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0028B1 -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028B1
KR101700028B1 KR1020150044160A KR20150044160A KR101700028B1 KR 101700028 B1 KR101700028 B1 KR 101700028B1 KR 1020150044160 A KR1020150044160 A KR 1020150044160A KR 20150044160 A KR20150044160 A KR 20150044160A KR 101700028 B1 KR101700028 B1 KR 10170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brow
implant
unit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448A (ko
Inventor
김병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호스피탈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호스피탈컨설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호스피탈컨설팅
Priority to KR102015004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0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0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는, 눈썹 부위의 뼈와 뼈막 사이에 식립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하우징에 탈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식별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부와,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획득하는 음성신호 획득부와, 외부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신호 획득부와, 상기 음성신호를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식별태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면 상기 외부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응답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눈썹 부위의 뼈를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진동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눈썹 부위에 임플란트되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의 통신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EYEBROW IMPLA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통신장치와 연결되는 눈썹 형상의 임플란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차세대 컴퓨팅 기술로는 유비쿼터스 개념과 유사한 다양한 연구들이 각 분야에서 구현되고 또한 전략적으로 통합됨으로써 미래의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입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를 옷이나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게 하여 컴퓨터를 인간 몸의 일부로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향후에는 이식형 컴퓨터(implant computer) 기술로의 발전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임플란트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026호(2008. 06. 23 공개)는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두부뼈에 진동자의 진동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자각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스피커 기술을 이용하여, 보청기를 치아에 착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의 경우 단순히 음성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단순한 방식이므로, 외부 통신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눈썹 부위에 임플란트되어 외부의 통신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수신된 신호를 뼈를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지문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는, 눈썹 부위의 뼈와 뼈막 사이에 식립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하우징에 탈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식별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부와,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획득하는 음성신호 획득부와, 외부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신호 획득부와, 상기 음성신호를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식별태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면 상기 외부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응답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눈썹 부위의 뼈를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진동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지문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주변의 조도, 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명령패턴에 의해 상기 음성신호 획득부 또는 상기 영상신호 획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획득부는, 주변으로부터 획득한 대상객체의 영상정보에서 문자인식을 이용하여 제1 확신값을 획득하는 제1 인식부와, 상기 대상객체의 영상정보에 대하여 객체인식을 이용하여 제2 확신값을 획득하는 제2 인식부와, 상기 대상객체의 위치 정보에 대하여 위치인식을 이용하여 제3 확신값을 획득하는 제3 인식부와, 상기 제1 확신값, 제2 확신값 및 제3 확신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객체에 대한 인식결과를 생성하는 인식결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썹 임플란트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내부가 비어 있는 상기 식립나사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눈썹 임플란트 사이에 상기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눈썹 부위에 임플란트되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의 통신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함으로써 외부의 소리를 장애 없이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지문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에서 하우징과의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가 음성신호를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에서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에서 하우징과의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외부 통신장치(30)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
외부 통신장치(30)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고정형 POS(point of sales) 단말기, 키오스크(Kiosk), 데스크탑과 같은 고정형 단말기이거나 이동형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노트북과 같은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통신장치(30)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통신장치(30)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T(Speak to Text) 모듈을 이용하여 눈썹 임플란트(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통신장치(30)는 인식된 음성신호로부터 질의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통신장치(30)는 인터넷 서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통신장치(30)가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의 질의어를 추출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검색을 하여 응답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신호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질의어에 대한 답변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포함된 질의어가 현재 위치정보, 뉴스, 연락처 등에 관한 경우,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거나 인터넷 서버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얼굴뼈 중 눈썹 부위의 뼈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눈썹 부위의 뼈와 뼈막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10)에 탈부착된다. 하우징(10)은 눈썹 부위의 뼈에 식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립나사(11)로 고정된다. 이 경우, 식립나사(11)는 눈썹 부위의 뼈에 식립되며, 내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은 눈썹 부위의 피부 및 내부의 뼈막을 절개하여 뼈와 분리시켜 공간을 형성하여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10)과 식립나사(11)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의 진동신호를 골전도를 통해 전달하는 진동판의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를 삽입하는 과정은, 먼저 눈썹 부위의 뼈에 기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홈을 형성한다. 이는 이 후 식립나사(11)를 삽입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뼈에 형성된 홈과 대응하는 위치가 천공된 하우징(10)을 뼈와 뼈막 사이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식립나사(11)를 하우징(10)의 천공된 영역을 관통하여 뼈에 형성된 홈에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의 하부로 돌출된 진동신호 출력부(160)를 식립나사(11)의 내부 수용홈에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획득하여 외부 통신장치(30)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외부 통신장치(30)로부터 음성신호에 대응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응답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하우징(10)을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외부 통신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태그 인식부(110), 음성신호 획득부(120), 영상신호 획득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및 진동신호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태그 인식부(110)는 하우징(10)에 형성된 식별태그(12)를 인식한다. 이 경우, 식별태그(12)는 RF 태그, NFC 태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태그 인식부(110)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면서 근접거리 상에 위치하는 식별태그(12)를 인식한다. 이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별태그(12)로부터 획득한 고유값이 기 설정된 값과 다른 경우 다른 사용자로 인식하여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의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태그 인식부(110)는 하우징(10)의 식별태그(12)외의 주변의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주변의 비콘(beacon)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후술하는 음성신호 획득부, 영상신호 획득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비콘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다.
