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점도는 25 ℃에서 오스왈드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동점도의 값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실리콘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는 각종 화장료에 적용되지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킨 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제한(制汗) 화장료, 자외선 방어 화장료 등의 피부에 외용되는 화장료 및 모발 화장료 등의 모발에 외용되는 화장료이다. 스킨 케어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클렌징, 팩, 오일 리퀴드, 마사지료, 미용액, 미용 오일, 세정제, 탈취제, 핸드 크림, 립 크림, 주름 커버제 등을 들 수 있다. 메이크업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면 메이크업 베이스, 컨실러, 백분,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 컬러, 아이 섀도우, 마스카라, 아이 라이너, 아이 블로우, 립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제한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면 롤온 타입, 크림 타입, 용액 타입, 스틱 타입 등의 제한 화장료를 들 수 있다. 자외선 방어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 오일, 자외선 차단 유액,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모발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세팅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는, 예를 들면 분체, 유성 액체, 유중수형 에멀션, 수중유형 에멀션, 비수에멀션, W/O/W형, O/W/O형 등의 멀티 에멀션 등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의 성상으로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프레스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스틱상, 펜슬상 등의 다양한 성상을 선택할 수 있다.
[실리콘 미립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는 부피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0 ㎛인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와, 그 표면을 피복하는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 0.5 내지 25 질량부를 갖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25 ℃에서의 점도가 10 ㎟/s 이하인 폴리메틸실록산을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0 질량부 이상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미립자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 상기 실리콘 미립자의 배합량 및 조합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미립자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화장료의 형태, 성상 등에 따라 상기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95.0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상기 실리콘 미립자에서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에 의해 표면이 피복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는, 부피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이다. 상기 부피 평균 입경이 0.1 ㎛ 미만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보송보송함, 매끄러움이 얻어지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상기 부피 평균 입경이 100 ㎛보다 크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보송보송함, 매끄러움이 저하되고, 거칠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피 평균 입경은 콜터 카운터법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상"이란, 미립자의 형상이 진구일 뿐만 아니라 최장축의 길이/최단축의 길이(종횡비)가 평균 통상적으로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4의 범위에 있는 변형된 구이기도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립자의 형상은 상기 미립자를 광학 현미경, 전자 현미경 등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구성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끈적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고무 경도는 JIS K 6253에 규정되어 있는 타입 A 듀로미터에 의한 측정에서 5 내지 9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의 범위이다. 고무 경도가 5 내지 90의 범위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응집성이 충분히 억제되고, 유동성, 분산성, 보송보송함, 매끄러움, 유연한 감촉이 풍부해지기 쉽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25 ℃에서의 점도가 10 ㎟/s 이하인 폴리메틸실록산을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0 질량부 이상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200 질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이 배합된 화장료의 기름기, 끈적임 및 유막감을 억제하는 효과가 부족해지기 쉽다. 또한,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은 많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흡수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흡수량은 실용상 예를 들면 1,000 질량부 이하, 특히 500 질량부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구조는 직쇄상, 환상, 분지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CH3)3SiO[(CH3)2SiO]nSi(CH3)3(n은 1≤n≤15를 만족하는 양수)으로 표시되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화학식: [(CH3)3SiO]3SiCH3으로 표시되는 메틸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A)
(A1) 하기 평균 조성식 (1)로 표시되며,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90 몰% 이상이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이고, 분자량이 5,000 이상이고, 1 분자 중에 2개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고,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이 0.04 mol/100 g 이하인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식 중, R1은 지방족 불포화기 이외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이고, a 및 b는 0<a<3, 0<b≤3 및 0.1≤a+b≤3을 만족하는 양수이되, 단 전체 R1 중의 탄소 원자수 6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의 비율은 5 몰% 미만임)
(A2) 상기 평균 조성식 (1)로 표시되며,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90 몰% 이상이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이고, 분자량이 5,000 이상이고, 1 분자 중에 적어도 3개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고,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이 0.06 mol/100 g 이하인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또는
(A1) 성분과 (A2) 성분의 조합;
(B)
(B1) 하기 평균 조성식 (2)로 표시되며,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90 몰% 이상이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이고, 분자량이 5,000 이상이고, 1 분자 중에 2개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양이 0.04 mol/100 g 이하인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식 중, R3은 지방족 불포화기 이외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c 및 d는 0<c<3, 0<d≤3 및 0.1≤c+d≤3을 만족하는 양수이되, 단 전체 R3 중의 탄소 원자수 6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의 비율은 5 몰% 미만임)
(B2) 상기 평균 조성식 (2)로 표시되며,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90 몰% 이상이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이고, 분자량이 5,000 이상이고, 1 분자 중에 적어도 3개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양이 0.06 mol/100 g 이하인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또는
(B1) 성분과 (B2) 성분의 조합
(A) 성분 중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에 대하여 본 (B) 성분 중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개수가 0.5 내지 2개가 되는 양; 및
(C) 백금족 금속계 촉매
를 포함하되, 단 (A) 성분이 (A1) 성분일 때 (B) 성분은 (B2) 성분 또는 (B1) 성분과 (B2) 성분의 조합인 액상 실리콘 조성물
의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ㆍ(A) 성분
(A) 성분은 1 분자 중에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고, 상기한 (A1) 성분, (A2) 성분 또는 (A1) 성분과 (A2) 성분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A1) 성분 및 (A2) 성분 각각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a 및 b는 바람직하게는 0<a≤2.295, 0.005≤b≤2.3, 0.5≤a+b≤2.3을 만족하는 양수이다.
상기 R1의 탄소 원자수는 통상적으로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이다. 상기 R1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헤니코실기, 도코실기, 트리코실기, 테트라코실기, 트리아콘틸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및 이들 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원자 및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에폭시기, 글리시독시기, 카르복실기 등의 치환기 중 하나 또는 양자로 치환한 1가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전체 R1 중의 탄소 원자수 6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5 몰% 미만(0 몰% 이상 5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몰% 이하(0 내지 2 몰%)이다. 상기 비율이 5 몰% 이상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상기 R2의 탄소 원자수는 통상적으로 2 내지 6이다. 상기 R2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지만, 공업적으로는 비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의 함유량은,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전체 실록산 단위(이하, "분자 비말단 부분의 전체 실록산 단위"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90 몰% 이상(90 내지 10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95 내지 100 몰%)이다. 상기 함유량이 90 몰% 미만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A)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실록산 단위(이하, "분자 비말단 부분의 실록산 단위"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중,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 이외의 실록산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R11 2SiO2/2 단위, R1R2SiO2 /2 단위, R2 2SiO2 /2 단위, R1SiO3 /2 단위, R2SiO3 /2 단위, SiO4 /2 단위(이들 화학식에서 R11은 지방족 불포화기 이외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탄소 원자수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1 및 R2는 상기한 바와 같음)를 들 수 있다.
상기 R11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R1의 구체예로부터 비치환된 메틸기 및 치환된 메틸기를 제외한 나머지 1가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A)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 이외의 분자 비말단 부분의 실록산 단위의 함유량은, 분자 비말단 부분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10 몰% 이하(0 내지 1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0 내지 5 몰%)이다. 상기 함유량이 10 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특히 R1SiO3 /2 단위, R2SiO3/2 단위(식 중, R1 및 R2는 상기한 바와 같음) 및 SiO4 /2 단위 중 적어도 1종의 함유량이 많으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이들 실록산 단위의 함유량은 합계로 분자 비말단 부분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2 몰% 이하(0 내지 2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R1 3SiO1 /2 단위, R1 2R2SiO1 /2 단위, R1R2 2SiO1 /2 단위, R2 3SiO1 /2 단위(이들 화학식 중, R1 및 R2는 상기한 바와 같음)를 들 수 있다.
(A)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분자량은 5,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00 이상이다. 상기 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한편, 상기 분자량은 2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이 200,000 이하이면, (A) 성분은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입경 분포가 좁은 실리콘 미립자를 얻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A1)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은 0.04 mol/100 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mol/100 g 이하이다. 또한, (A2)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은 0.06 mol/100 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4 mol/100 g 이하이다. (A1) 성분에서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이 0.04 mol/100 g을 초과하는 경우, (A2) 성분에서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이 0.06 mol/100 g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이들 둘 다인 경우,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용상 (A1) 성분에서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이 예를 들면 0.001 mol/100 g 이상일 수 있으며, (A2) 성분에서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양이 예를 들면 0.0015 mol/100 g 이상일 수 있다.
