 KR 101700666B1 KR 1020150094117 A KR1020150094117 A KR 1020150094117A KR 20150094117 A KR20150094117 A KR 20150094117A KR 101700666 B1 KR101700666 B1 KR 10170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guide member
anchor
suture anchor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230A (ko
Inventor
박민수
조훈상
이예원
유연식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 신한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한씨스텍 filed Critical (주) 신한씨스텍
Priority to KR102015009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6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6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1Apparatus for manipulating flexible wir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05Heads, i.e. proximal ends projecting from bone
    • A61B17/861Heads, i.e. proximal ends projecting from bone specially shaped for gripping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2Impactors or extractors, e.g. for removing intramedullar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보어(bore) 홈의 천공 과정 중 봉합사 앵커를 체결할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에 있어서, 보어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팁이 노출되도록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천공을 위한 팁은 노출되면서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가 후퇴 이동하여 결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에 삽관되는 구조로서, 스트라이커의 제거 및 가이드 캐뉼라의 재삽입 과정 없이 보어 홈의 천공 및 앵커의 체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CANNULA DRIVER AND SUTURE ANCHOR KIT}
본 발명은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뼈에 삽입되어 높은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는 봉합사 앵커와 봉합사 앵커가 삽입되는 보어(bore) 홈의 천공 과정 중 봉합사 앵커를 체결할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신체 내에서 힘줄, 인대 및 근육과 같은 연조직은 대체로 골격의 뼈에 부착된다. 때때로 강한 충격에 의한 외상 및 부상의 경우, 이러한 연조직은 대응하는 뼈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탈리될 수 있다. 연조직 탈리에 의한 부상을 치료하는 수술에는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앵커(Anchor)와 봉합사(Suture)가 사용될 수 있다. 의사는 뼈에 인대가 결합되는 보어(Bore) 홈 위치를 결정하고, 스크류를 이용해 해당 위치를 천공한다. 천공된 보어 홈에는 봉합사가 연결된 앵커가 삽입된다. 삽입된 앵커는 연조직에 묶인 봉합사를 뼈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연조직 탈리에 의한 부상이 치료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술용 앵커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술용 앵커는 상부에 봉합사(2)를 꿰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뼈고정부(100)와 뼈고정부(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캡(200)을 포함한다. 뼈고정부(100)는 뼈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다. 앵커는 돌출된 나사산(111)의 회전으로 뼈(1)를 파고들어 고정된다.
따라서, 나사산(111)의 형상, 간격, 피치, 개수, 길이 등은 앵커의 고정력을 결정하는 주요한 변수가 된다. 앵커는 봉합사의 장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피질골(Cortical bone)과 같이 골밀도가 낮은 뼈에서도 강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종래의 앵커보다 높은 삽입력과 고정력을 갖도록 앵커 나사산의 형상, 간격, 피치, 개수, 길이 등의 변수에 관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완골(Humerus)의 골두(Condyle)에 인대를 고정하는 경우, 앵커는 측방향의 봉합사로부터 발생하는 장력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뼈와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45ㅀ의 진입각(approach angle)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된 앵커는 뼈와 접촉되는 부위에 조밀한 Mesh를 형성하여 뼈의 응력 분포를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종래와 같이 균일한 피치를 갖는 봉합사 앵커는 45ㅀ의 각도로 뼈에 삽입시 충분한 고정력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는 수술은 봉합사 앵커가 체결되는 타겟 지점을 내시경으로 결정하고, 스트라이커를 삽입하여 해당 지점에 위치시킨다. 이후, 외부에서 스트라이커를 타격하여 소정의 깊이로 보어 홈을 천공한다. 스트라이커는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를 의미하며, 의료용 전동 스크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보어 홈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면 시술자는 삽입된 스트라이커를 제거하고, 봉합사 앵커가 체결된 캐뉼라를 삽입한다. 시술자는 기 천공된 보어 홈의 위치에 봉합사 앵커를 정확히 위치시킨 뒤, 캐뉼라를 가압 회전하여 봉합사 앵커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스트라이커 및 캐뉼라의 재 삽입 과정은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완골(Humerus)의 골두(Condyle)에 인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보어 홈은 45° 진입각으로 천공되어야 한다. 초기 스트라이커의 천공은 봉합사 앵커가 결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면 족하다.
