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367B1 -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 Google Patents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6367B1 KR101696367B1 KR1020150075184A KR20150075184A KR101696367B1 KR 101696367 B1 KR101696367 B1 KR 101696367B1 KR 1020150075184 A KR1020150075184 A KR 1020150075184A KR 20150075184 A KR20150075184 A KR 20150075184A KR 101696367 B1 KR101696367 B1 KR 101696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body
- leds
- incident
- lens
- light emit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6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엘이디들을 수용하기 위한 렌즈본체, 및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엘이디들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렌즈본체에 형성되는 입사홈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usion lens for an LED illumination comprising a lens body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Ds and an incident groove formed in the lens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ns body such that a plurality of LEDs are located inside the lens body .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이디가 방출하는 광에 대한 배광을 제어하기 위한 확산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usion len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for light emitted by an LED.
광고판 조명, 평판 조명, 형광등, 가로등(街路燈), 도로조명 등기구 등의 조명은 소정의 목적을 위해 실내 또는 실외에서 광을 방출하는 용도로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에는 광을 방출하기 위한 광원이 설치된다.Illuminations such as billboard lights, flat panel lights, fluorescent lamps, street lights, road light fixtures and the like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emitting light in indoor or outdoor for a predetermined purpose. In this illumination,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is provided.
최근에는 조명에 설치된 광원을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로 교체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엘이디는 친환경, 고효율, 그리고 긴 수명을 갖춘 광원일 뿐만 아니라, 전기 소모량이 적어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광원이기 때문이다. In recent years, the business of replacing a light source installed in a light source with an LED (Light Emitting Diode)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LED is not only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efficiency, long-life light source, but also a light source that can save energy and save energy.
예를 들어, 최근 강원 양구군에서 약 20억원을 투입하여 기존 가로등용 조명에 설치된 광원을 엘이디로 교체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미국 600개 이상의 도시가 기존 가로등용 조명에 설치된 광원을 엘이디로 교체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가로등용 조명 외에도 기존 형광램프를 이용한 형광등에 대해서도 광원이 엘이디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며, 엘이디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형광등은 소위 엘광등으로 불리면서 주목받고 있다.For example, we recently invested about 2 billion won in Yanggu-gun, Gangwon-do to replace the light source installed in existing street lighting with LED, and more than 600 cities in the US replaced the light source installed in existing street lighting with LED . In addition to lighting for street lamps, fluorescent lamps using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s have also been replaced by LEDs. Fluorescent lamps that use LED as a light source are attracting attention as so-called EL light.
이와 같이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엘이디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조명(이하, '엘이디 조명'이라 함)을 구현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In this way, projects for realizing illumin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D illumination") using LED as a light source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엘이디 조명은 램버시안 분포(Lambertian Distribution)를 형성하는 엘이디의 배광 특성으로 인해, 렌즈를 이용하여 엘이디가 방출하는 광에 대한 배광을 제어하도록 구현된다.Here, due to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LED forming the Lambertian distribution, the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implemented to control the light distribution for the light emitted by the LED using the lens.
