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9624B1 -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 Google Patents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624B1
KR101699624B1 KR1020150145443A KR20150145443A KR101699624B1 KR 101699624 B1 KR101699624 B1 KR 101699624B1 KR 1020150145443 A KR1020150145443 A KR 1020150145443A KR 20150145443 A KR20150145443 A KR 20150145443A KR 101699624 B1 KR101699624 B1 KR 10169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uer lock
safety cap
lock tip
pro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일
전성희
Original Assignee
김윤일
전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일, 전성희 filed Critical 김윤일
Priority to KR102015014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624B1/ko
Priority to PCT/KR2015/011734 priority patent/WO20170693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6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 바늘을 갖고, 주사기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루어록 팁, 상기 루어록 팁의 주사 바늘이 수납되기 위한 안전캡,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서 분리시켜 상기 바늘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된 주사 바늘은 상기 안전캡에 의해 덮혀지되,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 고정됨에 따라, 주사 바늘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주사기몸체에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 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을 보호함은 물론, 주사 바늘을 주사기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방지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의료 현장에 있는 사용자들이 늘 써오던 익숙한 사용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는 점과, 촌각을 다투는 응급 상황이나, 이동 중인 상황이나, 환자가 움직이는 상황 등에서도 마음 놓고 안전하고 빠르게 주사기를 다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Removable injection needle safety syringe}
본 발명은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 바늘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함은 물론, 사용자가 루어록 팁을 주사기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 방지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기는 환자의 혈액 샘플 채취, 약물 투여, 수액 공급 등 진료시 전 분야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재사용을 금지하고, 한 번 사용한 주사기는 폐기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일회용 주사기는 안전을 위해 사용 후에는 주사 바늘에 캡을 씌워서 폐기하는 것으로, 캡이 부착된 루어록 팁은 주사기에서 분리되어 폐기된다.
그러나 루어록 팁은 주사기에서 배출되는 약재가 주사 바늘로만 이동되도록 주사기와 밀폐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손으로 분리시킬 경우, 캡만 분리되어 주사 바늘이 노출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주사바늘 분리기는 등록특허 제10-0350634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과 파지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에 의해 주사바늘을 분리하고 있다.
이러한 주사바늘 분리기는 사용 후, 캡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분리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지만,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함은 물론, 제작비용과 운영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사 바늘을 안전하게 분리시킴은 물론, 비용발생을 최소로 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루어록 팁의 주사 바늘이 수납되기 위한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을 보호함은 물론, 루어록 팁을 주사기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종래 주사 바늘 제거에 관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의료 현장에 있는 사용자들이 늘 써오던 익숙한 사용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는 점과, 촌각을 다투는 응급 상황이나, 이동 중인 상황이나, 환자가 움직이는 상황 등에서도 마음 놓고 안전하고 빠르게 주사기를 다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 바늘을 갖고, 주사기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루어록 팁, 상기 루어록 팁의 주사 바늘이 수납되기 위한 안전캡,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서 분리시켜 상기 바늘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된 주사 바늘은 상기 안전캡에 의해 덮혀지되,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 고정됨에 따라, 주사 바늘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주사기몸체에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탈부착부, 및 상기 제1탈부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탈부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탈부착부와 제2탈부착부는, 일정 호를 갖고, 해당 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돌출턱으로,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킬 경우, 어느 하나의 돌출턱이 다른 하나의 돌출턱을 타고 넘어 탈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연결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직고정홈, 및 상기 수직고정홈과 직교되도록 연통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걸림에 따라, 상기 안전캡이 루어록 팁과의 연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고정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고정홈은, 상기 수직고정홈과 연통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에는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턱, 및 상기 제1고정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평고정홈에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턱,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캡은, 상기 루어록 팁에 구비된 주사 바늘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캡몸통,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하는 손이 주사 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 및 상기 캡몸통 또는 보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파지부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캡몸통의 일단부에 연결된 일단에서 상기 파지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와의 사이에 