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8831B1 - 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831B1
KR101698831B1 KR1020150140531A KR20150140531A KR101698831B1 KR 101698831 B1 KR101698831 B1 KR 101698831B1 KR 1020150140531 A KR1020150140531 A KR 1020150140531A KR 20150140531 A KR20150140531 A KR 20150140531A KR 101698831 B1 KR101698831 B1 KR 10169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te
controller
failure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희상
유경상
김홍우
김대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4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8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83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Y02B70/3291
    • Y02B90/2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afety supplying technology during blackout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wer safety supplying device capable of permanently operating a control system for reconnecting a power network and a system during the black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can be maintained in an operating control system regardless of failure at any point, and the failure of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caused by blackou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전시 전력 안전 공급 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정전시 전력망/계통 재연계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상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안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ower supply safety during power out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afety supply device that enables the continuous operation of a control system for power grid / grid re-connection in case of power failure.

일반적으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수요지 인근의 소규모 전력공급 시스템으로 전력과 열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전원(태양광, 풍력 등), 배터리(전력 저장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소규모 전력 공급 시스템이다. Generally, the micro grid system is a system that can supply power and heat simultaneously to a small power supply system near the demand site. That is, microgrid is a small-scale power supply system that consists of distributed power (solar, wind, etc.), battery (power storage) and so on.

마이크로그리드는 평상시에는 대규모 전력계통과 연계되어 전력을 거래하는 연계운전모드로 운전되며, 전력회사 측 선로에서 고장 발생시에는 전력계통과 분리되어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주로 건물, 대학 캠퍼스, 공장 등을 대상으로 설치하며, 전기요금 절감, 전력공급 신뢰도 향상 등을 목표로 한다.The micro grid is usually operated in a linked operation mode in which power is traded in connection with a large-scale power system. In the event of a fault in the power company's line, the micro grid is switched to a stand-alone operation mode in which power is separated from the power system. It is mainly installed in buildings, university campuses, factories, etc., and aims to reduce electricity costs and improve reliability of power supply.

마이크로그리드 설치 목표 중 하나인 전력 공급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마이크로그리드를 무정전으로 운전해야 한다. 전력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신속하게 상위 전력계통과 마이크로그리드를 분리하여야 한다. To improve power supply reliability, one of the objectives of microgrid installation, microgrid must be operated uninterruptedly. In the event of a fault in the power system, it should be accurately detected and the upper power system and the micro grid should be separated quickly.

또한, 마이크로그리드 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되는 부분만 신속하게 분리하여 정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편, 마이크로그리드와 전력계통의 연계 상태, 각 분산전원의 연계 상태, 고장 발생 위치, 고장 발생 형태 등에 따라 고장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달라진다. In addition, if a fault occurs in the micro grid, it is necessary to quickly separate only the relevant part to prevent power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fault current vary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icro grid and the power system,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distributed power source, the fault occurrence position, and the fault occurrence pattern.

부연하면,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식은 중앙제어 방식과 지역제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즉,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지역제어 방식은 전압과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마이크로그리드의 자율적 운전이 가능하지만 동특성이 빠른 분산전원으로 구성해야 한다. 하지만, 동특성이 빠른 분산전원은 에너지의 충전량 및/또는 방전량의 한계가 있어 복수의 분산전원을 이용해야만 장기운전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micro grid system is divided into a central control method and a local control method. That is, the local control method of the micro grid system should be composed of a distributed power source that can autonomously operate the micro grid using voltage and frequency information, but has a fast dynamic characteristic.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ispersed power source having a fast dynamic characteristic has a limitation of the amount of charged energy and / or the amount of discharged energy, so that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must be used for long-term operation.

한편, 마이크로그리드의 중앙제어방식은 분산전원 및/또는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전압, 주파수 등의 관련 정보를 중앙제어장치에서 수집한다. 중앙제어장치는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산전원 및/또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값 지령을 다시 분산전원 및 에너지 저장장치에 전송한다.Meanwhile, the central control system of the micro grid monitors the distributed power source and / or the load, and collect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voltage and frequency from the central control device. The central control device transmits the output value command of the distributed power source and /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the distributed power source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again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이러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중앙제어방식은 분산전원 및 부하에서 전압, 주파수 등의 정보를 통신을 통하여 중앙제어장치로 전송하기 때문에, 통신지연에 따라 전기품질의 악화와 전력수급 밸런스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central control system of the micro grid system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voltage and frequency from the distributed power source and the load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through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balance of power supply and supply with deterioration of electric quality due to communication delay .