다만, 소정의 각도로 천공된 보어 홈의 지점에 봉합사 앵커를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은 숙련된 의료 종사자에게도 어려운 정밀한 작업이 요구된다. 이는 종래의 시술 과정에서 초기 홈의 천공을 위한 스트라이커의 추출 및 캐뉼라의 재삽입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타겟 지점에 형성된 보어 홈은 5mm 내외로 형성되기 때문에 극히 소형이며, 삽입된 내시경의 시야각은 이를 정확하게 확인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홈의 천공 과정과 앵커의 삽입과정이 분리된 종래의 시술은 봉합사 앵커를 형성된 보어 홈의 진입각에 맞도록 정확히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봉합사 앵커가 형성된 보어 홈의 진입각에 일치되도록 위치되지 않는 경우, 봉합사 앵커의 체결 과정에서 뼈가 불필요하게 파쇄될 수 있고, 이는 곧 봉합사 앵커의 체결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앵커 체결을 위한 보어 홈의 천공 과정 중, 스트라이커를 제거하지 않고도 봉합사 앵커를 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378547호, 한국등록특허 제1233954호
본 발명은 뼈에 삽입 시 고정력이 향상된 봉합사 앵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뼈에 삽입 시 뼈의 재생이 앵커의 몸체 내부로 확장되어 뼈와 앵커 간 체결력이 향상된 봉합사 앵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어 홈의 천공 후, 스트라이커의 제거 없이 천공된 보어 홈에 봉합사 앵커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어 홈에 위치한 봉합사 앵커를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보어(bore) 홈의 천공 과정 중 봉합사 앵커를 체결할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에 있어서, 보어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팁이 노출되도록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스트라이커는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플런저 홈이 형성되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플런저 홈에 결착되는 볼 플런저가 마련되어,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볼 플런저가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는 몸체에 연결되고, 가이드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신장된 샤프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는 단부에 상기 팁이 마련되는 제1 단차; 및 가이드 부재에 삽관되는 제2 단차가 형성되고, 제1 단차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는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스트라이커의 단부가 노출되는 튜브; 및 스트라이커의 삽관 정도를 조절하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볼 플런저는 체결구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보어(bore) 홈의 천공 과정 중 봉합사 앵커를 체결할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에 있어서, 보어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팁이 노출되도록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스트라이커는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볼 플런저가 형성되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볼 플런저가 결착되는 플런저 홈이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볼 플런저가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는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단부가 노출되는 튜브; 및 스트라이커의 삽관 정도를 조절하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플런저 홈은 체결구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앵커 키트에 있어서, 관통된 샤프트 홀을 구비하고, 경도를 갖는 원통형 앵커 몸체의 전체에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이 형성되며, 앵커 몸체의 일부에 외주면을 따라 부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보어(bore)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팁이 노출되도록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스트라이커는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플런저 홈이 형성되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플런저 홈에 결착되는 볼 플런저가 마련되어,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상기 볼 플런저가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앵커 키트에 있어서, 관통된 샤프트 홀을 구비하고, 경도를 갖는 원통형 앵커 몸체의 전체에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 몸체의 일부에 외주면을 따라 부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보어(bore)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팁이 노출되도록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상기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스트라이커는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볼 플런저가 형성되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볼 플런저가 결착되는 플런저 홈이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볼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 몸체의 상부에 나사산이 밀집될 수 있도록 부 나사산이 형성되어 뼈에 소정의 진입각으로 삽입된 앵커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 나사산의 구조는 소정의 각도로 삽입된 앵커와 뼈의 접촉 부위 Mesh를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 몸체에 앵커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한 벤트(vent)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뼈의 재생이 앵커의 몸체 내부로 확장되어 뼈와 앵커 간 체결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을 위한 팁은 노출되면서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가 후퇴 이동시 결착되도록 가이드 부재에 삽관되는 구조로서, 스트라이커의 제거 및 가이드 캐뉼라의 재삽입 과정 없이 보어 홈의 천공 및 앵커의 체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초기 삽입시 천공을 위한 팁은 노출되지만,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팁은 제거되면서 봉합사 앵커가 동시에 압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팁이 제거될 정도로만 후퇴 구동된 스트라이커는 가이드 부재와 결착되어 고정되고, 고정 이후 캐뉼라 드라이버를 회전하여 보어 홈에 봉합사 앵커를 손쉽게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된 보어 홈에 위치한 봉합사 앵커를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손쉽게 압입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정밀한 조작 없이도 봉합사 앵커를 보어 홈에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트 홀이 형성된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뼈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트 홀이 형성된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 도 2, 도 3,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의 체결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관절구를 해석 모델링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a는 도 6의 뼈 모델에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45ㅀ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8b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45ㅀ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9a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9b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a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b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의 구성 및 결합도를 나타낸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봉합사 앵커를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4a는 스트라이커를 타격하여 뼈의 타깃 위치에 보어 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14b는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를 보어 홈의 위치에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14c는 보어 홈에 위치한 봉합사 앵커를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봉합사 앵커(1)는 연조직을 뼈에 고정하기 위하여 뼈에 마련된 보어(Bore) 홈에 식립되는 앵커 몸체(10)와 앵커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앵커 헤더(106)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 몸체(10)에는 몸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샤프트 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 홀(107)은 앵커 몸체(10)를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5, 도 11)와 결착시 스트라이커(51, 도 11)의 팁(5137, 도 11)이 앵커 몸체(10)로부터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도 11을 통해 후술한다.