ㆍ(B) 성분
(B) 성분은 1 분자 중에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이하, "SiH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며, 상기한 (B1) 성분, (B2) 성분 또는 (B1) 성분과 (B2) 성분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B1) 성분 및 (B2) 성분 각각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c 및 d는 바람직하게는 0<c≤2.295, 0.005≤d≤2.3 및 0.5≤c+d≤2.3을 만족하는 양수이다.
상기 R3의 탄소 원자수는 통상적으로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이다. 상기 R3으로서는 R1과 동일한 것이 예시된다.
전체 R3 중의 탄소 원자수 6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5 몰% 미만(0 몰% 이상 5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몰% 이하(0 내지 2 몰%)이다. 상기 비율이 5 몰% 이상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B) 성분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서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의 함유량은,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90 몰% 이상(90 내지 10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95 내지 100 몰%)이다. 상기 함유량이 90 몰% 미만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B) 성분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서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 이외의 분자 비말단 부분의 실록산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R31 2SiO2/2 단위, R3HSiO2 /2 단위, H2SiO2 /2 단위, R3SiO3 /2 단위, HSiO3 /2 단위, SiO4 /2 단위(이들 화학식에서 R31은 지방족 불포화기 이외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탄소 원자수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3은 상기한 바와 같음)를 들 수 있다.
상기 R31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R1의 구체예로부터 비치환된 메틸기 및 치환된 메틸기를 제외한 나머지 1가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B) 성분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서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 이외의 분자 비말단 부분의 실록산 단위의 함유량은, 분자 비말단 부분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10 몰% 이하(0 내지 1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0 내지 5 몰%)이다. 상기 함유량이 10 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특히 R3SiO3 /2 단위, HSiO3 /2 단위(식 중, R3은 상기한 바와 같음) 및 SiO4 /2 단위 중 적어도 1종의 함유량이 많으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이들 실록산 단위의 함유량은 합계로 분자 비말단 부분의 전체 실록산 단위의 2 몰% 이하(0 내지 2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서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R3 3SiO1 /2 단위, R3 2HSiO1 /2 단위, R3H2SiO1 /2 단위, H3SiO1 /2 단위(이들 화학식 중, R3은 상기한 바와 같음)를 들 수 있다.
(B) 성분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분자량은 5,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00 이상이다. 상기 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한편, 상기 분자량은 2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이 200,000 이하이면, (B) 성분은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입경 분포가 좁은 실리콘 미립자를 얻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B1) 성분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서 SiH기의 양은 0.04 mol/100 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mol/100 g 이하이다. 또한, (B2) 성분의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서 SiH기의 양은 0.06 mol/100 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4 mol/100 g 이하이다. (B1) 성분에서 SiH기의 양이 0.04 mol/100 g을 초과하는 경우, (B2) 성분에서 SiH기의 양이 0.06 mol/100 g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이들 둘 다인 경우,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저하되기 쉽다. SiH기의 양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용상 (B1) 성분에서 SiH기의 양이 예를 들면 0.001 mol/100 g 이상일 수 있으며, (B2) 성분에서 SiH기의 양이 예를 들면 0.0015 mol/100 g 이상일 수 있다.
(A) 성분이 (A1) 성분일 때, (B) 성분은 (B2) 성분 또는 (B1) 성분과 (B2) 성분의 조합이다. 즉, (A) 성분이 (A1) 성분이고, (B) 성분이 (B1) 성분인 조합은,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얻기 위한 (A) 성분과 (B) 성분의 조합으로부터 제외된다. 얻어지는 엘라스토머 경화물이 끈적임이 있는 것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B) 성분의 배합량은 (A) 성분 중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에 대하여 본 (B) 성분 중의 SiH기의 개수가 0.5 내지 2개가 되는 양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개가 되는 양이다. SiH기의 개수가 0.5개 미만이 되는 양 또는 2개보다 많아지는 양의 (B) 성분을 액상 실리콘 조성물에 배합하면, 얻어지는 엘라스토머 경화물은 끈적임이 있는 것이 되기 쉽고, 반응 활성이 지나치게 높아지기 쉽다.
ㆍ(C) 성분
(C) 성분의 백금족 금속계 촉매는, 상기 (A) 성분 중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와 (B) 성분 중의 SiH기의 부가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이다. (C)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C) 성분으로서는 히드로실릴화 반응에 사용되는 주지된 촉매를 들 수 있으며, 그의 구체예로서는 백금(백금흑을 포함함), 로듐, 팔라듐 등의 백금족 금속 단체; H2PtCl4ㆍkH2O, H2PtCl6ㆍkH2O, NaHPtCl6ㆍkH2O, KHPtCl6ㆍkH2O, Na2PtCl6ㆍkH2O, K2PtCl4ㆍkH2O, PtCl4ㆍkH2O, PtCl2, Na2HPtCl4ㆍkH2O(단, 식 중 k는 O 내지 6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 또는 6임) 등의 염화백금, 염화백금산 및 염화백금산염;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USP3,220,972 참조); 염화백금산과 올레핀의 착물(complex)(USP3,159,601, USP3,159,662, USP3,775,452 참조); 백금흑, 팔라듐 등의 백금족 금속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등의 담체에 담지시킨 것; 로듐-올레핀착물; 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로듐(윌킨슨 촉매); 염화백금, 염화백금산 또는 염화백금산염과 비닐기 함유 실록산, 특히 비닐기 함유 환상 실록산의 착물 등을 들 수 있다.
(C) 성분의 배합량은 히드로실릴화 반응 촉매로서의 유효량일 수 있으며, 조성물의 합계량에 대한 (C) 성분 중의 백금족 금속의 양이 질량 환산으로 통상적으로 0.1 내지 500 ppm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0 ppm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ppm 정도가 되는 양이다.
ㆍ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제조 방법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분산액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혼합 용해물에 계면활성제와 물을 첨가하고, 유화를 행하여 에멀션으로 만든 후에 백금족 금속계 촉매를 첨가하여 부가 반응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A) 성분을 들 수 있고,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B) 성분을 들 수 있고, 백금족 금속계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C) 성분을 들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N-아실타우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모노알킬술포숙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포숙신산염, 지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알케닐숙신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스티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방향족 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카르복실산 고분자, 스티렌옥시알킬렌산 무수물 공중합체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디메틸암모늄염,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메틸암모늄염,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암모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모노알킬아민염, 모노알킬아미드아민염,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디메틸카르복시베타인, 알킬아미드프로필디메틸카르복시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지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병용할 수는 없다.
유화를 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유화 분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는 호모 디스퍼 등의 고속 회전 원심 방사형 교반기; 호모 믹서 등의 고속 회전 전단형 교반기; 균질기 등의 고압 분사식 유화 분산기; 콜로이드밀; 초음파 유화기 등을 들 수 있다.
백금족 금속계 촉매는, 물에 대한 분산성이 악화된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에 용해된 상태로 에멀션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것을 들 수 있다.
부가 반응은 실온에서 행할 수도 있지만, 반응이 완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100 ℃ 미만의 가열하에 행할 수도 있다.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양은 상술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5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질량부이다.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양이 0.5 질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응집성이 강하고, 유동성, 분산성, 보송보송함, 매끄러움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25 질량부보다 많으면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유연한 감촉이 부족해지고,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의 흡수량이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에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표면은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에 의해 간극 없이 피복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면이 간극 없이 피복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는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을 흡수할 수 없게 된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폴리메틸실록산을 통과시키는 간극이 있는 상태로 상기 표면이 피복된 실리콘 미립자를 얻을 수 있다.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R4SiO3 /2(식 중,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1가 탄화수소기임)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R4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등의 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톨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및 이들 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원자 및 아미노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에폭시기, 글리시독시기, 머캅토기, 카르복실기 등의 치환기 중 하나 또는 양자로 치환한 1가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실리콘 미립자를 얻기 위해서는,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에서 전체 R4의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50 내지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70 내지 10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80 내지 100 몰%)이 메틸기이다.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은,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의 보송보송함,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 부드러운 감촉, 비응집성, 분산성 등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R4SiO3 /2 단위 이외에 R4 2SiO2 /2 단위, R4 3SiO1 /2 단위 및 SiO4 /2 단위(식 중, R4는 상기한 바와 같음)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에서 R4SiO3 /2 단위의 함유율은, 전체 실록산 단위 중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몰%이다.