특히, 전력망/계통과의 차단시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내 전력망 이상시, 운영 제어 시스템인 중앙제어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정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supply to the central control unit, which is an operation control system, is interrupted when shutting off the power grid / grid or in a power grid in the micro grid, resulting in power grid failure of the entire system.

부연하면, 고장에 기인한 운영 제어 시스템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운용제어 시스템은 상태 감시 신호 및 상호 감시, 운영제어신호를 위한 전력 미공급으로 제어 기능을 상실하고, 이는 정전 고장으로 확대된다.In addition, if power supply to the operational control system due to failure is interrupted, the operational control system loses control due to state monitoring signals, mutual monitoring, and no power for operational control signals, which extends to power failure .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식으로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219883호(발명의 명칭: 마이크로그리드용 에너지 저장장치의 협조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였으며, 이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산전원(100), 제1에너지 저장장치(120), 제2에너지 저장장치(130), 중앙제어장치(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Korean Patent No. 10-1219883 (entitled " Coordin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Device for Micro Grid ") has been proposed as a method for solving this, and a diagram showing this i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100, a first energy storage device 120, a second energy storage device 130, a central control device 140, and the like are included.

그러나, 이 경우, 시스템 정전시 전력 공급을 배터리를 이용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정전시 운용제어시스템인 중앙제어장치(140)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정전 사고 및 확대 가능성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load using the battery when the system is in a power failure state, the power supply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40, which is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power failure, is interrupted. have.

1.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219883호1. Korean Patent No. 10-1219883 2.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215396호2. Korean Patent No. 10-1215396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정전시 전력망/계통과의 재연계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상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안전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power safety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enabling a control system for re-coupling with a power grid / .

또한, 본 발명은 전력망/계통 재연계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스탠바이 모드 운영 및 독립형 모드 운영을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afety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a standby mode operation and a stand-alone mode operation of a control system for a power grid / system re-connection.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정전시 전력망/계통과의 재연계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상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안전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afety supply device that enables the continuous operation of a control system for re-coupling with a power grid / system during a power failur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상기 전력 안전 공급 장치는,The power safety supply device includes: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

상기 마이크로그리드를 운영 제어하며 외부 전력망과 연결되는 운영 제어기; An operating controller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microgrid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network;

상기 외부 전력망과 운영 제어기간의 제 1 상태 및 상기 운용 제어기의 제 2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아니면 상기 외부 전력망으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고장으로 인한 정전시 상기 운영 제어기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기; 및Monitoring the first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period and the second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period and the second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period with the external electric power network and, if it is not a failure due to a fault,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at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operating controller upon a power outage; And

상기 외부 전력망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그리드에 전력을 직접 공급하는 배전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n electricity distribution board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grid to supply power directly to the micro grid.

이때,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상태가 고장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는 방전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운영 제어기에 충전 전력 중 일부를 공급하여 상기 운영 제어기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first state indicates a failure stat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switches to a discharge mode and supplies a part of the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ng controller to maintain the operating controller in an active state. can do.

또한, 상기 모니터링 동안, 상기 제 1 상태가 고장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가 방전 모드이면 상기 제 2 상태에 따라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During the monitoring, if the first state does not indicate a failure state and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in a discharge mode, the charging mod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second state.

또한, 상기 모니터링 동안, 상기 제 1 상태가 고장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가 만충전(full charging) 모드이면 상기 제 2 상태에 따라 상기 운영 제어기를 스탠바이 모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during the monitoring, if the first state does not indicate a failure state and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in a full charging mode, the operating controller is maintained in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second state have.

