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9021B1 -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 Google Patents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021B1
KR101699021B1 KR1020140144186A KR20140144186A KR101699021B1 KR 101699021 B1 KR101699021 B1 KR 101699021B1 KR 1020140144186 A KR1020140144186 A KR 1020140144186A KR 20140144186 A KR20140144186 A KR 20140144186A KR 101699021 B1 KR101699021 B1 KR 10169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utomobile
front door
capsule
doo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7799A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4014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021B1/en
Priority to PCT/KR2014/010201 priority patent/WO2016064012A1/en
Publication of KR2016004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7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2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시계를 확인하는 사이드미러의 기본기능을 유지하면서 일부가 자동차 내부로 인입되어 고속주행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되, 프론트도어를 기준으로 일부가 자동차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장착된 캡슐과, 반사면이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캡슐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면을 통해 빛을 반사시켜 자동차의 후방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목적물의 모양을 비추는 미러; 를 포함하되, 상기 캡슐은 후면부가 자동차의 전방측으로 곡선을 이루고,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미러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for a vehicle,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which can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streamlined structure, a capsul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or inside the front pillar and partial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with respect to the front door, A mirr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sule for reflecting light through the reflection surface and illuminating a shape of an object positioned on the rear or side of the automobile; Wherein the capsule has a body whose rear portion is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and which is mount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or inside the front pillar and in which the mirror is mounted, And a transparen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Description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0001]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0002]

본 발명은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시계를 확인하는 사이드미러의 기본기능을 유지하면서 일부가 자동차 내부로 인입되어 고속주행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for a vehicle,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which can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는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거나, 혹은 후진할 때 자동차의 후방 시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조수석의 프론트도어(Front door)에 각각 돌출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통 사이드뷰미러(side-view mirror), 도어미러(door mirror) 또는 윙미러(wing mirror)라고도 불리어지고 있다. Generally, a side mirror of a vehicle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a front door of a driver's seat and a front passenger's seat so as to easily secure a rear view of a vehicle when the driver wants to change lanes or backs. It is also called a side-view mirror, a door mirror, or a wing mirror.

이러한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는 보통 운전석과 조수석의 프론트도어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됨에 따라 자동차 외관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고속 주행시 공기저항의 부담을 제공한다. 또한, 보행자 또는 사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며, 특히 접촉사고 등에 의하여 사이드미러가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는 본래의 후방의 시계 확보라는 기능을 완전히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Since the side mirrors of such automobiles are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front doors of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not only the quality of the automobile exterior is deteriorated but also the burden of air resistance during high-speed driving is provided. In addition, when a side mirror is broken or separated due to a contact accident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securing the original rear view is completely l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date.

예를 들어, US6390632B1 또는 US5559640A에서는 외부로 돌출되는 사이드미러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체식 평면 거울을 세로로 다수의 거울 편으로 나누거나 꺽어서 반사각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빛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거울과 렌즈를 통하여 반사되거나 굴절되는 성질을 응용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여전히 사이드미러는 돌출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상기 문제점들 중 어느 하나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For example, in US6390632B1 or US5559640A, an integral flat mirror is divided vertically into a plurality of mirror pieces to minimize the width of the outwardly projecting side mirrors, or the angle of reflection is adjusted by tilting the mirror, or a mirror with convex or concave However, the side mirror remains in a protruded state, and none of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다른 예로는 US5235469A 또는 KR200400882Y1에서와 같이 종래의 돌출된 사이드미러를 제거하는 대신에 필러에 거울을 부착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거울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사이드미러의 형상과 차이가 있을 뿐이지 여전히 돌출 문제가 발생하였고, 카메라로서 후방을 감시하는 기능을 사이드미러에 대신하는 경우에도 촬영각도 등을 고려하여 자동차의 외부에 소정 크기의 카메라 설치부가 하나 이상 돌출되어야 하므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As another example, a method of attaching a mirror or a camera to a filler instead of removing a conventional protruding side mirror as in US5235469A or KR200400882Y1 is suggested. In the case of attaching a mirror, the shape of a conventional side mirror Even if the protruding problem still occurs and the function of monitoring the rear side as a camera is substituted for the side mirror, one or more camera mounting por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must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photographing angle and the like, I can not solve them.

