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555B1 -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7555B1 KR101697555B1 KR1020150145380A KR20150145380A KR101697555B1 KR 101697555 B1 KR101697555 B1 KR 101697555B1 KR 1020150145380 A KR1020150145380 A KR 1020150145380A KR 20150145380 A KR20150145380 A KR 20150145380A KR 101697555 B1 KR101697555 B1 KR 101697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contents
- outlet
- inner cap
- spo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52 cla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79 fabric sof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94 snou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포장용기에 보관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밀폐하여 막는 스파우트 마개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내캡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하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기능을 조절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를 개시한다.
본원발명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에 따르면, 입술로 밀어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고, 자동으로 밀폐하도록 할 수 있어 한 손으로도 포장용기를 개폐하면 음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원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로서 파우치(pouch)에 본원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원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가 포장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된 것을 보인 것으로서, 도 3은 분해조립도, 도 4는 분해조립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몸체에 내캡을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도 5는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에 강제로 끼우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6은 상기 몸체에 상기 내캡을 강제로 끼운 후를 보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외캡으로 내캡을 덮은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비스듬하게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의 음용 시에 내캡 상태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외캡의 외부에 외캡만곡부가 없는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11: 내용물유출구
11a: 내용물유출구벽
11b: 유출구하단턱
12: 스파우트내측나사산
13: 돌출밀폐구
14: 밀폐부
15: 내캡끼움홈
16: 위조방지테
16a: 위조방지테걸림돌기
16b: 위조방지테절취부
20: 외캡
20a: 확인절개선
21: 외캡만곡부
22: 외캡연결부
23: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
23a: 외캡열림방지걸림부
24: 외캡내벽홈
24a:몸체외벽돌기
30: 내캡
30a: 유출구밀폐내캡부
31: 내용물배출구멍
32: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
33: 내캡탄성부
34: 내캡외주끼움부
35: 유출구걸림밀폐턱
40: 내용물 토출구
41: 위조방지테걸림환돌기
50: 몸체
f: 강제 끼움 방향 화살표
w: 내용물 방향 화살표
t: 인장력 방향 화살표
u: 음용자 누름 방향 화살표
Claims (21)
- 포장용기에 보관하는 내용물을 밀폐하여 막는 스파우트 마개에 있어서,
몸체(1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내캡(3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유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측으로 유출구밀폐내캡부(30a)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는 하부 끝단이 막혀있되, 외주가 확장되어 유출구걸림밀폐턱(35)을 형성하며,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걸림으로써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밀폐되되,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35)은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경보다 커서 강제적으로 일부 눌려져야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지나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유출구하단턱(11b)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에는 내용물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내용물토출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는 돌출밀폐구가 상기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의 상단이 상기 몸체 내측의 밀폐부에 밀착되어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고,
상기 돌출밀폐구의 하단은 최초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위조방지테가 위조방지테절취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를 상기 내용물토출구에 결합할 시에 상기 포장용기의 내용물토출구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환돌기에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위조방지테걸림돌기가 걸림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최초 개봉 시 위조방지테절취부가 절단되며, 상기 몸체와 포장용기의 상기 내용물토출구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을 덮는 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상기 내캡의 일측면에 외캡연결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캡연결부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덮으면서 접어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외캡에 돌출되어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끼움 결합하는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서 상기 외캡의 중심부 쪽으로 확인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확인절개선은 인장에 의하여 절개되어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가 탈락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을 약하게 형성한 것이어서,
최초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돌기가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에 끼워진 후 상기 외캡을 열면서, 상기 외캡열림방지걸림부가 탈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완만하게 내측으로 들어가는 곡선형의 외캡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내측 면에는 외캡내벽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캡내벽홈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 면에는 몸체외벽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내벽홈과 상기 몸체외벽돌기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에 결합될 때 작용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외캡을 밀어 열 때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이루는 내용물유출구벽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을 둘러싸는 구조인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고,
상기 내캡에는 내용물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때에 상기 내캡의 내용물배출구멍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원형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음용자가 입술로 밀어 상기 몸체 쪽으로 밀어지면서 상기 내용물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음용자가 입술을 떼면 상기 복원되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삭제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구멍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몸체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캡을 아래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유출구벽끼움부와 상기 내용물유출구벽 사이에 상기 내용물유출구벽의 위쪽으로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내캡을 입술로 미는 경우 상기 내캡은 아래로 내려가지고,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도 상기 몸체의 내측 면에서 이격이 되어,
상기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은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과 상기 몸체의 내측 면과의 사이로 빠져나와 상기 유출구밀폐내캡부에 형성된 상기 내용물배출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몸체와 바깥 둘레가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 둘레에는 내캡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둘레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내캡끼움홈에 끼워지는 내캡외주끼움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캡끼움홈에 상기 내캡의 내캡외주끼움부가 끼워져 상기 몸체와 상기 내캡이 결합되고, 상기 내캡의 중앙부에는 유출구밀폐내캡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용물유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에 결합할 때, 상기 내캡을 아래로 눌러서 위로 올라오려는 복원력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이 상기 내용물유출구의 내측 면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을 상기 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내캡의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이 상기 내용물유출구를 지나도록 강제로 통과시켜서,
상기 힘을 제거하면 상기 유출구걸림밀폐턱과 상기 유출구하단턱이 밀착하게 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밀실하게 하고,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마개.