(제조 방법)
입자의 표면에 다른 재료를 피복하는 것은 입자의 복합화 기술에 속하는 것이며, 이것에는 많은 방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를 제조하는 경우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의 효과, 즉 양호한 사용감 및 번들거림 방지 효과 등의 발현을 방해하지 않는 한, 공지된 피복 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가 되는 입자(이하, "코어 입자"라고 함)와 그 표면을 피복하는 입자(이하, "피복재 입자"라고 함)를 건식 혼합함으로써 코어 입자의 표면에 피복재 입자를 부착시키는 방법, 또는 충격력, 압축력, 마찰력 및 전단력 등을 가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코어 입자의 표면에 피복재 입자를 물리적, 화학적 또는 기계 화학적으로 고정화 또는 막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코어 입자인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의 응집성이 강한 경우, 그 표면에 건식 혼합에 의해 피복재 입자를 얇고 균일하게 부착시키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의 탄성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입자에 충격력, 압축력, 마찰력 및 전단력 등을 가하여도 그 표면에 피복재 입자를 고정화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코어 입자와 피복재 입자의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여 피복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에서 토출액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응집된 입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방법 이외에 특허문헌 2에 게재되어 있는 코어 입자의 분산액 중, 그 입자 표면에 피복재 입자를 물리 화학적으로 고정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간의 화학적 조성 및 형태에서의 개체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수매체 중 부피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0 ㎛인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와 알칼리성 물질의 존재하에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ㆍ축합시키고,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표면을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수매체,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알칼리성 물질 및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은 동시에 첨가할 수도 있고, 시간적으로 겹치지 않게 하여 첨가할 수도 있지만, 반응성의 관점에서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에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선 수매체와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을 혼합하여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시키고, 이어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첨가하고, 그 후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축합 반응시키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물질은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촉매로서 작용한다. 알칼리성 물질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알칼리성 물질은 그대로 첨가할 수도 있고, 알칼리성 수용액으로서 첨가할 수도 있다. 알칼리성 물질의 첨가량은, 상기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의 pH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0,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5의 범위가 되는 양이다. 상기 pH가 10.0 내지 13.0이 되는 양의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면,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의 진행 및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에 의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표면의 피복이 특히 충분해진다.
알칼리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수산화물;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암모니아;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등의 테트라알킬암모늄히드록시드; 또는 모노메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모노프로필아민, 모노부틸아민, 모노펜틸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휘발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의 분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암모니아가 가장 적합하다. 암모니아로서는, 시판되어 있는 암모니아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R4Si(OR5)3(식 중, R4는 상기한 바와 같고, R5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1가 탄화수소기임)으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R5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를 들 수 있지만, 반응성의 면에서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 중에 R4 2SiO2 /2 단위, R4 3SiO1 /2 단위 및 SiO4 /2 단위 중 적어도 1종을 추가로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에 대응하는 R4 2Si(OR5)2, R4 3SiOR5 및 Si(OR5)4 중 적어도 1종을 첨가할 수 있다(이들 화학식에서 R4 및 R5는 상기한 바와 같음).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원료로서 R4Si(OR5)3과 R4 2Si(OR5)2, R4 3SiOR5 및 Si(OR5)4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경우(이들 화학식에서 R4 및 R5는 상기한 바와 같음), R4Si(OR5)3의 함유율은 전체 원료 중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몰%이다.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의 첨가량은, 상기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양이 0.5 내지 25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질량부의 범위가 되는 양으로 한다.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의 첨가는, 프로펠라 날개, 평판 날개 등의 통상적인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은 1회에 첨가할 수도 있지만,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을 첨가하면서 알칼리성 물질에 의한 축합 반응을 진행시키는 방법의 경우에는 시간을 들여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의 가수분해 반응을 행하고, 그 후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축합 반응을 행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축합 반응이 진행되어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표면이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될 때까지 교반을 정지하여 정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의 온도는 0 내지 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 ℃의 범위이다. 상기 온도가 0 내지 60 ℃이면, 보다 양호한 상태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표면을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할 수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표면이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된 후,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 반응 혼합물을 40 내지 100 ℃ 정도로 가열할 수도 있다.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의 수분산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의 제거는, 예를 들면 반응 후의 수분산액을 상압하 또는 감압하에 가열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분산액을 가열하에 정치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분산액을 가열하에 교반 유동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스프레이 드라이어와 같이 열풍 기류 중에 분산액을 분무, 분산시키는 방법, 유동 열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조작의 전처리로서 가열 탈수, 여과 분리, 원심 분리, 기울여 따르기(decantation) 등의 방법으로 분산액을 농축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분산액을 물로 세정할 수도 있다.
반응 후의 수분산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 생성물이 응집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트밀, 볼밀, 해머밀 등의 분쇄기로 해쇄함으로써 실리콘 미립자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계 유성 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지만, 특히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유성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실리콘계 유성 성분은 고체상, 반고체상 및 액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실리콘계 유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실리콘 수지, 실리콘 왁스 및 실리콘계 겔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카프리릴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헥실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저점도 내지 고점도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 형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 형상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 형상의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검 또는 고무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환상 실록산 용액(예를 들면, 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KF-7312J 등); 스테아록시 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장쇄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구체예로서는, 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실리콘계 유화제: KF-6011, 6043, 6028, 6038, 6100, 6104, 6105 등을 들 수 있음).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글리세린 변성 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을 다른 유성 성분과 공존시킨 상태(예를 들면, 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KSG 시리즈; KSG-210, 710, 310, 320, 330, 340, 320Z, 350Z, 810, 820, 830, 840, 820Z, 850Z 등)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실리콘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구체예로서는, 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KP-545 등을 들 수 있음).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카르복실산 등의 음이온 부분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리콘 수지는 R8 3SiO0 .5 단위와 SiO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8 3SiO0.5 단위와 R8 2SiO 단위와 SiO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8 3SiO0 .5 단위와 R8SiO1 .5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8 3SiO0 .5 단위와 R8 2SiO 단위와 R8SiO1 .5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및 R8 3SiO0 .5 단위, R8 2SiO 단위, R8SiO1 .5 단위 및 SiO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실리콘 메쉬형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의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폴리글리세린 부분, 플루오로알킬 부분, 아미노 부분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실리콘 메쉬형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크릴 실리콘 수지, 실리콘 메쉬형 화합물 등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질량%이다.