또한, KR10-1142222B1에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프론트도어에 설치되는 투명유리창의 일부를 이중 유리창구조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긴 다수의 거울 편을 배치하는 자동차의 비돌출형 사이드미러를 제안하였으나,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후방 사물의 상이 끊기거나 왜곡되지 않고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거울 편의 각도를 각각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거울 편의 고장 또는 파손시 프론트도어의 투명 유리창을 함께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수리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KR10-1142222B1, a non-protruding typ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in which a part of a transparent glass window provided in a front door of a driver's seat and a front passenger seat is formed in a double-pane structure and a large number of mirror piece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arranged therebetween However, since the installation is complicated and the angle of the mirror pieces is required to be set in order to provide the image of the rear object without being cut off or distorte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front door is replac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repair because it has to do.

US 5235469 A, 1993. 8. 10.US 5235469 A, Aug. 10, 1993. US 5559640 A, 1996. 9. 24.US 5559640 A, Sept. 24, 1996. US 5731900 A, 1998. 3. 24.US 5731900 A, March 24, 1998. US 6390632 B1, 2002. 5. 21.US 6390632 B1, May 21, 2002. KR 200400882 Y1, 2005. 11. 3.KR 200400882 Y1, Nov. 3, 2005. KR 101142222 B1, 2012. 04. 25.KR 101142222 B1, 2012. 04.25.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방시계를 확인하는 사이드미러의 기본기능을 유지하면서 일부가 자동차 내부로 인입되어 고속주행시 공기흐름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자동차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ir flow at the time of hig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sule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which can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a vehicle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미러의 반사면에 이물질이 묻거나, 혹은 빗방울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사이드미러의 반사면을 닦지 않고, 반사면에 생성된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de cover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moisture generated on a reflecting surface from being reflect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side mirror while preventing reflection of raindrops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side mirror,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a side mirror.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지시레버 또는 후진기어와 연동하여 사이드미러의 반사면의 각도를 변동시켜 자동차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후방 시계를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sul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which can vary the angle of a reflecting surface of a side mirror in cooperation with a direction indicator lever or a reverse gear of an automobile,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되, 프론트도어를 기준으로 일부가 자동차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장착된 캡슐과, 반사면이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캡슐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면을 통해 빛을 반사시켜 자동차의 후방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목적물의 모양을 비추는 미러를 포함하되, 상기 캡슐은 후면부가 자동차의 전방측으로 곡선을 이루고,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미러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structure for a vehicle, comprising a front door frame and a front pillar, the front door including a front door, And a mirr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sule such that the reflection surface faces the rear of the automobile and reflects light through the reflection surface to illuminate the shape of the object located on the rear or side of the automobile, A main body having a curved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and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or the inside of the front pillar and in which the mirror is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sule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which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ransparent cover that is coupled to the capsule.

바람직하게, 상기 미러는 다분할된 다수의 다분할 미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다분할 미러 중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을 기준으로 자동차의 외측으로 돌출된 미러는 반사면이 자동차의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을 기준으로 자동차의 내측으로 인입된 미러는 반사면이 자동차의 프론트도어를 기준으로 10°내지 45°의 범위의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irror includes a plurality of multi-split mirrors that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ulti-split mirrors, and a mirror protruded outside the automobile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or the inside of the front filler, The mirror which is drawn horizontally to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and which is led to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or the inside of the front filler has a reflection surface in a range of 10 to 45 degrees So that a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is secured.

