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036B1 - Automatic starting apparatus for small engin - Google Patents
Automatic starting apparatus for small eng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3036B1 KR101693036B1 KR1020150071041A KR20150071041A KR101693036B1 KR 101693036 B1 KR101693036 B1 KR 101693036B1 KR 1020150071041 A KR1020150071041 A KR 1020150071041A KR 20150071041 A KR20150071041 A KR 20150071041A KR 101693036 B1 KR101693036 B1 KR 101693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ur gear
- rope
- rope reel
- elastic member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00—Starting apparatus having hand cr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00—Starting apparatus having hand cranks
- F02N1/005—Safet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엔진의 크랭크축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소형엔진을 시동시킨 후, 리턴구조를 통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크랭크축에 인접상태로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로프릴; 상기 로프릴에 감긴 상태로 결합되면서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당겨짐에 의해 상기 로프릴을 회전시키는 로프; 상기 로프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릴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크랭크축에 록킹되어 상기 로프릴의 회전력을 상기 크랭크축에 전달하는 래칫; 및 상기 로프릴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면서 상기 로프릴 및 상기 로프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리터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터너는, 상기 로프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릴과 함께 회전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스퍼기어; 상기 스퍼기어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퍼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퍼기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회전시켜 압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tha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a return structure after the crankshaft of the small engine is manually rotated to start the small engine and is housed in the state of being adjacent to the crankshaft; A rope reel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o provide a rotating force; A rope which is coupled to the rope reel in a state of being rolled and has a knob to rotate the rope reel by pulling the knob; A ratchet coupled to the rope reel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pe reel and to be locked to the crank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rope reel to the crankshaft; And a retractor for restoring the rope reel and the rope to their original shape while being compress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rope reel and accumulating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retractor is installed on a rotary shaft of the rope reel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pe reel A spur gear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long the periphery thereof; An elastic member which is fixed at the other end to the housing and is compressed by rotation of the spur gea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i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pur gear; And a connecting member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engaged with the spur gear and which rotates and compresse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while rotating by the spur gear.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형엔진용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엔진의 크랭크축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소형엔진을 시동시킨 후, 리턴구조를 통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which can be rotated to a home position by manually turning the crankshaft of the small engine to start the small engine .
일반적으로 50cc 이하 급의 견착식 농기계류, RC카나 RC헬기와 같은 레저스포츠용품, 모터보트의 구동모터 등의 각종 소형엔진 탑재기기들에는 수동에 의한 시동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리코일 스타터(Recoil Starter)라 불리는 시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small-sized engine-equipped devices such as docking type farm machinery of 50cc or less class, leisure sport equipment such as RC car and RC helicopter, and motor boat driving motor are usually equipped with a Recoil Starter There is a starter that is called.
이러한 리코일 스타터는 주지된 바와 같이 로프릴에 권취된 로프를 로프릴에 발생하는 회전력을 통해 소형엔진을 시동시킨다.Such a recoil starter starts the small engine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on the rope reel, which is wound on the rope reel as is well known.
좀 더 구체적으로, 리코일 스타터는 로프릴의 회전력을 소형엔진의 크랭크축에 전달하기 위한 래칫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프릴의 정회전시 래칫장치를 통해 크랭크축에 록킹되어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고, 엔진의 시동후에는 크랭크축에서 언록킹된 후 로프릴의 역회전을 통해 원상태로 복원된다.More specifically, the recoil starter is provided with a ratchet devic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pe reel to the crankshaft of the small engine, and is locked to the crankshaft through the ratchet device of the rope reel to rotate the crankshaft, After starting, it is unlocked in the crankshaft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reverse rotation of the rope reel.
여기서, 리코일 스타터는 로프릴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부재가 설치되어 있다.Here, the recoil starter is provided with a restoring member for restoring the rope reel to its original state.
복원부재는 로프릴이 정회전함에 따라 회전력을 축적한 후, 소형엔진의 시동 후 축적된 회전력을 통해 로프릴을 역회전시켜서 로프와 로프릴을 복원시킨다.The restoring member restores the rope and the rope reel by rotating the rope reel reversely through the accumulated rotational force after starting the small engine after the rope reel accumulates the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small engine.