음성신호 획득부(120)는 소형 녹음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획득한다. 이 경우, 음성신호 획득부(120)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음성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눈썹 부위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신호 획득부(120)는 음성신호를 내부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음성신호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영상신호 획득부(130)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150)는 획득한 영상신호를 음성신호와 함께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가 양쪽 눈썹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경우, 스테레오 카메라와 같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 획득부(130)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야간에도 영상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쪽 눈썹 부위에 형성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의 영상신호 획득부(130)에서 스테레오 영상인 3차원 영상신호를 획득하고,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맹인인 경우에는 외부 통신장치에서 3차원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의 장애물 등의 위험 정보 등을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로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이를 진동신호로 변환하여 진동신호 출력부(160)를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변의 장애물 등의 위험 정보를 소리로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보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 획득부(130)는 제1 인식부, 제2 인식부, 제3 인식부 및 인식결과 생성부를 포함한다. 영상신호 획득부(130) 중 제1 인식부는 주변으로부터 획득한 대상객체의 영상정보에서 문자인식을 이용하여 제1 확신값을 획득한다. 제1 인식부는 대상객체의 영상에서 이미지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을 이용하여 제1 확신값을 획득한다.
영상신호 획득부(130) 중 제2 인식부는 대상객체의 영상정보에 대하여 객체 인식(object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제2 확신값을 획득한다. 여기서, 객체 인식은 대상객체의 영상정보로부터 특성을 추출하여 대상객체를 식별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상객체의 크기, 색상, 형태, 바코드 등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여 제2 확신값을 연산한다.
한편, 영상신호 획득부(130) 중 제3 인식부는 대상객체의 위치 정보에 대하여 위치 인식을 이용하여 제3 확신값을 획득한다. 이 경우, 외부 통신장치(30)의 GPS 정보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접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여 제3 확신값을 연산한다. 또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에서 이미지를 획득시 위치 정보를 함께 획득하여 제3 확신값을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영상신호 획득부(130) 중 인식 결과 생성부는 제1 확신값, 제2 확신값 및 제3 확신값을 이용하여 대상객체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제1 인식부에서 생성한 제1 확신값, 제2 인식부에서 생성한 제2 확신값 및 제3 인식부에서 생성한 제3 확신값을 이용하여 인식 결과값을 생성하고, 인식 결과값이 기 설정된 인식 결정값 이상이면 대상객체의 위치 및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음성신호를 외부 통신장치(30)로 전송하고, 외부 통신장치(30)로부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통신장치(30)와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인접한 외부 통신장치(30)와 페어링을 시도하고, 외부 통신장치(30)에서는 보안을 위해 기 설정된 암호를 입력해야만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와 페어링이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외부 통신장치(30)와 데이터 통신을 설정한다. 제어부(150)는 고유의 식별 아이디를 외부 통신장치(30)로 전송하도록 하며, 접속된 외부 통신장치(30)와 데이터 통신을 하게 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음성신호를 외부 통신장치(30)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3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응답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한다. 응답신호는 음성 또는 문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진동신호는 응답신호를 진동주파수로 표현한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음성신호 획득부(120) 또는 영상신호 획득부(130)로부터 주변의 조도, 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명령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주변의 조도, 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명령패턴에 의해 음성신호 획득부(120) 또는 영상신호 획득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조도 변화를 일으켜 명령패턴을 생성하는 경우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외부 통신장치(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가 사용자의 양쪽 눈썹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각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에 서로 다른 조도 변화를 일으켜 명령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오른쪽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에 한 번, 왼쪽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에 한 번씩 조도 변화가 발생하면 명령패턴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전송하고, 사용자가 정지했다가 이동하는 경우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진동신호 출력부(160)는 뼈에 고정된 하우징(10)을 통하여 응답신호를 진동주파수로 변환한 진동신호를 골전도(bone conduction) 방식으로 출력한다. 진동신호 출력부(160)는 소형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하우징(10)에 진동신호를 출력한다. 하우징(10)은 뼈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진동신호가 두개골을 통해 내이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 진동신호의 강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이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지문 인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부(170)는 스캐너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인식한다. 이 경우, 지문 인식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문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제1 지문정보와 지문 인식부(170)로부터 입력된 제2 지문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성인출입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전원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태그 인식부(110), 음성신호 획득부(120), 영상신호 획득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진동신호 출력부(160) 및 지문 인식부(1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80)는 니켈 카드뮴(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밀폐형납산(SLA), 리튬 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mer) 등의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외부의 충전장치와 자기유도방식(Magnetic Induction, MI) 또는 자기공명방식(Magnetic Resonance, MR)으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무선 충전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태양광 발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19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태양광 발전부(190)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 발전부(190)는 전원부(180)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외에서 활동하는 경우 태양광을 통해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의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가 음성신호를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에서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와 외부 통신장치(30)는 네트워크 상 연결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눈썹 부위에 형성된다.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오늘 날씨 어때"라는 사용자의 음성신호(401)를 획득하여 외부 통신장치(30)로 전송한다. 