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5134B1 -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 Google Patents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134B1
KR101695134B1 KR1020160085248A KR20160085248A KR101695134B1 KR 101695134 B1 KR101695134 B1 KR 101695134B1 KR 1020160085248 A KR1020160085248 A KR 1020160085248A KR 20160085248 A KR20160085248 A KR 20160085248A KR 101695134 B1 KR101695134 B1 KR 10169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ound
barricade
core
barr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식
이권이
Original Assignee
하종식
이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종식, 이권이 filed Critical 하종식
Priority to KR102016008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1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6Pitfall barriers, causing the vehicle to face a step-like ob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과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고중량의 진입차량에 의한 충돌에도 안정적으로 버팀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부가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립되며 상면에 개구가 구비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동력을 전달받아 상면과 전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지상으로 출몰하도록 된 베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에서 지중과 접하는 면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를 지중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길이를 가지는 심재가 고정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드블럭 바리케이드{Roadblock Barricade}
본 발명은, 차로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일부분에 위치되는 복수의 배리어를 구성하여서 된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과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고중량의 진입차량에 의한 충돌에도 안정적으로 버팀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리케이드는 시가전이나 농성, 또는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임시로 만든 방벽의 하나이다.
특히 차량 테러 등과 같은 경우에는, 진입로에 대한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로드블럭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로드블록의 일례를 살펴보면, 삼각 측면형상을 수직 및 수평 등의 보강 지지봉으로 연장한 구조로 되어있고, 하부는 이동이 간편하도록 바퀴가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이동수단 없이 지면에 접촉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1999-0011794호(명칭: 도주차량의 주행을 저지시키는 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중앙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구멍들이 있고 양측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지면과 접하게 되고 저면부에 종, 횡으로 소정의 보강프레임들이 있는 철판과, 상기 철판의 보강프레임 전/후방에 축고정구가 조립되고 상기 축고정구에 조립되는 회전축과, 상기 축의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봉이 고정되며, 상기 봉의 상단에 끼워지며 끝이 뾰족한 중공으로된 침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에 고정구와 나사봉이 조립되고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내장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내부의 와이어를 당겨줄수 있는 작동구로 구성된 도주차량의 주행을 저지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27874호(명칭: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검문자의 휴대형 조작용 보조작동기의 조작에 의해 조작하는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에 있어서, 원호형의 상판 하부에 판형의 하판을 마련하고 상판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피난공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손잡이와 타측에는 바퀴를 결합하고 상판의 내부에는 회전축을 베어링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대와 차단봉의 타측에 걸공을 형성한 걸편을 마련한 다수개의 차단구를 결합하여 회전축의 회전시 차단봉이 상판의 피난공을 통해 상부로 돌출하도록 하며, 상기 차단구의 걸공에는 직선방향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포트와 연결하는 연결구를 마련하여 직선방향의 포트 작동으로 인해 회전축에 마련된 차단구의 차단봉이 상판의 상부로 돌출 및 함몰하도록 하는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로드블록 형태의 바리케이드 및 휴대용 바리케이드들은, 차량 출입시마다 바리케이드를 이동시켜야 하고, 차량 통과 후에는 차량의 통제를 위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함으로써,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설치 및 철거시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지면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 도로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상으로 돌출하여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된 매립형 로드블록의 바리케이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매립형 바리케이드는, 차로(車路)의 전체에 구성됨으로써,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차로 전체에 구성된 배리어수단이 상승하는 동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차량 도주를 차단하는 효과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폭탄테러 또는 범인도주 차량과 같이 긴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제품신뢰성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차로 전체에 위치되지 않고 차량의 일부분에 위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리어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압력을 