파지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몸체, 및 상기 보호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캡몸통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보호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몸체는, 상기 캡몸통의 일단부와 중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에서 보호몸체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보호몸체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보호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되, 중앙부에서 보호몸체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보호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되, 중앙부에서 보호몸체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팁은, 일단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중앙부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중앙부와 캡몸통을 연결하되, 중앙부에서 캡몸통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팁은, 일단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중앙부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중앙부와 캡몸통을 연결하되, 중앙부에서 캡몸통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팁은, 일단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캡몸통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중앙부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는, 반구형상, 반타원형상, 일정길이로 요철형성된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에 의하면, 주사 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을 보호함은 물론, 주사 바늘을 주사기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방지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의료 현장에 있는 사용자들이 늘 써오던 익숙한 사용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는 점과, 촌각을 다투는 응급 상황이나, 이동 중인 상황이나, 환자가 움직이는 상황 등에서도 마음 놓고 안전하고 빠르게 주사기를 다룰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설계된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의 연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의 탈부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의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의 안전캡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의 연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의 탈부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의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의 안전캡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10)는 루어록 팁(200)과 안전캡(100) 및 연결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루어록 팁(200)은 주사 바늘(210)을 갖고, 주사기몸체(4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안전캡(100)은 루어록 팁(200)의 주사 바늘(210)이 수납되기 위해 구비되며, 연결수단(300)은 안전캡(100)을 루어록 팁(200)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안전캡(100)을 루어록 팁(200)에서 분리시켜 주사 바늘(210)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된 주사 바늘(210)은 안전캡(100)에 의해 덮혀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수단(300)에 의해 안전캡(100)이 루어록 팁(200)에 고정됨에 따라, 주사 바늘(210)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루어록 팁(200)과 안전캡(100)이 주사기몸체(40)에서 분리된다.
이를 위한, 연결수단(3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부착부(310)와 고정부(320)로 구성된다.
탈부착부(310)는 안전캡(10)을 루어록 팁(200)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고정부(320)는 안전캡(10)을 루어록 팁(200)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탈부착부(3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탈부착부(3110)와 제2탈부착부(3120)로 구성된다.
제1탈부착부(3110)는 루어록 팁(200)과 안전캡(1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제2탈부착부(3120)는 제1탈부착부(3110)에 대응되도록 루어록 팁(2000)과 안전캡(1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탈부착부(3110)와 제2탈부착부(3120)는 일정 호를 갖고, 해당 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돌출턱으로, 안전캡(100)을 루어록 팁(200)에 탈부착시킬 경우, 어느 하나의 돌출턱이 다른 하나의 돌출턱을 타고 넘어 탈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3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홈(3210)과 고정돌기(3220)로 구성된다.
고정홈(3210)은 루어록 팁(200)과 안전캡(1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고정돌기(3220)는 고정홈(3210)에 대응되도록 루어록 팁(200)과 안전캡(1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3210)은 수직고정홈(3212)과 수평고정홈(3214)으로 구성된다.
수직고정홈(3212)은 루어록 팁(200)과 안전캡(100)이 연결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고정홈(3214)은 수직고정홈(3212)과 직교되도록 연통되어 고정돌기(3220)가 걸림에 따라, 안전캡(100)이 루어록 팁(200)과의 연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수평고정홈(3214)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고정홈(3212)과 연통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안전캡(100)이 루어록 팁(20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주사기몸체(40)에서 분리할 경우, 안전캡(100)과 루어록 팁(200)의 고정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 실시 예의 고정부(320)는 제1고정턱(3222)과 제2고정턱(3216)으로 구성된다.
제1고정턱(3222)은 고정돌기(3220)에는 돌출형성되고, 제2고정턱(3216)은 제1고정턱(3222)에 대응되도록 수평고정홈(3214)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안전캡(10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몸통(110)과 파지부(120) 및 보호부(130)로 구성된다.
캡몸통(110)은 루어록 팁(200)에 구비된 주사 바늘(21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12)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호부(130)는 개방된 삽입공(112)이 형성된 캡몸통(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하는 손이 주사 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파지부(120)는 캡몸통(110) 또는 보호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파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보호부(130)는 보호몸체(1310)와 보호팁(1320)으로 구성된다.