그러나, 복수개의 엘이디들을 이용하여 엘이디 조명을 구현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엘이디 조명은 복수개의 엘이디들 각각마다 렌즈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복수개의 엘이디들의 개수만큼 복수개의 렌즈들이 필요함에 따라 구축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LED illumination using a plurality of LEDs, since the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requires a le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EDs, a plurality of lenses are required by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Ds,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엘이디 조명이 갖는 복수개의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에 대한 배광을 제어하기 위한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ffusing lens for an LED illumination capable of reducing a construction cost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for light emitted by a plurality of LEDs of an LED illumin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는 복수개의 엘이디들을 수용하기 위해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렌즈본체; 및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엘이디들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입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는 상기 입사홈에 위치한 엘이디들이 방출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은 각각 상기 렌즈본체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diffusion lens for an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body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LEDs; And an incident groov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closed along the lens body such that a plurality of LEDs are positioned inside the lens body. Wherein the lens body includes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emitted by the LEDs located in the incident groove is incident and an exit surface through which light passing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is emitted to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along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는 복수개의 엘이디들을 수용하기 위해 직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렌즈본체; 및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엘이디들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를 따라 직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입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는 상기 입사홈에 위치한 엘이디들이 방출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은 각각 상기 렌즈본체를 따라 직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A diffusion lens for an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ns body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LEDs; And an incident groov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ens body so that a plurality of LEDs are positioned inside the lens body. Wherein the lens body includes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emitted by the LEDs located in the incident groove is incident and an exit surface through which light passing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is emitted to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는 복수개의 엘이디들을 수용하기 위한 렌즈본체;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엘이디들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에 형성되는 입사홈; 및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되는 산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는 상기 입사홈에 위치한 엘이디들이 방출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부는 상기 출사면을 통과하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산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산란부재들은 상기 엘이디들 각각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The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body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Ds; An incident groove formed in the lens body such that a plurality of LEDs are positioned inside the lens body; And a scattering part coupled to the lens body. The lens body may include an incident surfac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by the LEDs located in the incident groove is incident, and an exit surface through which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is emitt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scatter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cattering members coupled to the lens body to scatter light passing through the exit surface, wherein the scattering members are spac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positioned on an optical axis of light emitted by each of the LEDs, May be coupled to the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이 갖는 복수개의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에 대한 배광을 제어하기 위한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for controlling the light distribution for the light emitted by a plurality of LEDs of the LED illumination, thereby enhanc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을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를 도 3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을 도 7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을 도 11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LED illumination to which a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D illumination using the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ffusion lens for an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6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a diffusion lens for an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LED illumination to which a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8 and 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LED illumination using the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7
10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a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D illumination using the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엘이디 조명(100)에 설치된 복수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200, 도 2에 도시됨)들이 방출하는 광에 대한 배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엘이디 조명(100)은 광고판 조명, 평판 조명, 형광등, 가로등(街路燈), 도로조명 등기구 등일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은 기판(110, 도 2에 도시됨)에 실장된 상태이다.1 and 2, the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을 수용하기 위한 렌즈본체(2), 및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에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되는 입사홈(3)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입사홈(3)에 위치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하는 광이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하는 광에 대한 배광을 제어한다.The diffus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엘이디 조명(100)이 갖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에 공용으로 이용되어 배광 특성을 제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엘이디 조명(100)이 갖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하는 광에 대한 배광을 제어하기 위한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이하에서는 상기 렌즈본체(2), 및 상기 입사홈(3)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렌즈본체(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위치한다. 상기 렌즈본체(2)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실장되는 기판(110, 도 2에 도시됨)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110)에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실장되어 있다. 상기 렌즈본체(2)는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 등을 통해 상기 기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2)는 별도의 홀더(미도시)를 통해 상기 기판(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1 to 4, the
