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246B1 - Device For Drawing Out Beverage In Can - Google Patents
Device For Drawing Out Beverage In Ca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4246B1 KR101694246B1 KR1020150131105A KR20150131105A KR101694246B1 KR 101694246 B1 KR101694246 B1 KR 101694246B1 KR 1020150131105 A KR1020150131105 A KR 1020150131105A KR 20150131105 A KR20150131105 A KR 20150131105A KR 101694246 B1 KR101694246 B1 KR 101694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foam
- container
- valve
- connection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16—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inducing mean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음료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인출기 몸체부; 상기 인출기 몸체부 내에 수납된 캔 음료 용기의 취출공을 밀폐시키며 고정하는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상기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를 통해 상기 음료 용기 내부를 연결하며 음료 인출에 필요한 연결 관로들을 형성하는 음료 인출 관로부;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를 통해 상기 음료 용기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음료 인출시 용기 내압을 높여주는 인출압 발생기;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의 상기 연결 관로들을 통해 음료 인출이 가능하게 상기 연결 관로들을 개폐 조작하는 관로 조작부; 및 상기 연결 관로들중 음료가 인출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인출되는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캔 음료 용기에 담긴 음료를 자동 인출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캔 음료 용기에 담긴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액상 또는 거품 상태로 자동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drink dispen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hermetic sealing part for sealing and fixing the take-out hole of the can beverage container stored in the body of the withdrawal machine; A beverage take-out duct par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fixed sealing part and forming connection ducts necessary for taking out beverage; A take-out pressure generator for blowing air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to increase the container internal pressure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A conduit operat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conduits so that a beverage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connection conduits of the beverage takeout conduit; And a foam generator installed on any one of the connection conduits from which the beverage is drawn out to generate bubbles in the beverage being drawn out, so that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an is automatically drawn out and taken out So that the beverage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in a liquid or foam state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everage can.
Description
본 발명은 캔 음료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캔 음료 용기에 담긴 음료를 자동 인출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pensing a beverage contained in a can-
주지된 바와 같이, 맥주와 같은 음료는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공정을 거쳐 병이나 캔 등의 용기에 담겨 제조되는 일반 맥주와, 가열·살균등과 같은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되는 생맥주 등으로 구분된다.As is well known, beverages such as beer are manufactured through ordinary heat treatment processes such as heating and sterilization in general, and beer, which is produced in a container such as a bottle or a can, and a heat treatment process such as heating or sterilization Draft beer.
특히, 맥주를 캔 음료 용기에 담아 제품화시킨 캔 맥주는 사용자가 캔 음료 용기를 컵 대용으로 들고 마실 수 있는 편리함과 아울러 야외 활동시 휴대성과 수납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Especially, the beer which is commercialized by putting the beer in the can drink contain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for the user to drink the can drink container as a cup substitute,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portable and storing in outdoor activities.
종래 캔 맥주는 대부분 사용자가 들고 마실 수 있도록 소용량으로 만들어졌지 때문에 캔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를 인출하기 위한 별동의 음료 인출 장치가 필요 없었다.Conventional canned beer has been made small in size so that the beverage can be taken by most users.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the beverage in the can beverage container.
그러나, 캔 맥주의 휴대성 및 수납성이 좋은 특성상 야외 활동 시 좀더 큰 대용량 캔맥주들이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대용량 캔맥주에 적합한 캔 음료 인출 장치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due to the good portabi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canned beer, the use of larger-capacity canned beer for outdoor activities has been widespread, and the use of canned beverage outlets suitable for large-capacity canned beer is required.
또한, 캔 음료 인출 장치를 통해 캔 음료 용기에 수납된 맥주를 인출 하는 과정에서 맥주의 맛을 풍미할 수 있도록 거품을 발생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further demand for a function of generating bubbles so as to be able to taste beer in a process of taking out beer stored in a can drink container through a can drink extracting devic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캔 음료 용기에 담긴 음료를 자동 인출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캔 음료 용기에 담긴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액상 또는 거품 상태로 자동 인출할 수 있는 캔 음료 인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a beverage contained in a can beverage container and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beverage in a liquid or foam state And a can dispens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캔 음료 인출 장치는, 내부에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인출기 몸체부; 상기 인출기 몸체부 내에 수납된 캔 음료 용기의 취출공을 밀폐시키며 고정하는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상기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를 통해 상기 음료 용기 내부를 연결하며 음료 인출에 필요한 연결 관로들을 형성하는 음료 인출 관로부;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를 통해 상기 음료 용기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음료 인출시 용기 내압을 높여주는 인출압 발생기;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의 상기 연결 관로들을 통해 음료 인출이 가능하게 상기 연결 관로들을 개폐 조작하는 관로 조작부; 및 상기 연결 관로들중 음료가 인출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인출되는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n ejector body portion having a can containing space therein; A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hermetic sealing part for sealing and fixing the take-out hole of the can beverage container stored in the body of the withdrawal machine; A beverage take-out duct par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fixed sealing part and forming connection ducts necessary for taking out beverage; A take-out pressure generator for blowing air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to increase the container internal pressure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A conduit operat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conduits so that a beverage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connection conduits of the beverage takeout conduit; And a foam generator installed on any one of the connection conduits through which the beverage is drawn out and generating foam in the beverage being drawn out.
여기서, 상기 인출기 몸체부는 전방에 음료 인출컵을 놓아 거치할 수 있게 인출컵 거치홈이 형성되는 바닥 받침판; 상기 바닥 받침판 상측에서 음료컵 형상을 이루며 체결 고정되고 후측에 개방 형성된 용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를 수납되도록 내부에 상기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인출기 몸통; 및 상기 인출기 몸통 상측에 거품 형상을 이루며 장, 탈착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인출기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drawer body includes a floor plate on which a draw-out cup moun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beverage draw-out cup can be placed and put forward; An extractor body having a c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n beverage container through a container outlet formed in a shape of a beverage cup a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support plate and fastened and opened to the rear side; And an ejector head which is formed in a foam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ejector and fastened and fixed so as to be detachable.
또한, 상기 바닥 받침판은 후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캔 음료 용기를 올려 상기 인출기 몸체 내부의 상기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내부로 인, 입출 시키는 캔 음료 용기 장입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ttom floor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an 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provided so as to be pulled out to the rear side to allow the can beverage container to be lifted into and out of the can containing space inside the can body have.