보호몸체(1310)는 캡몸통(110)의 일단부와 중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보호팁(1320)은 보호몸체(1310)에 형성되되, 캡몸통(110)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보호몸체(1310)는 캡몸통(110)의 타단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보호몸체(1310)는 캡몸통(110)의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팁(1320)은 중앙부(1322)가 보호몸체(1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1310)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보호몸체(1310)와 연결되는 일단부(1324)는 중앙부(1322)에서 보호몸체(1310)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보호몸체(131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캡몸통(110)과 연결되는 타단부(1326)는 중앙부(1322)에서 캡몸통(110)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팁(1320)은 중앙부(1322)가 보호몸체(1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1310)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보호몸체(1310)와 연결되는 일단부(1324)는 중앙부(1322)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캡몸통(110)과 연결되는 타단부(1326)는 중앙부(1322)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 보호팁(1320)은 중앙부(1322)가 보호몸체(1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1310)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된다.
보호몸체(1310)와 연결되는 일단부(1324)는 중앙부(1322)와 보호몸체(1310)의 외주면을 연결하되, 중앙부(1322)에서 보호몸체(1310)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캡몸통(110)과 연결되는 타단부(1326)는 중앙부(1322)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보호팁(1320)은 중앙부(1322)가 보호몸체(1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1310)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보호몸체(1310)와 연결되는 일단부(1324)는 중앙부(1322)와 보호몸체(1310)의 외주면을 연결하되, 중앙부(1322)에서 보호몸체(1310)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캡몸통(110)과 연결되는 타단부(1326)는 중앙부(1322)에서 캡몸통(110)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보호팁(1320)은 일단부(1324)가 보호몸체(1310)의 외주면과 연결된다.
중앙부(1322)는 일단부(1324)에서 타단부(1326)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단부(1326)는 중앙부(1322)와 캡몸통(110)을 연결하되, 중앙부(1322)에서 캡몸통(110)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팁(1320)은 일단부(1324)가 보호몸체(1310)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중앙부(1322)는 일단부(1324)에서 타단부(1326)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타단부(1326)는 중앙부(1322)와 캡몸통(110)을 연결하되, 중앙부(1322)에서 캡몸통(110)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팁(1320)은 일단부(1324)가 보호몸체(1310)의 외주면과 연결된다.
타단부(1326)는 캡몸통(110)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중앙부(1322)는 일단부(1324)에서 타단부(1326)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몸체(1310)는 캡몸통(110)의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보호팁(1320)은 보호몸체(1310)와 이격되도록 캡몸통(110)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파지부(120)는 보호몸체(1310)와 보호팁(1320)이 형성되지 않은 캡몸통(110) 표면 중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몸체(1310)는 캡몸통(110)의 중간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보호팁(1320)은 보호몸체(1310)와 연결되도록 캡몸통(110)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파지부(120)는 보호몸체(1310)와 보호팁(1320)이 형성되지 않은 캡몸통(110) 표면 중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부(130)는 파지부(120)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캡몸통(110)의 일단부에 연결된 일단에서 파지부(120)가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지부(120)와의 사이에 파지공간부(12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각 실시 예에서 파지부(120)는 반구형상과 반타원형상, 일정길이로 요철형성된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부(120)는 해당 면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된다.