또한,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의 내부 이상에 따른 정전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state may monitor a blackout according to an internal abnormality of the microgrid.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그리드는,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다수의 전기 부품; 및 상기 다수의 전기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호 감시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상기 운영 제어기와 교환하는 부품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microgrid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witchboard; And a component-specific controller that transmits control signals to the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and exchanges mutual monitoring signals and control signals with the operation controller.

또한, 상기 부품별 제어기는 상기 정전시 상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by-part controller maintains the standby mode by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during the power failure.

또한, 상기 부품별 제어기는 상기 정전시가 아니면 독립형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for each part maintains the stand-alone mode unless the power failure occurs.

또한, 상기 운영 제어기는 상기 정전시가 아니면 독립형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controller maintains the stand-alone mode unless the power failure occurs.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는 UPS(Uninterrupt Power Suppl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ay includ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또한, 상기 정전은 상기 외부 전력망과 상기 운영 제어기의 차단 또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failure may be a power failure caused by an interruption of the external power grid and the operation controller or an abnormality in the micro grid.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외부 전력망, 마이크로그리드, 상기 외부 전송망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그리드를 제어하는 운영 제어기, 및 상기 외부 전력망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그리드에 전력을 직접 공급하는 전력 안전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 제어기가 상기 외부 전력망과 운영 제어기간의 제 1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운용 제어기가 상기 운용 제어기의 제 2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아니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가 상기 외부 전력망으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장으로 인한 정전시 상기 운영 제어기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icro grid, comprising: an external power grid, a micro grid, an operat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external grid to control the micro grid,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afety supply, the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the first state of the operating control period with the external power network; The operation controller monitoring a second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ler; Switching the charging mode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by receiving charging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network if the failure is not caused by the monitoring result; And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ler upon a power failure due to a faul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떤 지점에서의 고장에 관계없이 운영제어시스템으로의 전력 공급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정전에 따른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ower supply to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regardless of a failure at a certain point, so that a failure due to a power failur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각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별 제어 시스템의 스탠바이 모드 운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고장 해소후 즉시 운전 가동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ndby mode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for each part constituting each microgrid system, so that the operation operation function can be secured immediately after the failu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운영 제어 시스템의 액티브 활성화를 통해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안정적 독립망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stable independent network operation of the micro grid system is enabled through active activ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마이크로그리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2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그리드(250)의 상세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안전 공급 장치(200)의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 감시에 따라 운영 제어기(230)를 스탠바이 모드로 유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micro grid control system.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power safety supply device 200 for maintaining operation during a power fail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icrogrid 250 shown in FIG.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the power safety supply device 200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intaining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in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state monitoring shown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2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 안전 공급 장치(200)는, 외부 전력망(210), 이 외부 전력망(210)과 연결되어 충전 전력을 생성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 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 및/또는 외부 전력망(2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운영 제어기(230), 이 운영 제어기(230)와 신호을 주고 받으며, 배전반(240) 및/또는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마이크로그리드(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power safety supply device 200 for maintaining operation during a power fail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power safety supply device 200 includes an external power network 210,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network 210 to generate charging powe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An operating controller 230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grid 210 and / or the microprocessor 230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grid 240 and / or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A grid 250, and the like.

외부 전력망(210)은 송전망, 전력 계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전망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한 점에 대하여 다수의 점으로부터 공급할 수 있도록 망형으로 연계된 송전선으로 구성되는 송전 계통을 일컫는다. 또한, 전력 계통은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선, 및 부하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전력망(210)은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 운영 제어기(230) 및 배전반(24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external power network 210 may include a transmission network, a power system, and the like. Here, the transmission network generally refers to a transmission system composed of transmission lines connected in a net shape so that they can be supplied from a plurality of points to an arbitrary point. The power system generally includes a power plant, a substation, a transmission / distribution line, and a load. Accordingly, the external power network 210 supplies power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and the switchboard 240 and the like.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상기 외부 전력망과 운영 제어기간의 제 1 상태 및/또는 상기 운용 제어기의 제 2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아니면 상기 외부 전력망(210)으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고장으로 인한 정전시 운영 제어기(230)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monitors the first state of the external power grid and the operational control period and / or the second state of the operational controll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when the power failure is not caused by the failure,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grid 210 to the charging mode or the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in case of a power failure due to a failure .