또한, 상기 캔 음료 용기 장입판에는 상기 캔 음료 용기를 올려 거치시키기 위한 캔 음료 거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n drink container loading plate may be formed with a can drink receiving groove for mounting the can drink container.
또한, 상기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는 상기 인출기 몸체의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상측에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되며 설치되는 수직 이동블록; 상기 수직 이동블록 상측에 회전 손잡이를 통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 가동판; 및 상기 회전 가동판의 회동 거리에 비례하게 상기 수직 이동블록을 수직 이동시켜 상기 수직 이동블록이 취출공이 구비된 상기 캔 음료 용기 상부를 닫아 밀폐 고정시키도록 상기 수직 이동블록과 상기 회전 가동판이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상에 서로 대응되게 원주를 따라 부분 설치되는 회전 캠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verage container fixed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moving block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on the upper side of the c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can body of the ejector body; A rotary movable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block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a rotary knob; And the vertical moving block is vertically moved in proportion to a rotation distance of the rotary movable plate so that the vertical moving block and the rotary movable plate face each other so as to close and fix the upper part of the can drink container having the take- And a rotating cam protrusion partly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opposing face.
또한, 상기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에는 상기 수직 이동블록 및 상기 회전 가동판을 관통하며 상기 캔 음료 용기 내부와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를 연결하는 메인 공기 주입 관로 및 메인 음료 인출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hermetically sealed portion may include a main air infusion conduit and a main beverage dispenser conduit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block and the rotary movable plate and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can beverage container and the beverage outflow conduit portion.
또한, 상기 메인 공기 주입 관로는 상기 회전 가동판의 중심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가동판 공기 통관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수직 이동블록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이동블록 공기 통관 내에 삽입되는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의 하부 공기 주입 연결관 하단부가 실링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air injection duct may include a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inserted into the movable block air cana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vertically moving block,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movable plate air cana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ry movable plate, The lower end of the air injection connection pipe can be inserted and extended in a sealable state.
또한, 상기 메인 음료 연결 관로는 상기 수직 이동블록을 수직 관통하며 형성되는 이동블록 음료 통관; 상기 이동블록 음료 통관 상단부와 상기 회전 가동판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동판 음료 통공을 통과해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에 형성된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의 하단부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 주름관; 및 상기 캔 음료 용기 내부로 삽입되게 상기 이동블록 음료 통관의 하측에 연장 결합되는 용기 삽입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main beverage connection line may include a movable block beverage clearanc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block; A flexible screed tube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block beverage clearance tube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beverage extraction connection pipe formed in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through an arc-shaped movable plate beverage passage formed in the rotary movable plate; And a container insertion hose which is extend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block beverage clearance tub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n beverage container.
또한,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는 상기 인출기 몸통 상단부에 걸쳐 고정되고, 내부에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거품 인출 연결 관로 및 공기 주입 연결 관로가 형성되는 상부 관로 고정블록;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 하측에 체결 고정되며 하측에 연장 형성된 상기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및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에 연결되게 분지 관로를 형성하는 분지 관로 형성 하판; 상기 인출기 몸통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의 일측에 구비되어, 액상 음료 인출 연결관 및 거품 인출 연결관을 통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관로 및 상기 거품 인출 관로를 각각 연결하며 액상 음료 및 거품을 인출하도록 액상 음료 인출구 및 거품 인출구가 형성되는 음료 인출구; 및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 상에 구비되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 및 상기 공기 주입 연결 관로를 각각 개폐하는 액상 음료 단속 밸브, 거품 단속 밸브 및 공기 주입 단속 밸브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beverage extraction duct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extractor and has a liquid beverage outflow connection pipe, a foam outflow connection pipe, and an air injection connection pipe formed therein. A bottom plate formed by a branch pipe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ipe fixing block and extends downward to form a branch pipe so that the lower beverage extraction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liquid beverage extraction connection pipe and the foam extraction connection pipe; And a bubble extracting pipe connected to the liquid beverage extracting pipe and the foam extracting pipe through a liquid beverage extracting connection pipe and a foam extracting connection pipe to expose the liquid beverage and the foam to the outside of the extractor body, A beverage outlet through which a liquid beverage outlet and a foam outlet are formed; And a liquid beverage intermittent valve, a foam intermittent valve, and an air infeed intermittent valves provided on the upper pipe fixing b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beverage outflow connection line, the foam withdrawal connection line and the air injection connection line, respectively Lt; / RTI >
또한, 상기 인출압 발생기는 상기 인출기 헤드 내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공기 주입 연결 관로 상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공기 주입 연결관을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용기 내압을 높여주는 공기 가압 펌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pressure generator is housed in the withdrawal head and includes an air pressurizing pump that blows air into the can beverage container through an upper air injection connection pipe formed on the air injection connection pipe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 ≪ / RTI >
또한, 상기 거품 발생기는 상기 거품 인출 연결관 상에 접하도록 진동 헤드부가 노출되게 상기 인출기 헤드 내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거품 인출 연결관을 통과하는 음료를 진동시켜 거품을 발생시키는 진동식 거품 발생기;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am generator may include a vibration type foam generator installed in the drawer head to be exposed to the vibration drawing hea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am draw-out connection pipe, and to generate foam by vibrating th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foam drawing connection pipe .
또한, 상기 관로 조작부는 상기 인출기 해드에 관통 형성된 레버 조작 통공을 통과해 끼워져 고정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조작 레버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가동 기어; 상기 가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캠 가이드를 통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액상 음료 및 거품이 인출되도록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 상기 거품 단속 밸브 및/또는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를 눌러 개폐 조작하는 판형캠; 및 상기 가동 기어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형캠의 중심부로 자동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conduit operating portion may include an operating lever that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 lever operating hole formed through the outlet hood; A movable gear which is fitted to a lower end of the operating lever and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operating lever via the operating lever; The liquid beverage intermittent valve, the foam intermittent valve, and / or the air infeed / intermittent valve are provided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e through the cam guide in an engaged state with the movable gear, A plate-shaped cam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a restoration spring provided at a side of the movable gea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automatically return to the center of the plate-shaped cam.