연조직이 탈리된 뼈에는 앵커가 삽입되는 보어 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단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트라이커(striker)로 앵커가 삽입되어야 할 위치를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앵커 몸체(10)는 뼈에 마련된 보어 홈에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도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로 앵커 몸체(10)의 경도는 3°로 설계될 수 있다. 앵커 몸체(10)는 삽입되어 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주 나사산(101)과 부 나사산(103)이 형성될 수 있다.
봉합사 앵커는 연조직의 탈리 위치에 따라 여러 형상으로 최적화되어 설계될 수 있다. 즉, 수술 방법 및 위치에 따라 봉합사 앵커는 뼈에 삽입되는 위치 와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봉합사를 이용하여 연조직을 고정하는 봉합사의 봉합 형태와 앵커의 체결 형태 역시 달라질 수 있다.
평탄한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는 경우, 봉합사 앵커는 일반적으로 뼈와 수직하게 삽입된다. 하지만, 무릎관절이나 어깨관절 부위와 같이 둥근 돌기를 갖는 관절구(condyle) 부근에서 연조직을 고정할 경우, 봉합사 앵커는 뼈와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45°의 진입각(approach angle)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된 앵커 측방향의 봉합사로부터 발생하는 장력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뼈와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봉합사 앵커에는 앵커 몸체의 전체를 따라 1줄 나사 또는 2줄 나사의 나사산이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앵커의 몸체에 나사산이 균일하게 형성될 경우, 소정의 진입각으로 삽입된 앵커는 진입각이 형성된 나사산과 뼈의 접촉 부위에 조밀한 Mesh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앵커 몸체에 나사산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설계할 경우, 앵커 몸체의 삽입 과정에서 보어 홈 내벽의 뼈가 파쇄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앵커는 삽입시 뼈의 응력 분포를 고르게 하여 뼈의 파쇄를 막고 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봉합사 앵커(1)는 앵커 몸체(10)의 전체에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앵커 몸체(1)의 일부에 외주면을 따라 부 나사산(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 나사산(103)은 앵커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앵커 몸체(10)는 상부에 나사산이 밀집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로 주 나사산(101) 및 부 나사산(103)의 리드각은 18°이고, 주 나사산(101)의 골 간격은 1.05mm로 설계될 수 있다. 부 나사산(103)의 골 간격은 0.15mm로 설계될 수 있다. 앵커 몸체(10)의 길이는 10mm 내지 15mm로 설계될 수 있다. 주 나사산(101) 및 부 나사산(103)의 나사산은 60°의 경도를 갖고, 폭은 1.2mm, 높이는 0.75mm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산 단부의 폭은 0.05mm로 설계될 수 있다. 봉합사 앵커(1)의 헤더부(106)는 최대 외경이 5.5mm로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주 나사산(101)은 앵커 몸체(10)에 동일한 간격의 피치(C)를 형성하는 2줄 나사산일 수 있다. 2줄 나사인 주 나사산(101)은 봉합사 앵커(1)를 삽입시 체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주 나사산(101)은 제1 주 나사산(1011), 제2 주 나사산(1013)의 2줄 나사가 앵커 몸체(10)의 전체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 나사산(101)은 제1 주 나사산(1011)이 형성하는 제1 리드(A)와 제2 주 나사산(1013)이 형성하는 제2 리드(B)를 형성한다. 제1 리드(A) 및 제2 리드(B)는 같은 간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제1 리드(A) 및 제2 리드(B)는 4mm 내지 4.5mm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드(A, B)란 나사를 한 바퀴 돌았을 때 축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를 의미한다. 