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2961B1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961B1
KR101692961B1 KR1020150124249A KR20150124249A KR101692961B1 KR 101692961 B1 KR101692961 B1 KR 101692961B1 KR 1020150124249 A KR1020150124249 A KR 1020150124249A KR 20150124249 A KR20150124249 A KR 20150124249A KR 101692961 B1 KR101692961 B1 KR 10169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otation
portable terminal
rotating
rotation shaf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102015012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9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일면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 회동부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구성되는 금속재질의 탄성지지부; 및 회동부에 제1 및 제2회전축이 끼워져 각각 탄성지지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에 강제 밀착되고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파지를 용이하게 하거나 바닥면에 소정 각도로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PMP,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DMB나 무선통신 등이 가능한 전자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어서 휴대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화되고 있다. 더불어,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에,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해 무선 데이터나 저장 데이터 등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주시(watching)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대부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휴대단말기를 홀딩한 상태에서 특정 각도를 유지하거나, 벽이나 테이블 같은 곳에 소정 물건을 이용하여 특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대어 놓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손으로 홀딩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장시간 사용시 또는, 상기와 같은 물건으로부터 휴대단말기가 미끄러지는 경우 파손이나 고장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316363호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안출된 바 있다.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일면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일단이 베이스부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톱바를 구비하는 회동부와, 스톱바에 끼워지는 회전축의 외주연에 하나 이상의 밀착면을 형성하고 회동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밀착면이 스톱바와 밀착되어 회동이 정지되면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지지부에 손가락이 끼워져 휴대단말기가 파지되도록 하거나 바닥면 등에 지지부의 회동을 통한 스탠딩을 통하여 휴대단말기가 소정 각도로 거치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경우, 상기 스톱바와 밀착면의 밀착을 통하여 지지부가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동시, 그 소정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다 향상된 밀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우레탄 패드 등과 같은 탄성체가 스톱바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톱바의 내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가 구비되어 스톱바와 밀착면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경우, 장시간 사용 또는 반복적인 밀착면의 회동시 밀착면과의 마찰에 의해 탄성체가 마모되거나 파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톱바의 탄성체에 밀착되는 일자 형상의 회전축 외주연에 밀착면이 단일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동 상태가 고정되기 위한 밀착력이 작용되는 지점인 모서리부위가 90도 간격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밀착면의 모서리 개수가 4개 이므로 이에 대응된 0도, 90도, 및 180도에 해당되는 거치 각도의 고정 상태를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45도 또는 135도의 거치 각도가 고정시 탄성체가 밀착면의 모서리부위에 선접촉되는 상태를 가지게 되어 작은 힘(휴대단말기의 무게)에도 밀착력 해제 및 지지부가 회동되어 지속적인 거치 각도의 고정 상태 유지가 불가능하며, 이에, 단조로운 거치 각도를 가질 수밖에 없고 휴대단말기의 주시 각도가 원활하게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부와 지지부의 밀착 부위에 금속재질의 탄성지지부가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 또는 반복적인 회동 동작에도 탄성지지부가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5도 또는 135도 간격의 거치 각도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다양한 거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면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 회동부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구성되는 금속재질의 탄성지지부; 및 회동부에 제1 및 제2회전축이 끼워져 각각 탄성지지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에 강제 밀착되고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회동부는, 베이스판넬의 부착면으로부터 고정공을 향해 나사부가 관통되고 헤드부가 부착면에 지지되는 고정나사; 베이스판넬의 부착면에 대향되는 설치면에 대면된 상태에서 고정나사에 고정되고 탄성지지부과 지지부가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지지되도록 하는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고정구; 및 설치면과 회전고정구 사이에 위치되는 회동와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고정구는, 회전몸체; 설치면에 밀착되는 회전몸체의 밀착부에 형성되어 나사부가 삽입 체결되는 너트부; 너트부의 양측부에 요홈 형성되고 지지부의 제1 및 제2회전축이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몸체에 지지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홈; 및 회전몸체의 밀착부에 요홈 형성되고 탄성지지부가 안착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에 밀착 지지되어 지지부의 회동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지지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탄성링; 탄성링을 절반으로 구획하고 소정 각도로 절곡시켜 탄성링이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절곡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 