또한, 상기 판형캠은 길이 방향 중심부에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 상기 거품 단속 밸브 및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가 모두 들려 오려져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중심홈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가 개방되게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도록 상기 중심홈부로부터 일측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캠 경사부: 및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거품 단속 밸브가 개방되게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도록 상기 중간홈부로부터 타일측 단부로 갈수록 전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캠 경사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ate-shaped cam is provided with a central groove portion for keeping the liquid beverage stop valve, the foam intermittent valve and the air inlet stop valve all in a closed state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A first cam inclined portion gradually protruding from the central groove portion to one end portion so as to draw out the liquid beverage by pressing the intermittent valve to open; and a second cam inclined portion gradu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groove portion toward the one end portion, And a second cam inclined port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intermediate groove portion toward the tile side end portion.
또한, 상기 관로 조작부는 상기 인출기 해드 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 상기 거품 단속 밸브 및/또는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 눌러 조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조작 버튼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duit opera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operation buttons formed on the ejector head to press the liquid beverage intermittent valve, the foam intermittent valve, and / or the air infeed valve.
또한, 상기 조작 버튼은 제1 조작 버튼 및 제2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작 버튼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를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게 개방하고, 상기 제2 조작 버튼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거품 단속 밸브를 눌러 거품이 인출되게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peration button includes a first operation button and a second operation button, and the first operation button opens the liquid beverage dispensing valve by pressing the liquid beverage dispensing valve together with the air supply interrupting valve so that the liquid beverage is drawn out, The operation button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foam interlocking valve together with the air injection stop valve so that the foam is drawn out.
상기한 본 발명의 캔 음료 인출 장치에 따르면, 캔 음료 용기에 담긴 음료를 자동 인출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캔 음료 용기에 담긴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액상 또는 거품 상태로 자동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canne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an beverage contain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and taken out.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an beverage container,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음료 인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전단면도이다.
도 5는 캔 음료 용기 장입판 인입 및 인출 과정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캔 음료 인입 과정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인출기 해드 분리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및 음료 인출 관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및 음료 인출 관로부 조립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의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및 거품 인출 연결 관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관로 조작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판형캠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관로 조작부를 통한 밸브 조작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캔 음료 인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of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of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of Fig.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pulling in and pulling out the can-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fixing sealing portion.
7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an drink infusion process.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ractor-head separation state of the can-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of Fig. 1;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fixing sealing portion and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FIG. 1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closed part and the beverage take-out pipe in a subassembly state of FIG. 9;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quid beverage withdrawal connection channel and the foam withdrawal connection channel.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ipe control portion.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ate-shaped cam of Fig.
Fig. 1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operation of the valve through the pipe operation por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음료 인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전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of FIG. 1, And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an-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캔 음료 인출 장치(1)는 인출기 몸체부(10),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20), 음료 인출 관로부(30), 인출압 발생기(40), 관로 조작부(50) 및 거품 발생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캔 음료 용기(100)에 담긴 음료를 자동 인출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캔 음료 용기(100)에 담긴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액상 또는 거품 상태로 자동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1 to 4,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of the
먼저, 인출기 몸체부(10)는 바닥 받침판(11), 인출기 몸통(14) 및 인출기 헤드(15)로 구성되어, 캔 음료 인출 장치(1)의 외관 형상이 생맥주잔에 생맥주가 채워져 거품이 넘쳐 흐르는 모양을 형상화하도록 한다. First, the body of the
도 5는 캔 음료 용기 장입판 인입 및 인출 과정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pulling in and pulling out the can-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도 1 내지 조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바닥 받침판(11)은 중심부에는 인출기 몸통(14)을 안착 고정하기 위한 몸통 거치홈(11a)이 형성되고, 몸통 거치홈(11a) 전방에는 음료 인출컵(미도시)을 놓아 거치할 수 있게 인출컵 거치홈(12)이 형성되며, 후측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캔 음료 용기 장입판(13)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5, the
여기서, 캔 음료 용기 장입판(13)은 상기 캔 음료 용기(100)를 올려 상기 인출기 몸통(14) 내부의 상기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내부로 좀더 쉽게 인, 입출 시키기 위한 것이다. Here, the can-beverage
한편, 캔 음료 용기 장입판(13)의 전방에는 상기 캔 음료 용기(100)를 올려 거치시키기 위한 캔 음료 거치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an-beverage receiving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출기 몸통(14)은 생맥주잔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 받침판(11) 상측에 체결 고정되고, 내부에 형성된 상기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캔 음료 용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후측에 용기 인출구(14a)가 개방되게 형성된다.1 to 4, the
한편, 인출기 몸통(14)의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상측에는 상기한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20) 및 음료 인출 관로부(30)를 수납 설치할 수 있는 내부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ide of the can drink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body of the
그리고, 인출기 헤드(15)는 인출기 몸통 상측에 거품 형상을 이루며 장, 탈착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며, 상부 헤드 케이스(15a)와 하부 헤드 케이스(15b) 사이에 관로 조작부(50), 인출압 발생기(40) 및 거품 발생기(60)를 수납 설치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The
한편, 상부 헤드 케이스(15a)의 상부에는 관로 조작부(50)를 이루는 조작 레버(51)를 통과시켜 이를 통해 후술하는 밸브들(35, 36, 37)을 조작할 수 있도록 레버 조작 통공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lever opera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그리고, 하부 헤트 케이스에는 관로 조작부(50)를 통해 밸브들(35, 36, 37)을 조작할 수 있도록 밸브 통공(19)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 상기한 인출압 발생기(40) 및 거품 발생기(60)를 가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건전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건전지 케이스(18)가 구비된다. A
도 6은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fixing sealing portion.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20)는 상기 인출기 몸통 내에 수납된 캔 음료 용기(100)의 취출공(101)이 형성된 상단부를 밀폐 고정시키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S. 1 to 4, the beverage container fixing sealing
본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20)는 수직 이동블록(25), 회전 가동판(21) 및 회전 캠 돌기들(21a, 25a)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수직 이동블록(25)은 상기 인출기 몸통(14)의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상측에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되며 수납 설치된다. The
한편, 수직 이동블록(25) 하측에는 캔 음료 용기(100)의 상단부를 막아 밀폐시키도록 패킹 부재(25c)가 구비된 용기 밀폐 수용홈부(25b)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below the
회전 가동판(21)은 상기 수직 이동블록(25) 상측에 회전 손잡이(23)를 통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rotary
여기서, 회전 손잡이(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좌우 방향으로 돌려 회전 가동판(21)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인출기 몸통(14)의 상측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 가동홈(14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끼워진다.The
회전 캠 돌기들(21a, 25a)은 상기 회전 가동판(21)과 상기 수직 이동블록(25)이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상에 서로 대응되게 원주를 따라 부분 설치되어, 상기 회전 가동판(21)의 회동 거리에 비례하게 상기 수직 이동블록(25)을 수직 이동시켜 상기 캔 음료 용기(100) 상부를 닫아 밀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도 7은 캔 음료 인입과정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an drink infusion process.