바람직하게, 상기 다분할 미러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분할 미러의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차의 방향지시레버 또는 후진기어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다분할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ngle adjusting unit installed at a rear portion of the multi-split mirror to independently adjust the angle of the multi-split mirror, wherein the angle adjusting unit is controlled by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angle of the multi-division mirror is adjusted in cooperation with the reverse gear ope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캡슐에는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마련된 에어통로를 통해 자동차의 에어밴트와 연통하여 상기 캡슐 내부로 냉풍 또는 온풍을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공과,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캡슐 내부로 유입된 냉풍 또는 온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psule includes an air inflow hole that communicates with an air vent of an automobile through an air passage provid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or inside the front filler to introduce a cool air or a warm air into the capsule, And an air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ld air or the warm air introduced into the capsul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덮개의 종단면에는 렌즈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a le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ransparent cov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크기에서 적어도 일부가 자동차의 내부로 인입되어 장착되는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자동차들에서와 같이, 프론트도어의 외측으로 전체가 돌출되어 장착된 사이드미러에 비해 자동차 고속주행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자동차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apsule side mirror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hole size is pulled into the interior of the automobile and mounted, as in conventional automobiles, the whole protruding outside of the front doo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at the time of driving at a high speed of the automobile, thereby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방측으로 후면부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동차의 후방으로 갈수록 날렵해지는 형태를 갖도록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으로써 유체에 의한 저항을 표면을 따라 흘려보내 자동차의 고속주행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자동차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psule side mirror is provided so as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rear part is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and the shape becomes sharp toward the rear of the automobile, resistance by the fluid is caused to flow along the surface, Thereby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by minimizing the air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내부에 미러를 장착함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반사면에 이물질이 묻거나, 혹은 빗방울이 묻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슐 내부로 냉풍 또는 온풍을 실시간으로 공급함으로써 미러의 반사면에 습기가 생성되도록 효과적으로 미러의 반사면에 생성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foreign matter or raindrops from being reflected on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side mirror by mounting the mirror inside the capsule, but also to supply cold air or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capsule in real time The moisture generat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can be effectively removed so that moisture is generat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내부에 장착된 미러의 후면부에 각도 조절부를 설치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를 자동차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방향지시레버 또는 후진기어와 연동하여 사이드미러의 반사면의 각도를 변동시켜 자동차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후방 시계를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adjusting unit is provided on a rear portion of a mirror mounted inside a capsule, and the angle adjust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vehicle, The angl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side mirror can be varied to expand the rear view according to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가 적용되어 있는 자동차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의 각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의 각도 조정방법을 통해 각도가 조정된 미러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hicle to which a capsule type sid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viewed from above. Fig.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sule type side mirror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apsule sid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n ang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irror whose angle is adjusted through a method of adjusting the ang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roughly disclosed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oreover, terms used herein (to be referred to)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가 적용되어 있는 자동차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hicle to which a capsul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automobile shown in FIG. 1, Sectional side view of the capsule side mirro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자동차(1)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여닫기 위한 프론트도어(2)를 구비한다. 그리고, 프론트도어들(2)은 프론트도어 프레임(21)과, 프론트도어 프레임(21)에 장착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윈도우글래스(22)를 포함한다. 1 to 3, the vehicle 1 includes a front door 2 for opening and closing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The front doors 2 include a front door frame 21 and a window glass 22 mounted on the front door frame 21 and opened and closed up and d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프론트도어(2)의 외측에 장착되어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1)의 전방으로 윈도우글래스(22)가 설치된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의 내측에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체 크기에서 적어도 1/2 정도가 자동차(1) 내부로 인입되어 장착된다. 1 and 2, the capsule type side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2 as a whole but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automobile 1 At least a half of the front door frame 21, in which the window glass 22 is installe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preferably at a total siz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전체 크기에서 적어도 1/2 정도가 자동차(1)의 내부로 인입되어 장착됨에 따라 종래의 자동차들에서와 같이, 프론트도어(2)의 외측으로 전체가 돌출되어 장착된 사이드미러에 비해 자동차 고속주행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자동차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psule side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at least about half of the total size, the capsule side mirror 100 is installed in the front door 2,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at the time of high-speed driving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자동차(1)의 전방측으로 후면부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동차(1)의 후방으로 갈수록 날렵해지는 형태를 갖도록 유선형 캡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유체에 의한 저항을 표면을 따라 흘려보내 자동차의 고속주행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to 3, the capsule type side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ved rear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1, and a rear side of the automobile 1 It can be made into a streamlined capsule structure so as to have a slimy shape. Accordingly, the capsule type side mirror 100 can minimize the air resistance by improving the flow of air at the time of driving the automobile by flowing the resistance by the fluid along the surfa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캡슐형 사이드미러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c)는 (a)에 도시된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폭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sule type sid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sule side mirror,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sule side mirror shown in (a) cut in the width direction, viewed from one side.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캡슐(110)과, 캡슐(110) 내부에 장착되어 빛을 반사시켜 자동차(1)의 후방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목적물의 모양을 비추는 미러(120)를 포함한다. 4, the capsule type side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sule 110 having a streamlined structure, and a capsule 110 mounted inside the capsule 110 to reflect light, And a mirror 120 that reflects the shape of the object located on the rear side or the side surface.