그런데, 종래의 리코일 스타터는 복원부재를 구성하는 탄성부재가 로프릴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로프릴의 회전시 탄성부재의 고정부위에 응력이 직접 가해짐에 따라 고정부위의 파손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부위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에는 로프릴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coil starter, since the elastic member constituting the restoring memb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pe reel, stress is directly appli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during rotation of the rope reel, And if the fixed portion is damaged, the entire rope reel must be replac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391호에는 복원부재로 사용되는 나선스프링의 일측단이 로프릴에 직접연결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9187호에는 복원부재로 적용되는 태엽의 일측단이 로프릴에 직접연결되어 있어서, 복원부재에 의한 로프릴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No. 10-1217391, one end of a spiral spring used as a restoring member is directly connected to a rope reel, an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9187,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pe reel, which may cause breakage of the rope reel by the restoring member.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의 구성을 통해 로프릴과 탄성부재를 연결하는 구조가 개발되었으나 랙기어의 왕복운동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에 따라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rope reel and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rack gear and the pinion gear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 space for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ack gear must be ensured,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로프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로프릴에 직접 연결시키지 않고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로프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pe reel that can prevent breakage of a rope reel by connecting an elastic membe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성부재 일단부의 고정부위를 연결부재에 구성하면서 연결부재의 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로프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a rope reel by allowing the connecting member to be replaced while the fixing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nstituted by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로프릴의 회전축과 내접상태로 회전하는 부재를 통해 탄성부재를 로프릴과 연결함으로써 연결구성을 단순화하면서 부피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that can simplify a connecting structure and reduce the volume while connecting an elastic member to a rope reel through a member rotating in an inscribed state with a rotary shaft of a rope reel to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는, 소형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소형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장치로서, 상기 크랭크축에 인접상태로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로프릴; 상기 로프릴에 감긴 상태로 결합되면서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당겨짐에 의해 상기 로프릴을 회전시키는 로프; 상기 로프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릴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크랭크축에 록킹되어 상기 로프릴의 회전력을 상기 크랭크축에 전달하는 래칫; 및 상기 로프릴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면서 상기 로프릴 및 상기 로프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리터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터너는, 상기 로프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릴과 함께 회전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스퍼기어; 상기 스퍼기어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퍼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퍼기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회전시켜 압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rting device for starting a small engine by rotating a crankshaft of a small engine, the start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fixed to the crankshaft in an adjacent state; A rope reel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o provide a rotating force; A rope which is coupled to the rope reel in a state of being rolled and has a knob to rotate the rope reel by pulling the knob; A ratchet coupled to the rope reel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pe reel and to be locked to the crank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rope reel to the crankshaft; And a retractor for restoring the rope reel and the rope to their original shape while being compressed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rope reel and accumulating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retractor is installed on a rotary shaft of the rope reel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pe reel A spur gear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long the periphery thereof; An elastic member which is fixed at the other end to the housing and is compressed by rotation of the spur gea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i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pur gear; And a connecting member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engaged with the spur gear and which rotates and compresse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while rotating by the spur gear.
예컨대,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퍼기어와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면서 상기 스퍼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스퍼기어가 내접상태로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접기어; 및 상기 내접기어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위를 이루고, 상기 내접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installed in the housing in a state adjacent to the spur gear; A spur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n arc-shape about the rotating shaft, the slot being rotatably received in the spur gear, the spur gear being engaged with the spur gear in an inscribed state, An internal gear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by rotation of the spur gear;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internal gear to form a fixing part for fixing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rotating about the rotation axis together wit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by rotation of the internal gear Lt; / RTI >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는,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면서 자유단을 이루고,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는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면서 고정단을 이루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through a circularly wound coil part, and one end extending from the coil part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to form a free end, and the other end part extending from the coil part And a torsion spring fixed to the housing to form a fixed end.
이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는, V형태로 절곡된 판재로 형성되어 절곡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plate spring formed of a plate member bent in a V-shape,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through a bent portion and fixed at one end thereof to the fixing protrusion and having the other end fixed to the housing, .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나선형으로 감긴형태로 형성되어 외곽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고, 중심의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a spiral spring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and having a free end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o form a fixed end have.