도 7를 참조하여 캔 음료 인출 장치 내에 캔 음료를 인입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anned beverage into the canne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바닥 받침판으로부터 캔 음료 용기 장입판을 후측으로 당겨 인출한 상태로 캔 음료 거치홈 상에 캔 음료 용기를 올려 거치시킨다.First, the can-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is pulled up to the rear side from the floor-receiving plate, and the can-beverage container is placed on the can-beverage receiving groove and placed thereon.
그 다음, 캔 음료 용기가 거친된 캔 음료 용기 장입판을 밀어 넣어 캔 음료 용기가 인출기 내부의 상기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내부로 삽입한다. Then, the canned beverage container is pushed into the coarse canned 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and the can containing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an containing space inside the can drink container.
그리고, 회전 손잡이를 잡고 회전 가동판을 돌려 상측 회전 캠 돌기들을 하측 회전 캠 돌기들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켜, 결국 수직 이동블록(25) 하측으로 이동하며 하부에 패킹 부재(25c)가 구비된 용기 밀폐 수용홈부(25b)를 통해 캔 음료 용기(100)의 상단부를 막아 밀폐시키도록 한다. The upper rotary cam protrusions are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lower rotary cam protrusions by moving the rotary knobs while holding the rotary knob, and eventually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이처럼, 패킹 부재(25c)가 구비된 용기 밀폐 수용홈부(25b)를 통해 캔 음료 용기(100)의 상단부를 막아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30)를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100)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음료 인출이 가능하게 용기 내압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한편, 캔 음료 용기(100)로부터 음료를 모두 인출하고 난 이후, 캔 음료 인출 장치(1)로부터 캔 음료 용기(100)를 인출하는 과정은 상기한 캔 음료 용기 인입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관로 조작부(50)는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30)의 상기 연결 관로들을 통해 음료 인출이 가능하게 상기 연결 관로들을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한편, 상기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20)에는 상기 수직 이동블록(25) 및 상기 회전 가동판(21)을 관통하며 상기 캔 음료 용기(100) 내부와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30)를 연결하는 메인 공기 주입 관로 및 메인 음료 인출 관로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hermetically sealed
상기 메인 공기 주입 관로는 상기 회전 가동판(21)의 중심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가동판 공기 통관(24)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수직 이동블록(25)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이동블록 공기 통관(27) 내에 삽입되는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30)의 하부 공기 주입 연결관(34a) 하단부가 오링(34c)이 끼워져 실링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신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된다. The main air inflow conduit passes through a movable block air through-hole (24)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ry movable plate (21) and passing through a center of the vertical movement block (25) The lower end of the lower air
따라서, 후술하는 음료 인출 관로부(30) 내에 형성된 공기 주입 관로(34)를 통해 인출압 발생기(40)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한 메임 공기 주입 관로를 거쳐 상단부가 밀폐 경합된 캔 음료 용기(100) 내부로 공급되어 음료 인출에 필요한 내부 압력을 갖도록 한다. Therefor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인출압 발생기(40)는 상기 인출기 헤드(15) 내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공기 주입 연결 관로(34) 상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공기 주입 연결관(34b)을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 내에 공기를 불어 주도록 하는 공기 가압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In the meantime,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메인 음료 연결 관로는 이동블록 음료 통관(28), 신축 주름관(26) 및 용기 삽입 호스(29)를 통해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캔 음료 용기(10) 내부와 음료 인출 관로부(30)의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31b)을 연결하도록 한다. The main beverag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여기서, 이동블록 음료 통관(28)은 상기 수직 이동블록(25)을 수직 관통하며 형성된다. Here, the moving
신축 주름관(26)은 상기 이동블록 음료 통관(28) 상단부와 상기 회전 가동판(21)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동판 음료 통공(22)을 통과해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30)에 형성된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31b)의 하단부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한다. The expansion and
그리고, 용기 삽입 호스(29)는 상기 캔 음료 용기(100) 내부로 삽입되게 상기 이동블록 음료 통관(28)의 하단부에 연장 결합되도록 한다. Further, the
따라서, 상기한 메인 음료 연결 관로를 통해 캔 음료 용기(100)로부터 유출된 음료는 후술하는 음료 인출 관로부(30) 내에 형성되는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32) 및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를 통해 액상 또는 거품 형태로 배출되게 된다. Therefore, the beverages discharged from the
도 8은 도 1의 캔 음료 인출 장치의 인출기 해드 분리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및 음료 인출 관로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및 음료 인출 관로부 조립 상태의 정단면도이며, 도 11의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및 거품 인출 연결 관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closing part and the beverage take-out duct part,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closure part of Fig. 9,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liquid beverage outgoing connection line and the foam outflow connection line of FIG. 11.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료 인출 관로부(30)는 상부 관로 고정블록(31), 분지 관로 형성 하판(31a), 음료 인출구(38) 및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 거품 단속 밸브(37) 및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8 to 11, the beverage take-out
상부 관로 고정블록(31)은 상기 인출기 몸통(14) 상단부에 걸쳐 고정되고, 내부에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32),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 및 공기 주입 연결 관로(34)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upper
분지 관로 형성 하판(31a)은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31) 하측에 체결 고정되어, 하측에 연장 형성된 상기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31b)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32) 및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에 연결되게 분지 관로(31d)를 형성하도록 한다.The branch pipe forming
음료 인출구(38)는 상기 인출기 몸통(14)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액상 음료 인출 연결관(32a) 및 거품 인출 연결관(33a)을 통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32) 및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를 각각 연결하며 액상 음료 및 거품을 인출하도록 액상 음료 인출구(38a) 및 거품 인출구(38b)가 형성된다. The
한편, 거품 인출 연결관(33a) 상에 설치되는 거품 발생기(60)를 통해 인출되는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beverage drawn out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 거품 발생기(60)는 상기 거품 인출 연결관(33a) 상에 접하도록 진동 헤드부가 노출되게 상기 인출기 헤드(15) 내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거품 인출 연결관(33a)에 공급된 음료를 진동시켜 거품을 발생시키는 진동식 거품 발생기인 것을 예시한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 거품 단속 밸브(37) 및 공기 주입 단속 밸브(38)은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31) 상에 구비되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32),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 및 상기 공기 주입 연결 관로(34)를 각각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The liquid beverage
여기서,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 거품 단속 밸브(35) 및 공기 주입 단속 밸브(37)들은 모두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32),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 및 상기 공기 주입 연결 관로(34)를 개폐하도록 삽입되는 밸브 몸체(35a)와, 밸브 몸체(35a)를 상측으로 복원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밸브 지지 스프링들(3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quid beverage
관로 조작부(50)는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30)의 상기 연결 관로들을 통해 음료 인출이 가능하게 상기 연결 관로들을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도 12는 관로 조작부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판형캠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Fig. 12 is a principal perspective view of the pipe operation portion, and 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ate-like cam of Fig.