피치(C)란 서로 이웃한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부 나사산(103)은 주 나사산(101)의 리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부 나사산(103)은 앵커 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101)의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여 리드를 한 개 형성하는 제1 부 나사산(1031), 및 제1 부 나사산(1031)의 반대 방향에서 앵커 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101)의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여 리드를 한 개 형성하는 제2 부 나사산(10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부 나사산(103) 역시 2줄 나사산일 수 있으며, 제1 부 나사산(1031)이 제2 주 나사산(1013)보다 앵커 몸체(10)의 위쪽에서 회전하여 감기고, 제2 부 나사산(1033)은 제1 주 나사산(1011)보다 앵커 몸체(10)의 위쪽에서 회전하여 감기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제1 부 나사산(1031) 및 제2 부 나사산(1033)은 모두 한 바퀴만 회전하므로 앵커 몸체(10)의 상부에는 4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이 밀집된 앵커 몸체(10)의 상부는 부 나사산(103)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주 나사산(101)이 1줄 나사산일 경우, 제1 부 나사산(1031) 및 제2 부 나사산(1033)의 리드는 주 나사산(101)의 리드(A, B)보다 2배 이상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주 나사산(101)이 2줄 나사산일 경우, 4줄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몸체(10)의 상부에 동일한 피치 간격을 갖도록 부 나사산(103)의 리드는 제1 리드(A), 제2 리드(B)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앵커 몸체(10)의 상부에 4줄 나사산이 밀집되는 경우, 리드각은 18ㅀ에서 15ㅀ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리드(A) 또는 제2 리드(B)는 4.5mm 내지 4.43mm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더부(106)는 최대외경이 5.5mm 내지 6.5mm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 나사산(103)의 골 간격은 0.15mm, 나사산의 단부 폭은 0.05mm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앵커 몸체(10)의 상부에 나사산이 밀집되는 구조는 봉합사 앵커(1)가 소정의 진입각으로 삽입시, 나사산과 뼈의 접촉 부위 Mesh를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뼈의 응력 분포를 감소시키고 앵커의 체결력을 향상시킨다.
헤더부(106)에는 봉합사가 관통되어 연조직과 봉합사 앵커(1)를 결속할 수 있도록 아일렛(eyelet)(106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아일렛은 앵커 몸체(10)의 삽입 방향으로 헤더부(106)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로 헤더부(106)에 형성되는 아일렛은 4개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주 나사산(101)은 앵커 몸체(10)에 2개의 서로 다른 간격의 피치를 형성하는 2줄 나사산일 수 있다. 이 경우 부 나사산(103)은 상기 2줄 나사산보다 앵커 몸체(10)의 위쪽에서 상기 2줄 나사산의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여 리드를 한 개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앵커 몸체(10)의 상부에는 3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산의 리드각은 12°로 설계될 수 있다. 주 나사산(101)의 리드는 3.3mm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트 홀(105)이 형성된 봉합사 앵커(3)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앵커 몸체(10)에는 도 2에 따른 주 나사산(101) 및 부 나사산(10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앵커 몸체(10)에는 앵커 몸체(10)를 횡방향으로 관통한 벤트(vent) 홀(105)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앵커 몸체(10)에 형성되는 벤트 홀(105)은 3개일 수 있다.
봉합사 앵커에는 연조직을 결합시키기 위한 위치에 삽입되는 코크 스크류(Cork screw)(1)와 코크 스크류(1)로부터 인출된 봉합사에 일정 장력을 형성하여 봉합사를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스위브 스크류(Swive screw)(3)가 있다. 벤트 홀(105)은 스위브 스크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벤트 홀(105)은 뼈의 재생이 앵커의 몸체 내부로 확장되어 뼈와 앵커 간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뼈(12)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을 참조하면, 코크 스크류(1)는 보어 홈에 식립된다. 봉합사(13)는 코크 스크류(1)의 헤더부(106)에 형성된 아일렛(1061)과 연조직을 관통한다. 코크 스크류(1)와 연조직(11)을 결속한 봉합사(13)의 자유단은 뼈(12)의 관절구(condyle)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스위브 스크류(3)에 의해서 고정된다. 스위브 스크류(3)는 봉합사(13)의 루프를 고정하여 뼈(12)와 연조직(11)을 밀착시킬 수 있다.
