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8815B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815B1
KR101698815B1 KR1020150066899A KR20150066899A KR101698815B1 KR 101698815 B1 KR101698815 B1 KR 101698815B1 KR 1020150066899 A KR1020150066899 A KR 1020150066899A KR 20150066899 A KR20150066899 A KR 20150066899A KR 101698815 B1 KR101698815 B1 KR 101698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opper
handle block
block
bas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937A (ko
Inventor
장춘오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815B1/ko
Priority to CN201610282467.9A priority patent/CN106098482B/zh
Publication of KR2016013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8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50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접속수단을 조작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로 차단기는 본체에 배치되고 크레들에 상기 본체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동력접속수단과,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접속수단을 동작시키는 조작핸들, 그리고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마련되고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로킹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체를 이동시키는 동력접속수단에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의도치 않은 본체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접속수단을 조작하는 핸들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는 전기 회로에서 과부하가 걸리거나 단락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자동으로 회로를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회로 차단기 중에서 기중 차단기(ACB; Air circuit Breaker)는 선로의 어디에선가 고장으로 인해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신속히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에서 분리하여 전류를 차단한다.
이러한 회로 차단기는 크레들과, 상기 크레들에 인입출되고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로 형성되고, 상기 크레들에 상기 본체가 인입되면서 상기 본체의 단자들이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본체를 상기 크레들에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접속수단에 조작핸들을 체결하고 상기 조작핸들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를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조작핸들을 삽입하여 상기 본체를 인출할 수 있어 순간적인 회로 차단기의 단락에 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9142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를 인입 또는 인출 시키는 동력접속수단에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본체에 배치되고, 크레들에 상기 본체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동력접속수단;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접속수단을 동작시키는 조작핸들; 및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마련되고,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로킹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접속수단은,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단에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 체결되는 핸들 체결홀이 형성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며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단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핸들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홀이 상기 핸들 체결홀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 블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수단은 일측이 상기 핸들 블록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 삽입홀이 상기 핸들 체결홀에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상기 핸들 블록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블록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고,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블록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블록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톱퍼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의 홈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 따르면, 본체를 이동시키는 동력접속수단에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의도치 않은 본체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동력접속수단과 로킹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스톱퍼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스톱퍼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스톱퍼를 고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회로 차단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동력접속수단과 로킹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폐쇄 및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1)는 본체(10)에 배치되고 크레들(20)에 상기 본체(1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동력접속수단(100)과,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을 동작시키는 조작핸들(H), 그리고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에 마련되고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에 상기 조작핸들(H)이 삽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로킹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차단기(1)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가 인입출되는 크레들(20)로 형성되고, 상기 크레들(20)에 상기 본체(10)가 인입되면서 상기 본체(10)에 마련된 단자들이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를 상기 크레들(20)에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접속수단(100)에 조작핸들(H)을 체결하고 상기 조작핸들(H)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10)를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에 조작핸들(H)을 삽입하고, 상기 조작핸들(H)을 회전시켜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구성은 공지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은 상기 본체(10)에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단에 상기 조작핸들(H)이 삽입 체결되는 핸들 체결홀(121)이 형성되는 스크류(120), 그리고 상기 스크류(120)에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120)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며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동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본체(10)를 상기 크레들(20)에 인입 또는 인출 시키기 위한 상기 동력접속수단(1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크류(120)에 조작핸들(H)이 삽입되고, 상기 조작핸들(H)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킹수단(200)은 상기 조작핸들(H)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120)의 핸들 체결홀(121)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핸들 블록(2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 블록(2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 블록(21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조작핸들(H)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홀(211)과, 상기 가동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는 가동부재 삽입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 블록(210)은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돌기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11)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1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가이드 레일(111)은 상기 스크류(120)의 일측단의 전방 즉, 상기 스크류(120)에서 핸들 체결홀(121)이 형성된 단부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11)에 상기 핸들 블록(210)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111)은 상기 핸들 블록(210)이 일정 범위를 가지도 이동하도록 일정 영역에만 형성된다. 상기 핸들 블록(210)의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스크류(120)의 핸들 체결홀(121)과 일치되는 위치와, 일정 간격 이동하여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일치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 블록(210)이 상기 가이드 레일(111) 상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핸들 블록(210)의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스크류(120)의 핸들 체결홀(121)과 일치되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상기 조작핸들(H)을 체결할 수 있도록 위치하거나,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과 어긋나도록 위치하여 상기 핸들 체결홀(121)이 상기 핸들 블록(210)에 막혀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상기 조작핸들(H)을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220)는 상기 핸들 블록(210)의 가동부재 삽입홀(212) 보다 크게 마련되는 헤드부(221)와, 상기 헤드부(22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재 삽입홀(212)에 삽입되는 가압부(222)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기 스크류(120)의 일측단에 이웃하여 상기 가동부재(220)의 가압부(222)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가동부재 지지부(11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핸들 블록(210)의 가동부재 삽입홀(212)은 상기 가동부재(220)의 가압부(2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블록(210)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222)에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핸들 블록(210)은 일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재(220)의 가압부(222)에 밀리면서 상기 핸들 블록(210)을 슬라이딩 이동 시키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가동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수단(200)은 일측이 상기 핸들 블록(210)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탄성부재 체결홀(113)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상기 핸들 블록(210)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핸들 블록(210)이 왼쪽으로 밀착되면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일치하지 않고, 상기 핸들 블록(210)이 오른쪽으로 밀착되면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들 블록(210)은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하여 왼쪽으로 밀착되어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일치하지 않는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핸들 블록(210)의 가동부재 삽입홀(212)을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220)가 삽입되면 상기 가동부재(220)의 가압부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가동부(214)를 가압하여 상기 핸들 블록(210)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일치하게 된다.
즉, 상기 핸들 체결홀(121)은 상기 핸들 블록(210)에 의하여 항시 폐쇄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가동부재(220)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핸들 블록(210)이 이동하여 상기 핸들 체결홀(121)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스톱퍼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 회로 차단기는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고, 스톱퍼만 새로이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의 로킹수단은 베이스 프레임(110)에서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3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서 스크류(1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고, 홈부(310)와 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310)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돌출부(320)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30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300)의 홈부(310)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4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340)에 의하여 상기 스톱퍼(300)는 상기 홈부(310)가 항시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하도록 하고, 필요시, 상기 스톱퍼(300)를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320)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핸들 블록(21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서 로킹수단의 스톱퍼를 고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스톱퍼(300)는 상기 돌출부(320)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30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톱퍼 고정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 고정부재(400)는 자물쇠 등으로 마련되어 상기 스톱퍼(300)가 해제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면에는 커버(140)가 체결되고, 상기 스톱퍼(300)는 상기 돌출부(320)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톱퍼(300)의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톱퍼(300)의 외부로 돌출된 영역에 고정부재 삽입부(33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330)에 상기 스톱퍼 고정부재(40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스톱퍼 고정부재(4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과 커버(140)가 체결되어 이루는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340)에 의하여 상기 스톱퍼(3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스톱퍼 고정부재(40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과 커버(140)의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스톱퍼(300)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스톱퍼(300)는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 고정부재(40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어, 상기 가동부재(220)를 가압하여도 상기 핸들 블록(210)이 상기 스톱퍼(300)의 돌출부(320)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스크류(120)의 핸들 체결홀(121)에 조작핸들(H)을 삽입하여야 조작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스톱퍼 고정부재(400)를 제거하여 상기 스톱퍼(300)가 상기 탄성부재(340)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스톱퍼(300)의 홈부(310)가 상기 핸들 블록(210)의 일측단(215)에 위치하여 상기 핸들 블록(210)이 이동할 수 있게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220)를 가압하여 상기 핸들 블록(210)을 상기 스톱퍼(3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핸들 삽입홀(211)이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일치하도록 위치시켜 상기 핸들 체결홀(121)이 개방되어 상기 조작핸들(H)을 상기 핸들 체결홀(121)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H : 조작핸들 1 : 회로 차단기
10 : 본체 20 : 크레들
100 : 동력접속수단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스크류 121 : 핸들 체결홀
130 : 가동 프레임 140 : 커버
200 : 로킹수단 210 : 핸들 블록
211 : 핸들 삽입홀 212 : 가동부재 삽입홀
213 : 돌기부 214 : 가동부
215 : 일측단 220 : 가동부재
221 : 헤드부 222 : 가압부
230, 340 : 탄성부재 300 : 스톱퍼
310 : 홈부 320 : 돌출부
330 : 고정부재 삽입부 400 : 스톱퍼 고정부재