외부 통신장치(30)는 음성신호(401)를 수신하여 오늘 날씨에 대한 응답신호(402)를 생성한다. 이 경우, 응답신호(402)는 "기온 18℃, 습도 20%" 또는 "오전 맑음, 오후 구름많음"과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통신장치(30)는 생성된 응답신호(402)를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로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는 외부 통신장치(30)로부터 응답신호(402)를 수신하면, 응답신호(402)를 진동신호(403))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진동신호(403))는 뼈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된다. 진동신호(403))는 두개골을 통해 내이로 전달된다. 외부 통신장치(30)는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100)로부터 사용자의 지문인식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600)는 디스플레이(61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10)는 반투명성의 플렉서블(flexible)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610)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60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600)의 접속부(601)와 디스플레이(610)의 접속단자(611)와 연결되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문자, 기호 등의 시각정보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610)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60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진동신호 출력부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는, 눈썹 부위에 임플란트되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의 통신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함으로써 외부의 소리를 장애 없이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하우징 11 : 식립나사
12 : 식별태그 30 : 외부 통신장치
100 :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110 : 태그 인식부
120 : 음성신호 획득부 130 : 영상신호 획득부
140 : 통신부 150 : 제어부
160 : 진동신호 출력부 170 : 지문 인식부
180 : 전원부 190 : 태양광 발전부
401 : 음성신호 402 : 응답신호
403 : 진동신호
600 :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601 : 접속부
610 : 디스플레이 611 : 접속단자

Claims (5)

  1. 눈썹 부위의 뼈와 뼈막 사이에 식립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하우징에 탈부착되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식별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부;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획득하는 음성신호 획득부;
    외부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신호 획득부;
    상기 음성신호를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태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면 상기 외부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응답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눈썹 부위의 뼈를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진동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눈썹 임플란트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내부가 비어 있는 상기 식립나사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지문정보를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주변의 조도, 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명령패턴에 의해 상기 음성신호 획득부 또는 상기 영상신호 획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획득부는,
    주변으로부터 획득한 대상객체의 영상정보에서 문자인식을 이용하여 제1 확신값을 획득하는 제1 인식부;
    상기 대상객체의 영상정보에 대하여 객체인식을 이용하여 제2 확신값을 획득하는 제2 인식부;
    상기 대상객체의 위치 정보에 대하여 위치인식을 이용하여 제3 확신값을 획득하는 제3 인식부; 및
    상기 제1 확신값, 제2 확신값 및 제3 확신값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객체에 대한 인식결과를 생성하는 인식결과 생성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눈썹 임플란트 사이에 상기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KR1020150044160A 2015-03-30 2015-03-30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70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160A KR101700028B1 (ko) 2015-03-30 2015-03-30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160A KR101700028B1 (ko) 2015-03-30 2015-03-30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48A KR20160116448A (ko) 2016-10-10
KR101700028B1 true KR101700028B1 (ko) 2017-01-25

Family

ID=5714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1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0028B1 (ko) 2015-03-30 2015-03-30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0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60B1 (ko) * 2014-01-20 2014-04-29 김병건 무선통신용 임플란트 치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101398124B1 (ko) * 2014-01-20 2014-05-27 김병건 무선통신용 성형보형물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76369B2 (en) * 2009-07-22 2013-07-04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Magnetic attachment arrangement for implantable device
KR20130031423A (ko) * 2011-09-21 2013-03-29 한상진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60B1 (ko) * 2014-01-20 2014-04-29 김병건 무선통신용 임플란트 치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101398124B1 (ko) * 2014-01-20 2014-05-27 김병건 무선통신용 성형보형물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48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056B2 (en) Wear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data using multiple image sensors
CN206214373U (zh) 用于向盲人提供视觉信息的物体检测、分析及提示系统
EP3336687A1 (en) Voi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421487B1 (ko) 인공 지능 기기
EP3627384A1 (en) Anti-counterfeiting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product
CN108989973B (zh) 移动终端
US11526590B2 (en) Automatic low radiation mode for a wearable device
US9625990B2 (en) Vision-assist systems including user eye tracking cameras
US112405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udio output of a wearable apparatus
US9996730B2 (en) Vision-assist systems adapted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session
US10397736B2 (en) Mobile terminal
KR10239980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8960B1 (ko) 무선통신용 임플란트 치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20220311979A1 (en) Wearable apparatus for projecting information
KR101700028B1 (ko) 무선통신용 눈썹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KR101398124B1 (ko) 무선통신용 성형보형물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KR10211406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443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9980B1 (ko) 비언어적 오디오 정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장치
US20220374069A1 (en) Wearable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 object
KR20240100318A (ko) 오디오 신호 기반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129986A (ko) 오디오 신호 기반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16111A (ko) 오디오 정보 수집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79174A (ko) 이동 단말기
CN112243580A (zh) 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