도 2와 함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관로 조작부(50)는 조작 레버(51), 가동 기어(52), 판형캠(53), 캠 가이드(54) 및 복원 스프링(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together with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조작 레버(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기 해드(15)에 관통 형성된 레버 조작 통공(17)을 통과해 끼워져 고정된다.The operating
가동 기어(52)는 상기 조작 레버(51)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조작 레버(5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된다.The
판형캠(53)은 상기 가동 기어(52)와 기어 이빨들(52a, 53a)이 랙과 피니언 기어와 같이 맞물린 상태로 캠 가이드(54)를 통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액상 음료 및 거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 상기 거품 단속 밸브(36) 및/또는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7)를 눌러 개폐 조작하도록 한다.The plate-shaped
그리고, 복원 스프링(55)은 상기 가동 기어(52)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형캠(53)의 중심부로 자동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restoring
도 14는 관로 조작부를 통한 밸브 조작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Fig. 1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operation of the valve through the pipe operation portion. Fig.
도 12 및 도 13과 함께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판형캠(53)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캠 경사부(53b), 중심홈부(53a) 및 제2 캠 경사부(53c)가 형성된다. 14, the
먼저, 중심홈부(53a)는 판형캠(53)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 상기 거품 단속 밸브(37) 및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가 모두 들려 올려진 상태로 홈 내에 수납되어, 모든 밸브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간이다. First, the
제1 캠 경사부(53b)는 상기 중간홈부(53a)로부터 일측에 편심된 상태로 일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와 함께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가 개방되게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도록 하는 음료 인출 구간이다.The first
그리고, 제2 캠 경사부(53c)는 상기 중간홈부(53a)로부터 타일측에 편심된 상태로 타단부로 갈수록 전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와 함께 상기 거품 단속 밸브(37)가 개방되게 눌러 음료가 거품 형태로 인출되도록 거품 인출 구간이다.The second
따라서, 캔 음료 용기(100)로부터 액상 음료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작동 레버(51)를 일측으로 밀어 판형캠(53)의 제1 캠 경사부(53b)를 통해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와 함께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를 눌러 개방시키게 되면, 인출압 발생기(40)로부터 상부 공기 주입 연결 배관(34b)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를 통해 개방된 공기 주입 연결 관로(34)와 연결되는 하부 공기 주입 연결관(34a)을 통해 캔 음료 용기(34) 내부로 공급되어 캔 음료 용기 내부가 음료 인출에 필요한 내부 인출 압력을 가지게 된다. The user pushes the
그리고, 캔 음료 용기(100) 내부의 음료는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20)를 관통하며 캔 음료 용기(100) 내부를 연결하는 메인 음료 인출 관로 즉, 용기 삽입 호스(29), 이동 블록 음료 통관(28) 및 신축 주름관(26)을 통해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31b)이 형성된 분지 관로(31d)에서 분지된 후,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에 의해 개방된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32) 및 액상 음료 인출 연결관(32a)을 통해 음료 인출구(38)의 액상 음료 인출구(38a)를 통해 인출되게 된다.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an 100 is passed 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hermetically sealed
그리고, 캔 음료 용기(100)로부터 음료 거품을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작동 레버(51)를 다일측으로 밀어 판형캠(53)의 제2 캠 경사부(53c)를 통해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와 함께 상기 거품 인출 단속 밸브(37)를 눌러 공기 주입 연결 관로(34)와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을 개방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압 발생기(60)를 통해 캔 음료 용기(100) 내부가 음료 인출에 필요한 내부 인출 압력을 가지게 된다.The user pushes the
그리고, 캔 음료 용기(100) 내부의 음료가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20)를 관통하며 캔 음료 용기(100) 내부를 연결하는 메인 음료 인출 관로 통해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31b)이 형성된 분지 관로(31d)에서 분지된 후, 거품 인출 단속 밸브(37)에 의해 개방된 거품 인출 연결 관로(33) 및 거품 인출 연결관(33a)을 통해 음료 인출구(38)의 거품 인출구(38b)를 통해 인출되는 과정에서 거품 인출 연결관(33a) 상에 설치되는 상기 진동식 거품 발생기(60)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켜 인출하도록 한다.The beverage in the can drink
이처럼, 본 실시예의 캔 음료 인출 장치(1)는 관로 조작부(50)를 이루는 판형캠(53)을 통해 조작 레버(51)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캔 음료 용기(100)에 담긴 음료를 자동 인출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캔 음료 용기(100)의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액상 또는 거품 상태로 자동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utomatically draws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캔 음료 인출 장치(5)를 첨부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5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being used for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캔 음료 인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캔 음료 인출 장치(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관로 조작부(150)가 상기 인출기 해드(15) 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 상기 거품 단속 밸브(37) 및/또는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 눌러 조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조작 버튼들(151, 153)을 포함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15,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5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n that a
본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150)은 제1 조작 버튼(151) 및 제2 조작 버튼(153)만으로 이루지는 것을 예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제1 조작 버튼(151)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와 함께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를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게 연결 관로들을 개방하도록 하여, 전술한 액상 음료 인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제2 조작 버튼(153)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와 함께 상기 거품 단속 밸브(37)를 눌러 거품이 인출되게 연결 관로들을 개방하여, 전술한 거품 인출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Then, the