상기 렌즈본체(2)는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본체(2)에는 관통공(2a, 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a)은 상기 렌즈본체(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관통공(2a)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2)가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를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기판(110)에 실장된다.The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본체(2)에는 원형의 관통공(2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은 원형의 고리 형태를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기판(110)에 실장된다. 상기 기판(110)은 상기 렌즈본체(2)에 대응되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원형의 원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는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본체(2)에는 타원형의 관통공(2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은 타원형의 고리 형태를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기판(110)에 실장된다. 상기 기판(110)은 상기 렌즈본체(2)에 대응되는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타원형의 원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본체(2)가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렌즈본체(2)에서 관통공(2a)이 형성된 내측 방향 및 상기 렌즈본체(2)의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더 넓은 조명영역에 대해 더 많은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엘이디 조명(100)에 대한 조명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이 조사되는 조명영역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엘이디 조명(100)의 개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입사홈(3, 도 4에 도시됨)은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된다.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의 바닥면(2b, 도 4에 도시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2b)은 상기 렌즈본체(2)가 상기 기판(110, 도 2에 도시됨)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기판(110)을 향하는 면(面)이다.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바닥면(2b)으로부터 함몰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된다. 상기 입사홈(3)은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300, 도 4에 도시됨)에서 최대 깊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축(300)은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의 수직 하방을 향하는 수직축 방향(Z축 방향, 도 4에 도시됨)을 의미한다.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바닥면(2b)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방향(A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으로 점차적으로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방향(A 화살표 방향)은 상기 렌즈본체(2)가 상기 기판(110, 도 2에 도시됨)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기판(110)에서 상기 렌즈본체(2)를 향하는 방향이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incidence groove 3 (shown in Fig. 4) is formed in the lens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에 엘이디(2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엘이디(200)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엘이디(200)가 엘이디 칩 및 엘이디 칩을 수용하는 몰딩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입사홈(3)은 엘이디 칩 및 몰딩부를 합한 것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에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된다. 상기 렌즈본체(2)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상기 입사홈(3)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2)가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입사홈(3)에 위치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1)을 포함한다.1 to 4, the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렌즈본체(2)에 상기 입사홈(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렌즈본체(2)의 내면을 이루는 면이다.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은 상기 입사면(21)을 통해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된 후에, 상기 렌즈본체(2)를 통과하여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입사홈(3)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바닥면(2b, 도 4에 도시됨)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입사면(21)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2)가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광축(300, 도 4에 도시됨)을 향할수록 곡률이 감소되는 제1입사면(211,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입사면(211)은 상기 함몰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광축(300)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로 입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1입사면(211)에서 상기 바닥면(2b)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작은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1입사면(211)에서 상기 광축(300)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큰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The
상기 제1입사면(211)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對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로 입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산된다. The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제1입사면(211) 및 상기 바닥면(2b) 각각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2입사면(212,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입사면(212)은 일측이 상기 바닥면(2b)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입사면(21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입사면(212)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렌즈본체(2)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입사면(211)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입사홈(3)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2입사면(212)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로 입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즉, 상기 제2입사면(212)을 거친 광 및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친 광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굴절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더 넓은 조명영역에 대해 더 많은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엘이디 조명(100)에 대한 조명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이 조사되는 조명영역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엘이디 조명(100)의 개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입사면(212)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ffuse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입사면(21)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22)을 포함한다.1 to 5, the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렌즈본체(2)의 외면을 이루는 면이다.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은, 상기 입사면(21)을 통해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된 후에, 상기 렌즈본체(2)를 거쳐 상기 출사면(22)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출사면(22)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The exit surface (22) is the surface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ody (2). The light emitted by the plurality of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2)가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광축(300, 도 4에 도시됨)을 향할수록 곡률이 증가되는 제1출사면(221,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출사면(221)은 상기 함몰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광축(300)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출사면(221)에서 상기 바닥면(2b)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작은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출사면(221)에서 상기 광축(300)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큰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The
상기 제1출사면(221)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산된다. The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광축(300) 상에 형성되는 제2출사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emitting
상기 제2출사면(222)은 상기 제1출사면(22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출사면(222)은 상기 제1출사면(2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출사면(222)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렌즈본체(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출사면(221)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렌즈본체(2) 또는 상기 입사홈(3)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2출사면(222)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출사면(222)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에 비해 더 큰 각도로 굴절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더 넓은 조명영역에 대해 더 많은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엘이디 조명(100)에 대한 조명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이 조사되는 조명영역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엘이디 조명(100)의 개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출사면(222)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ffuse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산란부(4,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6, the