- 제1 항에 의한 스파우트 마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380A KR101697555B1 (ko) | 2015-10-19 | 2015-10-19 |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380A KR101697555B1 (ko) | 2015-10-19 | 2015-10-19 |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7555B1 true KR101697555B1 (ko) | 2017-01-18 |
Family
ID=5799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5380A Active KR101697555B1 (ko) | 2015-10-19 | 2015-10-19 |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755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53687A (zh) * | 2018-12-10 | 2019-02-19 | 四川省宜宾普拉斯包装材料有限公司 | 一种可自动回弹展示物的新型包装 |
KR20190091170A (ko) * | 2018-01-26 | 2019-08-05 | 주식회사중앙플라텍 |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
CN111483692A (zh) * | 2020-05-20 | 2020-08-04 | 深圳市通产丽星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粉末包装容器 |
US11059633B2 (en) | 2019-10-31 | 2021-07-13 | Cheer Pack North America |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04589A (ja) * | 2002-10-29 | 2006-02-09 | スマートシール エーエス | 減圧下で作動する飲用容器用の弁を開く力を最大にする装置 |
KR200421860Y1 (ko) | 2006-05-01 | 2006-07-20 | 김상순 |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
KR20070100987A (ko) | 2006-04-10 | 2007-10-16 | 이현영 |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
JP2008502552A (ja) * | 2004-06-12 | 2008-01-31 | ロ・ヘクウォン | 容器栓 |
KR100951526B1 (ko) * | 2007-10-25 | 2010-04-08 | 이충강 |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
JP2014015242A (ja) * | 2012-07-10 | 2014-01-30 | Toppan Printing Co Ltd | 打栓口栓 |
-
2015
- 2015-10-19 KR KR1020150145380A patent/KR1016975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04589A (ja) * | 2002-10-29 | 2006-02-09 | スマートシール エーエス | 減圧下で作動する飲用容器用の弁を開く力を最大にする装置 |
JP2008502552A (ja) * | 2004-06-12 | 2008-01-31 | ロ・ヘクウォン | 容器栓 |
KR20070100987A (ko) | 2006-04-10 | 2007-10-16 | 이현영 | 리필용기의 바디와 마개의 일체형 결합 밀폐구조 |
KR200421860Y1 (ko) | 2006-05-01 | 2006-07-20 | 김상순 |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
KR100951526B1 (ko) * | 2007-10-25 | 2010-04-08 | 이충강 |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
JP2014015242A (ja) * | 2012-07-10 | 2014-01-30 | Toppan Printing Co Ltd | 打栓口栓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1170A (ko) * | 2018-01-26 | 2019-08-05 | 주식회사중앙플라텍 |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
KR102025944B1 (ko) | 2018-01-26 | 2019-09-26 |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
CN109353687A (zh) * | 2018-12-10 | 2019-02-19 | 四川省宜宾普拉斯包装材料有限公司 | 一种可自动回弹展示物的新型包装 |
CN109353687B (zh) * | 2018-12-10 | 2024-01-23 | 四川省宜宾普拉斯包装材料有限公司 | 一种可自动回弹展示物的新型包装 |
US11059633B2 (en) | 2019-10-31 | 2021-07-13 | Cheer Pack North America |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
CN111483692A (zh) * | 2020-05-20 | 2020-08-04 | 深圳市通产丽星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粉末包装容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7555B1 (ko) |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
RU2502655C2 (ru) | Крышка | |
EP1065150A1 (en) | Aseptic closure for containers of liquids | |
CN105246378A (zh) | 饮用容器和盖组件 | |
FR2612495A1 (fr) | Emballage verseur de securite | |
KR20060057309A (ko) |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 |
US20170152084A1 (en) | Closures with storage chambers | |
MX2010004472A (es) | Tapa de liberacion de concentrado. | |
PL202671B1 (pl) | Zespół zamykający | |
US8857665B2 (en) | Beverage container with secondary internal dispensing chamber | |
KR101163626B1 (ko) |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 |
JP2003231544A (ja) | 小出し用閉鎖体及びこれを含むパッケージ | |
KR101392957B1 (ko) |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 |
KR101961226B1 (ko) |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
KR200450908Y1 (ko) | 자연향 추출물이 저장되는 음료 용기 뚜껑 | |
JP5671381B2 (ja) | 容器 | |
EP2559631B1 (en) | Sealing device for bottles and containers | |
KR200489145Y1 (ko) | 파우치형 팩 | |
KR20130137737A (ko) | 빨대가 내장된 컵 | |
KR101622732B1 (ko) | 음료 용기용 뚜껑 | |
JP2023540437A (ja) | クロージャ | |
KR101600042B1 (ko) |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 |
KR200141303Y1 (ko) |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 |
KR100852680B1 (ko) |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 |
KR20220084491A (ko) | 밀폐용 용기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