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900B1 - Multifunctional shoes packing box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shoes pack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900B1 KR101692900B1 KR1020150144816A KR20150144816A KR101692900B1 KR 101692900 B1 KR101692900 B1 KR 101692900B1 KR 1020150144816 A KR1020150144816 A KR 1020150144816A KR 20150144816 A KR20150144816 A KR 20150144816A KR 101692900 B1 KR101692900 B1 KR 1016929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ver plate
- cover
- edge
- ext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포장대상 신발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측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전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 또는 제1 및 제2측면부에 형성된 덮개부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바닥부에 대향되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뚜껑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된 상기 바닥부의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상기 신발을 비스듬하게 안착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접힐 수 있게 다수의 접힘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는 내부에 신발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접힘선에 따라 접힐 경우, 외측에 신발을 거치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신발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발을 거치시 별도의 거치대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ho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shoe box, which comprises a bottom portion, first and second folding portions each of which is foldably extendable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ottom portion so that a storage space, A body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r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so as to cover the opened front and rear faces of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And a lid part foldably formed on the side part so as to cover the opened side of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body is capable of seating the shoe at an oblique angle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bottom part exposed in the storage space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are formed so as to be folded so that the slopes are formed.
The multifunctional sho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shoe therein. When the shoe is folded along a folding line, an inclined surface for mounting the shoe on the outside can be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mounting table is not required when moun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쪽 신발을 수납할 수는 포장박스로 사용되거나 신발장에서 신발들을 상하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ho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shoe box which can be used as a packaging box for storing both shoes or as a cradle for vertically mounting shoes in a shoe box .
일반적으로 구두나 운동화와 같은 신발을 판매할 경우 종이로 이루어진 포장상자에 신발을 포장하여 판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발 포장상자는 신발이 유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In general, when selling shoes such as shoes or sneakers, they are packed and shipped in a box made of paper. A generally used shoe box includes a main body into which shoe is introduced and a cover to prevent dust from flowing into the main body.
이때, 신발 포장상자는 소비자가 신발을 구매한 다음 폐기되고 있고, 대부분 신발을 신발장에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거치대를 구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에는 신발포장상자를 폐기하거나 거치대를 구비하는 데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shoe box is being discarded after the consumer purchases the shoes, and most of them are purchasing a separate shelf to store the shoes in the shoe box. According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ostly to dispose of the shoe box or equip the shoe box.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을 수납할 수 있는 포장상자 뿐 아니라 신발장에서 신발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사용가능한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hoe box which can be used not only as a packaging box for storing shoe but also as a cradle for mounting shoes in a shoe box.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포장대상 신발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측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전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 또는 제1 및 제2측면부에 형성된 덮개부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대향되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뚜껑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된 상기 바닥부의 상면의 반대편인 저면에 상기 신발을 비스듬하게 안착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접힐 수 있게 다수의 접힘선이 형성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multifunctional sho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portion, and foldable portions at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provid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hoe for packaging can be stored, A body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extended from the bottom portion or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so as to cover the opened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And a lid part foldably attached to the side part so as to cover an open side of the storage sp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wherein the body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exposed in the storage space,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are formed so as to be folded so a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capable of seating at an angle.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전후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덮개판과, 상기 제2측면부의 전후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3 및 제4덮개판과,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의 단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 및 제4덮개판의 단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덮개판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덮개판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덮개판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측면부의 좌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1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3덮개판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3덮개판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4덮개판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측면부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접힘선이 형성된다. The lid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which are foldably extendable on front and rear edges of the first side face portion, third and fourth lid plates extending respectively in front and rear edges of the second side face portions so as to be foldable,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releasably coupl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 releasably engaging the ends of the second and fourth cover plates, From the front edge of the first cover pl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edge of the first cover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edge of the first side plate portion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cover plate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can be provided And an upper edge of a position adjacent to the fourth lid plate at a front edge of the third lid plat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from the right edge of the third lid plate, A second folding line extending to the right edge of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is formed.
상기 제1덮개판은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을 따라 접힐 시 상기 수납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우측 단부에 제1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덮개판은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을 따라 접힐 시 상기 몸체에 상기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좌측 단부에 제2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2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ver plate may have a first cutout at a right end thereof so as to form a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when the body is fold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lines, And the third cover plate has a second cut portion formed at a left end of the body so that the vent may be formed when the body is fold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lines, .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의 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1보조판과, 상기 제2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2 및 제4덮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의 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2보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판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가 접힌 경우,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을 감싼 다음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과 상기 바닥부 사이로 인입되기 위해 다단으로 접힐 수 있도록 다수의 보조접힘선이 형성된다. Wherein the lid portion includes a first auxiliary plate foldably formed on a front edge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The first auxiliary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uxiliary plate formed to be foldable on the rear edge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enclose the second and fourth cover plates when the body is fold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 plurality of auxiliary folding lines are formed so as to fold the cover plate in a multi-step so as to be drawn in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and the bottom portion.