실리콘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실리콘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아크릴 실리콘 왁스를 들 수 있다(구체예로서는, 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KP-561P, 562P 등을 들 수 있음).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카르복실산 등의 음이온 부분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왁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리콘 왁스는, 5원환 이상의 락톤 화합물의 개환 중합물인 폴리락톤을 결합시킨 폴리락톤 변성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 왁스는, α-올레핀과 디엔을 포함하는 불포화기를 갖는 올레핀 왁스와 한 분자 중 1개 이상의 SiH 결합을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실리콘 변성 올레핀 왁스이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의 탄소 원자수 2 내지 12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엔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1,4-헥사디엔, 비닐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이 바람직하다. SiH 결합을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는 직쇄상 구조인 것, 실록산 분지형 구조인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겔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변성의 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실리콘 분지형 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비변성 또는 변성의 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겔화 성분과, 시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티콘, 미네랄 오일, 이소도데칸, 트리옥타노인, 스쿠알란 등의 다양한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겔 혼합물에는, 상기 겔화 성분과 상기 오일 성분이 공존하는 상태로 포함된다. 상기 겔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의 KSG 시리즈(상품명), 특히 KSG-15, 16, 41, 42, 43, 44, 042Z, 045Z(모두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 실리콘계 유성 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8 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성 겔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를 그대로 화장료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도 있지만, 화장료에 요구되는 사용감을 발현시키는 목적을 위해서는 실리콘 미립자 및 상기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성 겔 조성물을 별도로 제조하고, 해당 유성 겔 조성물의 형태로 상기 실리콘 미립자 및 상기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화장료에는 다양한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조합되어 배합되지만, 화장료의 제조 공정에서 실리콘 미립자를 단체로 이들 실리콘계 유성 성분의 혼합물에 첨가한 경우, 실리콘 미립자의 팽윤성은 이 혼합물에 대하여 발현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실리콘계 유성 성분의 배합 조성이 동일하여도, 이들 실리콘계 유성 성분의 일부를 사용하여 미리 실리콘 미립자의 팽윤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화장료에 처방되는 실리콘계 유성 성분 중, 실리콘 미립자의 팽윤을 억제하는 일부의 실리콘계 유성 성분과 실리콘 미립자를 포함하는 유성 겔 조성물을 미리 형성시킴으로써 실리콘 미립자의 팽윤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유성 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파우더리한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충분한 팽윤성을 갖는 실리콘계 유성 성분과 실리콘 미립자를 포함하는 유성 겔 조성물을 미리 형성시킴으로써 실리콘 미립자의 팽윤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유성 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실키한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및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막감을 발현하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유성 겔 조성물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에 의해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구조화된 상태에 있다.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구조화된 상태"란,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경화, 겔화, 페이스트화되거나 또는 단순히 증점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에 의해 구조화된 실리콘계 유성 성분은,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상기 실리콘 미립자로부터 흘러나오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에 의해 겔화 또는 페이스트화된 실리콘계 유성 성분은 점도가 증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화, 겔화, 페이스트화되거나 또는 단순히 증점된 상태는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액상인 온도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리콘계 유성 성분은 상온에서 액상, 반고체상 및 고체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즉,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상온에서 반고체상 또는 고체상이어도 임의 온도로의 가열에 의해 액상화할 수 있는 실리콘계 유성 성분(예를 들면, 실리콘 변성 왁스 등)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에 의해 경화, 겔화, 페이스트화시키거나 또는 단순히 증점시킬 수 있다.
유성 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상온에서 액상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와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교반 혼합함으로써 유성 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교반 혼합에 의해 실리콘계 유성 성분 중에 실리콘 미립자가 분산되고, 그와 함께 실리콘 미립자가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흡수하여 유동성이 부족한 상태, 즉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 구조화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온에서 고체상 또는 반고체상인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와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해당 실리콘계 유성 성분을 액상화할 수 있는 온도하에 교반 혼합함으로써 유성 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교반은 특별히 고전단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실리콘계 유성 성분 중에 실리콘 미립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는 정도의 힘으로 행할 수 있다. 교반기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펠라 날개, 평판 날개, 앵커 믹서, 플라네터리 믹서, 혼련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유성 겔 조성물 중의 실리콘 미립자와 실리콘계 유성 성분의 비율은, 질량비로 5/95 내지 90/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성 겔 조성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 유성 겔 조성물의 배합량은 상기 화장품 전체의 1.1 내지 98.1 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담체]
본 발명의 화장료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유성 겔 조성물을 상기 담체와 혼합한 상태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담체란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상기 실리콘계 유성 성분이며 상기 유성 겔 조성물과 혼합 가능한 성분, 및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상기 실리콘계 유성 성분 이외의 성분이며 상기 유성 겔 조성물과 혼합 가능한 성분을 의미한다.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상기 실리콘계 유성 성분 이외의 성분이며 상기 유성 겔 조성물과 혼합 가능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a) 유제, (b) 물, (c)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d)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 (e) 상기 실리콘 미립자 이외의 입자, (f) 계면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를 들 수 있다.
((a) 유제)
(a) 성분의 유제는, 고체상, 반고체상 및 액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상기 유제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알코올, 에테르류, 에스테르유, 글리세라이드유 및 불소계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랍, 들깨유, 올리브유, 카카오 버터, 케이폭 왁스, 비자나무유, 카르나우바 왁스, 간유, 칸데릴라 왁스, 정제 칸데릴라 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 우지, 행인유, 경랍, 경화유, 소맥 배아유, 호마유, 미배아유, 미강유, 사탕수수 왁스, 애기동백유, 홍화유, 시어 버터, 오동유, 시나몬유, 호호바 왁스, 스쿠알란, 스쿠알렌, 셸락 왁스, 거북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돈지, 유채씨유, 일본 동유(tung oil), 쌀겨 왁스, 배아유, 마지, 퍼식 오일,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 왁스,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밀랍, 밍크유, 메도우폼 오일, 면실유, 면랍, 목랍, 목랍 핵유, 몬탄 왁스, 야자유, 경화 야자유, 트리야자유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코올,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알코올,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알코올 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유를 들 수 있으며, 휘발성의 탄화수소유일 수도 있고, 비휘발성의 탄화수소유일 수도 있다. 탄화수소유의 구체예로서는,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렌, 유동 이소파라핀, 경질 이소파라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이소도데칸,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이소헥사데칸, 유동 파라핀, 프리스탄, α-올레핀 올리고머,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ㆍ폴리프로필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부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미소 결정질 왁스, 바셀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가 바람직하게는 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인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 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알킬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또는 카프리릴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알킬에테르; 글리세린의 모노, 디 또는 트리알킬에테르; 이소노닐 알코올, 카프리릴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의 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면 숙신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세박산디옥틸, 세박산디부틸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시트르산트리에틸,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옥탄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올레산펜타에리트리톨,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팔미트산세틸, 팔미트산이소세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부틸, 스테아르산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산데실,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라우로일글루탐산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라이드유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미리스트산)디글리세릴,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제로서는,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의 유제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에 의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8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b) 물)
(b) 성분의 물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에 의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5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c)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c) 성분의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탄소 원자수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인 저급 알코올(저급 1가 알코올); 소르비톨, 말토오스 등의 당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의 스테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c) 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98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d)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
(d) 성분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갈락탄, 카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킨스 시드(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소맥 등), 조류 콜로이드(algae colloid), 트랜트검(trant gum), 로커스트빈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화합물; 크산탄 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화합물;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화합물;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염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중합체 등의 다른 합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d) 성분으로서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피막 형성제도 예시된다. (d)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e) 상기 실리콘 미립자 이외의 입자)
(e) 성분의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 실리콘 수지 입자 등의 상기 실리콘 미립자 이외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운모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벽개(壁開) 탈크, 마이커, 카올린, 견운모, 백운모, 합성 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규산, 이산화규소, 퓸드 실리카, 함수 이산화규소,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하이길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유리 등을 포함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안료계의 무기 미립자를 들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보라색계 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불용화한 것, 천연 색소를 불용화한 것 등의 유색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탈크, 어린박(魚鱗箔), 산화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의 펄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은 등을 포함하는 금속 미립자도 들 수 있다.
유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산ㆍ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스티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비닐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 셀룰로오스, 실크, 나일론,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금속 비누)를 들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계 색소를 들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주황색 201호, 주황색 203호, 주황색 204호, 주황색 206호, 주황색 207호 등의 타르 색소; 카르민산, 락카인산, 카르타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의 천연 색소를 들 수 있다.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화장품에 범용의 무기 분체 표면이 공지 공용의 방법에 의해 유기 분체로 피복된 복합 분체를 들 수 있다.
실리콘 수지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상기 실리콘 미립자 이외의 입자로서는, 입자 표면을 카프릴실란(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AES-3083) 등의 실란류 또는 실릴화제, 디메틸실리콘(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KF-96AK 시리즈), 메틸하이드로젠형 폴리실록산(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KF-99P, KF-9901 등), 실리콘 분지형 실리콘 처리제(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 KF-9908, KF-9909 등) 등의 실리콘 오일, 왁스류, 파라핀류,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염 등의 유기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N-아실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미리스트산마그네슘 등의 금속 비누 등으로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f)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 이온성의 계면활성제로 분류되지만, (f) 성분의 계면활성제로서는 상기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예시된다.
