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921B1 -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4921B1 KR101694921B1 KR1020160099527A KR20160099527A KR101694921B1 KR 101694921 B1 KR101694921 B1 KR 101694921B1 KR 1020160099527 A KR1020160099527 A KR 1020160099527A KR 20160099527 A KR20160099527 A KR 20160099527A KR 101694921 B1 KR101694921 B1 KR 101694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lecting
- air
- vacuum pump
- product
- air in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04B37/16—Means for nullifying unswept sp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이러한 본 발명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는, 프로세서 챔버와 진공펌프 사이에 구비되어 프로세서 챔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산물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 포집장치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1차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하는 회전발생용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포집용 몸체와, 상부에 유입공기를 다시 회전시켜 2차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하는 회전발생용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집용 콘으로 이루어진 부산물 포집용 콘부재와, 유입공기를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켜 3차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포집용 구멍을 구비하는 포집용 콘부재 커버를 포함하여 진공펌프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 및 상측으로 이동시켜 공기 내의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구성을 알아보기 위한 분리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구성 중 포집용 몸체에 대한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구성 중 포집용 몸체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개략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포집용 몸체에 대한 평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구성 중 부산물 포집용 콘부재에 대한 평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구성 중 포집용 콘부재 커버에 대한 개략도이며, (a)는 평면을 도시한 것이며, (b)는 정면을 도시한 것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구성 중 포집용 콘부재 커버의 작동설명을 위한 부분 단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의 구성 중 미세입자 부산물 저장부재에 대한 단면 개략도.
10, 10ㅁ, 10b, 10c : 포집용 몸체
20 : 거름메쉬망
30 : 상부이동안내부재 31 : 이동통로용 홀
40 : 포집용 콘부재
40a, 40b, 40c, 40d : 포집용 콘
50 : 포집용 콘부재 커버 51 : 포집용 구멍
60 : 미세입자 부산물 저장부재
Claims (4)
- 프로세서 챔버와 진공펌프 사이에 구비되어 프로세서 챔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산물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 포집장치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1차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하는 회전발생용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포집용 몸체와, 상부에 유입공기를 다시 회전시켜 2차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하는 회전발생용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집용 콘으로 이루어진 부산물 포집용 콘부재와, 유입공기를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켜 3차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포집용 구멍을 구비하는 포집용 콘부재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용 콘부재 커버에 구비되는 각각의 포집용 구멍(51)에는 포집을 위한 공기의 회전방향과 대향되며, 부산물의 충돌시 하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포집용 충돌날개(52)가 구비되며,
상기 포집용 구멍(51)의 입구측인 하측단부(51a)는 포집용 콘에 형성된 접선형 공기 유입구(41)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선형 공기 유입구(41)로 유입된 공기가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한 후 포집용 구멍(51)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진공펌프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 및 상측으로 이동시켜 공기 내의 부산물을 포집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프로세서 챔버와 진공펌프 사이에 구비되어 프로세서 챔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산물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 포집장치는, 유입공기가 원활하게 회전을 하도록 내부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유입공기가 회전을 하도록 형성된 공기 유입구(11)와, 공기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진공펌프로 이동하도록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2)를 포함하여 1차 부산물 포집을 위한 포집용 몸체(10)와;
상기 포집용 몸체(10)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 거름메쉬망(20)과;
상기 거름메쉬망(20)을 통과한 공기만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중앙에 이동통로용 홀(31)이 구비된 상부이동안내부재(30)와;
상기 이동통로용 홀(31)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며, 이동통로용 홀(31)로 이동하는 공기가 회전을 하도록 접선형 공기 유입구(41)를 가지는 다수의 포집용 콘(40a, 40b, 40c, 40d)으로 이루어진 2차 부산물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부산물 포집용 콘부재(40)와;
상기 다수의 포집용 콘(40a, 40b, 40c, 40d)으로 각각 유입되어 회전하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포집용 구멍(51)이 형성된 포집용 콘부재 커버(50)와;
상기 포집용 콘부재(40)의 포집용 콘(40a, 40b, 40c, 40d)에서 각각 포집되는 미세입자 부산물만이 저장되도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미세입자 부산물 저장부재(60)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진공펌프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 및 상측으로 이동시켜 공기 내의 부산물을 포집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 몸체의 하측면의 일측에는 포집된 1차 부산물용 배출구(13)가 구비되되, 포집용 몸체 내측면에는 회전하는 1차 부산물이 1차 부산물용 배출구(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출 안내용 날개(14)가 구비되고,