이와 달리,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퍼기어와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면서 상기 스퍼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스퍼기어가 내접상태로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접기어; 및 상기 내접기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내접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회전시키는 스프링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ixed to the housing while being adjacent to the spur gear, a rotating shaft constitut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A spur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n arc-shape about the rotating shaft, the slot being rotatably received in the spur gear, the spur gear being engaged with the spur gear in an inscribed state, An internal gear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by rotation of the spur gear; And a spring holder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in the internal gear to receiv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while provid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to rotat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by rotation of the internal gear It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로프릴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순차적으로 감기는 로프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로프트랙은, 상기 로프의 손잡이 측에서 상기 로프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pe track includes a rope track formed in a spiral groove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pe track so that the rope is sequentially wound. The rope track has an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knob side of the rope toward the end side of the rope It is preferable to narrow it.
본 발명에 따른 소형엔진용 시동장치에 따르면, 리터너를 구성하는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로프릴에 의해 직접 압축되지 않고 연결부재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탄성부재에 의한 응력이 로프릴에 직접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로프릴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arter for a small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ess caused by the elastic member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rope reel a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constituting the retarer is compressed by the connecting member without being directly compressed by the rope reel Breakage of the rope reel is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은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내접기어에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됨에 따라 내접기어의 교환이 가능하므로 로프릴 전체의 교환이 불필요하여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internal gear constitut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internal gear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replace the entire rope reel, have.
또한, 본 발명은 내접기어가 스퍼기어에 내접된 상태로 결합되어 직선운동이 아닌 회전운동을 통해 탄성부재를 압축시킴에 따라 직선운동에 따른 작동공간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소형화가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nal gear is coupled with the spur gear in the inscribed state and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instead of the linear movement, the working space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can be omitted.
또,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에 적용될 수 있으며, 로프릴에 형성된 로프트랙의 직경이 점점 좁아짐에 따라 시동초기에는 작은 힘으로도 로프릴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고, 아울러 로프를 당길수록 로프릴의 회전수가 증가하므로 소형엔진의 시동이 용이하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lastic members, and as the diameter of the rope track formed on the rope reel gradually narrows, the rope reel can rotate smoothly even with a small force at the initial stage of star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pe reel increases, so that the start of the small engine is eas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리터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터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터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로프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o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t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tiner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shown in Fig. 4; Fig.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shown in Fig. 4;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rope re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3; Fig.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본 발명에 따른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로프릴(200), 로프(300), 래칫(400) 및 리터너(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arting device for a small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우징(100)은 본체를 이루면서 후술되는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미도시된 소형엔진의 크랭크축에 인접상태로 고정된다.The