(기타 첨가제)
기타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용성 겔화제, 제한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 산란제, 보습제, 항균 방부제, 향료, 염류,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 미용용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 수렴제, 항지누제(抗脂漏劑)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모발용 고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아연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 비누; N-라우로일-L-글루탐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 팔미트산에스테르, 덱스트린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덱스트린 2-에틸헥산산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럭토 올리고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프럭토 올리고당 2-에틸헥산산에스테르 등의 프럭토 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등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제한제로서는,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세스퀴클로로하이드레이트, 지르코닐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우로칸산에틸 등의 우로칸산계 자외선 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 메탄계 자외선 흡수제;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트리아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 산란제로서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철 함유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세륨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입자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입자를 미리 유제에 분산시킨 분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루코오스, 크실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 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항균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제로서는,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브산,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즈알코늄, 염화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천연 향료 및 합성 향료를 들 수 있다. 천연 향료로서는 꽃, 잎, 목재, 과피 등으로부터 분리한 식물성 향료; 머스크, 시빗(civet) 등의 동물성 향료를 들 수 있다. 합성 향료로서는 모노테르펜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르펜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환식 케톤 등의 케톤류; 테르펜계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락톤류; 페놀류; 옥사이드류; 질소 함유 화합물류; 아세탈류 등을 들 수 있다.
염류로서는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류의 염을 들 수 있다. 아민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에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 나아가서는 화장품 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 p-t-부틸페놀,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피트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락트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dl-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청량제로서는, L-멘톨, 캄포르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제로서는,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글리시레틴산 및 글리시레틴산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줄렌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미용용 성분으로서는, 태반 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호이초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유우 혈액 추출액 등의 세포 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 팅크, 익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시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 수렴제; 황, 티안톨 등의 항지누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플라빈 아데닌 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B6류, 비타민 B12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15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비타민 H, 비타민 P,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 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류로서는, 글리신,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을 들 수 있다.
핵산으로서는, 디옥시리보 핵산 등을 들 수 있다.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포접 화합물로서는,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모발용 고정화제로서는, 양쪽 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의 각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알킬하프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산성 비닐 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등의 산성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산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ㆍ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양쪽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유도체, 케라틴 또는 그의 유도체, 콜라겐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천연 유래 고분자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 중에서 농도 및 함유율을 나타내는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또한,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란 (A) 성분 또는 (B) 성분에 해당하는 폴리실록산에서 분자 말단의 실록산 단위 이외의 전체 실록산 단위에 대해 차지하는 화학식: -(CH3)2SiO-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의 비율(몰%)을 말한다.
〔제조예 1〕 실리콘 미립자-1의 제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100 몰%, 분자량이 13,524, 비닐기량이 0.015 mol/100 g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350 g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98.7 몰%, 분자량이 11,369, SiH기량이 0.035 mol/100 g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160 g(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중의 비닐기 1개에 대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중의 SiH기가 1.07개가 되는 배합량)을 용량 1 리터의 유리 비커에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2,000 rpm으로 교반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에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9 몰) 1.2 g과 물 100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6,000 rpm으로 교반한 바, O/W형 에멀션이 되었으며, 증점이 관찰되었다. 추가로 15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어서, 2,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물 385 g을 첨가한 바, 균일한 백색 에멀션이 얻어졌다. 이 에멀션을 닻형(anchor)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 장치가 장착된 용량 1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옮기고, 15 내지 20 ℃로 온도 조정한 후, 교반하에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0.8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4 몰) 1.5 g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23 몰) 1.5 g의 혼합 용해물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에 대하여 형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구상이었으며, 부피 평균 입경을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멀티사이저 3"(상품명, 베크맨ㆍ콜터(주)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 882 g을 닻형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 장치가 장착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옮기고, 물 2003 g 및 28 % 암모니아수 57 g을 첨가하였다. 이 때의 액체의 pH는 11.2였다. 5 내지 10 ℃로 온도 조정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8 g(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 6.3 질량부가 되는 양)을 25분에 걸쳐서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이 때, 액체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55 내지 60 ℃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액을 가압 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 탈수하였다. 탈수물을 스테인리스의 트레이에 옮기고, 열풍 순환 건조기 중에서 105 ℃의 온도에서 건조하고, 건조물을 제트밀로 해쇄하여 유동성이 있는 미립자를 얻었다. 이 미립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입자 표면이 입경 약 100 nm인 입상 형상물로 피복된 구상 입자였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실리콘 미립자가 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물에 분산시키고, 부피 평균 입경을 "멀티사이저 3"을 사용하여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를 실리콘 미립자-1이라고 부른다.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및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제조하는 데 사용한 각 성분의 질량에 따른 비율로 혼합하고, 두께가 10 mm가 되도록 알루미늄 샬레에 유입시켰다. 25 ℃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50 ℃의 항온조 내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여 끈적임이 없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경도를 JIS K 6253에 규정된 타입 A 듀로미터로 측정한 바, 22였다.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및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제조하는 데 사용한 각 성분의 질량에 따른 비율로 혼합하고, 두께가 약 1 mm가 되도록 테플론(등록 상표) 트레이에 유입시켰다. 25 ℃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50 ℃의 항온조 내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네 변 약 30 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얻고, 이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한 후, 표 1에 나타낸 폴리메틸실록산에 상기 시험편을 24 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이에 따라, 시험편은 폴리메틸실록산을 흡수하여 팽윤되었다. 폴리메틸실록산으로부터 시험편을 취출하고, 그 표면의 폴리메틸실록산을 티슈로 닦아낸 후, 상기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시트가 흡수한 폴리메틸실록산의 양(흡유량)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1 g당의 값으로서 나타낸다.
실리콘 미립자-1 5.0 g 및 표 1에 나타낸 폴리메틸실록산 50 g을 100 ml 유리병에 넣어 30분간 진탕한 후, 3일간 실온에서 정치 보존하였다. 가압 여과에 의해 고액 분리하고, 케이크상의 고형분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실리콘 미립자 5 g당의 흡유량을 수학식: 〔고액 분리 후의 고형분의 질량(g)〕-5.0(g)에 의해 계산한 값으로서 나타낸다.
〔제조예 2〕 실리콘 미립자-2의 제조
제조예 1에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의 배합량을 350 g으로부터 270 g으로 변경하고,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160 g 대신에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99.3 몰%, 분자량이 22,484, SiH기량이 0.018 mol/100 g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2 240 g(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중의 비닐기 1개에 대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2 중의 SiH기가 1.07개가 되는 배합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에 대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형상을 관찰한 바, 구상이었으며,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 882 g을 원료로서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및 수분의 제거를 행함으로써, 유동성이 있는 미립자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물 2003 g 및 28 % 암모니아수 57 g을 첨가했을 때의 액체의 pH는 11.2였으며,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양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6.3 질량부였다. 얻어진 미립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입자 표면이 입경 약 100 nm인 입상 형상물로 피복된 구상 입자였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실리콘 미립자가 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 실리콘 미립자를 물에 분산시키고,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를 실리콘 미립자-2라고 부른다.
제조예 1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끈적임이 없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경도를 JIS K 6253에 규정된 타입 A 듀로미터로 측정한 바, 20이었다.
제조예 1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시트를 얻고, 이 시트의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1 g당의 값으로서 나타낸다.
실리콘 미립자-2 5.0 g에 대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수학식: 〔고액 분리 후의 고형분의 질량(g)〕-5.0(g)에 의해 계산한 값으로서 나타낸다.
〔제조예 3〕 실리콘 미립자-3의 제조
제조예 1에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350 g 대신에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98.9 몰%, 분자량이 13,696, 비닐기량이 0.029 mol/100 g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2 170 g을 사용하고,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160 g 대신에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100 몰%, 분자량이 14,954, SiH기량이 0.013 mol/100 g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3 340 g(메틸비닐폴리실록산 A2 중의 비닐기 1개에 대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3 중의 SiH기가 0.90개가 되는 배합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에 대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형상을 관찰한 바, 구상이었으며,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1 ㎛였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 882 g을 원료로서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및 수분의 제거를 행함으로써, 유동성이 있는 미립자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물 2003 g 및 28 % 암모니아수 57 g을 첨가했을 때의 액체의 pH는 11.2였으며,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양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6.3 질량부였다. 얻어진 미립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입자 표면이 입경 약 100 nm인 입상 형상물로 피복된 구상 입자였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실리콘 미립자가 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 실리콘 미립자를 물에 분산시키고,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1 ㎛였다.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를 실리콘 미립자-3이라고 부른다.