및 걸림편에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며 지지부의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 중 일부 모서리부위가 끼워져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는, 일부분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지는 회동고리; 회동고리의 개방된 부분에 해당되며 회전고정구의 연결홈에 각각 삽입 구성되어 회동고리가 회전고정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회전축; 및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지지부의 걸림편에 제1 및 제2회전축의 밀착시 일부 모서리부위가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밀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밀착면의 모서리부위는 제2밀착면의 모서리부위 사이의 변의 중심에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부와 지지부의 밀착 부위에 금속재질의 탄성지지부가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 또는 반복적인 회동 동작에도 탄성지지부가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의 회전축이 한 쌍으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호간 위상차이를 가지면서 대면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회동시 모서리부위가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45도 또는 135도 간격의 거치 각도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다양한 거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4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거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는, 일면이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120), 회동부(120)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구성되는 금속재질의 탄성지지부(130) 및 회동부(120)에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이 끼워져 각각 탄성지지부(13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130)에 강제 밀착되고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여 휴대단말기(10)의 스탠딩 동작시 다양한 거치 각도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손가락이 끼워져 휴대단말기(10)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일면이 휴대단말기(10) 또는 휴대단말기(10)를 보호하는 케이스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탈착부재로서, 양면부착패드(미도시)를 통해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되는 소정 면적의 베이스판넬(111), 베이스판넬(111)의 중심부에 천공되어 회동부(120)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공(112) 및 고정공(112)을 통해 회동부(120)의 고정시 해당 구성부가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접촉되어 베이스판넬(111)의 접착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판넬(111)의 부착면(111a) 가장자리 부위에 절곡 형성되어 그 높이만큼 부착면(111a)이 요홈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플랜지(11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양면부착패드(미도시)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면적은 플랜지(113)를 가지는 부착면(111a)에 대응되고 그 두께는 플랜지(113)의 높이보다 두껍거나 대등한 수치를 가지며 중심부에 고정공(112)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120)는,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지지부(140)가 베이스판넬(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하는 회동수단으로서, 베이스판넬(111)의 부착면(111a)으로부터 고정공(112)을 향해 나사부(121a)가 관통되고 헤드부(121b)가 부착면(111a)에 지지되는 고정나사(121), 베이스판넬(111)의 부착면(111a)에 대향되는 설치면(111b)에 대면된 상태에서 고정나사(121)에 고정되고 탄성지지부(130)과 지지부(140)가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지지되도록 하는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설치면(111b)에 대해 회전되어 지지부(140)가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고정구(122) 및 나사부(121a)가 관통된 상태로 설치면(111b)과 회전고정구(122)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고정구(122)의 회전시 베이스판넬(111)과의 마찰을 방지하여 용이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동와셔(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고정구(122)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회전몸체(122a), 설치면(111b)에 밀착되는 회전몸체(122a)의 밀착부(122b)(122b)에 형성되어 나사부(121a)가 삽입 체결되는 너트부(122c), 너트부(122c)의 양측부에 요홈 형성되고 지지부(140)의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이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몸체(122a)에 지지부(140)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홈(122d) 및 회전몸체(122a)의 밀착부(122b)에 요홈 형성되고 탄성지지부(130)가 안착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130)에 밀착 지지되어 지지부(140)의 회동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홈(122e)을 포함한다.
탄성지지부(130)는, 회동부(120)의 안착홈(122e)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안착 구성되어 지지부(140)의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밀착력 발생부재로서, 회동부(120)의 안착홈(122e)에 안착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지고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탄성링(131), 탄성링(131)을 절반으로 구획하고 소정 각도로 절곡시켜 탄성링(131)이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절곡부(131a)에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132) 및 걸림편(132)에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며 지지부(140)의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 중 일부 모서리부위가 끼워져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지지부(130)는, 지지부(140)의 회동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의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의 각 모서리 부위가 걸림홈(133)에 끼워진 상태에서 끼움 해제 즉, 빠짐 동작시 절곡부(131a)를 중심으로 탄성링(131)이 복원력을 가지면서 일시적으로 가압된 후 다시 원위치로 가압 해제되는 동작을 가진다.