상기 산란부(4)는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산란부(4)는 복수개의 산란부재(41,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상기 출사면(22)을 통과하는 광을 산란(Scattering)시킨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300)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산란부재(41)들은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광축(300)을 따라 출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광축(300)을 따라 출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조명영역에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광축(300) 상에 위치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조사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된 광이 조명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에 대한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the diffusing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동안, 상기 렌즈본체(2)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량 차이로 인해 외부에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위치가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동안, 광량 차이로 인해 엘이디 조명(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ffus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광이 방출되지 않는 동안,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된 산란부재(41)들을 통해 엘이디 조명(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상기 기판(110)에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실장된 경우, 상기 산란부재(41)들은 상기 렌즈본체(2)에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산란부재(41)들을 통해 엘이디 조명(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상기 엘이디(100)와 대략 일치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상기 엘이디(100)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상기 산란부재(41)들이 각각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광축(300)을 따라 출사되는 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원형, 타원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Each of the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Tape)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산란부(4)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산란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상기 산란부(4)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각각 상기 렌즈본체(2)에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에 대응되는 부분에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The scattering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에 있어서, 상기 렌즈본체(2)에는 플랜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에서 상기 통과공(2a)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렌즈본체(2)가 상기 기판(110)에 결합되는 결합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1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서 엘이디 조명(100)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3)의 밑면 및 상기 렌즈본체(2)의 바닥면(2b)은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에서 상기 내측 방향에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렌즈본체(2)에는 상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3) 및 상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3)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1 to 6, in the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2)가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가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를 따라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에서는 상기 렌즈본체(2)가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직선을 이루며 형성된 렌즈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렌즈본체(2)는 직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본체(2)는 바(Bar) 형태로 직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본체(2)가 직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110)에 직선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서 실장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상기 렌즈본체(2)가 직선을 이루며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첫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본체(2)의 양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더 넓은 조명영역에 대해 더 많은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엘이디 조명(100)에 대한 조명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First, the diffusing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이 조사되는 조명영역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엘이디 조명(100)의 개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Secondly, the
셋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렌즈본체(2)를 압출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ird, since the
넷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직선을 따라 부착 내지 절단을 통해 상기 렌즈본체(2)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조명영역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도록 직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홈(3)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직선을 따라 상기 렌즈본체(2)의 양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입사홈(3)을 통해 양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광을 방출하면서 발생시키는 열을 상기 렌즈본체(2)의 양단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열로 인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7 and 8, the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입사면(21)을 포함한다.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도록 직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제1입사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사면(211)은 상기 함몰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광축(300)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로 입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1입사면(211)에서 상기 바닥면(2b)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작은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1입사면(211)에서 상기 광축(300)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큰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입사면(211)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로 입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확산된다. The
상기 입사면(21)은 상기 제2입사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입사면(212)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렌즈본체(2)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입사면(211)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입사홈(3)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2입사면(212)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로 입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즉, 상기 제2입사면(212)을 거친 광 및 상기 제1입사면(211)을 거친 광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굴절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더 넓은 조명영역에 대해 더 많은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엘이디 조명(100)에 대한 조명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이 조사되는 조명영역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엘이디 조명(100)의 개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입사면(212)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출사면(22)을 포함한다.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도록 직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제1출사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221)은 상기 함몰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광축(300)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출사면(221)에서 상기 바닥면(2b)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작은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출사면(221)에서 상기 광축(300)에 가깝게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일수록 더 큰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The