제조예 1에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대신에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2를 사용하고,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끈적임이 없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경도를 JIS K 6253에 규정된 타입 A 듀로미터로 측정한 바, 22였다.
제조예 1에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대신에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2를 사용하고,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시트를 얻고, 이 시트의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1 g당의 값으로서 나타낸다.
실리콘 미립자-3 5.0 g에 대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수학식: 〔고액 분리 후의 고형분의 질량(g)〕-5.0(g)에 의해 계산한 값으로서 나타낸다.
〔비교 제조예 1〕 실리콘 미립자-4의 제조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500 g과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75 몰%, 분자량이 2,393, SiH기량이 0.418 mol/100 g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 19 g(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중의 비닐기 1개에 대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 중의 SiH기가 1.06개가 되는 배합량)을 용량 1 리터의 유리 비커에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2,000 rpm으로 교반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에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9 몰) 1.2 g과 물 100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6,000 rpm으로 교반한 바, O/W형 에멀션이 되었으며, 증점이 관찰되었다. 추가로 15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어서, 2,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물 377 g을 첨가한 바, 균일한 백색 에멀션이 얻어졌다. 이 에멀션을 닻형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 장치가 장착된 용량 1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옮기고, 15 내지 20 ℃로 온도 조정한 후, 교반하에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 0.8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9 몰) 1.8 g의 혼합 용해물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에 대하여 형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구상이었으며, 부피 평균 입경을 "멀티사이저 3"을 사용하여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 1155 g을 닻형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 장치가 장착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옮기고, 물 1734 g 및 28 % 암모니아수 60 g을 첨가하였다. 이 때의 액체의 pH는 11.3이었다. 5 내지 10 ℃로 온도 조정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1 g(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 4.2 질량부가 되는 양)을 20분에 걸쳐서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이 때, 액체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55 내지 60 ℃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액으로부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유동성이 있는 미립자를 얻었다. 이 미립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입자 표면이 입경 약 100 nm인 입상 형상물로 피복된 구상 입자였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실리콘 미립자가 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 실리콘 미립자를 물에 분산시키고,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를 실리콘 미립자-4라고 부른다.
제조예 1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끈적임이 없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경도를 JIS K 6253에 규정된 타입 A 듀로미터로 측정한 바, 29였다.
제조예 1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시트를 얻고, 이 시트의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1 g당의 값으로서 나타낸다.
실리콘 미립자-4 5.0 g에 대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수학식: 〔고액 분리 후의 고형분의 질량(g)〕-5.0(g)에 의해 계산한 값으로서 나타낸다.
〔비교 제조예 2〕 실리콘 미립자-5의 제조
비교 제조예 1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 19 g 대신에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66.7 몰%, 분자량이 10,577, SiH기량이 0.473 mol/100 g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5 17 g(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중의 비닐기 1개에 대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5 중의 SiH기가 1.07개가 되는 배합량)을 사용하고, 균일한 백색 에멀션을 얻기 직전에 첨가한 물의 양을 377 g으로부터 379 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에 대하여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형상을 관찰한 바, 구상이었으며,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 1161 g을 원료로 하고, 첨가하는 물의 양을 1734 g으로부터 1729 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및 수분의 제거를 행함으로써 유동성이 있는 미립자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물 1729 g 및 28 % 암모니아수 60 g을 첨가했을 때의 액체의 pH는 11.3이었으며,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양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4.2 질량부였다. 얻어진 미립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입자 표면이 입경 약 100 nm인 입상 형상물로 피복된 구상 입자였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실리콘 미립자가 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 실리콘 미립자를 물에 분산시키고,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2 ㎛였다.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를 실리콘 미립자-5라고 부른다.
제조예 1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끈적임이 없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경도를 JIS K 6253에 규정된 타입 A 듀로미터로 측정한 바, 31이었다.
제조예 1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시트를 얻고, 이 시트의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1 g당의 값으로서 나타낸다.
실리콘 미립자-5 5.0 g에 대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수학식: 〔고액 분리 후의 고형분의 질량(g)〕-5.0(g)에 의해 계산한 값으로서 나타낸다.
〔비교 제조예 3〕 실리콘 미립자-6의 제조
비교 제조예 1에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500 g 대신에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디메틸실록산 단위량이 100 몰%, 분자량이 33,531, 비닐기량이 0.006 mol/100 g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3 500 g을 사용하고,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의 배합량을 19 g으로부터 8 g(메틸비닐폴리실록산 A3 중의 비닐기 1개에 대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 중의 SiH기가 1.11개가 되는 배합량)으로 변경하고, 균일한 백색 에멀션을 얻기 직전에 첨가한 물의 양을 377 g으로부터 388 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미립자에 대하여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형상을 관찰한 바, 구상이었으며,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3 ㎛였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의 수분산액 886 g을 원료로 하고, 첨가하는 물의 양을 2003 g으로부터 1999 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및 수분의 제거를 행함으로써 유동성이 있는 미립자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물 1999 g 및 28 % 암모니아수 57 g을 첨가했을 때의 액체의 pH는 11.2였으며,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의 양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6.3 질량부였다. 얻어진 미립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입자 표면이 입경 약 100 nm인 입상 형상물로 피복된 구상 입자였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미립자를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실리콘 미립자가 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 실리콘 미립자를 물에 분산시키고, 부피 평균 입경을 측정한 바, 13 ㎛였다.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를 실리콘 미립자-6이라고 부른다.
제조예 1에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대신에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3을 사용하고,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끈적임이 없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경도를 JIS K 6253에 규정된 타입 A 듀로미터로 측정한 바, 21이었다.
제조예 1에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1 대신에 메틸비닐폴리실록산 A3을 사용하고,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1 대신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시트를 얻고, 이 시트의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1 g당의 값으로서 나타낸다.
실리콘 미립자-6 5.0 g에 대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상기 흡유량을 수학식: 〔고액 분리 후의 고형분의 질량(g)〕-5.0(g)에 의해 계산한 값으로서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는 실리콘유의 흡유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15〕 유성 겔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1,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2 및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3을 사용하여 표 2에 나타낸 조성비(질량%)로 유성 겔 조성물을 제조하고, 표 4에 나타낸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상기 비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4, 상기 비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5 및 상기 비교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6을 사용하여 표 3에 나타낸 조성비(질량%)로 유성 겔 조성물을 제조하고, 표 4에 나타낸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조성비>
표 중의 수치는 조성비(질량%)를 나타낸다.
표 중의 수치는 조성비(질량%)를 나타낸다.
<사용성 평가 기준>
유성 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퍼짐(전연성), 유막감(부착성), 가루 들뜸의 상태(휘발성 유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만 평가; 유성 성분 증산(蒸散) 후의 가루 날림감)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전문 패널리스트 10명에게 평가시켰다. 얻어진 평균점에 대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 판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평균점의 판정:
얻어진 평균점이 4.5점 이상 ◎
얻어진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미만 ××
표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의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15의 조성물에 비해 도포시의 퍼짐의 면에서는 효과가 동등하지만, 도포시의 유막감의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미끈거림을 느끼기 어려워 보송보송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유성 성분 증산 후 가루 들뜸이 없어 미관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내지 18 및 비교예 16〕 스킨 케어 크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1,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2,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3 및 상기 비교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실리콘 미립자-6을 사용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낸 조성비(질량%)로 스킨 케어 크림을 제조하였다.