또한 파지부(1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10 : 안전주사기 100 : 안전캡
110 : 캡몸통 120 : 파지부
130 : 보호부 1310 : 보호몸체
1320 : 보호팁 200 : 루어록 팁
300 : 연결수단 310 : 탈부착부
3110 : 제1탈부착부 3120 : 제2탈부착부
320 : 고정부 3210 : 고정홈
3220 : 고정돌기

Claims (20)

  1. 주사 바늘을 갖고, 주사기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루어록 팁;
    상기 루어록 팁의 주사 바늘이 수납되기 위한 안전캡;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서 분리시켜 상기 주사 바늘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된 주사 바늘은 상기 안전캡에 의해 덮혀지되,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 고정됨에 따라, 주사 바늘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주사기몸체에서 분리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캡은,
    상기 루어록 팁에 구비된 주사 바늘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캡몸통;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하는 손이 주사 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 및
    상기 캡몸통 또는 보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몸체; 및
    상기 보호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캡몸통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보호팁;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몸체는,
    상기 캡몸통의 일단부와 중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에서 보호몸체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보호몸체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2. 주사 바늘을 갖고, 주사기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루어록 팁;
    상기 루어록 팁의 주사 바늘이 수납되기 위한 안전캡;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서 분리시켜 상기 주사 바늘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된 주사 바늘은 상기 안전캡에 의해 덮혀지되,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 고정됨에 따라, 주사 바늘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주사기몸체에서 분리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캡은,
    상기 루어록 팁에 구비된 주사 바늘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캡몸통;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하는 손이 주사 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 및
    상기 캡몸통 또는 보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몸체; 및
    상기 보호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캡몸통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보호팁;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몸체는,
    상기 캡몸통의 일단부와 중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3. 주사 바늘을 갖고, 주사기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루어록 팁;
    상기 루어록 팁의 주사 바늘이 수납되기 위한 안전캡;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서 분리시켜 상기 주사 바늘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된 주사 바늘은 상기 안전캡에 의해 덮혀지되,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 고정됨에 따라, 주사 바늘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주사기몸체에서 분리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캡은,
    상기 루어록 팁에 구비된 주사 바늘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캡몸통;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하는 손이 주사 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 및
    상기 캡몸통 또는 보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몸체; 및
    상기 보호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캡몸통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보호팁;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몸체는,
    상기 캡몸통의 일단부와 중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보호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되, 중앙부에서 보호몸체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4. 주사 바늘을 갖고, 주사기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루어록 팁;
    상기 루어록 팁의 주사 바늘이 수납되기 위한 안전캡;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서 분리시켜 상기 주사 바늘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된 주사 바늘은 상기 안전캡에 의해 덮혀지되,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 고정됨에 따라, 주사 바늘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주사기몸체에서 분리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 및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캡은,
    상기 루어록 팁에 구비된 주사 바늘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캡몸통;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하는 손이 주사 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 및
    상기 캡몸통 또는 보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캡몸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몸체; 및
    상기 보호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캡몸통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보호팁;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몸체는,
    상기 캡몸통의 일단부와 중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팁은,
    중앙부가 상기 보호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호몸체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호몸체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보호몸체의 외주면을 연결하되, 중앙부에서 보호몸체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캡몸통과 연결되는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캡몸통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탈부착부; 및
    상기 제1탈부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탈부착부;를 포함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부착부와 제2탈부착부는,
    일정 호를 갖고, 해당 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돌출턱으로, 상기 안전캡을 루어록 팁에 탈부착시킬 경우, 어느 하나의 돌출턱이 다른 하나의 돌출턱을 타고 넘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루어록 팁과 안전캡이 연결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직고정홈; 및
    상기 수직고정홈과 직교되도록 연통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걸림에 따라, 상기 안전캡이 루어록 팁과의 연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고정홈;을 포함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고정홈은,