이를 위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UPS(Uninterrupt Power Supply)(미도시), 이 UPS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미도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관리하는 메모리(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includes a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not shown),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UPS, a memory (not shown) And the like.

운영 제어기(230)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250)를 운영 제어하며 외부 전력망(210),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 및 배전반(240) 등과 연결된다. 특히, 상기 운영 제어기(230)는 정전시가 아니면 독립형 모드를 유지하여, 마이크로그리드(25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운영 제어한다. 물론, 이를 위해 운영 제어기(230)는 마이크로그리드(250)와 상호 감시 및 운영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다.The operation controller 230 controls the micro grid 250 a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grid 210,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and the switchboard 240. In particular, the operating controller 230 maintains a stand-alone mode to monitor and control the state of the microgrid 250, if not during a power failure.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operating controller 230 sends and receives mutual monitoring and operating control signals with the microgrid 250.

마이크로그리드(250)는 수요지 인근의 소규모 전력공급 시스템으로 전력 및/또는 열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전원(태양광, 풍력 등), 배터리(전력 저장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소규모 전력 공급 시스템이다. The microgrid 250 is a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supplying power and / or heat to a small scale power supply system near the place of demand. That is, microgrid is a small-scale power supply system that consists of distributed power (solar, wind, etc.), battery (power storage) and so on.

마이크로그리드(250)는 평상시에는 배전반(240)을 통해 대규모 전력 계통인 외부 전력망(210)과 연계되어 전력을 거래하는 연계운전모드로 운전된다. 또한, 외부 전력망(210) 측 선로에서 고장 발생시에는 전력계통과 분리되어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운전모드로 전환하게 된다.The micro grid 250 is normally operated in a linked operation mode in which electric power is traded in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power grid 210, which is a large-scale power system, through the switchboard 240. In addition, when a fault occurs in the line on the external power network 210, it is separated from the power system and switched to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for supplying power itself.

배전반(240)은 외부 전력망(210)과 연결되어 마이크로그리드(250)에 전력을 직접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 배전반(240)을 통해 전력을 외부 전력망(210)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The switchboard 2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network 210 and directly supplies power to the micro grid 25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xternal power grid 210 through the switchboard 24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그리드(250)의 상세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그리드(250)는 상기 배전반(도 2의 24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부품(320), 및 상기 전기 부품(32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호 감시신호 및/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운영 제어기(도 2의 230)와 교환하는 부품별 제어기(3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icrogrid 250 shown in FIG. 3, the microgrid 250 includes an electrical component 320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witchboard (240 of FIG. 2), and a controller 260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component 320, Or a part-by-part controller 310 for exchang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in FIG. 2).

전기 부품(320)은 발전기, 연료전지, 마이크로터빈, 전력변환장치(예를 들면, 컨버터, 인버터 등을 들 수 있음),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전기 부품(320)을 단수로 도시하였으나, 1개 이상의 다수의 전기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ic component 320 may comprise a generator, a fuel cell, a microturbine, a power conversion device (e.g., a converter, an inverter, etc.), a battery, and the like. In FIG. 3,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electric component 320 is shown as a single component, but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electric components.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마이크로그리드(250)도 다수의 마이크로그리드(2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그리드(250)의 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품별 제어기(310)는 해당되는 부분만 신속하게 분리하여 정전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부품별 제어기(310)는 전기 부품(320)측에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마이크로그리드(250)와 전력계통의 연계 상태, 고장 발생 위치, 및 고장 발생 형태 등에 따라 고장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달라진다. 3, the microgrid 250 may also b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microgrids 250. 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icro grid 250, the controller 310 for each part quickly separates only the corresponding part, thereby preventing a power failure. To this end, the controller 310 for each par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 to the electric component 320 side. On the other hand,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fault current vary depending on the coupling state of the micro grid 250 and the power system, the fault occurrence position, and the fault occurrence pattern.