즉, 하우징(100)은 소형 농기구나 레저기구등에 고정되면서 개구부를 통해 소형엔진의 크랭크축에 대면한다.That is, the
또한, 하우징(100)은 후술되는 로프(300)가 인출되기 위한 인출공(11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로프릴(200)이 결합되는 릴회전축(150)과, 후술되는 내접기어(532)가 결합되는 회전축(531)과, 후술되는 탄성부재(52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하우징돌기(533a)가 구비된다.3, the
로프릴(200)은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릴회전축(1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300)의 당김에 의해 회전하면서 후술되는 래칫(400)을 통해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후술되는 리터너(500)를 통해 회전력을 축적시킨다.2, the
이러한 로프릴(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형태를 이루는 로프트랙(210)이 형성되어 로프(300)의 감김부위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2, the
로프(300)는 로프릴(20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성요소로 로프릴(20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로프릴(200)의 로프트랙(210)에 감기면서 하우징(100)의 인출공(110)으로 타단부가 인출되고, 타단부에 마련된 손잡이(310)가 당겨짐에 따라 로프릴(200)을 회전시킨다.The
이러한 로프(300)는 예컨대, 면이나 마 또는 합성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섬유를 심으로 강선을 꼬아 만든 와이어로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로프릴(200)의 로프트랙(2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300)의 손잡이(310) 측에서 단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8, the
즉, 로프트랙(210)은 손잡이(310) 측의 외경이 제일 크게 형성됨에 따라 작은 힘으로도 큰 회전력을 얻을 수 있고, 로프(300)의 단부 측의 외경이 제일 작게 형성됨에 따라 동일한 힘으로도 많은 회전수를 얻을 수 있다.That is,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따라서, 로프릴(200)은 로프(300)의 당겨짐에 의해 회전하면서 시동초기에는 작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회전하는 동시에 시동말기에는 많은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소형엔진의 시동이 용이하다.Accordingly, the
래칫(400)은 로프릴(200)에 결합되어 로프릴(200)의 회전력을 미도시된 크랭크축에 전달하거나 시동 후 크랭크축에서 분리되는 구성요소이다.The
구체적으로, 래칫(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릴(200)의 전방에 결합되어 로프릴(200)과 함께 정회전하면서 크랭크축에 록킹되어 소형엔진을 시동시키고, 시동 후에는 크랭크축에서 언록킹된 후 로프릴(200)과 함께 역회전한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래칫(400)은 통상적인 리코일 스타터에 적용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Such a
예컨대, 래칫(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릴(2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확장돌기(4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로프릴(200)의 회전에 의해 확장돌기(410)가 각각 벌어져 크랭크축에 걸리면서 록킹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와 달리, 래칫(400)은 로프릴(200)의 회전에 의해 로프릴(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더 구조로 구성되어 슬라이더의 돌출을 통해 크랭크축에 걸리면서 록킹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여기서, 래칫(400)의 세부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세부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리터너(500)는 로프릴(200)의 회전력을 통해 탄성력을 축적하여 엔진의 시동 후 로프릴(200)과 로프(300)를 원상태로 리턴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예컨대, 리터너(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퍼기어(510), 탄성부재(520) 및 연결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스퍼기어(51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통해 평기어를 이루면서 로프릴(200)의 회전중심에 동일체로 고정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고정된 릴회전축(150)에 로프릴(200)과 함께 결합되어 로프릴(200)과 함께 회전한다.3, the
탄성부재(520)는 로프릴(200)과 함께 회전하는 스퍼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엔진의 시동 후 탄성력을 통해 스퍼기어(510)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로프릴(200)과 로프(300)를 원상태로 리턴시킨다.The
이러한 탄성부재(520)는 후술되는 연결부재(530)를 통해 일단부(522)가 스퍼기어(510)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부(523)가 하우징(100)에 고정되며, 로프릴(200) 및 스퍼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일단부(522)가 이동하면서 탄성압축되어 로프릴(200)의 회전력을 축적한다.The
여기서,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520)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the
연결부재(530)는 탄성부재(520) 일단부의 고정부위를 이루면서 스퍼기어(510)와 탄성부재(520)를 연결하고, 스퍼기어(510)와 치합되어 스퍼기어(510)에 의해 회전하면서 탄성부재(520)의 일단부를 회전시켜 탄성압축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부재(530)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31), 내접기어(532) 및 고정돌기(5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회전축(531)은 후술되는 내접기어(532)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퍼기어(510)에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하우징(100)에 돌출형성된다.The
즉, 회전축(5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릴(20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스퍼기어(51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후술되는 내접기어(532)는 스퍼기어(510)와 인접상태를 이루는 회전축(5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4, the
내접기어(5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스퍼기어(510)에 내접상태로 치합되어 스퍼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5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4, the