상기 제1출사면(221)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확산된다. The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출사면(22)은 상기 제2출사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출사면(222)은 상기 제1출사면(22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출사면(222)은 상기 제1출사면(2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출사면(222)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렌즈본체(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출사면(221)은 곡률중심(미도시)이 상기 렌즈본체(2) 또는 상기 입사홈(3)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2출사면(222)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면서 상기 광축(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출사면(222)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출사면(221)을 거쳐 상기 렌즈본체(2)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에 비해 더 큰 각도로 굴절된다.Referring to FIG. 9, the emitting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더 넓은 조명영역에 대해 더 많은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엘이디 조명(100)에 대한 조명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방출한 광이 조사되는 조명영역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엘이디 조명(100)의 개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출사면(222)은 상기 광축(3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산란부(4,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부(4)는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산란부(4)는 복수개의 산란부재(41)를 포함한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상기 출사면(22)을 통과하는 광을 산란시킨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300)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산란부재(41)들은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직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산란부재(41)들은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광축(300)을 따라 출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광축(300)을 따라 출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조명영역에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광축(300) 상에 위치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조사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방출된 광이 조명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에 대한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the diffusing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동안, 상기 렌즈본체(2)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량 차이로 인해 외부에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 각각의 위치가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동안, 광량 차이로 인해 엘이디 조명(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셋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로부터 광이 방출되지 않는 동안,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된 산란부재(41)들을 통해 엘이디 조명(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상기 기판(110)에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실장된 경우, 상기 산란부재(41)들은 상기 렌즈본체(2)에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렌즈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산란부재(41)들을 통해 엘이디 조명(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ly, the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에 있어서, 상기 렌즈본체(2)에는 상기 플랜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렌즈본체(2)가 상기 기판(110)에 결합되는 결합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1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서 엘이디 조명(100)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3)의 밑면 및 상기 렌즈본체(2)의 바닥면(2b)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3)는 상기 렌즈본체(2)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도록 직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to 10, in the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에 있어서, 상기 렌즈본체(2)는 결합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상기 결합부재(24)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실장된 기판(11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24)는 상기 렌즈본체(2)의 바닥면(2b)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4) 및 상기 렌즈본체(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24)는 상기 플랜지(23)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결합부재(24)에는 결합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41)으로 인해 상기 결합부재(24) 및 상기 렌즈본체(2)의 바닥면(2b)은 전체적으로 디귿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실장된 기판(110)은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결합홈(24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실장된 기판(110)은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결합홈(241)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복수개의 엘이디(200)들이 실장된 기판(110)에 대한 조립 작업 및 분해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렌즈본체(2)는 상기 결합부재(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4)들은 상기 렌즈본체(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24)들은 상기 결합홈(241)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렌즈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는 상기 기판(110)의 양단 각각이 상기 결합홈(241)들에 삽입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기판(110)에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 :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 2 : 렌즈본체
3 : 입사홈 4 : 산란부
100 : 엘이디 조명 200 : 엘이디1: diffusion lens for LED illumination 2: lens body
3: incidence groove 4: spawning section
100: LED illumination 200: LED
Claims (10)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상기 엘이디들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입사홈; 및
상기 엘이디들 각각이 방출하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산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본체는 상기 입사홈에 위치한 엘이디들이 방출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은 각각 상기 렌즈본체를 따라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산란부재들은 각각 상기 엘이디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본체에는 상기 엘이디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산란부재들이 없도록 상기 산란부재들이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A lens body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to receive a plurality of LEDs; And
An incident groove formed inside the lens body in a ring shape closed along the lens body so that the LE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d a plurality of scattering members coupled to the lens body for scattering light emitted by each of the LEDs,
Wherein the lens body includes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emitted by the LEDs located in the incident groove is incident, and an exit surface through which light passing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is emitted to the outside,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emission surface are each formed in a ring shape closed along the lens body,
The scatter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ns body on the optical axis of light emitted by the LEDs so as to b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Ds,
Wherein the scatter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scattering members are not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es between the LEDs.
상기 렌즈본체는 원형의 고리 형태 또는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body is formed in a circular ring-shaped or elliptical ring shape.
상기 입사홈은 상기 렌즈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기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에서 최대 깊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은 상기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을 향할수록 곡률이 감소되는 제1입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ident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ens body and is formed to have a maximum depth in an optical axis of light emitted by the LEDs;
Wherein the incident surface includes a first incident surface whose curvature is decreased towar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EDs.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입사면 및 상기 렌즈본체의 바닥면 각각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2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입사면은 곡률중심이 상기 입사홈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입사면은 곡률중심이 상기 렌즈본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ident surface includes a second incident surfac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ens body,
Wherein the first incident surface is formed so that a center of curvature thereof is located in the incident groove,
And the second incident surface is formed so that a center of curvature thereof is located in the lens body.
상기 출사면은 상기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을 향할수록 곡률이 증가되는 제1출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it surface includes a first exit surface that increases in curvature toward the optical axis of light emitted by the LEDs.
상기 출사면은 상기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 상에 형성되는 제2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출사면은 곡률중심이 상기 렌즈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출사면은 곡률중심이 상기 렌즈본체 또는 상기 입사홈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mitting surface includes a second emitting surface formed on an optical axis of light emitted by the LEDs,
The second exit surface is formed so that a center of curvature thereof is located outside the lens body,
Wherein the first exit surface is formed so that a center of curvature thereof is located in the lens body or the incident groove.