여기서 제1 조작 버튼(151) 및 제2 조작 버튼(153)은 전술한 액상 음료 단속 밸브(35), 거품 단속 밸브(37) 및 공기 주입 단속 밸브(36)들과 마찬가지로 버튼 몸체와 이를 탄성 지지하는 버튼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눌러 밸브들을 조작 후 상측으로 자동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본 실시예의 캔 음료 인출 장치(5)는 관로 조작부(150)를 전술한 제1 조작 버튼(151) 및 제2 조작 버튼(153)만으로 구성함으로써, 관로 조작부(150)의 좀더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 공정 및 제조 단가를 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can-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캔 음료 인출 장치 10: 인출기 몸체부
11: 바닥 받침판 11a: 몸통 거치홈
12: 음료컵 거치홈 13: 캔 음료 용기 장입판
13a: 캔 음료 거치홈 14: 인출기 몸통
14a: 용기 인출구 14b: 손잡이 가동홈
15: 인출기 헤드 15a: 하부 헤드 케이스
15b: 상부 헤드 케이스 16: 고정부
17: 레버 조작 통공 18: 건전지 케이스
19: 밸브 통공 20: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21: 회전 가동판 22: 가동판 음료 통공
23: 회전 손잡이 24: 가동판 공기 통관
21a: 상부 회전 캠 돌기 25: 수직 이동블록
25a: 하부 회전 캠 돌기 25b: 블록 고정 스프링
26: 신축 주름관 27: 이동블록 공기 통관
28: 이동블록 음료 통관 29: 용기 삽입 호스
30: 음료 인출 관로부 31: 상부 관로 고정블록
31a: 분지 관로 형성 하판 31b: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
31c: 하판 공기 통공 31d: 분지 관로
32: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32a: 액상 음료 인출 연결관
33: 거품 인출 연결 관로 33a: 거품 인출 연결관
34: 공기 주입 관로 34a: 하부 공기 주입 연결관
34b: 상부 공기주입 35: 액상 음료 단속 밸브
36: 공기 주입 단속 밸브 37: 거품 단속 밸브
38: 음료 인출구 38a: 액상 음료 인출구
38b: 거품 인출구 40: 인출압 발생기
50: 관로 조작부 51: 조작 레버
52: 가동 기어 52a: 피니언 기어
53: 판형캠 53a: 중심홈부
53b: 제1 캠 경사부 53c: 제2 캠 경사부
54: 캠 가이드 55: 복원 스프링
60: 거품 발생기 100: 캔 음료 용기
101: 취출공 150: 관로 조작부
151, 153: 조작 버튼 1: canne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10: dispenser body
11:
12: Beverage cup mounting groove 13: Can 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13a: canned drink place 14: dispenser body
14a:
15: an
15b: upper head case 16:
17: Lever operation hole 18: Battery case
19: valve through hole 20: beverage container fixing seal
21: rotation movable plate 22: movable plate drink opening
23: rotary knob 24: movable plate air clearance
21a: upper rotation cam projection 25: vertical movement block
25a: Lower rotating
26: Expansion tube 27: Moving block air clearance
28: Moving block beverage clearance 29: Container insertion hose
30: Drinking-out duct part 31: Upper pipe fixing block
31a: Lower branch plate forming the
31c: Lower
32: Liquid beverage
33: bubble extracting
34:
34b: Upper air injection 35: Liquid beverage stop valve
36: air injection control valve 37: foam control valve
38:
38b: bubble extractor 40: extraction pressure generator
50: conduit operating section 51: operating lever
52:
53: plate-shaped
53b: first
54: cam guide 55: restoring spring
60: Foam generator 100: Can beverage container
101: take-out ball 150: channel control unit
151, 153: Operation button
Claims (15)
상기 인출기 몸체부 내에 수납된 캔 음료 용기의 취출공을 밀폐시키며 고정하는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
상기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를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 내부를 연결하며 음료 인출에 필요한 연결 관로들을 형성하는 음료 인출 관로부;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를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음료 인출시 용기 내압을 높여주는 인출압 발생기;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의 상기 연결 관로들을 통해 음료 인출이 가능하게 상기 연결 관로들을 개폐 조작하는 관로 조작부; 및
상기 연결 관로들중 음료가 인출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인출되는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용기 고정 밀폐부는,
상기 인출기 몸체부의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상측에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되며 설치되는 수직 이동블록;
상기 수직 이동블록 상측에 회전 손잡이를 통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 가동판; 및
상기 회전 가동판의 회동 거리에 비례하게 상기 수직 이동블록을 수직 이동시켜 상기 수직 이동블록이 취출공이 구비된 상기 캔 음료 용기 상부를 닫아 밀폐 고정시키도록 상기 수직 이동블록과 상기 회전 가동판이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상에 서로 대응되게 원주를 따라 부분 설치되는 회전 캠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이동블록 및 상기 회전 가동판을 관통하며 상기 캔 음료 용기 내부와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를 연결하는 메인 공기 주입 관로 및 메인 음료 인출 관로가 형성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An extractor body portion having a can containing space therein;
A beverage container fastening hermetic sealing part for sealing and fixing the take-out hole of the can beverage container stored in the body of the withdrawal machine;
A beverage take-out duct par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can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fixing hermetically sealed part and forming connection ducts necessary for taking out a beverage;
A take-out pressure generator for blowing air into the can drink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to raise the container internal pressure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A conduit operat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conduits so that a beverage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connection conduits of the beverage takeout conduit; And
And a foam generator installed on any one of the connection conduits from which the beverage is drawn out to generate bubbles in the beverage being drawn out,
W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fixed sealing portion comprises:
A vertically moving block elastically suppor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on an upper side of the c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can body of the ATM,
A rotary movable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block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a rotary knob; And
The vertical moving block is vertically mov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rotary movable plate so that the vertical moving block and the rotary movable plate face each other so as to close and fix the upper part of the can drink container having the take- And a rotation cam protrusion partly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opposite surface,
And a main air inlet duct and a main drink outlet duct ar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moving block and the rotary movable plate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can beverage container and the beverage outflow duct portion.