스위브 스크류(3)는 봉합사(13) 루프와 연조직(11)을 적당한 장력으로 당길 수 있는 위치에 식립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코크 스크류(1)는 뼈(12)에 소정의 진입각(45°)으로 삽입된다. 코크 스크류(1)는 소정의 경도로 삽입되었기 때문에 일측 나사산(15)은 타측 나사산(17)보다 뼈와의 접촉 면적이 작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몸체(10) 구조는 상부에만 나사산이 밀집되므로, 삽입 시 뼈(12)를 파쇄하지 않으면서 일측 나사산(15)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스위브 스크류(3)는 벤트 홀(105)이 형성되어 벤트 홀(105) 내부로 재생되는 뼈(12)에 의해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2)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봉합사 앵커(2)는 경도를 갖는 원통형 앵커 몸체(10)의 전체에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앵커 몸체(10)의 일부에 외주면을 따라 부 나사산이(10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주 나사산(101)은 1줄 나사산일 수 있다. 앵커 몸체(10)는 주 나사산(101)의 리드가 2.16mm, 리드각은 8ㅀ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부 나사산(103)은 주 나사산(101)보다 앵커 몸체(10)의 위쪽에서 주 나사산(101)의 방향으로 한 바퀴 반 회전하여 리드를 한 개 형성할 수 있다. 앵커 몸체(10)는 부 나사산(103)의 리드 및 리드각이 주 나사산(101)과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주 나사산(101)이 1줄 나사산일 경우, 앵커 몸체(10)의 상부에 4줄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부 나사산(103)이 설계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 나사산(103)은 1줄 나사산이며, 한 바퀴 반 회전하여 앵커 몸체(10)의 상부에 4줄 나사산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트 홀(105)이 형성된 봉합사 앵커(4)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앵커 몸체(10)에는 도 5에 따른 주 나사산(101) 및 부 나사산(10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앵커 몸체(10)에는 앵커 몸체(10)를 횡방향으로 관통한 벤트(vent) 홀(105)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앵커 몸체(10)에 형성되는 벤트 홀(105)은 3개일 수 있다.
도 7은 도 2, 도 3, 도 5,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의 체결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관절구를 해석 모델링한 모습을 나타낸다.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코크 스크류(1, 2)와 스위브 스크류(3, 4)의 결합체를 모델링하였다. 이후, 코크 스크류(1, 2)를 수직 또는 45°의 삽입한 모델과 스위브 스크류(3, 4)를 수직으로 삽입한 모델을 해석하였다. 이후, 당김(Pulling) 해석을 통한 스크류와 뼈 간의 von-mises 응력 및 변형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험례 1?? 봉합사 앵커 시뮬레이션
Figure 112015063992155-pat00001
[PEEK & Bone Properties]
Figure 112015063992155-pat00002
실험례 1의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2)를 수직 또는 45°의 진입각으로 삽입했을 시 나사산과 뼈의 접촉 부위에 형성된 Mesh 형상은 하기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Figure 112015063992155-pat00003
Mesh 형상은 4면체(Tetrahedral) 구조로서, 수직 또는 45° 삽입 모델 모두에서 나사산 주위로 고르게 조밀한 Mesh 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8a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 스크류(1)가 45°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8b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 스크류(2)가 45°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9a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 스크류(1)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9b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 스크류(2)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a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브 스크류(3)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b는 도 7의 뼈 모델에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브 스크류(4)가 수직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해석을 시뮬레이션 한 von-Mises Stress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5063992155-pat00004
도 9 및 도 10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상기의 표(단위: MPa)와 같다. 상기의 결과 표를 참조하면, 일반 적인 나사산 구조를 갖는 종래의 봉합사 앵커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체결시 von-Mises Stress가 감소한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가 삽입시 뼈의 응력 분포를 감소시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 스크류(1)는 45° 삽입시 종래의 스크류 구조(6.91MPa)에 비해 뼈 응력을 약 3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크 스크류(1)는 90° 삽입시 종래의 스크류 구조(6.07MPa)에 비해 뼈 응력을 약 26%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5)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뉼라 드라이버(5)는 스트라이커(51) 및 가이드 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5)는 보어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5137)이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 2, 3, 4)는 팁(5137)이 앵커 몸체(10)로부터 노출되도록 스트라이커(5)에 결착될 수 있다. 