상기 렌즈본체의 내부에 상기 엘이디들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본체에 형성되는 입사홈; 및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되는 산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본체는 상기 입사홈에 위치한 엘이디들이 방출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산란부는 상기 출사면을 통과하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산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부재들은 각각 상기 엘이디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이디들이 방출하는 광의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본체에는 상기 엘이디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산란부재들이 없도록 상기 산란부재들이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A lens body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Ds;
An incident groove formed in the lens body such that the LE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ns body; And
And a scattering portion coupled to the lens body,
Wherein the lens body includes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emitted by the LEDs located in the incident groove is incident, and an exit surface through which light passing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is emitt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scatter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cattering members coupled to the lens body for scatter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exit surface,
The scatter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ns body on the optical axis of light emitted by the LEDs so as to b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Ds,
Wherein the scatter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scattering members are not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es between the LEDs.
상기 렌즈본체는 상기 엘이디들이 실장된 기판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엘이디들이 실장된 기판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ns body includes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substrate on which the LEDs are mounted,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substrate on which the LEDs are mounted is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5184A KR101696367B1 (en) | 2015-05-28 | 2015-05-28 |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5184A KR101696367B1 (en) | 2015-05-28 | 2015-05-28 |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154A KR20160141154A (en) | 2016-12-08 |
KR101696367B1 true KR101696367B1 (en) | 2017-01-16 |
Family
ID=5757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5184A Active KR101696367B1 (en) | 2015-05-28 | 2015-05-28 |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63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5026B1 (en) * | 2017-04-21 | 2018-07-06 | 주식회사 에이치엘옵틱스 | Light distribution lens |
KR101852025B1 (en) * | 2017-12-05 | 2018-04-27 | 주식회사 누리플랜 | LED light controlling system |
KR101939550B1 (en) | 2018-02-07 | 2019-01-17 | 주식회사 에이치엘옵틱스 | Light distribution len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2056A (en) * | 2011-03-02 | 2012-09-20 | Panasonic Corp | Lens and lighting fixture |
JP2014146560A (en) * | 2013-01-30 | 2014-08-14 | Panasonic Corp | Illumina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4323B1 (en) * | 2011-05-30 | 2013-05-2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Plane light emitting back light unit and lamp using point light source |
KR20140128542A (en) * | 2013-04-26 | 2014-11-06 | 주식회사 엔씨엘이디 | Led tubular light for sign |
-
2015
- 2015-05-28 KR KR1020150075184A patent/KR1016963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2056A (en) * | 2011-03-02 | 2012-09-20 | Panasonic Corp | Lens and lighting fixture |
JP2014146560A (en) * | 2013-01-30 | 2014-08-14 | Panasonic Corp | Illumin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154A (en) | 2016-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18731B (en) | Led lamp | |
TWI452232B (en) | Lens and lighting device | |
KR101948378B1 (en) | Omni-directional reflector comprising a frusto-conical surface for a light-emitting diode | |
US10480721B2 (en) | Light flux controlling member, light 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 |
JP2015103323A (en) | Lighting device | |
KR101795368B1 (en) | Optical Lens for LED Lighting | |
KR101696367B1 (en) | Diffusion Lens for LED lighting | |
JP2012150274A (en) | Luminous flux control member,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luminous flux control member,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light-emitting device | |
KR101469618B1 (en) | Led lens for flood light of sign board | |
TWI728926B (en) | Lamp | |
KR20150137959A (en) | Secondary optical element and light source module | |
KR200464527Y1 (en) | Reflection plate of LED lamp equipment | |
KR101394476B1 (en) | Led lens for flood light of sign board | |
KR101069693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aspherics | |
KR101682676B1 (en) | Diffusion Lens having Scaterring Function for LED lighting | |
TWI507640B (en) | Light guide element for controling light beam angle and lamp | |
WO2015129671A1 (en) | Lighting apparatus, light source cover, light control member, and light source unit | |
JP2017194621A (en) | Optical lens | |
JP2012243680A (en) | Lighting system | |
JP2016212371A (en) | Luminous flux control member, light 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 |
US20140085874A1 (en) | Luminaire | |
KR101191406B1 (en) | Led lamp device with distribution pattern of luminous intensity of incandescent lamp | |
KR101201881B1 (en) | Light Guide Plate of Point LED and Light Guide Plate Module by Using Light Guide Plate | |
KR101713973B1 (en) | Diffuser for led illuminator | |
JP2017174628A (en) | Vehicle ligh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