<처방>
(주 1)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SG-21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KSG-15(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KSG-16(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4) 폴리에테르 변성 분지상 실리콘; KF-6028(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화장료의 제조>
성분 1 내지 10을 비커 중에서 교반ㆍ혼합하였다. 여기에 성분 11 내지 13을 성분 14에 별도로 용해시켜 얻은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ㆍ혼합을 계속하여 스킨 케어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스킨 케어 크림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사용성과 사용감의 평가>
얻어진 스킨 케어 크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퍼짐(전연성), 친화성(부착성ㆍ균질성) 및 사용 후 피부의 유막감(사용 후 피부의 쾌적성)에 대하여, 표 7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20명의 여성 전문 패널리스트에게 평가시켰다. 얻어진 평균점에 대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 판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평균점의 판정:
얻어진 평균점이 4.5점 이상 ◎
얻어진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미만 ××
표 8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6 내지 18의 스킨 케어 크림은 비교예 16의 스킨 케어 크림에 비해 양호한 사용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미립자를 배합함으로써 도포시에는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매우 양호하고, 부착성도 양호하고, 도포 후에는 불쾌한 사용 후 피부의 유막감을 남기지 않는 화장료가 얻어진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19: 파우더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유동 파라핀 2.0
2. 스쿠알란 2.0
3.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20 ㎟/s) 3.0
4. 폴리에틸렌 1.5
5.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마이커 40.0
6. 황산바륨 5.0
7. 금속 비누 처리 산화티탄 9.0
8. 실리콘 미립자-1 6.0
9.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탈크 31.5
10.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헥실디메티콘(주1) 처리 산화철 안료 적량
(주 1)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 KF-9909(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4 내지 10을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교반ㆍ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3을 가열 용해하고, 이것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교반ㆍ혼합하였다.
C: 얻어진 혼합물을 해머밀로 분쇄하고, 소정의 알루미늄팬에 프레스 성형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우더 파운데이션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기름기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 지속력도 매우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0: 수중유형 크림
성분 질량(%)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 1) 10.0
2. 트리옥탄산글리세릴 5.0
3. 실리콘 미립자-2 1.0
4. 디프로필렌글리콜 7.0
5. 글리세린 5.0
6. 메틸셀룰로오스(2 % 수용액)(주 2) 7.0
7.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유화제(주 3) 2.0
8. 방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주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KSG-16(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메틸셀룰로오스; 메톨로오즈 SM-400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유화제; 세피겔 305(SEPIC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4 내지 10을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3을 혼합하고, 이것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교반 유화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수중유형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기름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1: 유중수형 크림
성분 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6.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4.0
3. 스쿠알란 5.0
4.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3.0
5.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3.0
6. 실리콘 미립자-3 2.0
7. 글리세린 10.0
8. 방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2(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7, 8 및 10을 혼합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한 후, 성분 9를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기름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유중수형 크림
성분 질량(%)
1. 알킬 변성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6.0
2. 유동 파라핀 13.5
3. 마카다미아 너트유 5.0
4.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주 2) 0.5
5. 혼성 실리콘 복합 분체(주 3) 3.0
6. 실리콘 미립자-1 2.0
7. 시트르산나트륨 0.2
8. 프로필렌글리콜 8.0
9. 글리세린 3.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주 1) 알킬 변성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SG-31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혼성 실리콘 복합 분체; KSP-10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혼합하였다.
B: 성분 7 내지 10 및 12를 혼합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한 후, 성분 11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기름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3: 유중수형 크림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5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4.0
3.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5.0
4. POE(5)옥틸도데실에테르 1.0
5.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 0.5
6. 실시예 1의 겔 조성물 15.0
7. 유동 파라핀 2.0
8. 마카다미아 너트유 1.0
9. 황금(黃芩) 엑기스(주 2) 1.0
10. 겐티아나 엑기스(주 3) 0.5
11. 에탄올 5.0
12. 1,3-부틸렌글리콜 2.0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황금 엑기스; 50 % 1,3-부틸렌글리콜수로 추출한 것
(주 3) 겐티아나 엑기스; 20 % 에탄올수로 추출한 것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8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3 및 15를 혼합한 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14를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크림은 감촉이 섬세하고, 끈적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퍼짐이 가볍고, 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온도 및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4: 아이 라이너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9.0
2.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3.0
3. 유기 실리콘 수지(주 2) 15.0
4.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3.0
5.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흑산화철 8.0
6. 실리콘 미립자-2 2.0
7. 1,3-부틸렌글리콜 5.0
8. 데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적량
9. 방부제 적량
10.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유기 실리콘 수지; KF-7312J(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고, 성분 5, 6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켰다.
B: 성분 7 내지 10을 혼합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고, 유화하여 아이 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라이너는 퍼짐이 가벼워 그리기 쉽고, 청량감이 있어 산뜻하고,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이었다. 또한,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고, 사용성이나 안정성도 매우 우수하고, 내수성, 내한성(耐汗性)이 우수한 것은 물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5: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45.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15.0
3.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3.5
4.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1.5
5. 실리콘 미립자-3 4.5
6. 아미노산(N-아실글루탐산) 처리 산화철 2.5
7.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헥실디메티콘(주 2) 처리 산화티탄 7.5
8. 디프로필렌글리콜 5.0
9. 파라옥시벤조산메틸에스테르 0.3
10. 향료 적량
11.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 KF-9909(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고, 성분 5 내지 7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 8, 9 및 11을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한 후, 성분 10을 첨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감촉이 섬세할 뿐만 아니라,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기름기가 없고,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고,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6: 아이 섀도우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10.0
3. 폴리에테르 변성 분지상 실리콘(주 1) 2.0
4. PEG(10)라우릴에테르 0.5
5. 실리콘 미립자-1 6.0
6.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무기 착색 안료 적량
7. 염화나트륨 2.0
8. 프로필렌글리콜 8.0
9. 방부제 적량
10. 향료 적량
11.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분지상 실리콘; KF-6028(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고, 성분 5, 6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7 내지 9 및 11을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하고, 성분 10을 첨가하여 아이 섀도우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섀도우는 퍼짐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기름기 및 가루기가 없는 사용감인 것이었다. 또한,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지속력도 양호하여, 화장이 지워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7: 립스틱
성분 질량(%)
1. 칸데릴라 왁스 8.0
2. 폴리에틸렌 왁스 8.0
3. 장쇄 알킬 함유 아크릴 실리콘 수지(주 1) 12.0
4. 메틸페닐폴리실록산(주 2) 3.0
5.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20.0
6.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16.0
7.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28.5
8. 실리콘 미립자-2 1.5
9. 유기 안료 적량
10. 향료 적량
(주 1) 장쇄 알킬 함유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61P(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KF-54(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 및 7의 일부를 가열 혼합, 용해하였다.
B: 성분 8, 9 및 7의 잔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10을 첨가하여 립스틱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립스틱은 퍼짐이 가볍고, 기름기 및 가루기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및 발수성이 양호하고, 지속력도 양호하고,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8: 아이 라이너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6.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5.0
3. 호호바유 2.0
4.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1.0
5.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주 2) 1.0
6. 아크릴 실리콘 수지(주 3) 15.0
7. 실리콘 미립자-1 2.0
8.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흑산화철 18.0
9. 에탄올 5.0
10. 방부제 적량
11.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45(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성분 7, 8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1을 교반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하여 아이 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라이너는 퍼짐이 가볍고, 기름기 및 가루기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지속력도 양호하여, 화장이 지워지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9: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4.5
2.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
3. 스쿠알란 4.0
4.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3.0
5. 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라이드 2.0
6. α-모노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1.0
7.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1.0
8.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주 2) 0.5
9. 디스테아르산알루미늄염 0.2
10. 실시예 6의 겔 조성물 9.0
11.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산화철 안료 적량
12. 글리세린 3.0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가열 혼합하고, 성분 10, 11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 12, 13 및 15를 가열 용해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하고, 냉각하고, 성분 14를 첨가하여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은 점도가 낮고,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기름기가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으며, 화장 지속력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0: 액상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6.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8.0
3.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3.0
4.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0
5. 불소 변성 실리콘(주 1) 15.0
6. 불소 알킬ㆍ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주 2) 5.0
7.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체(주 3) 1.0
8. 실리콘 미립자-1 3.0
9. 실리콘 미립자-4 3.0
10. 아미노산(N-아실글루탐산) 처리 산화철 안료 적량
11. 에탄올 15.0
12. 글리세린 3.0
13. 황산마그네슘 1.0
14. 방부제 적량
15. 향료 적량
16. 정제수 잔량
(주 1) 불소 변성 실리콘; FL-5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불소 알킬ㆍ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FPD-4694(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체; KMP-59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7 내지 10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6을 70 ℃로 가열하고, 혼합하고,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였다.