이하 결착되는 봉합사 앵커(1, 2, 3,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53)는 스트라이커(51)가 삽관되는 튜브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 부재(53)는 삽관된 스트라이커(51)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1)를 압입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스트라이커(51)가 삽관시 스트라이커(51)의 팁(5137)과 결착된 봉합사 앵커(1)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샤프트(513, 도 12)보다 짧은 길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라이커(51)의 단부(5135)는 봉합사 앵커의 샤프트 홀(107)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샤프트 홀(107)은 스크류의 회전력을 충분히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각 샤프트 홀(107)의 구조이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부(5135)는 앵커의 샤프트 홀(107)을 관통하여 결착된다. 이후, 시술자가 스트라이커(51)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스트라이커(51)의 회전력이 봉합사 앵커(1)로 전달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51)와 봉합사 앵커(1)의 결착시, 단부(5135)는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하여 테이퍼 형상의 팁(5137)이 앵커 몸체(10)로부터 노출된다. 팁(5137)은 외부로부터 전달된 타격으로 보어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첨예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5)의 구성 및 결합도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트라이커(51)는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511)와 샤프트(513)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511)는 타격이 용이하도록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511)는 시술시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시술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요철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511)는 파지되는 제1 몸체와 가이드 부재(53)와의 삽관 정도가 조절되는 제2 몸체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몸체는 제1 몸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외주면의 요철구조는 제1 몸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의 하부에는 플런저 홈(511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 홈(5111)은 스트라이커(51)가 후퇴시 후술하게될 가이드 부재(53)의 상부에 형성된 볼 플런저(5311)와 체결된다. 제2 몸체는 내측으로 가이드 부재(53)의 체결구(5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본 실시예로, 플런저 홈(5111)은 제2 몸체의 하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몸체의 상부 내측으로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53) 상에 스트라이커(51)를 완전히 삽입했을시, 볼 플런저(531)는 플런저 홈(5111)과 체결되지 않고, 요홈 상에 안착된다. 이후, 스트라이커(51)를 가이드 부재(53)에 대하여 후퇴 이동시 체결구(531)의 상부에 형성된 볼 플런저(5311)가 플런저 홈(5111)에 결착될 수 있다.
볼 플런저(5311)와 플런저 홈(5111)이 결착된 상태의 캐뉼라 드라이버(5)는 스트라이커(51)가 일정 정도 후퇴하여 스트라이커(51)의 단부(5137)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봉합사 앵커(1)는 스트라이커(51) 상에 체결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천공시는 단부(5137)가 노출되지만, 앵커(1)의 체결시는 노출되지 않고 스트라이커(51), 가이드 부재(53), 앵커(1)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캐뉼라 드라이버(5)는 시술자의 앵커링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관련, 도 13을 통해 후술한다.
샤프트(513)는 몸체(511)의 하면으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된다. 샤프트(513)는 가이드 부재(53)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샤프트(513)는 제1 단차(5135), 제2 단차(5133), 제3 단차(5131)를 갖는 다단 형상일 수 있다.
제1 단차(5135)는 스트라이커(51)의 단부를 치징하는 것으로, 제1 단차(5135)에 전술한 팁(5137)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 단차(5135)는 외주면이 샤프트 홀(107)과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단차(5133)는 제1 단차(5135)의 상부로 신장되어 형성되며 가이드 부재(53)에 삽관된다. 제3 단차(5131)는 제2 단차(5133)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단차(5133)보다 큰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단차(5131)는 제2 몸체의 개구된 내측에 연결되어 신장된다. 제3 단차(5131)는 체결구(531)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설계되어 체결구(53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가이드 부재(53)는 몸체가 되는 튜브(533)와 체결구(531)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3)의 상부에는 플런저 홈(5111)에 결착되는 볼 플런저(5311)가 마련될 수 있다. 튜브(533)에는 스트라이커(51)가 삽관된다. 이 경우, 튜브(533)는 스트라이커(51)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단차(5133)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튜브(533)의 길이는 샤프트(513)의 길이보다 작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튜브(533)의 직경은 제2 단차(5133)가 삽관되도록 형성되고, 제2 단차(5133)가 튜브(533)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단차(5135)는 외부로 노출된다. 제1 단차(5135)에 결착한 봉합사 앵커(1)는 튜브(53)의 단부에 지지된다.