    상기 수직고정홈과 연통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안전캡이 루어록 팁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에는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턱; 및
    상기 제1고정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평고정홈에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턱;을 더 포함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반구형상, 반타원형상, 일정길이로 요철형성된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KR1020150145443A 2015-10-19 2015-10-19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Active KR10169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43A KR101699624B1 (ko) 2015-10-19 2015-10-19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PCT/KR2015/011734 WO2017069316A1 (ko) 2015-10-19 2015-11-04 안전캡 및 이를 포함한 안전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43A KR101699624B1 (ko) 2015-10-19 2015-10-19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04A Division KR101699668B1 (ko) 2016-06-28 2016-06-28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624B1 true KR101699624B1 (ko) 2017-01-24

Family

ID=5799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443A Active KR101699624B1 (ko) 2015-10-19 2015-10-19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9624B1 (ko)
WO (1) WO201706931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112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이중 슬라이드 방식 안전캡 주사기
KR20190142109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가드형 안전캡 주사기
KR20210002079U (ko) * 2020-03-10 2021-09-2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주사기의 바늘에 의한 자상을 예방하기 위한 주사기용 캡
KR20220006410A (ko) * 2020-07-08 2022-01-1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주사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4422B (zh) * 2018-05-22 2023-11-14 苏州施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带卸针保护的采血笔
US12005244B2 (en) 2020-03-27 2024-06-11 Medivena Sp. Z O.O. Needle-based device based on direct wing-based coupling of a needle shield to a barrel thereof and safety mechanism implemented there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4148A (en) * 1992-01-17 1994-04-19 Lannoye Randy J Needle cap and shield
US20050240160A1 (en) * 2004-04-23 2005-10-27 Lin Chih H Safety cap of syringe needle head
KR20100003460U (ko) * 2008-09-22 2010-03-31 이기백 주사기 바늘 보호 캡
KR101547444B1 (ko) * 2015-04-24 2015-08-27 주식회사 메덱셀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9883A (ja) * 2012-03-26 2015-06-18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注射器、およびキャップの操作方法
KR101419838B1 (ko) * 2013-12-16 2014-07-15 송태섭 주사기용 바늘 캡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KR101569627B1 (ko) * 2014-07-15 2015-11-27 김윤일 주사기용 안전캡
KR101484128B1 (ko) * 2014-08-26 2015-01-21 박정빈 안전 주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4148A (en) * 1992-01-17 1994-04-19 Lannoye Randy J Needle cap and shield
US20050240160A1 (en) * 2004-04-23 2005-10-27 Lin Chih H Safety cap of syringe needle head
KR20100003460U (ko) * 2008-09-22 2010-03-31 이기백 주사기 바늘 보호 캡
KR101547444B1 (ko) * 2015-04-24 2015-08-27 주식회사 메덱셀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112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이중 슬라이드 방식 안전캡 주사기
KR20190142109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가드형 안전캡 주사기
KR102188186B1 (ko) * 2018-06-15 2020-12-07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이중 슬라이드 방식 안전캡 주사기
KR102188185B1 (ko) * 2018-06-15 2020-12-07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가드형 안전캡 주사기
KR20210002079U (ko) * 2020-03-10 2021-09-2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주사기의 바늘에 의한 자상을 예방하기 위한 주사기용 캡
KR200495439Y1 (ko) * 2020-03-10 2022-05-2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주사기의 바늘에 의한 자상을 예방하기 위한 주사기용 캡
KR20220006410A (ko) * 2020-07-08 2022-01-1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주사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세트
KR102380189B1 (ko) 2020-07-08 2022-03-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주사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316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624B1 (ko)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ES2710175T3 (es) Autoinyector con un medio de desactivación que se puede mover mediante un protector de seguridad
US9931474B2 (en) Device for removing delivery member shields
EP0284183A1 (en) Safety device for hypodermic needles
ES2848300T3 (es) Elemento de ayuda de inyección para su uso con un dispositivo de inyección y método de uso
CN1064814A (zh) 针头护罩
CN206026803U (zh) 一种防针刺伤式针头
WO2016013741A1 (ko) 스틱인저리와 감염 방지기능을 갖는 수액 주사니들 유닛
KR20070097428A (ko) 배출 바늘이 신축 자재한 안전 주사기
US11857773B2 (en) Syringe safety cap and safety syringe including the same
KR20100016555A (ko) 캐뉼러를 홀딩하여 주사 펜에 분리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KR102124379B1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466353Y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1699668B1 (ko) 바늘제거 가능한 안전주사기
KR20200017449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안전주사기
JP6130457B2 (ja) 針脱去操作カバー
KR102121495B1 (ko) 주사 바늘 안전 제거 장치
KR101484128B1 (ko) 안전 주사기
JP6554019B2 (ja) 注射針着脱用補助具
KR101412799B1 (ko) 일회용 주사기 안전 캡
KR101569627B1 (ko) 주사기용 안전캡
KR102188185B1 (ko)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가드형 안전캡 주사기
PT756501E (pt) Dispositivo de injeccao nao reutilizavel
KR20080091568A (ko) 개선된 치과용 주사기 및 주사 바늘
KR20050010398A (ko) 안전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6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0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