또한, 부품별 제어기(310)는 정전시 무정전 전원 공급기(도 2의 220)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한다. 즉, 부연하면, 정전시에도 부품별 제어기(310)에 전력 공급이 상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 부품(320)에 대한 고장이 해소되면 즉시 운전 가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for each part maintains the standby mode by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in FIG. 2) during a power failure. That is, in addition, even when a power failure occurs,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controller 310 for each part, so that operation can be immediately started when the failure of the electric part 320 is eliminated.

물론, 상기 부품별 제어기(310)는 상기 정전시가 아니면 독립형 모드를 유지하여 해당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제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controller 310 for each part maintains the stand-alone mode and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 microgrid when the power failure is not detect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안전 공급 장치(200)의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외부 전력망(210)과 운영 제어기(230)간의 제 1 상태 및/또는 상기 운용 제어기의 제 2 상태를 모니터링한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the power safety supply device 200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4,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monitors a first state between the external power network 210 and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and / or a second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ler.

부연하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제 1 상태에 따른 제 1 상태감시 신호(410) 및 제 2 상태에 따른 제 2 상태감시 신호(420)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receives the first status monitoring signal 410 according to the first status and the second status monitoring signal 420 according to the second status.

따라서,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제 1 상태감시 신호를 통해 현재 전력망(230,250) 내의 고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 1 상태감시 신호를 통한 모니터링 동안, 제 2 상태감시 신호에 의해 충전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430)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외부 전력망(210)과 운영 제어기(230)간의 제 1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아니면 운영 제어기(230)의 제어에 이상이 없으므로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현재 상태가 방전중이면 충전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can continuously monitor faults in the current power networks 230 and 250 through the first status monitoring signal. Meanwhile, during the monitoring through the first status monitoring signal, the second status monitoring signal is switched to the charging mode to perform the charging 430. [ In additio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first state between the external power grid 210 and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if there is no power failure due to a failure,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controls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If the battery is being discharged, the charging mode is switched to the charging mode.

물론, 이러한 제 2 상태감시 신호는 운용 제어기(230)가 부품별 제어기(310) 및/또는 배전반(240)을 모니터링하여 생성하는 신호이다.Of course, this second status monitoring signal is a signal that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monitors and generates the part-by-part controller 310 and / or the switchboard 240.

이와 달리,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가 제 1 상태감시 신호를 통해 현재 전력망(230,250) 내의 고장으로 인해 정전이라면, 운영 제어기(230)의 제어에 이상이 있으므로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방전 모드(450)로 전환하여 충전 전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 제어기(230)에 비상 전력(440)을 공급하여 운영 제어기(230)를 활성화(Active) 상태로 유지한다. 이러한 활성화 상태로 인해 마이크로그리드(250)의 안정적 독립망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Alternatively, i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is in a power failure due to a failure in the current power network 230, 250 via the first status monitoring signal,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may be in a discharge mode 450 to supply the emergency power 440 to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using a part of the charging power to maintain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in the active state. This activation state enables stable independent network operation of the microgrid 250.

물론, 마이크로그리드(250)에도 고장이 발생하여 정전 상태라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방전 모드(450)로 전환하여 비상 전력(440)의 일부를 부품별 제어기(310)에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micro grid 250 is also in a power failure stat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can switch to the discharge mode 450 and provide part of the emergency power 440 to the controller 310 for each part.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운영 제어기(230)는 마이크로그리드(250)의 부품별 제어기(310) 및/또는 배전반(240)과 상태감시 신호, 상호 감시 및 운영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운영 제어기의 스탠바이 또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적 독립형 운영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can exchange status monitoring signals, mutual monitoring and operation control signals with the controller 310 and / or the switchboard 240 of the microgrid 250. That is, it is possible to sustain the standby of the operation controller or the stable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micro grid.

한편, 고장으로 인한 정전은 외부 전력망(210)과 상기 운영 제어기(230)의 차단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250) 내의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ower failure due to a fault may be a power failure caused by an interruption of the external power grid 210 and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and / or an abnormality in the micro grid 250.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 감시에 따라 운영 제어기(230)를 스탠바이 모드로 유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가 제 1 상태감시 신호(410) 및 제 2 상태감시 신호(420)를 생성한다(단계 S510).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intaining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in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state monitoring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5,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generates a first status monitoring signal 410 and a second status monitoring signal 420 (step S510).