체결구(531)는 튜브(533)의 상부에 형성되며 스트라이커(51)의 삽관 정도가 조절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볼 플런저(5311)는 체결구(531)의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53)의 볼 플런저(5311) 단면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체결구(531)의 내측으로는 볼 플런저(5311) 높이만큼 함몰된 수납구(5315)가 형성될 수 있다. 볼 플런저(5311)는 하단이 수납구(5315) 내에 구비된 스프링(5313)에 연결되어 전후 구동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5)를 이용하여 봉합사 앵커(1)를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3a는 스트라이커(51)를 타격하여 뼈의 타깃 위치에 보어 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13b는 스트라이커(51)의 후퇴 구동으로 봉합사 앵커(1)를 보어 홈의 위치에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13c는 보어 홈에 위치한 봉합사 앵커(1)를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과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5)는 시술시 천공을 위한 팁(5137)은 노출된다. 또한, 봉합사 앵커(1)는 제1 단차(5135)에 체결되며 튜브(533)에 의해서 지지 및 압입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51)는 전후 구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53)에 삽관되는 구조로서, 스트라이커(51)의 제거 및 가이드 캐뉼라(53)의 재삽입 과정 없이 보어 홈의 천공 후 해당 위치에서 봉합사 앵커(1)의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된 보어 홈에 위치한 봉합사 앵커(1)를 스트라이커(51)의 후퇴 구동으로 손쉽게 압입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정밀한 조작 없이도 봉합사 앵커(1)를 보어 홈에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13b와 같이, 스트라이커(51)의 후퇴 구동시 스트라이커의 단부(5137)는 봉합사 앵커(1)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봉합사 앵커(1)가 보어 홈의 위치에 정확히 압입된다. 이 경우, 볼 플런저(5311)에 의해서 스트라이커(511) 및 가이드 부재(53)는 고정이 유지된다. 이후, 도 13c와 같이, 시술자는 스트라이커(511)를 회전하여 봉합사 앵커(1)를 보어 홈에 식립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드라이버(5)를 나타낸다. 캐뉼라 드라이버(5)는 스트라이커(51) 및 가이드 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와 달리 볼 플런저(5311) 및 플런저 홈(5111)의 형성 위치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원용을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스트라이커(51)는 몸체(511)의 하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 플런저(5311)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51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53)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몸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볼 플런저(5311)는 제2 몸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53)의 삽입시 가이드 부재(53) 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상부에 볼 플런저(5311)가 결착되는 플런저 홈(51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스트라이커(51)가 삽관되고, 스트라이커(51)의 단부가 노출되는 튜브(533); 및 스트라이커(51)의 삽관 정도를 조절하는 체결구(531)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런저 홈(5111)은 체결구(53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531)의 하부에는 스트라이커(51)가 가이드 부재(53)에 완전히 삽입??을 경우, 볼 플런저(5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531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소정의 외력으로도 볼 플런저(5311)는 요홈(5317)으로부터 이탈되어 스트라이커(51)를 후퇴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2: 코크 스크류 3, 4: 스위브 스크류
11: 연조직 12: 뼈
13: 봉합사 A: 제1 리드
B: 제2 리드 C: 피치
10: 앵커 몸체 101: 주 나사산
1011: 제1 주 나사산 1013: 제2 주 나사산
103: 부 나사산 1031: 제1 부 나사산
1035: 제2 부 나사산 105: 벤트 홀
106: 헤더부 1061: 아일렛
107: 샤프트 홀 5: 캐뉼라 드라이버
51: 스트라이커 511: 몸체
5111: 플런저 홈 513: 샤프트
5135: 제1 단차 5133: 제2 단차
5131: 제3 단차 5137: 팁
53: 가이드 부재 531: 체결구
5311: 볼 플런저 5313: 스프링
5315: 수납구 5317: 요홈
533: 튜브

Claims (8)

  1.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보어(bore) 홈의 천공 과정 중 봉합사 앵커를 체결할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보어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팁이 노출되도록 상기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상기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플런저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신장된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샤프트는,
    단부에 상기 팁이 마련되는 제1 단차;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관되는 제2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차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것이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상기 플런저 홈에 결착되는 볼 플런저가 마련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상기 볼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드라이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단부가 노출되는 튜브; 및
    상기 스트라이커의 삽관을 조절하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볼 플런저는 상기 체결구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드라이버.
  5. 뼈에 연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보어(bore) 홈의 천공 과정 중 봉합사 앵커를 체결할 수 있는 캐뉼라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보어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팁이 노출되도록 상기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상기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볼 플런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신장된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샤프트는,
    단부에 상기 팁이 마련되는 제1 단차;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관되는 제2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차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것이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상기 볼 플런저가 결착되는 플런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상기 볼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드라이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단부가 노출되는 튜브; 및
    상기 스트라이커의 삽관을 조절하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 홈은 상기 체결구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드라이버.