낮추고,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있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유압식 금속제 바리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66297호(명칭: 유압식 금속제 바리케이드)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상기 유압식 금속제 바리케이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차량의 진입을 방해하여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배리어수단; 및 상기 배리어수단에 동력을 제공하여 작동상태 또는 작동해제가 되도록 제어하는 동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수단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매립프레임과, 상기 매립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매립프레임에 구비되는 회전브라켓이 회전지지 되는 배리어 및 상기 매립프레임과 배리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배리어를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차로 전체에 위치되지 않고 차량의 일부분에 위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리어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압력을 낮추고,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도록 됨은 물론, 배리어의 전면부에 일정높이의 배리어침을 구성하고, 상기 배리어의 일측에 상기 배리어와 함께 회전하는 커버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리어의 배리어침이 외부로 돌출되어 통제불능이 차량을 용이하게 제압할 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동력수단을 유압으로 이용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최소화하면서 강한 유압에 의해 차량의 저항력에 배리어침이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차량의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1999-0011794호 2,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27874호 3,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66297호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지중 매립형 바리케이드들은, 차량의 충돌에 따른 입가하중을 버티기 위하여 지중과의 결합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깊이로 매립되어야만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중과의 접촉면적이 작아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의해 쉽게 지상으로 부상하여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과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고중량의 진입차량에 의한 충돌에도 안정적으로 버팀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는, 상부가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립되며 상면에 개구가 구비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동력을 전달받아 상면과 전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지상으로 출몰하도록 된 베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에서 지중과 접하는 면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를 지중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길이를 가지는 심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심재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위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와의 결합면을 형성하도록 된 플랜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심재는, '관(管: 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는, 본체에 결합되는 심재를 통해 지중과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고중량의 진입차량에 의한 충돌에도 안정적으로 버팀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시공시 상기 심재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지중으로 고정하도록 됨에 따라, 지중으로 파는 매립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지중에 대한 넓은 폭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어 시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보인 개략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구성하는 본체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구성하는 심재를 보인 빌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의 시공과정으로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에 적용되는 본체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로드블럭 바리케이드(1)는, 상부가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지중(12)에 매립되며 상면에 개구(21)가 구비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동력을 전달받아 상면과 전면이 상기 개구(21)를 통해 지상으로 출몰하도록 된 베리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2) 및 상기 배리어(3)의 상면이 도로(10)의 아스팔트(11)의 표면과 일치하는 위치를 가지면서 지중(12)으로 매립되는 것으로, 상기 아스팔트(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중(12)으로 상기 본체(2)가 매립되어, 노상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필요 시, 상기 베리어(3)에 별도의 동력수단(4)을 통해 얻어진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베리어(3)의 일부위가 상기 본체(2)의 개구(21)를 통해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무단으로 진입하는 차량 등과 같은 진입물(C)의 무단 진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에서, 상기한 본체(2)에서 지중(12)과 접하는 면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에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지중(12)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2)를 지중(12)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길이를 가지는 심재(5)가 