구체적으로, 내접기어(5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31)을 중심으로 원호형태를 이루는 슬롯(532a)이 관통형성되어 스퍼기어(51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슬롯(532a)을 따라 형성된 톱니를 통해 스퍼기어(510)가 내접상태로 치합되어 스퍼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5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3, the
여기서, 내접기어(5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회전축(150)에 의해 관통되면서 슬롯(532a)을 따라 관통형성된 가이드레일(532b)이 형성되어 회전이 가이드될 수 있다.Here, the
고정돌기(5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접기어(532)의 일부분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부재(520) 일단부의 고정부위를 이루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접기어(532)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부재(520)의 일단부를 회전시켜 압축시키는 구성요소이다.4, the fixing
즉, 탄성부재(520)는 일단부가 로프릴(20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내접기어(532)의 고정돌기(533)에 고정되며, 로프릴(200) 및 스퍼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내접기어(532)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돌기(533)를 통해 가압되면서 탄성압축되어 로프릴(200)의 회전력 일부를 축적하고, 엔진의 시동 후 축적된 탄성력을 통해 내접기어(532)를 역회전시켜서 로프릴(200)을 리턴시킨다.That is, one end of the
이러한 탄성부재(520)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520a)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토션스프링(520a)은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521)를 통해 회전축(531)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일단부(522)가 전술한 고정돌기(533)에 고정되어 자유단을 구성하며, 고정단을 이루는 타단부(523)가 하우징(100)에 돌출된 하우징돌기(533a)에 고정되어 내접기어(532) 및 고정돌기(533)의 회전에 의해 압축된다.The
한편, 탄성부재(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520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판스프링(520b)은 'V'자 형태로 절곡된 판재로 형성되면서 절곡부(524)를 통해 회전축(531)에 끼워져 걸린상태로 결합되고, 일단부(522)가 고정돌기(533)에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며, 타단부(523)가 하우징돌기(533a)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면서 내접기어(532) 및 고정돌기(533)의 회전에 의해 압축된다.The
이와 달리, 탄성부재(5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엽스프링(520c)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태엽스프링(520c)은 나선형으로 감긴 형태로 형성되어 외곽의 일단부(522)가 고정돌기(533)에 고정되면서 자유단을 이루고, 중앙의 타단부(523)가 회전축(531)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룬다.The
이러한 태엽스프링(520)은 로프릴(200) 및 스퍼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내접기어(532)가 회전함에 따라 일단부(522)가 고정돌기(533)와 함께 회전하여 조여지면서 압축된다.As the
그리고, 태엽스프링(520)은 엔진의 시동 후 탄성력에 의해 풀리면서 일단부(522)가 고정돌기(533) 및 내접기어(532)를 역회전시켜서 로프릴(200)을 리턴시킨다.The
한편, 연결부재(530)는 전술한 바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31), 내접기어(532) 및 스프링홀더(5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9, the connecting
여기서, 회전축(531)과 내접기어(532)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since the
즉, 연결부재(530)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고정돌기(533)의 구성을 대신하여 스프링홀더(537)가 구성된 점이 차이점이다.Tha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스프링홀더(53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접기어(532)의 일부분에 동일체의 홈으로 형성되어 회전축(531)과 탄성부재(520)의 일단부(522)를 수용하며, 내접기어(532)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520)의 일단부(522)를 회전시켜 압축시키는 구성요소이다.9, the
구체적으로, 스프링홀더(533)는 탄성부재(520)를 구성하는 토션스프링의 코일부(521)와 일단부(522)를 수용하는 홈으로 형성되어 회전축(531)의 결합부위를 제공하고, 내접기어(532)의 회전 시 탄성부재(520)의 일단부(522)를 회전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즉, 탄성부재(520)는 일단부(522)가 로프릴(20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내접기어(532)의 스프링홀더(533)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부(523)가 하우징돌기(533a)에 고정되며, 로프릴(200) 및 스퍼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내접기어(532)와 함께 회전하는 스프링홀더(533)를 통해 가압되면서 탄성압축되어 로프릴(200)의 회전력 일부를 축적하고, 엔진의 시동 후 축적된 탄성력을 통해 내접기어(532)를 역회전시켜서 로프릴(200)을 리턴시킨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소형엔진의 시동 시, 사용자는 로프(300)의 손잡이(310)를 당겨서 로프릴(200)을 회전시킨다.At start-up of the small engine, the user pulls the
이때, 로프릴(200)은 로프트랙(210)의 외경이 점점 좁아지므로 초기에는 작은 힘으로 원활히 회전하는 동시에 말기에는 회전수가 증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래칫(400)은 로프릴(200)이 회전함에 따라 엔진의 크랭크축에 록킹되면서 로프릴(200)의 회전력을 통해 크랭크축을 회전시켜서 엔진을 시동시키며, 엔진의 시동 후에는 크랭크축에서 분리된다.As the
한편, 리터너(500)를 구성하는 스퍼기어(510)는 래칫(400)의 타측에서 로프릴(2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접기어(532) 및 고정돌기(533)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520)는 일단부(522)가 고정돌기(533)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한다.The
그리고, 탄성부재(520)는 엔진의 시동 후, 탄성력을 통해 고정돌기(533) 및 내접기어(532)를 역회전시킨다.After the start of the engine, the