이에, 소정의 힘으로 지지부(140)의 회동 및 회동 각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금속재질을 가짐에 따라 오랜 시간동안 반복적인 동작에도 마모나 파손 등이 최소화되어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40)는, 회전고정구(122)의 연결홈(122d)에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이 끼워져 각각 걸림편(132)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 중 일부가 걸림홈(133)에 강제 밀착되고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로서, 일부분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지는 회동고리(145), 회동고리(145)의 개방된 부분에 해당되며 회전고정구(122)의 연결홈(122d)에 각각 삽입 구성되어 회동고리(145)가 회전고정구(122)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회전축(141,142) 및 각 회전축(141,142)에 다면체 일예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지지부(130)의 걸림편(132)에 각 회전축(141,142)의 밀착시 일부 모서리부위가 걸림홈(133)에 끼워지도록 하여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회전축(141,142) 중 제1회전축(141)에는 제1밀착면(143)이 형성되고 제2회전축(142)에는 제2밀착면(144)이 형성되며, 이때, 제1밀착면(143)의 모서리부위는 제2밀착면(144)의 모서리부위 사이의 변의 중심에 대면되도록 형성되어 탄성지지부(130)의 걸림홈(133)에 걸림 지지되는 모서리부위의 개수가 많아지도록 하여 회동고리(145)가 다양한 회동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일예로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이 상호간 대면 각도가 45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경우,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위는 총 8개가 되고 이에, 회동고리(145)의 회동시 탄성지지부(130)의 걸림홈(133)에 끼워져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력 작용점인 모서리부위가 45도 간격을 가지게 되어, 0도, 45도, 90도, 135도 및 180도의 거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40)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회전축이 단일로 구성되는 것에 비해, 제1 및 제2회전축(141,142) 각각에 모서리부위가 상호간 상이한 위상차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이 형성됨으로써, 회동고리(145)의 회동을 통한 거치 각도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의 모서리부위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130)의 걸림홈(133)에 끼워져 걸림 지지되는 상태를 가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모서리부위가 선접촉되는 것에 비하여, 향상된 밀착력을 가질 수 있어 해당 각도의 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휴대단말기(10)의 주시 각도가 원활하게 확보되어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동고리(145)의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고리 형상을 가짐에 따라 휴대단말기(10)가 사용자에 의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가 베이스부(110)의 베이스판넬(111)에 부착면(111a)에 부착된 양면부착패드(미도시)를 통하여 휴대단말기(10) 또는 보호 케이스의 배면 해당 부위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를 파지한 후 손가락이 지지부(140)의 회동고리(145)에 끼워지도록 하는 경우, 휴대단말기(1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가 휴대단말기(10)의 배면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의 회동고리(145)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 회동고리(145)의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이 탄성지지부(130)의 걸림편(132)에 밀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에 형성된 모서리부위 중 어느 하나가 걸림홈(133)에 강제 밀착되어 소정 각도의 회동 상태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동고리(145)가 탁상 등에 거치시 휴대단말기(1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거치되어 주시성 확보가 원활해져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를 탁상 등에 스탠딩된 상태에서 해당 동영상이나 사진 또는 해당 데이터를 편한 자세로 시청 또는 주시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고리(145)의 경우 제1 및 제2회전축(141,142) 각각에 모서리부위가 상호간 상이한 위상차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이 형성되어 회동고리(145)의 회동을 통한 거치 각도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의 모서리부위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130)의 걸림홈(133)에 끼워져 걸림 지지되어 해당 각도의 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130)의 경우 금속재질을 가지고 절곡을 통하여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이 걸림편(132)과 걸림홈(133)에 밀착 및 밀착해제 동작되더라도 마모나 파손 등이 방지되어 우레탄 재질을 가지는 것에 비해,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고리(145)의 제1 및 제2회전축(141,142)과 회전고정구(122)의 연결 부위에 금속재질의 탄성지지부(130)가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 또는 반복적인 회동 동작에도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130)에 밀착되는 회동고리(145)의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이 한 쌍으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호간 위상차이를 가지면서 대면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이 형성된 상태에서 모서리부위가 탄성지지부(130)에 걸림 지지되는 것을 통하여 45도 또는 135도 간격의 거치 각도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거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일면이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120);
    회동부(120)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구성되는 금속재질의 탄성지지부(130); 및