캡슐(110)은 도 4의 (b)와 같이, 내부에 미러(120)가 장착되고, 윈도우글래스(23)가 설치된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의 내측에 전체 크기에서 적어도 1/2 정도가 자동차(1) 내부로 인입되도록 장착된 본체(111)와, 본체(111)의 개방부에 결합되어 본체(111) 내부에 미러(1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11)를 밀폐하는 투명덮개(11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b), the capsule 110 has a mirror 120 mounted therein, and at least half of the entire size of the interior of the front door frame 21, in which the window glass 23 is installed, A transparent lid for sealing the main body 111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11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1 and the mirror 120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11; 112).

투명덮개(112)는 도 4와 같이, 그 내부에 장착되는 미러(120)를 교체하거나, 혹은 미러(120)의 반사면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묻거나, 혹은 습기가 형성되는 경우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본체(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명덮개(112)는 억지끼움방식으로 본체(111)에 결합되거나, 혹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투명덮개(112)의 일측부는 본체(111)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transparent cover 112 can be easily removed when replacing the mirror 120 mounted therein, or when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120 or when moisture is formed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1. To this end, the transparent lid 112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or may be coupled via a separate mating member.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transparent lid 112 may be hinged to the main body 111.

본체(11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자동차(1)의 전방측으로 후면부가 곡선을 이루고, 후면부 중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의 내측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본체(111)는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강화 유리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ain body 111 has a curved rear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1,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ide portions is moun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21. [ The main body 111 may be made of relatively hard synthetic resin or tempered glass so as not to be easily damaged by impact.

또한, 본체(11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운전자의 눈 높이를 고려하여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을 축으로 상하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구동모터를 통해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을 축으로 본체(111)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다. 2 and 3, the main body 11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21,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front door frame 21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ain body 111 can be rota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with the front door frame 21 as an axis through a separate driving motor.

또한, 본체(11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동차(1)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여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자동차(1)의 내외부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1)를 자동차(1)의 내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의 내측에는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11)의 후면부에는 상기 선형 가이드와 결합되는 선형블럭(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체(111)는 자동차(1)가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면, 본체(111)는 프론트도어 프레임(21)에 설치된 선형 가이드를 따라 자동차(1)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설정된 속도 이하로 감속하면 자동차(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차(1)의 고속 주행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11 may be mov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utomobile 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door frame 21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veling speed of the automobile 1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move the main body 111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1, a linear guide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21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door frame 21, (Not shown) coupled with the linear guide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When the main body 111 travels at a speed higher than the set speed of the vehicle 1, It moves to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1 along the linear guide provided on the frame 21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automobile 1 when it decelerates below the set speed so as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at the time of running the automobile 1 at a high speed.