상기 인출기 몸체부는,
전방에 음료 인출컵을 놓아 거치할 수 있게 인출컵 거치홈이 형성되는 바닥 받침판;
상기 바닥 받침판 상측에서 음료컵 형상을 이루며 체결 고정되고 후측에 개방 형성된 용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를 수납되도록 내부에 상기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인출기 몸통; 및
상기 인출기 몸통 상측에 거품 형상을 이루며 장, 탈착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인출기 헤드;를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enser body part
A floor support plate on which a drawer cup moun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a beverage drawer cup can be placed and placed in front;
An extractor body having a c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n beverage container through a container outlet formed in a shape of a beverage cup a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support plate and fastened and opened to the rear side; And
And an ejector head which is formed in a foam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ejector and fastened and fixed so as to be detachable.
상기 바닥 받침판은,
후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캔 음료 용기를 올려 상기 인출기 몸체 내부의 상기 캔 음료 용기 수용 공간 내부로 인, 입출 시키는 캔 음료 용기 장입판;이 구비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loor-
And a can 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drawn out to the rear side so as to allow the can beverage container to be put into and out of the can accommodating space inside the can body.
상기 캔 음료 용기 장입판에는,
상기 캔 음료 용기를 올려 거치시키기 위한 캔 음료 거치홈이 형성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canned beverage container loading plate,
Wherein the can drink beverage groove for raising and mounting the can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상기 메인 공기 주입 관로는,
상기 회전 가동판의 중심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가동판 공기 통관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수직 이동블록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이동블록 공기 통관 내에 삽입되는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의 하부 공기 주입 연결관 하단부가 실링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연장 형성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air inflow conduit may include: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air injection connection pipe of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inserted into the movable block air canal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movable plate air discharge tub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ry movable plate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vertical movement block, Wherein the can drawer is exten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an.
상기 메인 음료 연결 관로는,
상기 수직 이동블록을 수직 관통하며 형성되는 이동블록 음료 통관;
상기 이동블록 음료 통관 상단부와 상기 회전 가동판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동판 음료 통공을 통과해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에 형성된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의 하단부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 주름관; 및
상기 캔 음료 용기 내부로 삽입되게 상기 이동블록 음료 통관의 하측에 연장 결합되는 용기 삽입 호스;를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everage connection line includes:
A moving block beverage clearanc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vertical moving block;
A flexible screed tube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block beverage clearance tube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beverage extraction connection pipe formed in the beverage takeout duct portion through an arc-shaped movable plate beverage passage formed in the rotary movable plate; And
And a container insertion hose which is extended and joined to a lower side of the moving block beverage clearan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an beverage container.
상기 음료 인출 관로부는,
상기 인출기 몸통 상단부에 걸쳐 고정되고, 내부에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거품 인출 연결 관로 및 공기 주입 연결 관로가 형성되는 상부 관로 고정블록;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 하측에 체결 고정되며 하측에 연장 형성된 하부 음료 인출 연결관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및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에 연결되게 분지 관로를 형성하는 분지 관로 형성 하판;
상기 인출기 몸통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의 일측에 구비되어, 액상 음료 인출 연결관 및 거품 인출 연결관을 통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관로 및 상기 거품 인출 관로를 각각 연결하며 액상 음료 및 거품을 인출하도록 액상 음료 인출구 및 거품 인출구가 형성되는 음료 인출구;
상기 상부 관로 고정블록 상에 구비되어 상기 액상 음료 인출 연결 관로, 상기 거품 인출 연결 관로 및 상기 공기 주입 연결 관로를 각각 개폐하는 액상 음료 단속 밸브, 거품 단속 밸브 및 공기 주입 단속 밸브들;을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everage take-
An upper pipeline fixing block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extractor and having a liquid beverage outflow connection pipe, a foam outflow connection pipe, and an air injection connection pipe therein;
A bottom plate formed by a branch pipe which is fastened under the upper pipe fixing block and extends downward and forms a branch pipe so that a lower beverage extraction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liquid beverage extraction connection pipe and the foam extraction connection pipe;
And a bubble extracting pipe connected to the liquid beverage extracting pipe and the foam extracting pipe through a liquid beverage extracting connection pipe and a foam extracting connection pipe to expose the liquid beverage and the foam to the outside of the extractor body, A beverage outlet through which a liquid beverage outlet and a foam outlet are formed;
And a liquid canister intermittent valve, a foam intermittent valve, and an air inlet / intermittent valve,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duct fixing block and open / close the liquid beverage withdrawal connection line, the foam withdrawal connection line and the air injection connection line, Beverage dispenser.
상기 인출압 발생기는,
상기 인출기 헤드 내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공기 주입 연결 관로 상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공기 주입 연결관을 통해 상기 캔 음료 용기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용기 내압을 높여주는 공기 가압 펌프;인 것을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rawing-
And a storage unit that is housed in the drawer head,
And an air pressurizing pump for blowing air into the can beverage container through an upper air injection connection tube formed on the air injection connection pipe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an.
상기 거품 발생기는,
상기 거품 인출 연결관 상에 접하도록 진동 헤드부가 노출되게 상기 인출기 헤드 내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거품 인출 연결관을 통과하는 음료를 진동시켜 거품을 발생시키는 진동식 거품 발생기;인 것을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oam generator comprises:
And the vibration head is ex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am outlet connection pipe,
And a vibration type foam generator for generating a foam by vibrating th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foam draw-out connection pipe.
상기 관로 조작부는,
상기 인출기 해드에 관통 형성된 레버 조작 통공을 통과해 끼워져 고정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조작 레버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가동 기어;
상기 가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캠 가이드를 통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액상 음료 또는 거품이 인출되도록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 상기 거품 단속 밸브 또는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눌러 개폐 조작하는 판형캠;
상기 가동 기어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형캠의 중심부로 자동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를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duit operating unit
An operation lever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 lever oper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ejector head;
A movable gear which is fitted to a lower end of the operating lever and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operating lever via the operating lever;
At least one of the liquid beverage intermittent valve, the foam intermittent valve, and the air infeed valve,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e through the cam guide in a state of being meshed with the movable gear, A plate-shaped cam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pressing one or more of the plates;
And a restoring spring provided at a side of the movable gea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plate-shaped cam.