상기 제2덮개판은 우측 단부에 제3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3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덮개판은 좌측 단부에 제4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4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는 우측 단부에 제1측면 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1측면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측면 절취선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3절취선에 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측면부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부는 좌측 단부에 제2측면 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2측면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측면 절취선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및 제4절취선에 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부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second cover plate has a third cut portion cut out by a third cut line at a right end thereof, a fourth cut portion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ourth cover plate so as to be slidable by a fourth cut line, Wherein the first side cutout portion is formed at a righ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cutout portion so as to be slidable by a first side cutout line, the first side cutout line extending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the first and third cutout lines, Wherein the second side cutou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ight side edge of the first side cutout portion by a second side cutout line at a left end portion thereof, Second, and fourth perforations, and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edge of the second side portion to the r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에 대한 전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를 수납 박스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공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의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를 신발 거치대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공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에 대한 전개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multi-function sho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forming the multifunctional shoe box of FIG. 1 into a box shape,
4 to 1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forming the multifunctional shoe box of Fig. 1 into a shoe rest,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of a multifunctional sho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view of a multifunctional sho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lti-function sho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show a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100)는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에 포장대상 신발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21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측면부(220,230)와,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220,2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전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210) 또는 제1 및 제2측면부(220,230)에 형성된 덮개부(300)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바닥부(210)에 대향되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뚜껑부(40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된 상기 바닥부(210)의 상면(210a)의 반대편인 저면(210b)에 상기 신발을 비스듬하게 안착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접힐 수 있게 다수의 접힘선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바닥부(210)는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종이소재로 형성된다. 바닥부(210)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종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을 위해 도 2에서 참조부호 210a로 표기된 부분을 상면이라 하고, 바닥면(210)의 상면(210a)을 뒤집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바닥면(210)의 저면이라하고, 도 2는 도 1의 저면(210b)을 뒤집은 상태에서 상방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The
제1측면부(220)는 바닥부(210)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며, 바닥부(21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부(220)는 바닥부(210)에 대해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며, 우측 단부에는 뚜껑부(4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뚜껑 결합판(221)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제1뚜껑 결합판(221)은 제1측면부(220)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장되며, 중앙부에 후술되는 뚜껑부(400)의 제2뚜껑 결합판(4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3)은 제1측면부(220)에 인접된 제1뚜껑 결합판(221)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The first lid
또한, 제1측면부(220)는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위치의 전후 단부에 각각 후술되는 덮개부(300)의 제1 및 제2보조판(370,38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인입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The
제2측면부(230)는 바닥부(210)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며, 바닥부(21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측면부(230)는 바닥부(210)에 대해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며, 제1측면부(22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또한, 제2측면부(230)는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위치의 전후 단부에 각각 후술되는 덮개부(300)의 제1 및 제2보조판(370,38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인입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덮개부(300)는 상기 제1측면부(220)의 전후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덮개판(310,320)과, 상기 제2측면부(230)의 전후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3 및 제4덮개판(330,340)과,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310,330)의 단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 및 제4덮개판(320,340)의 단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310,330)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210)의 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1보조판(370)과, 상기 제2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2 및 제4덮개판(320,340)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210)의 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2보조판(380)을 구비한다. The
제1덮개판(310)은 제1측면부(220)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제1측면부(22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단위부재(311)와, 상기 제1단위부재(31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제2단위부재(312)를 구비한다. The
제1단위부재(311)는 전방 우측 단부에는 반구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단위부재(312)는 우측 가장자리가 제1단위부재(311)의 우측 가장자리보다 좌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unit member 311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groove at the front right end thereof and the right end of the
이때, 제1덮개판(310)은 상기 몸체가 접힐 경우 상기 수납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우측 단부에 제1절취선(314)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1절개부(3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절취선(314)은 제1단위부재(311)의 우측 단부로부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후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다시 제1덮개판(310)의 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절취선(314)은 제1단위부재(311)의 우측 단부로부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좌측으로 연장된 제1절취부분(314a)과, 제1절취부분(314a)의 좌측단부로부터 제1절취부분(314a)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1단위부재(311)의 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절취부분(31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취부분(314a)은 제1단위부재(311)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단위부재(312)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절취선(314)은 제1절개부(313)가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제1절취선(314)을 따라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제1덮개판(310)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제2덮개판(320)은 제1측면부(220)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1측면부(22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3단위부재(321)와, 상기 제3단위부재(321)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4단위부재(322)를 구비한다. The