이 제 1 상태감시 신호(410) 및 제 2 상태감시 신호(420)가 생성되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가 방전중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20). When the first state monitoring signal 410 and the second state monitoring signal 420 are gen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discharging (step S520).

판단결과, 방전중이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충전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을 진행한다(단계 S530,S540). 이와 달리, 판단결과, 방전중이 아니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220)는 충전 진행 단계(S540)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is being discharged,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switches to the charging mode and proceeds with charging (steps S530 and S540). Otherwi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is not being discharged,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20 proceeds to the charging progress step S540.

이후, 만충전인지를 확인하여 만충전이면 운영 제어기(230)를 스탠바이 모드로 유지한다(단계 S550,S560). 이와 달리, 단계 S550에서 만충전이 아니면 단계 S540 내지 S550이 반복 수행된다.Thereaf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the operation controller 230 is kept in the standby mode if it is fully charged (steps S550 and S560). Otherwise, if it is not full charge in step S550, steps S540 to S550 are repeatedly performed.

200: 전력 안전 공급 장치
210: 외부 전력망
220: 무정전 전원 공급기
230: 운영 제어기
240: 배전반
250: 마이크로그리드
200: Power Safety Supply
210: External power grid
220: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30: Operational controller
240: Switchboard
250: microgrid

Claims (12)

마이크로그리드;
상기 마이크로그리드를 운영 제어하며 외부 전력망과 연결되는 운영 제어기;
상기 외부 전력망과 운영 제어기간의 제 1 상태 및 상기 운영 제어기의 제 2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아니면 상기 외부 전력망으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고장으로 인한 정전시 상기 운영 제어기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기; 및
상기 외부 전력망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그리드에 전력을 직접 공급하는 배전반;
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상태가 고장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는 방전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운영 제어기에 충전 전력 중 일부를 공급하여 상기 운영 제어기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의 내부 이상에 따른 정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정전은 상기 외부 전력망과 상기 운영 제어기의 차단 또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Micro Grid;
An operating controller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microgrid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network;
Monitoring the first state of the external power network and the second state of the operating controller and monitoring the second state of the operating controller if the failure has not resulted in a power failure and the charg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network,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at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operating controller upon a power outage;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board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grid to directly supply power to the micro grid;
/ RTI >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when the first state indicates a failure stat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switches to a discharge mode to supply a part of charge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ler to keep the operation controller in an active state,
Wherein said second state monitors a power failure according to an internal abnormality of said microgrid, said power failure being a power failure caused by an interruption of said external power grid and said operating controller or anomaly in said microgrid. Power safety supply to maintai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동안, 상기 제 1 상태가 고장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가 방전 모드이면 상기 제 2 상태에 따라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uring the monitoring, the first state is not indicative of a failure state, and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in a discharge mode, the mode is switched to the charge mode according to the secon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동안, 상기 제 1 상태가 고장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가 만충전(full charging) 모드이면 상기 제 2 상태에 따라 상기 운영 제어기를 스탠바이 모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uring said monitoring, said operating state is maintained in standby mode according to said second state if said first state does not indicate a fault state and sai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in a full charging mode, A power supply for maintaining the power suppl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그리드는,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다수의 전기 부품; 및
상기 다수의 전기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호 감시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상기 운영 제어기와 교환하는 부품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 grid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witchboard; And
And a component-specific controller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to the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and exchanging mutual monitoring signals and control signals with the operation controll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별 제어기는 상기 정전시 상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part-by-part controller maintains the standby mode by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during the power failur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별 제어기는 상기 정전시가 아니면 독립형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rt-by-part controller maintains the stand-alone mode when not in the power failure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제어기는 상기 정전시가 아니면 독립형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controller maintains the stand-alone mode when not in the power failure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는 UPS(Uninterrupt Power Suppl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mprise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삭제delete 외부 전력망, 마이크로그리드, 상기 외부 전력망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그리드를 제어하는 운영 제어기, 및 상기 외부 전력망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그리드에 전력을 직접 공급하는 전력 안전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 제어기가 상기 외부 전력망과 운영 제어기간의 제 1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운영 제어기가 상기 운영 제어기의 제 2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아니면 무정전 전원 공급기가 상기 외부 전력망으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장으로 인한 정전시 상기 운영 제어기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상태가 고장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기는 방전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운영 제어기에 충전 전력 중 일부를 공급하여 상기 운영 제어기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의 내부 이상에 따른 정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정전은 상기 외부 전력망과 상기 운영 제어기의 차단 또는 상기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시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안전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afety supply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grid and directly supplying power to the micro gri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he operating controller monitoring a first state of the external power network and an operating control period;
The operational controller monitoring a second state of the operational controller;
Switching the charging mode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by receiving charging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network if the failure is not caused by the monitoring result; And
And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ler upon a power failure due to a faul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when the first state indicates a failure stat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switches to a discharge mode to supply a part of charge power to the operation controller to keep the operation controller in an active state,
Wherein said second state monitors a power failure according to an internal abnormality of said microgrid, said power failure being a power failure caused by an interruption of said external power grid and said operating controller or anomaly in said microgrid.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safety supply for maintaining a power supply.
KR1020150140531A 2015-10-06 2015-10-06 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tive KR1016988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31A KR101698831B1 (en) 2015-10-06 2015-10-06 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31A KR101698831B1 (en) 2015-10-06 2015-10-06 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831B1 true KR101698831B1 (en) 2017-02-13