상기 판형캠은,
길이 방향 중심부에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 상기 거품 단속 밸브 및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가 모두 들려 오려져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중심홈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가 개방되게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도록 상기 중심홈부로부터 일측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캠 경사부: 및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거품 단속 밸브가 개방되게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도록 상기 중심홈부로부터 타일측 단부로 갈수록 전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캠 경사부;을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ate-
And a central groove portion for keeping the liquid beverage intermittent valve, the foam intermittent valve, and the air inflow control valve all in a closed state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A first cam inclined portion gradually protruding from the central groove portion to one end portion so that the liquid beverage dispensing valve is opened and the liquid beverage is drawn out together with the air injection stop valve;
And a second cam inclined part protruding forwardly from the central groove part toward the tile side end so that the liquid beverage is drawn out by pressing the foam intermittent valve together with the air supply intermittent valve.
상기 관로 조작부는,
상기 인출기 해드 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 상기 거품 단속 밸브 또는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눌러 조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조작 버튼들을 포함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duit operating unit
And at least two operation buttons formed on the drawer head for pressing one or more of the liquid beverage intermittent valve, the foam intermittent valve or the air injection intermittent valve.
상기 조작 버튼은,
제1 조작 버튼 및 제2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작 버튼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액상 음료 단속 밸브를 눌러 액상 음료가 인출되게 개방하고,
상기 제2 조작 버튼은,
상기 공기 주입 단속 밸브와 함께 상기 거품 단속 밸브를 눌러 거품이 인출되게 개방하는 캔 음료 인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operation button includes:
A first operation button and a second operation button,
Wherein the first operation button comprises:
The liquid beverage dispensing valve is pressed together with the air supply intermittent valve to open the liquid beverage to be drawn out,
The second operation button may include:
And the foam intermittent valve is pressed together with the air inlet valve to open the foam to be drawn o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105A KR101694246B1 (en) | 2015-09-16 | 2015-09-16 | Device For Drawing Out Beverage In Ca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105A KR101694246B1 (en) | 2015-09-16 | 2015-09-16 | Device For Drawing Out Beverage In Ca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4246B1 true KR101694246B1 (en) | 2017-01-23 |
Family
ID=5798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1105A Active KR101694246B1 (en) | 2015-09-16 | 2015-09-16 | Device For Drawing Out Beverage In Ca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424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881808A1 (en) * | 2020-05-28 | 2021-11-30 | Mahou S A | Packaged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associated dispensing procedure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6386B1 (en) | 2006-02-17 | 2007-09-11 | 김양호 | Portable Beer Dispenser |
JP2008543458A (en) * | 2005-06-20 | 2008-12-04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a foamed beverage from a liquid concentrate by a dispenser device |
JP2012240682A (en) * | 2011-05-16 | 2012-12-10 | Asahi Breweries Ltd | Beverage spouting device |
KR101415639B1 (en) | 2013-12-30 | 2014-07-04 |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 Device For Cooling And Drawing Out A Drink Through Icebound-Pipe |
CN204251325U (en) * | 2014-11-20 | 2015-04-08 | 永骏塑胶制品(深圳)有限公司 | The beer brewing machine of the automatic foam generated of improved type |
JP2015113166A (en) * | 2013-12-13 | 2015-06-22 | 株式会社グロー・ベル | Beer server |
-
2015
- 2015-09-16 KR KR1020150131105A patent/KR1016942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3458A (en) * | 2005-06-20 | 2008-12-04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a foamed beverage from a liquid concentrate by a dispenser device |
KR100756386B1 (en) | 2006-02-17 | 2007-09-11 | 김양호 | Portable Beer Dispenser |
JP2012240682A (en) * | 2011-05-16 | 2012-12-10 | Asahi Breweries Ltd | Beverage spouting device |
JP2015113166A (en) * | 2013-12-13 | 2015-06-22 | 株式会社グロー・ベル | Beer server |
KR101415639B1 (en) | 2013-12-30 | 2014-07-04 |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 Device For Cooling And Drawing Out A Drink Through Icebound-Pipe |
CN204251325U (en) * | 2014-11-20 | 2015-04-08 | 永骏塑胶制品(深圳)有限公司 | The beer brewing machine of the automatic foam generated of improved typ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881808A1 (en) * | 2020-05-28 | 2021-11-30 | Mahou S A | Packaged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associated dispensing procedure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9783B1 (en) | Beverage maker and beverage extraction method of the same | |
CN107400585B (en) | Beer brewing device | |
CN107400588B (en) | Beer brewing device | |
CN107400583B (en) | Beer brewing bag and beer brewing device with same | |
KR101433602B1 (en) | Beverage machine with rotatable brew chamber | |
DK2928814T3 (en) | BEVERAGE DRAFT AND CONTAINER FOR USE IN A BEVERAGE DRAFT | |
CN202069439U (en) | Mechanism for fixing selectively-detachable filter bracket on brewed beverage making machine | |
JP4652450B2 (en) | Extraction device closing mechanism | |
KR20100033494A (en) | Refrigerator | |
US20050132891A1 (en) |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coffee machines | |
JP2015526164A (en) | Beverage preparation equipment | |
NO324098B1 (en) | Device for bottling beverages and containers for beverag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 |
KR20160020501A (en) | Portable manually-operated coffee maker | |
KR102218826B1 (en) |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 |
EP3246386A1 (en) | Beer maker | |
CN102811652A (en) | Coffee machine | |
CN108366691A (en) | For making beverage, particularly for the device containing milk drink | |
KR101694246B1 (en) | Device For Drawing Out Beverage In Can | |
JP2007537951A (en) | Tap adapter for barrels with flow restriction | |
US7543526B1 (en) | Coffee maker | |
KR20210061128A (en) | Control method of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 |
KR20220055249A (en) | Beverage extraction machine for coffee capsules and tea capsules using dual nozzles | |
KR20210046988A (en) |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 |
US7600466B2 (en) | Apparatus for filling and emptying a brewing chamber | |
KR100625190B1 (en) | Cold and hot water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