고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상기 심재(5)를 통해 지중(12)과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고중량의 진입차량에 의한 충돌에도 안정적으로 버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심재(5)를 지중(12)에 매립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심재(5)를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지중(12)으로 진입하도록 하여 고정 매립하도록 됨에 따라, 지상에서 지중(12)으로 시공하여 형성하는 매립부위를 상기 본체(2)가 매립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도록 되어 지면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지중(12)으로 수평적 매립을 하게 되는 상기 심재(5)에 의해 지중에 대한 넓은 폭에 대한 상기 본체(2)의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되어 시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에서, 상기 심재(5)는, 상기 본체(2)가 매립되는 본체수용홈(13)에서 지중(12)을 형성된 심재수용홈(14)에 끼움 결합하는 형태로 지중(12)에 매립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2)에서 상기 지중(12)으로 별도의 미 도시된 타격장치 등을 적용하여 가압력에 의해 타공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심재(5)에서 상기 본체(2)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위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2)와의 결합면을 형성하도록 된 플랜지편(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랜지편(51)에 의해 상기 심재(5)가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플랜지편(51)을 통해 상기 본체(2)와 나사결합 또는 용접결합을 통해 확고히 체결하여 상기 본체(2)와 상기 심재(5)의 결합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심재(5)는, '봉' 형상의 봉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管: 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심재(5)가 관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심재(5)의 고정이 완료된 후, 관체의 내부로 충전물(6)을 충전하여 내부를 폐쇄함으로써, 지중(12)에서 상기 본체(2)의 내부로 유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체에는, 내외를 연통하는 다수의 통공(52)이 형성되어, 상기 충진물(6)이 상기 관체와 지중(12) 사이의 틈을 제거하여, 고정된 상태를 더욱 확고히 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충진물(6)은, 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지중(12)에 매립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상기 베리어(3)가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 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무단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동력수단(4)을 통해 상기 베리어(3)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베리어(3)를 상기 본체(2)의 내부공간에서 회전시켜, 상기 베리어(3)의 상단 및 전면이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무단으로 진입하는 차량과 충돌하여 차량의 무단진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체(2)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은, 'H' 빔 또는 'ㄷ' 형상의 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및 상기 베리어(3)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리어(3)의 전면에는 진입금지 표시가 기재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의 시공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의 시공과정으로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의 시공과정은, 먼저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점유하는 도로(10)에서, 상기 본체(2)가 매립되는 넓이와 깊이를 가지는 본체수용홈(13)을 별도의 미 도시된 건설장비를 통해 형성하는 본체수용홈 형성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수용홈 형성단계(S100)을 통해, 상기 본체(2)가 수용되어 매립되는 상기 본체수용홈(13)이 형성되면, 상기 본체수용홈(13)의 내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심재(5)가 관통하면서 끼움결합하여 고정되는 심재수용홈(14)을 형성하는 심재수용홈 형성단계(S2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심재수용홈(14)은, 상기 본체(2)에 형성된 관통공(22)과 일치하여 맞춤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심재수용홈 형성단계(S200)을 통해 상기 심재수용홈(14)이 형성되면, 상기 관통공(22)과 상기 심재수용홈(14)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본체(2)를 상기 본체수용홈(13)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본체 고정단계(S300)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 고정단계(S300)을 통해 지중(12)으로 상기 본체(2)가 매립되면,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심재(5)를 상기 심재수용홈(14)에 끼움결합하고 상기 심재(5)의 플랜지편(51)과 상기 본체(2)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심재 고정단계(S4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편(51)과 상기 본체(2)는 나사결합 또는 용접결합 중에서 선택된 방법을 적용하여 결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심재 고정단계(S400)을 통해 상기 심재(5)가 지중(12)으로 매립되면, 상기 심재(5)의 중공 및 통공(52)을 통해 발포성수지로 이루어진 충진물(6)은 충진하여 상기 심재(5)와 지중(12)과의 틈을 메우는 충진물 충전단계(S500)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충진물 충전단계(S500)을 통해 상기 심재(5)와 지중(12)의 접촉부위의 틈을 제거한 후, 상기 본체(2)의 내부에,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에서 상기 본체(2)에 결합 및 수용되는 베리어(3)와 동력수단(4) 등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는 시설물 설치단계(S600)을 수행한 후, 후처리공정을 수행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리케이드(1)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지중(12)으로 수평적 매립을 하게 되는 상기 심재(5)에 의해 지중(12)에 대한 넓은 폭에 대한 상기 본체(2)의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어 시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바리케이드 10 : 도로