Family

ID=5815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31A Active KR101698831B1 (en) 2015-10-06 2015-10-06 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83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748A (en) * 2010-11-25 2012-06-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icrogrid
KR101215396B1 (en) 2011-11-01 2012-12-26 정수만 Hybrid smart gri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ing discharge current control
KR101219883B1 (en) 2011-07-05 2013-01-09 한국전력공사 The coordin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energy storage device
KR20140117923A (en) * 2013-03-27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The DC micro-grid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serial connected secondary batteries
JP2015128354A (en) * 2013-12-27 2015-07-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distribution control method
KR20150098120A (en) * 2014-02-19 2015-08-27 세방전지(주) Grid-connected large capacity energy storage system with UPS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748A (en) * 2010-11-25 2012-06-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icrogrid
KR101219883B1 (en) 2011-07-05 2013-01-09 한국전력공사 The coordin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energy storage device
KR101215396B1 (en) 2011-11-01 2012-12-26 정수만 Hybrid smart gri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ing discharge current control
KR20140117923A (en) * 2013-03-27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The DC micro-grid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serial connected secondary batteries
JP2015128354A (en) * 2013-12-27 2015-07-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distribution control method
KR20150098120A (en) * 2014-02-19 2015-08-27 세방전지(주) Grid-connected large capacity energy storage system with UPS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429B2 (en) Islanding a plurality of grid tied power converters
US10935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EP3553911B1 (en) Microgri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lfunction
AU2018227610B2 (en) Extending black-start availability using energy storage systems
US110052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US9899871B2 (en) Islanded operating system
JP5792824B2 (en) Power supply system, distributed power supply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3144323B2 (en) Solar power generator
US1141805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US20190181679A1 (en) Smart switching panel for secondary power supply
KR20110050858A (en) Load control method of microgrid system and stationary switch
JP2011083087A (en) Power supply system
JP2013537025A (en) Inverter with AC interface for AC module connection
EP3042429B1 (en) Microgrid with redundant points of common coupling and control method for it, to reduce risk of microgrid's islanding
JP2022084512A (en) Intelligent switch device and power generating system
KR20170074631A (en) Energy distribuition system in smart grid envirmnent
KR101742600B1 (en) Distributing borad with uninterruptible function
CN104578154A (en) Low voltage ride-through method for coal feeder
CN113454867B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a microgrid
WO2014024731A1 (en) Linkage system switching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JP2014121151A (en)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KR10169883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tability of Power for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1083059A (en) Storage battery operation controller of power supply system
WO2014027462A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energy-management-device control method
Martins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icrogrid power management unit using a back-to-back converter in a residential condominium connected at medium vol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