C: 성분 11 내지 14 및 16을 40 ℃로 가온하고,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유화하고, 냉각하고, 성분 15를 첨가하여 액상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도 가벼울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1: 아이 라이너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2.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2.0
3.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흑산화철 20.0
4. 실시예 15의 겔 조성물 4.0
5. 유기 실리콘 수지(주 1) 10.0
6.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2
7. 호호바유 2.0
8. 벤토나이트 3.0
9.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2) 2.0
10. 에탄올 3.0
11. 1,3-부틸렌글리콜 5.0
12. 방부제 적량
13. 정제수 잔량
(주 1) 유기 실리콘 수지; KF-7312J(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2, 5 내지 9를 혼합하고, 성분 3, 4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켰다.
B: 성분 10 내지 13을 혼합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유화하여 아이 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라이너는 퍼짐이 가벼워 그리기 쉬울 뿐만 아니라, 청량감이 있어 산뜻하고,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이고, 내수성, 내한성도 모두 우수하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온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32: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0
3. 트리옥탄산글리세릴 10.0
4.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4.0
5. 모노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3.0
6. 실시예 6의 겔 조성물 15.0
7.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처리 산화티탄 6.0
8.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산화철 안료 적량
9. 1,3-부틸렌글리콜 7.0
10. 염화나트륨 0.5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혼합 용해하고, 성분 6 내지 8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1 및 13을 혼합한 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유화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12를 첨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도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온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3: 유중수형 타입 제한 화장료
성분 질량(%)
1.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7.0
2.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
3. 트리옥탄산글리세릴 7.0
4. 디프로필렌글리콜 5.0
5. 시트르산나트륨 0.2
6. 알루미늄ㆍ지르코늄테트라클로로하이드레이트 18.0
7. 실리콘 미립자-2 5.0
8. 불소 변성 혼성 실리콘 복합 분체(주 2) 2.0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45.8
(주 1)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SG-21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불소 변성 혼성 실리콘 복합 분체; KSP-20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3을 혼합하였다.
B: 성분 4 내지 10을 혼합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 유화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타입의 제한 화장료는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오일감이 없고, 온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고, 사용성이나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4: 롤온 타입 제한 화장료
성분 질량(%)
1.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20.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10.0
3.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 2) 15.0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0
5. 알루미늄ㆍ지르코늄테트라클로로하이드레이트 20.0
6. 실시예 11의 겔 조성물 20.0
7. 향료 적량
(주 1)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SG-21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KSG-15(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였다.
B: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5 내지 7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롤온 타입의 제한 화장료는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 및 오일감이 없고, 온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없고, 사용성이나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5: 자외선 차단 유액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0
3.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1.0
4.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0.5
5. 트리메틸실록시규산(주 2) 1.0
6.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4.0
7. 실리콘 미립자-3 2.0
8.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6.0
9. 소르비톨 2.0
10. 염화나트륨 2.0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5(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트리메틸실록시규산; X-21-525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가열 혼합하고, 성분 7, 8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1 및 13을 가열 혼합하였다.
C: 교반하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고, 유화하고, 냉각하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자외선 차단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차단 유액은 감촉이 섬세하고, 퍼짐이 가볍고, 끈적임이 없었다. 또한, 화장 지속력이 양호하기 때문에 자외선 방지 효과도 지속될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6: 자외선 방지 크림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1.5
2. 아크릴 실리콘 수지(주 1) 12.0
3. 트리옥탄산글리세릴 5.0
4.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6.0
5.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2) 5.0
6.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주 3) 2.5
7. 실시예 4의 겔 조성물 8.0
8.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15.0
9. 염화나트륨 0.5
10. 1,3-부틸렌글리콜 2.0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주 1)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45(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SG-210(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알킬ㆍ실리콘/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의 일부에 성분 2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하고, 성분 8을 첨가하고, 비드밀로 분산시켰다.
B: 성분 1의 잔부 및 3 내지 7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C: 성분 9 내지 11 및 13을 혼합, 용해하였다.
D: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C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하고,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분산시키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자외선 방지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방지 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도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밀착감이 우수하고,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도 매우 안정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7: 네일 에나멜
성분 질량(%)
1. 아크릴 실리콘 수지(주 1) 45.0
2. 메틸트리메티콘(주 2) 5.0
3. 니트로셀룰로오스 3.0
4. 캄포르 0.5
5.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1.0
6.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0.5
7. 아세트산부틸 30.0
8. 아세트산에틸 10.0
9. 이소프로필 알코올 5.0
10. 실리콘 미립자-3 적량
(주 1)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49(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메틸트리메티콘; TMF-1.5(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7 내지 9를 혼합하고, 여기에 성분 4 내지 6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1 내지 3을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10을 첨가 혼합하여 네일 에나멜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네일 에나멜은 퍼짐이 가볍고, 시각적으로 매끄러움을 제공하고, 내수성, 내유성이 있어 지속력도 양호하고, 손톱에 대한 압박감, 손톱의 황변 및 온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화장막의 변화도 없고, 안정성도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8: 치크 컬러
성분 질량(%)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 1) 28.0
2.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4.5
3.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9.0
4. 스테아로일이눌린 10.0
5. 실리콘 미립자-1 2.0
6. 적색 202호 적량
7.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2) 처리 산화철 적량
8.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2) 처리 산화티탄 적량
9. 토코페롤 적량
10.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2) 처리 운모 티탄 5.0
11.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2) 처리 견운모 11.5
(주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KSG-16(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 KF-9909(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혼합하고, 80 ℃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6 내지 11을 첨가하고, 80 ℃에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치크 컬러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치크 컬러는 스폰지 형상이었으며, 취하기 양호하고, 퍼짐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기름기 및 가루기가 없는 사용감인 것이었다. 또한,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지속력도 양호하여, 화장이 지워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9: 아이 컬러
성분 질량(%)
1.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20.0
2. 스쿠알란 20.0
3. 실리콘 미립자-1 6.0
4. 팔미트산 덱스트린 10.0
5.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 1) 12.0
6. 황산바륨 5.0
7.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 분말 4.5
8.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2) 처리 운모 티탄 13.5
9. 토코페롤 적량
10. 화장품용 유리 박편 분말(주 3) 1.5
11. 화장품용 산화철 피복 유리 박편 분말(주 4) 7.5
(주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KSG-16(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 KF-9909(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화장품용 유리 박편 분말; 유리 박편(닛본 이따가라스(주) 제조)
(주 4) 화장품용 산화철 피복 유리 박편 분말; 메타샤인(닛본 이따가라스(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혼합하고, 90 ℃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6 내지 11을 첨가하고, 90 ℃에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아이 컬러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컬러는 젤리 형상이었으며, 취하기 양호하고, 퍼짐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기름기 및 가루기가 없는 사용감인 것이었다. 또한,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지속력도 양호하여, 화장이 지워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0: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s) 23.0
2. 유기 실리콘 수지(주 1) 10.0
3. 알킬ㆍ실리콘 분지ㆍ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 2) 30.0
4. 실리콘 미립자-1 8.0
5. 스쿠알란 1.0
6. 호호바유 1.0
7.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주 3) 1.0
8. PMMA 구상 분말 2.0
9.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4) 처리 산화철 적량
10.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4) 처리 산화티탄 6.0
11.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10.0
12. 토코페롤 적량
13.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4) 처리 탈크 3.0
14.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주 4) 처리 견운모 5.0
(주 1) 유기 실리콘 수지; KF-7312L(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실리콘 분지ㆍ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KSG-048Z(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KF-56A(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4) 알킬ㆍ실리콘 분지형 실리콘; KF-9909(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의 일부 및 성분 2 내지 8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4를 성분 1의 나머지를 사용하여 롤밀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C: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수플레 형상이었으며, 취하기 양호하고, 퍼짐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기름기 및 가루기가 없는 사용감인 것이었다. 또한,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지속력도 양호하여, 화장이 지워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