11 : 아스팔트 12 : 지중
13 : 본체수용홈 14 : 심재수용홈
2 : 본체 21 : 개구
22 : 관통공 3 : 베리어
4 : 동력수단 5 : 심재
51 : 플래지편 52 : 통공
6 : 충전물 C : 진입물

Claims (4)

  1. 상부가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립되며 상면에 개구(21)가 구비되며 지중과 접하는 면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된 공간부를 가지는 '함(函: box)' 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동력을 전달받아 상면과 전면이 상기 개구(21)를 통해 지상으로 출몰하도록 된 베리어(3)와, 상기 본체(2)의 관통공(22)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2)를 지중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길이를 가지는 심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드블럭 바리케이드(1)에 있어서;
    상기한 심재(5)에서 상기 본체(2)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위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2)와의 결합면을 형성하도록 된 플랜지편(51)이 형성되며;
    상기한 심재(5)는,
    내외를 연통하는 다수의 통공(52)이 형성된 '관(管: 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관체에는,
    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전물(6)이 충전되되;
    상기한 충전물(6)은,
    상기 관체의 내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심재(5)와 지중(12)과의 틈을 메우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5248A 2016-07-06 2016-07-06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Active KR10169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248A KR101695134B1 (ko) 2016-07-06 2016-07-06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248A KR101695134B1 (ko) 2016-07-06 2016-07-06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134B1 true KR101695134B1 (ko) 2017-01-10

Family

ID=5781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248A Active KR101695134B1 (ko) 2016-07-06 2016-07-06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58B1 (ko) 2019-10-21 2020-09-28 주식회사 신길씨큐리티 바리케이드
KR102605435B1 (ko) 2022-10-28 2023-11-23 주식회사 신길씨큐리티 바리케이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75A (ko) 1999-04-06 2000-11-15 오황택 단추 제조방법
KR20090027874A (ko) 2007-09-13 2009-03-18 정구관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
JP4498638B2 (ja) * 2001-06-19 2010-07-07 株式会社伊田屋本店 排水溝構造
KR100979492B1 (ko) * 2009-08-17 2010-09-01 주식회사 무진네오테크 3중 나선구조의 록볼트 겸 지중앵커 및 그를 이용한 지반의 지지력 보강공법
KR100997805B1 (ko) * 2010-05-07 2010-12-0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311868B1 (ko) * 2011-11-17 2013-09-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동적 접지압과 접지형상 측정장치
KR20150066297A (ko) 2013-12-06 2015-06-16 하종식 유압식 금속제 바리케이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75A (ko) 1999-04-06 2000-11-15 오황택 단추 제조방법
JP4498638B2 (ja) * 2001-06-19 2010-07-07 株式会社伊田屋本店 排水溝構造
KR20090027874A (ko) 2007-09-13 2009-03-18 정구관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
KR100979492B1 (ko) * 2009-08-17 2010-09-01 주식회사 무진네오테크 3중 나선구조의 록볼트 겸 지중앵커 및 그를 이용한 지반의 지지력 보강공법
KR100997805B1 (ko) * 2010-05-07 2010-12-0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311868B1 (ko) * 2011-11-17 2013-09-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동적 접지압과 접지형상 측정장치
KR20150066297A (ko) 2013-12-06 2015-06-16 하종식 유압식 금속제 바리케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58B1 (ko) 2019-10-21 2020-09-28 주식회사 신길씨큐리티 바리케이드
KR102605435B1 (ko) 2022-10-28 2023-11-23 주식회사 신길씨큐리티 바리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2512B1 (en) Vehicle arresting installation
US7472891B2 (en) Bollard assembly
US8740495B1 (en) Shallow flush-mounted vehicle control barrier
US7736085B2 (en) Bollard system
US7524135B1 (en) Pos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A2871603C (en) Collapsible barricade apparatus
US4554695A (en) Vehicular road block
US5070646A (en) Anti-theft device with extractable armored column
KR101695134B1 (ko)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US20150016883A1 (en) Post footing
US20110027015A1 (en) Security bollard
KR101542365B1 (ko)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JP4097622B2 (ja) 侵入規制装置
KR102083340B1 (ko) 대테러 차량 돌진 방호장비
JP5698886B2 (ja) 落石防止柵支柱用の削孔方法
KR101681505B1 (ko) 안전펜스
KR20210043333A (ko) 맨홀 및 제수변의 뚜껑 잠금장치
EP3746601A1 (en) Anti-intrusion barrier
JP4170800B2 (ja) 防護柵設置対応型擁壁ブロック
KR101028397B1 (ko) 발파 비산석의 낙하지점 유도기능을 갖는 충격저감장치를 구비한 프로텍터 및 이를 이용한 운영중 터널확대공법
JP3076217U (ja) 道路用衝撃吸収装置
KR102196251B1 (ko) 대테러 차량 돌진 방호장비
KR101218039B1 (ko) 베리어가 구비된 매립형 차량용 방벽
JP7480022B2 (ja) 車両捕捉装置、覆蓋部材、及び、車両捕捉方法
GB2263123A (en) Removable vehicle barrier p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