투명덮개(112)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개방측이 본체(111)의 개방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되, 본체(111)와 대칭을 이루도록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캡슐(110)이 전체적으로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투명덮개(112)는 본체(111)는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유선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고속주행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and 5, the transparent lid 11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main body 111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capsule 110, May be configured to be streamline as a whole. In other words, the transparent lid 112 is combined with the main body 111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to form a streamlined structure as a whole, thereby improving the air flow at the time of high-speed driving of the automobile, thereby minimizing the air resistance.

이러한 투명덮개(112)는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투과율이 합성수지재보다 우수한 강화 유리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parent cover 112 may be made of a relatively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not to be easily damaged by impact or may be made of a tempered glass material having a transmittance superior to that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투명덮개(11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론트도어(2)를 경계로 프론트도어(2)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프론트도어(2)의 내측(자동차 내부)으로 인입된 부위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도어(2)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는 공기저항을 많이 받기 때문에 자동차(1)의 후방으로 갈수록 날렵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프론트도어(2)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는 본체(111)에 설치된 미러(120)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평면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transparent lid 112 has a portion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2 with the boundary of the front door 2 and a portion project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2 It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For example,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2 is formed to have a sharp shape toward the rear of the automobile 1 because it receives a large amount of air resistance, and a portion drawn in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2, Or may be formed in a planar stru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visibility of the mirror 120 provided on the mirror 111.

또한, 투명덮개(112)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1)의 내부에 설치된 미러(120)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차(1)의 후방측으로 종단면(112a)에는 렌즈(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투명덮개(112)의 종단면에 설치된 렌즈는 미러(120)의 형상과 대응하여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4A, the transparent lid 112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1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mirror 12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1, A lens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is time, the lens provid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112 may be formed of a convex lens or a concave len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irror 120. [

미러(120)는 단일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단일구조의 경우 캡슐형 사이드미러(100)의 일부가 자동차(1)의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미러(120)를 이분할 또는 3개 이상으로 다분할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The mirror 120 may have a single structure, but in the case of a single structure, a part of the capsule side mirror 100 may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secure a wide viewing ang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irror 120 is divided or divided into three or more and arranged at different angles.

일례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미러(120)는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로 이분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는 본체(1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독립적으로 각도를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그 후면에 각각 각도 조절부(131, 132)가 장착되어 각도가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irror 120 may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1, but angle adjusting portions 131 and 132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so as to independently adjust the angl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is adjusted.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는 본체(111)의 내부에 장착되되, 제1 분할미러(121)는 본체(111) 부위 중 프론트도어(2)를 경계로 프론트도어(2)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장착되고, 제2 분할미러(122)는 프론트도어(2)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와 같이, 제1 분할미러(121)는 반사면이 자동차(1)의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배치하고, 제2 분할미러(122)는 반사면이 자동차(1)의 프론트도어(2)를 기준으로 대략 10°내지 45°의 범위의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배치한다.The first and second divided mirrors 121 and 122 ar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11. The first divided mirror 121 is mounted on the front door 2 through the front door 2, And the second divided mirror 122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front door 2 which is drawn inward. 2 and 3, the first split mirror 121 horizontally arranges the reflection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1, and the second split mirror 122 horizontally arranges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automobile 1 Is arranged so as to secure a viewing angle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10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ront door (2).

이러한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는 반사면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거나, 혹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의 반사면은 평면 구조, 볼록 구조, 오목 구조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혼합 구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flection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may have the same shape or different shapes. That is, the reflection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may be formed to have any one of a planar structure, a convex structure, a concave structure, or a mixed structure thereof.