  7. 관통된 샤프트 홀을 구비하고, 경도를 갖는 원통형 앵커 몸체의 전체에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 몸체의 일부에 외주면을 따라 부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보어(bore)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팁이 노출되도록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상기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상기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플런저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신장된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샤프트는,
    단부에 상기 팁이 마련되는 제1 단차;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관되는 제2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차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것이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상기 플런저 홈에 결착되는 볼 플런저가 마련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상기 볼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8. 관통된 샤프트 홀을 구비하고, 경도를 갖는 원통형 앵커 몸체의 전체에 외주면을 따라 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 몸체의 일부에 외주면을 따라 부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보어(bore) 홈을 천공하는 테이퍼 형상의 팁이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팁이 노출되도록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상기 봉합사 앵커가 결착되는 스트라이커; 및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후퇴 구동으로 상기 봉합사 앵커를 압입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보어 홈의 천공을 위해 타격되는 몸체의 하부에 볼 플런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신장된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샤프트는,
    단부에 상기 팁이 마련되는 제1 단차;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관되는 제2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차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것이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부에 상기 볼 플런저가 결착되는 플런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는 후퇴 구동시 상기 볼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 홈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KR1020150094117A 2015-07-01 2015-07-01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Active KR10170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117A KR101700666B1 (ko) 2015-07-01 2015-07-01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117A KR101700666B1 (ko) 2015-07-01 2015-07-01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30A KR20170005230A (ko) 2017-01-12
KR101700666B1 true KR101700666B1 (ko) 2017-02-01

Family

ID=5781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117A Active KR101700666B1 (ko) 2015-07-01 2015-07-01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02B1 (ko) * 2017-10-24 2018-06-29 조기현 조직 봉합용 시술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0325B2 (en) * 2018-02-27 2021-05-11 Acumed Llc Bone fastener with partially overlapping threads and a varying lead
KR102176328B1 (ko) 2018-12-27 2020-1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기 일체형 봉합사 앵커 장치
KR102307046B1 (ko) * 2019-08-30 2021-09-30 (주)오스테오닉 수술용 핀 가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65Y1 (ko) * 2001-08-22 2001-11-24 김일규 인공치아 시술용 임플랜트의 고정 드라이버
JP2014529302A (ja) * 2011-06-23 2014-11-06 シンセス・ゲーエムベーハーSynthes GmbH 縫合糸アンカー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47B1 (ko) 2011-12-13 2014-03-28 박지수 수술용 앵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65Y1 (ko) * 2001-08-22 2001-11-24 김일규 인공치아 시술용 임플랜트의 고정 드라이버
JP2014529302A (ja) * 2011-06-23 2014-11-06 シンセス・ゲーエムベーハーSynthes GmbH 縫合糸アンカー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02B1 (ko) * 2017-10-24 2018-06-29 조기현 조직 봉합용 시술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30A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5091B2 (ja) 回旋腱板(rtc)腱または靭帯の修復方法および装置
US10610214B2 (en) Threaded suture anchor
US9492159B2 (en) Flat suture anchor
CN103156678B (zh) 非打结型缝合锚钉
JP4717379B2 (ja) 改善された駆動ヘッドを伴う縫合糸固定装置
US6096060A (en) Bioabsorbable threaded soft tissue anchor system
JP6199005B2 (ja) 腱板不全断裂修復システム及び方法
AU2005307057B2 (en) Anchor/suture used for medical procedures
JP5921806B2 (ja) 腱板不全断裂を修復するための二重カニューレシステム及び方法
EP2081502B1 (en) A medical device for attaching tissue to bone
EP2332470B1 (en)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repair system
US12053171B2 (en) Knotless implants, instruments, and methods
US9314238B2 (en) T-type suture anchor
JP2010537676A (ja) アンカー送達システム
JP2016083365A (ja) 二頭筋腱固定アンカーインプラント
KR101700666B1 (ko)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JP6332889B2 (ja) アキレス腱用縫合器
US20090048575A1 (en) Trocar with obturator having longitudinal through holes for guiding wires
JP5306900B2 (ja) 靱帯再建術用骨片付き移植腱固定具
KR101786466B1 (ko)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US20150157310A1 (en) Rotary medical anchor, and medical kit comprising said anchor
KR101647995B1 (ko) 봉합사 앵커
KR102117032B1 (ko) 소프트 슈쳐앵커의 뼈 내측 삽입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