Claims (8)

  1. 본체에 배치되고, 크레들에 상기 본체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동력접속수단;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접속수단을 동작시키는 조작핸들; 및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마련되고, 상기 동력접속수단에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로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홀이 형성되고, 스크류의 일측단 전방에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핸들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삽입홀이 상기 핸들 체결홀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 블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동부재;
    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접속수단은,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단에 상기 조작핸들이 삽입 체결되는 핸들 체결홀이 형성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며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동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일측이 상기 핸들 블록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 삽입홀이 상기 핸들 체결홀에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상기 핸들 블록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블록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고,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블록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 블록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톱퍼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의 홈부가 상기 핸들 블록의 일측단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150066899A 2015-04-30 2015-05-13 회로 차단기 Active KR101698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99A KR101698815B1 (ko) 2015-05-13 2015-05-13 회로 차단기
CN201610282467.9A CN106098482B (zh) 2015-04-30 2016-04-29 断路器的插入及取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99A KR101698815B1 (ko) 2015-05-13 2015-05-13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37A KR20160134937A (ko) 2016-11-24
KR101698815B1 true KR101698815B1 (ko) 2017-02-02

Family

ID=5770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899A Active KR101698815B1 (ko) 2015-04-30 2015-05-13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8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06B1 (ko) 2007-08-21 2009-08-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110015920A (ko) * 2009-08-10 2011-02-17 대영정공(주)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1412592B1 (ko) * 2010-09-03 2014-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37A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486416B1 (ko) 배전반 내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CN111180275B (zh) 一种插入式断路器的锁定机构
KR10144331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604280B1 (ko) 배전반
CN103119670A (zh) 用于可分离地将电流导体固定至电流互感器壳体的装置
KR101602920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CN104246951B (zh) 用于电气设备的可拆卸的锁定装置
KR101168083B1 (ko)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20140109117A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JP4743753B2 (ja) プラグイン端子装置
KR101698815B1 (ko) 회로 차단기
RU2619763C2 (ru) Выдвижная ра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а также блок из выдвижной рамы 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KR20090115604A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콘센트
CN203193163U (zh) 一种用于抽屉式断路器的联锁装置
KR101650698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04143454B (zh) 一种门与高压负荷开关/断路器闭锁装置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5852201B1 (ja) 感電保護構造及び方法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JP5338961B2 (ja) 配電盤
CN209860466U (zh) 配电开关设备及其航空插联锁装置
EP2639902A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KR100886825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콘센트
KR200478313Y1 (ko)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