각도 조절부(131, 132)는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의 후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를 상하좌우로 독립적으로 회동시켜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의 각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자신의 눈 높이에 따라 임의대로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자동차(1)의 주행시(전진 또는 후진) 시야각을 확보하여 사각지대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angle adjusting portions 131 and 132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independent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he angle of the second split mirror 121, 122 is adjusted. Accordingly, the driver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at arbitrary intervals according to the height of his or her own eyes to secure a viewing angle (forward or backward) Can be minimiz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의 각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의 각도 조정방법을 통해 각도가 조정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n ang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mirror whose angle is adjusted by a method of adjusting the angle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131, 132)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레버(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도 조절부(131, 132)는 방향지시레버(3)의 동작과 연동하여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부(131, 132)는 방향지시레버(3)의 절환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거나, 혹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향지시레버(3)의 동작에 대응하는 ECU(5)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의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5 and 6, the angle adjusting units 131 and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irection indicating lever 3 indic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mobile. Accordingly, the angle adjusting units 131 and 132 can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mirrors 121 and 122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indicating lever 3. [ At this time, the angle adjusting portions 131 and 13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nge-over switch of the direction indicating lever 3 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The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can be independently adjust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ECU 5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또한, 각도 조절부(131, 132)는 자동차(1)의 후진기어(4)와 연동하여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의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CU(5)는 후진기어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각도 조절부(131, 132)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분할미러(121, 122) 중 외부로 돌출된 제1 분할미러(121)를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시켜 자동차(1)의 바퀴와 지면(주차선)을 동시에 운전자에게 보여주어 주차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angle adjusting portions 131 and 132 may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in conjunction with the reverse gear 4 of the automobile 1. [ For example, when the reverse gear operation is performed, the ECU 5 controls the angle adjusting units 131 and 132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split mirrors 121 and 122, ) Can be rotat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imultaneously show the wheels of the vehicle 1 and the ground (parking line) to the driv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park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미러(120)가 본체(111)와 투명덮개(112)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미러(120)의 반사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투명덮개(112)가 본체(111)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투명덮개(112)를 본체(111)로부터 분리시킨 후 미러(120)의 반사면에 생성된 습기를 닦아 제거할 수 있다. In the capsule type side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irror 1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1 and the transparent lid 112, moisture is generat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120 ,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effectively removing it. The transparent lid 112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1 so that the transparent lid 112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1 and then the moisture generat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120 is wiped off .

하지만, 자동차 주행중에 투명덮개(112)를 본체(111)로부터 분리시켜 그 내부에 장착된 미러(120)의 반사면에 생성된 습기를 닦는 것은 사고 위험이 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본체(111)의 후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111a, 도 3참조)과,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미도시)을 형성한다. 유입공(111a)은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의 내측에 마련된 에어통로를 통해 자동차(1)의 에어밴트와 연통되어 냉풍과 온풍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캡슐(110) 내부로 유입된 냉풍 또는 온풍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transparent lid 112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1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and the moisture generat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120 mounted therein is wiped, there is an accident risk.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inflow hole 111a (see FIG. 3)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11 and a discharge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are formed. The inflow hole 111a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vent of the automobile 1 through the air passage provid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21 so that the cold air and the warm air are introduced. Or warm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 remove moisture or the like.