이에 따라, 로프릴(200)은 내접기어(532) 및 스퍼기어(510)에 의해 역회전하면서 로프(300)와 함께 리턴된다.Thus,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엔진용 시동장치는, 리터너(50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520)의 일단부(522)가 로프릴(200)에 의해 직접 압축되지 않고 연결부재(530)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탄성부재(520)에 의한 응력이 로프릴(200)에 직접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로프릴(200)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rter for a small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또한, 연결부재(530)를 구성하는 내접기어(532)에 고정돌기가(533) 돌출되어 탄성부재(520)의 일단부가 고정됨에 따라 내접기어(532)의 교환이 가능하므로 로프릴(200) 전체의 교환이 불필요하여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fixing
또, 내접기어(523)가 스퍼기어(510)에 내접된 상태로 결합되어 직선운동이 아닌 회전운동을 통해 탄성부재(520)를 압축시킴에 따라 직선운동에 따른 작동공간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1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그리고, 로프릴(200)에 형성된 로프트랙(210)의 직경이 점점 좁아짐에 따라 시동초기에는 작은 힘으로도 로프릴(20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고, 아울러 로프를 당길수록 로프릴(200)의 회전수가 증가하므로 소형엔진의 시동이 용이하다.As the diameter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하우징 110 : 인출공
200 : 로프릴 210 : 로프트랙
300 : 로프 310 : 손잡이
400 : 래칫 410 : 확장돌기
500 : 리터너 510 : 스퍼기어
520 : 탄성부재 520a : 토션스프링
520b : 판스프링 520c : 태엽스프링
521 : 코일부 522 : 일단부
523 : 타단부 524 : 절곡부
530 : 연결부재
531 : 회전축 532 : 내접기어
532a : 슬롯 533 : 고정돌기
533a : 하우징돌기 100: housing 110:
200: rope reel 210: rope track
300: Rope 310: Handle
400: ratchet 410: extension projection
500: Retainer 510: Spur gear
520:
520b:
521: coil part 522: one end part
523: the other end portion 524:
530:
531: rotating shaft 532: internal gear
532a: Slot 533: Fixing projection
533a: housing projection
Claims (7)
상기 크랭크축에 인접상태로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로프릴;
상기 로프릴에 감긴 상태로 결합되면서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당겨짐에 의해 상기 로프릴을 회전시키는 로프;
상기 로프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릴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크랭크축에 록킹되어 상기 로프릴의 회전력을 상기 크랭크축에 전달하는 래칫; 및
상기 로프릴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면서 상기 로프릴 및 상기 로프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리터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터너는,
상기 로프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릴과 함께 회전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스퍼기어;
상기 스퍼기어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퍼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퍼기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회전시켜 압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퍼기어와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면서 상기 스퍼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스퍼기어가 내접상태로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접기어; 및
상기 내접기어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위를 이루고, 상기 내접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A starting device for starting a small engine by rotating a crankshaft of a small engine,
A housing fixed adjacent to the crankshaft;
A rope reel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o provide a rotating force;
A rope which is coupled to the rope reel in a state of being rolled and has a knob to rotate the rope reel by pulling the knob;
A ratchet coupled to the rope reel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pe reel and to be locked to the crank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rope reel to the crankshaft; And
And a retractor for restoring the rope reel and the rope while restoring the elastic force by being compress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pe reel,
The retractor includes:
A spur gear provided on a rotary shaft of the rope reel, rotated together with the rope reel,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long the periphery thereof;
An elastic member which is fixed at the other end to the housing and is compressed by rotation of the spur gea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i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pur gear; And
And a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spur gear and rotating th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while rotating by the spur gear,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shaft installed in the housing adjacent to the spur gear;
A spur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n arc-shape about the rotating shaft, the slot being rotatably received in the spur gear, the spur gear being engaged with the spur gear in an inscribed state, An internal gear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by rotation of the spur gear; And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internal gear to form a fixing part for fixing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rotating about the rotation axis together wit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by rotation of the internal 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device for a small engine.