상기 미세입자 부산물 저장부재(60)는, 상부에는 포집용 콘부재(40)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콘부재용 홀(61a)이 구비되고, 거름메쉬망(20)을 통과한 공기를 상부이동안내부재(30)의 이동통로용 홀(31)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 반구형의 상판부재(61)와; 상기 상판부재(61)와 결합되어 포집용 콘부재(40)의 내측과 연통함으로써 포집되는 부산물을 수용하는 포집공간부를 제공하는 깔때기형 포집몸체(62)로 이루어지며, 상기 깔때기형 포집몸체(62)의 내측 둘레면에는 포집된 부산물이 상측으로 비산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부재(6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 콘부재 커버에 구비되는 각각의 포집용 구멍(51)에는 포집을 위한 공기의 회전방향과 대향되며, 부산물의 충돌시 하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포집용 충돌날개(52)가 구비되며,
상기 포집용 구멍(51)의 입구측인 하측단부(51a)는 포집용 콘에 형성된 접선형 공기 유입구(41)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선형 공기 유입구(41)로 유입된 공기가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한 후 포집용 구멍(51)으로 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527A KR101694921B1 (ko) | 2016-08-04 | 2016-08-04 |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527A KR101694921B1 (ko) | 2016-08-04 | 2016-08-04 |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4921B1 true KR101694921B1 (ko) | 2017-01-12 |
Family
ID=5781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9527A Active KR101694921B1 (ko) | 2016-08-04 | 2016-08-04 |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4921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183B1 (ko) * | 2018-12-03 | 2020-01-14 | (주) 엠엠티케이 | 반도체 부산물 포집 장치 |
KR102113249B1 (ko) | 2019-12-12 | 2020-05-20 | (주) 엠엠티케이 | 사이클론을 이용한 부산물 포집장치 |
KR20240000146A (ko) | 2022-06-23 | 2024-01-02 | 주식회사 엠엠티 | 반도체 제조 부산물 포집장치 |
KR102634912B1 (ko) | 2023-08-04 | 2024-02-08 | 주식회사 엠엠티 | 반도체 공정시 발생하는 부산물 포집장치 |
KR102672167B1 (ko) | 2022-12-23 | 2024-06-07 | 주식회사 엠엠티 | 바이패스형 반도체 제조 부산물 포집장치 |
KR102739669B1 (ko) | 2023-12-19 | 2024-12-10 | 주식회사 엠엠티 | 반도체 부산물 포집장치 |
CN119909414A (zh) * | 2025-04-02 | 2025-05-02 | 天津市恒立华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防溢自清洁式高效分离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3627A (ko) * | 2000-02-17 | 2001-09-01 | 구자홍 | 사이클론 집진장치 |
KR100555385B1 (ko) | 2004-02-05 | 2006-03-03 | 조재효 | 반도체장비의 부산물 포집장치 |
KR100621660B1 (ko) | 2005-07-01 | 2006-09-11 | 주식회사 뉴프로텍 | 반도체 부산물 트랩장치 |
KR100647725B1 (ko) | 2006-05-09 | 2006-11-23 | 주식회사 미래보 | 반도체 장치의 부산물 포집장치 |
KR101447629B1 (ko) | 2014-01-10 | 2014-10-08 | (주) 엠엠티케이 | 반도체 부산물 포집차단수단을 구비한 반도체 부산물 포집장치 |
-
2016
- 2016-08-04 KR KR1020160099527A patent/KR10169492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3627A (ko) * | 2000-02-17 | 2001-09-01 | 구자홍 | 사이클론 집진장치 |
KR100555385B1 (ko) | 2004-02-05 | 2006-03-03 | 조재효 | 반도체장비의 부산물 포집장치 |
KR100621660B1 (ko) | 2005-07-01 | 2006-09-11 | 주식회사 뉴프로텍 | 반도체 부산물 트랩장치 |
KR100647725B1 (ko) | 2006-05-09 | 2006-11-23 | 주식회사 미래보 | 반도체 장치의 부산물 포집장치 |
KR101447629B1 (ko) | 2014-01-10 | 2014-10-08 | (주) 엠엠티케이 | 반도체 부산물 포집차단수단을 구비한 반도체 부산물 포집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183B1 (ko) * | 2018-12-03 | 2020-01-14 | (주) 엠엠티케이 | 반도체 부산물 포집 장치 |
KR102113249B1 (ko) | 2019-12-12 | 2020-05-20 | (주) 엠엠티케이 | 사이클론을 이용한 부산물 포집장치 |
KR20240000146A (ko) | 2022-06-23 | 2024-01-02 | 주식회사 엠엠티 | 반도체 제조 부산물 포집장치 |
KR102672167B1 (ko) | 2022-12-23 | 2024-06-07 | 주식회사 엠엠티 | 바이패스형 반도체 제조 부산물 포집장치 |
KR102634912B1 (ko) | 2023-08-04 | 2024-02-08 | 주식회사 엠엠티 | 반도체 공정시 발생하는 부산물 포집장치 |
KR102739669B1 (ko) | 2023-12-19 | 2024-12-10 | 주식회사 엠엠티 | 반도체 부산물 포집장치 |
CN119909414A (zh) * | 2025-04-02 | 2025-05-02 | 天津市恒立华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防溢自清洁式高效分离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4921B1 (ko) | 진공펌프 보호를 위한 회전타입의 부산물 포집장치 | |
KR100611026B1 (ko) |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 |
EP3000371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WO2014061201A1 (ja) | マルチサイクロン式コレクタ | |
CN112351717B (zh) | 真空吸尘器 | |
KR102066183B1 (ko) | 반도체 부산물 포집 장치 | |
JP5140143B2 (ja) | コンクリートカッター用集塵装置 | |
JP4118851B2 (ja) | ミスト及び粉塵の捕集装置 | |
KR101998316B1 (ko) |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 | |
EP2914364B1 (en) | A compact filter based dust collector for hazardous dust | |
CN1977747A (zh) | 湿式电动吸尘器 | |
JP2009504310A (ja) | 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の集塵容器構造及び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の集塵容器カバー支持構造 | |
KR100560329B1 (ko) | 사이클론 집진장치 | |
KR20060031445A (ko) |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 |
EP3005923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JP4106351B2 (ja) | オイルミスト集塵器 | |
KR102105600B1 (ko) | 이중사이클론 집진청소기 | |
JP5450815B2 (ja) | 粒子を含むエアをポンピングしてエアから粒子を分離するためのユニット | |
KR101289556B1 (ko) | 원심력을 이용한 오일미스트 집진기 | |
JP2017077503A (ja) | 除塵装置 | |
SE535115C2 (sv) | Anordning för centrifugalseparering av partiklar ur ett gasflöde där två eller flera rotorer är anordnade i ett gemensamt hus | |
KR20130046156A (ko) | 반도체 제조장비의 부산물 포집장치 | |
EP3005924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JP6724220B1 (ja) | 空気清浄装置 | |
KR20130142804A (ko) | 소용돌이 필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