따라서, 운전자는 주행중 미러(120)의 반사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경우, 투명덮개(112)를 본체(111)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차(1)에 구비된 바람조절장치(예를 들면, 에어컨)를 동작시키는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캡슐(110)의 내부로 냉풍 또는 온풍을 유입시켜 미러(120)의 반사면에 생성된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river can control the air conditioner (for exampl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vehicle 1 without removing the transparent lid 112 from the main body 111 when moisture is generat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120 during driv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moisture generated on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mirror 120 by introducing the cold air or the warm air into the inside of the capsule 110 by a simple operation to operate the mirror 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자동차(1)의 전방으로 윈도우글래스(22)가 설치된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사이드미러(100)는 일명 오픈카로 불리는 컨버터블 자동차와 같이, 프론트도어 프레임(21)이 존재하지 않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프론트도어 프레임이 아닌 자동차(1)의 차체와 지붕을 연결하기 위해 앞유리와 측면유리 위에 장착되는 프론트필러(A필러)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1 and 2, the capsule side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21 provided with the window glass 22 in front of the automobile 1, This is because the capsule side mirr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ront door frame in the case of a vehicle in which the front door frame 21 does not exist, (A pillar) mounted on the windshield and the side glass to connect the roof to the ro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자동차 2 : 프론트도어
21 : 프론트도어 프레임 22 : 윈도우글래스
3 : 방향지시레버 4 : 후진기어
5 : ECU(Electronic Control Unit) 100 : 캡슐형 사이드미러
110 : 캡슐 111 : 본체
111a : 공기 유입공 112 : 투명덮개
112a : 종단면 120 : 미러
121 : 제1 분할미러 122 : 제2 분할미러
131, 132 : 각도 조절부
1: Car 2: Front door
21: front door frame 22: window glass
3: Direction indication lever 4: Reverse gear
5: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0: capsule side mirror
110: capsule 111: body
111a: Air inflow hole 112: Transparent cover
112a: vertical plane 120: mirror
121: first split mirror 122: second split mirror
131, 132:

Claims (5)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되, 프론트도어를 기준으로 일부가 자동차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장착된 캡슐; 및
반사면이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캡슐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면을 통해 빛을 반사시켜 자동차의 후방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목적물의 모양을 비추는 미러; 를 포함하되,
상기 캡슐은 후면부가 자동차의 전방측으로 곡선을 이루고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미러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덮개는 상기 프론트도어를 경계로 상기 프론트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상기 프론트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프론트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자동차의 후방으로 갈수록 날렵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는 상기 미러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평면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는 상기 선형 가이드와 결합되는 선형블럭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는 상기 자동차의 속도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차가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면 상기 선형 가이드를 따라 상기 자동차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설정된 속도 이하로 감속하면 상기 자동차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동차의 고속 주행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
A capsule which is formed in a streamlined structure and which is mount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or inside the front pillar and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door; And
A mirr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sule such that the reflecting surface faces the rear of the automobile and reflects light through the reflecting surface to illuminate the shape of the object located on the rear or side of the automobile; , ≪ / RTI &
The capsul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rear part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and mount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or inside the front pillar and having the mirror mounted therein, And a transparent cover detachably coupled,
Wherein the transparent lid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a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and a portion drawn toward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with the front door as a boundary,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door is formed in a planar structure in order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mirror,
Wherein a linear block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front door fram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door frame and a linear block coupled to the linear guide is installed on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along the linear guide when the vehicle travels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automobile when it decelerates to a set speed or less,
Wherein the capsule-shaped 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is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다분할된 다수의 다분할 미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다분할 미러 중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을 기준으로 자동차의 외측으로 돌출된 미러는 반사면이 자동차의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을 기준으로 자동차의 내측으로 인입된 미러는 반사면이 자동차의 프론트도어를 기준으로 10°내지 45°의 범위의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rror includes a plurality of multi-split mirrors that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ulti-split mirrors, wherein a mirror protruding outside the automobile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or the inside of the front filler, The mirror which is drawn inwardly of the automobile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or the inside of the front filler has a viewing angle in the range of 10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ront door of the automobil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capsule side mirror is disposed so as to secure the capsule side mirr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미러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분할 미러의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차의 방향지시레버 또는 후진기어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다분할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angle adjuster installed at a rear portion of the multi-split mirror to independently adjust an angle of the multi-split mirror, wherein the angle adjuster is controlled by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angle of the multi-division mirror is adjusted in cooperation with the multi-division mirr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에는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마련된 에어통로를 통해 자동차의 에어밴트와 연통하여 상기 캡슐 내부로 냉풍 또는 온풍을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공과,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캡슐 내부로 유입된 냉풍 또는 온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 inflow hole communicating with an air vent of an automobile through an air passage provid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or inside the front filler to introduce a cold air or a warm air into the capsule, And an air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ld air or warm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psule side mirr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덮개의 종단면에는 렌즈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e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KR1020140144186A 2014-10-23 2014-10-23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Expired - Fee Related KR101699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86A KR101699021B1 (en) 2014-10-23 2014-10-23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PCT/KR2014/010201 WO2016064012A1 (en) 2014-10-23 2014-10-28 Capsule type side mirror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86A KR101699021B1 (en) 2014-10-23 2014-10-23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99A KR20160047799A (en) 2016-05-03
KR101699021B1 true KR101699021B1 (en) 2017-01-23