상기 탄성부재는,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면서 자유단을 이루고,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는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면서 고정단을 이루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And one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il portion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to form a free end while the other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il portion is fixed to the housing, And a torsion spring which forms the torsion spring.
상기 탄성부재는,
V형태로 절곡된 판재로 형성되어 절곡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And a plate spring formed of a plate member bent in a V shape and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through a bent portion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rojection and having the other end fixed to the housing, Starter.
상기 탄성부재는,
나선형으로 감긴형태로 형성되어 외곽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고, 중심의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And a spiral spring formed in a helical shape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and having a free end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o form a fixed end, .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퍼기어와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면서 상기 스퍼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스퍼기어가 내접상태로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접기어; 및
상기 내접기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내접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회전시키는 스프링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shaft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while being in a state adjacent to the spur gear, and which forms an engagement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A spur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n arc-shape about the rotating shaft, the slot being rotatably received in the spur gear, the spur gear being engaged with the spur gear in an inscribed state, An internal gear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by rotation of the spur gear; And
And a spring holder which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the internal gear to accommodate one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while providing an engagement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rotates the one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by rotation of the internal gear. A starter for a small engine.
상기 로프릴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순차적으로 감기는 로프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로프트랙은,
상기 로프의 손잡이 측에서 상기 로프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pe reel includes:
And a rope track formed in a spiral groove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equentially winding the rope,
The rope track,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rop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de of the rope from the grip side of the ro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1041A KR101693036B1 (en) | 2015-05-21 | 2015-05-21 | Automatic starting apparatus for small eng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1041A KR101693036B1 (en) | 2015-05-21 | 2015-05-21 | Automatic starting apparatus for small eng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6873A KR20160136873A (en) | 2016-11-30 |
KR101693036B1 true KR101693036B1 (en) | 2017-01-04 |
Family
ID=5770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1041A Active KR101693036B1 (en) | 2015-05-21 | 2015-05-21 | Automatic starting apparatus for small eng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3036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2156B1 (en) * | 2002-05-20 | 2010-06-10 |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Recoil starter |
JP4064961B2 (en) | 2004-10-06 | 2008-03-19 |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 Recoil starter |
KR100947873B1 (en) * | 2008-03-24 | 2010-03-18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tarter for small engine |
KR100932425B1 (en) * | 2008-04-21 | 2009-12-17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tructure of small engine starter |
JP5836713B2 (en) | 2010-12-01 | 2015-12-24 |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 Recoil starter |
-
2015
- 2015-05-21 KR KR1020150071041A patent/KR10169303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6873A (en) | 2016-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93577B2 (en) | Recoil starter | |
JP4109838B2 (en) | Recoil starter device | |
EP1312798B1 (en) | Recoil starter | |
TWI769352B (en) | Torque-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 |
JP5101483B2 (en) | Recoil starter | |
EP1865196B1 (en) |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between engine starter and engine | |
EP3084205B1 (en) | Start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7343891B1 (en) | Starting device for a model engine | |
KR101693036B1 (en) | Automatic starting apparatus for small engin | |
US9976532B2 (en) | Recoil starter | |
KR101674204B1 (en) | Automatic starting apparatus using flywheel for small engin | |
KR100947873B1 (en) | Starter for small engine | |
TWI791821B (en) | Spinning reel | |
JP4009137B2 (en) | Recoil starter | |
JP2012251561A (en) | Recoil starter | |
KR20090111060A (en) | Structure of small engine starter | |
JP2003336567A (en) | Recoil starter | |
JP2012225351A (en) | Recoil starter | |
JP2012251562A (en) | Recoil starter | |
JPH11287172A (en) | Engine star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