    회동부(120)에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이 끼워져 각각 탄성지지부(13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130)에 강제 밀착되고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고,
    회동부(120)는,
    베이스판넬(111)의 부착면(111a)으로부터 고정공(112)을 향해 나사부(121a)가 관통되고 헤드부(121b)가 부착면(111a)에 지지되는 고정나사(121);
    베이스판넬(111)의 부착면(111a)에 대향되는 설치면(111b)에 대면된 상태에서 고정나사(121)에 고정되고 탄성지지부(130)과 지지부(140)가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지지되도록 하는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고정구(122); 및
    설치면(111b)과 회전고정구(122) 사이에 위치되는 회동와셔(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고정구(122)는,
    회전몸체(122a);
    설치면(111b)에 밀착되는 회전몸체(122a)의 밀착부(122b)에 형성되어 나사부(121a)가 삽입 체결되는 너트부(122c);
    너트부(122c)의 양측부에 요홈 형성되고 지지부(140)의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이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몸체(122a)에 지지부(140)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홈(122d); 및
    회전몸체(122a)의 밀착부(122b)에 요홈 형성되고 탄성지지부(130)가 안착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 중 일부가 탄성지지부(130)에 밀착 지지되어 지지부(140)의 회동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홈(122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탄성지지부(130)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탄성링(131);
    탄성링(131)을 절반으로 구획하고 소정 각도로 절곡시켜 탄성링(131)이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절곡부(131a)에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132); 및
    걸림편(132)에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며 지지부(140)의 회동시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 중 일부 모서리부위가 끼워져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부(140)는,
    일부분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지는 회동고리(145);
    회동고리(145)의 개방된 부분에 해당되며 회전고정구(122)의 연결홈(122d)에 각각 삽입 구성되어 회동고리(145)가 회전고정구(122)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회전축(141,142); 및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에 각각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지지부(130)의 걸림편(132)에 제1 및 제2회전축(141,142)의 밀착시 일부 모서리부위가 걸림홈(133)에 끼워지도록 하여 회동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밀착면(143,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제1밀착면(143)의 모서리부위는 제2밀착면(144)의 모서리부위 사이의 변의 중심에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50124249A 2015-09-02 2015-09-0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69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49A KR101692961B1 (ko) 2015-09-02 2015-09-0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49A KR101692961B1 (ko) 2015-09-02 2015-09-0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961B1 true KR101692961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2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2961B1 (ko) 2015-09-02 2015-09-0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927B1 (ko) * 2020-12-31 2022-06-02 홍시연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터치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007175U (ko) * 2013-01-18 2013-12-13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007175U (ko) * 2013-01-18 2013-12-13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927B1 (ko) * 2020-12-31 2022-06-02 홍시연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36656B (zh) 用于可安装多位置设备保持件的系统和方法
US99398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hinge thereof
US20160083989A1 (en) Hinge structure
US8979040B2 (en) Supporting device
US9445512B2 (en) Holder having adjustable clamping orientation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9062811B2 (en) Suppor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1248648B2 (en) Rotatable ball joint and universal ball joint assembly
TW201410123A (zh) 支架及具有該支架的電子裝置
US9898042B2 (en) Smart device docking apparatus
TW201321236A (zh) 夾持組件及應用該夾持組件之支撐裝置
KR101825404B1 (ko)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US8602375B2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US11766122B1 (en) Mount for clamping on a display
US10459488B1 (en) Docking station
US9188272B2 (en) Display device with variable height and angles of view by virtue of rotatable stand
US6920670B2 (en) Hinge structure
KR10169296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20155032A1 (en) Support mechanism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5644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101693298B1 (ko) 휴대기기 홀더
US20090304377A1 (en) Rotary joint device, support frame and camera apparatus
CN206044037U (zh) 座椅把手
TW201520460A (zh) 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