Family

ID=5576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1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9021B1 (en) 2014-10-23 2014-10-23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9021B1 (en)
WO (1) WO201606401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04U (en) 2017-03-21 2018-10-02 (주)대한솔루션 Side mirror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469A (en) 1991-04-29 1993-08-10 Horian Richard C Side view mirror
GB9111331D0 (en) 1991-05-24 1991-07-17 Milner Peter J Optical reflector
US5559640A (en) 1995-03-29 1996-09-2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utomotive rear view mirror system
KR19980028480U (en)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Side mirror of a car
KR19980029467U (en) * 1996-11-27 1998-08-17 김영귀 Car side mirrors
KR19980030410U (en)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Rearview mirror of car
KR19990026108U (en)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Side mirror of car
DE60020398T2 (en) * 1999-05-19 2006-01-26 Kho, Myung Duk REAR VIEW OF VEHICLES
KR200182784Y1 (en) * 1999-11-22 2000-05-15 김서규 Crayon pastel
KR200183477Y1 (en) * 1999-12-28 2000-05-15 임종복 Window and door frame capable of freely installing and unjust all anti-buy nets
US6390632B1 (en) 2000-11-07 2002-05-21 Jose Chakkoru Palathingal Blind-spot proof automobile side-view mirror
KR200400882Y1 (en) 2005-06-21 2005-11-09 심순보 Outside Watch Device for Vehicle
KR101142222B1 (en) 2009-10-04 2012-05-07 신동열 Non-Projected Side Mirror for Vehicle
KR20130128793A (en) * 2012-05-18 2013-11-27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Insertable electric outside mirror and system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04U (en) 2017-03-21 2018-10-02 (주)대한솔루션 Side mirr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99A (en) 2016-05-03
WO2016064012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5933B1 (en) Movable lighting and image-recording unit for a motor vehicle
CN102917917B (en) Front visuognosis device
US7344258B2 (en) Forward view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US8506097B2 (en) Integrated mirror device for vehicle
JP2008068767A (en) Head-up display device
KR101699021B1 (en)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KR101440682B1 (en) Head-up-display
CN203651619U (en) Automobile front blind zone visible device
CN202574005U (en) Automobile rear-view device
CN102285339A (en) Vehicle rear viewing device
EP3724029A1 (en) Lighting device, rear-view device and motor vehicle
CN100366463C (en) Front view device for motor vehicle
CN206537374U (en) A kind of front wall assembly for automobile
AU2004210715B2 (en) Forward view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US3372970A (en) Traffic light indicator
RU2465158C1 (en) System of rear-side and front-side view mirrors for vehicle
CN206900254U (en) A kind of automobile rearview mirror
JP2009255727A (en) Side under-mirror device
CN208393054U (en) Sunscreen assembly and vehicle with it
JP4756972B2 (en) Integrated mirror device for vehicles
JP2018043646A (en) Vehicle with dead angle auxiliary device loaded thereon
JP3153847U (en) Vehicle side front confirmation lens
CN104015663A (en) Inside rear-view mirror for automobile
WO2015080630A1 (en) Vehicle mirror system
RU140946U1 (en) VEHICLE MIRR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