제3단위부재(321)는 후방 우측 단부에 반구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4단위부재(322)는 우측 가장자리가 제3단위부재(321)의 우측가장자리보다 좌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제3덮개판(330)은 제2측면부(230)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제2측면부(23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5단위부재(331)와, 상기 제5단위부재(33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제6단위부재(332)를 구비한다. The
제6단위부재(332)는 우측 가장자리가 제5단위부재(331)의 우측 가장자리보다 좌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덮개판(330)은 좌측 가장자리에 반구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이때, 제3덮개판(330)은 상기 몸체가 접힐 경우 상기 몸체에 상기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좌측 단부에 제2절취선(334)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2절개부(33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절취선(334)은 상기 제3덮개판(330)의 좌측단부로부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후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다시 상기 제3덮개판(330)의 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절취선(334)은 제5단위부재(331)의 좌측 단부로부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제3절취부분(334a)과, 제3절취부분(334a)의 우측단부로부터 제3절취부분(334a)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6단위부재(332)의 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4절취부분(334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절취부분(334a)은 제1절취선(314)의 제1절취부분(314a)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절취선(334)은 제2절개부(333)가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제2절취선(334)을 따라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제3덮개판(330)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제4덮개판(340)은 제2측면부(230)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2측면부(23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7단위부재(341)와, 상기 제7단위부재(341)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8단위부재(342)를 구비한다. The
제8단위부재(342)는 우측 가장자리가 제7단위부재(341)의 우측 가장자리보다 좌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덮개판(340)은 좌측 가장자리에 반구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eighth unit member 342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right edge thereof is drawn to the left of the right edge of the
제1결합부는 제3덮개판(330)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1덮개판(310)에 제1결합홈(351)이 형성되고, 제1덮개판(310)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3덮개판(330)에 제2결합홈(352)이 형성된다 The first coupling part has a
제1결합홈(351)은 제1덮개판(310)의 제2단위부재(312)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제3덮개판(330)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제2단위부재(312)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2결합홈(352)은 제3덮개판(330)의 제6단위부재(332)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제1덮개판(310)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제6단위부재(332)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The
상술된 바와 같이 형성된 제1결합홈(351) 및 제2결합홈(352)을 통해 제1덮개판(310) 및 제3덮개판(330)은 상호 엇갈리게 결합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결합부는 제1덮개판(310) 또는 제3덮개판(33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며, 제1덮개판(310) 또는 제3덮개판(330) 중 다른 하나가 점착테이프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제2결합부는 제4덮개판(340)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2덮개판(320)에 제3결합홈(361)이 형성되고, 제2덮개판(320)의 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4덮개판(340)에 제4결합홈(362)이 형성된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have a third
제3결합홈(361)은 제2덮개판(320)의 제4단위부재(322)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제4덮개판(340)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제4단위부재(322)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4결합홈(362)은 제4덮개판(340)의 제8단위부재(342)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제2덮개판(320)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제8단위부재(342)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The
상술된 바와 같이 형성된 제3결합홈(361) 및 제4결합홈(362)을 통해 제2덮개판(320) 및 제4덮개판(340)은 상호 엇갈리게 결합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결합부는 제2덮개판(320) 또는 제4덮개판(34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며, 제2덮개판(320) 또는 제4덮개판(340) 중 다른 하나가 점착되는 점착테이프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제1보조판(370)은 바닥부(210)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바닥부(210)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보조판(370)은 상호 결합된 제1덮개판(310) 및 제3덮개판(330)을 감싸고, 단부가 수납공간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제1측면부(22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The first
이때, 상기 제1보조판(370)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가 접힌 경우,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310,330)을 감싼 다음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310,330)과 상기 바닥부(210) 사이로 인입되기 위해 다단으로 접힐 수 있도록 다수의 제1보조접힘선(3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보조접힘선(372)은 좌우단부가 제1보조판(370)의 좌우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보조판(370)이 다단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body is folded to form the inclined surface, the first
상기 제1보조접힘선(372)은 이를 경계로 제1보조판(370)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제1보조판(370)이 눌림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보조접힘선(372)은 제1보조판(370)의 접혀야할 위치를 알려주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절을 수 있도록 해준다. The first
또한, 제1보조판(370)은 전단부 좌우측 가장자리에 제1측면부(220)의 제1인입홈(222) 및 제2측면부(230)의 제2인입홈(2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삽입돌기(37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돌기(371)들은 제1보조판(37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first
제2보조판(380)은 바닥부(210)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바닥부(210)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보조판(380)은 상호 결합된 제2덮개판(320) 및 제4덮개판(340)을 감싸고, 단부가 수납공간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제1측면부(22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The second
이때, 제2보조판(380)은 단부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보수의 제2보조접힘선(3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보조접힘선(382)은 좌우단부가 제2보조판(380)의 좌우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보조판(380)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제1측면부(220)의 좌우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상기 제2보조접힘선(382)은 이를 경계로 제2보조판(380)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제2보조판(380)이 눌림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조접힘선(382)은 제2보조판(380)의 접혀야할 위치를 알려주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절을 수 있도록 해준다.The second
또한, 제2보조판(380)은 후단부 좌우측 가장자리에 제1측면부(220)의 제1인입홈(222) 및 제2측면부(230)의 제2인입홈(2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삽입돌기(38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돌기(381)들은 제2보조판(38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second
몸체는 상기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덮개판(310)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덮개판(310)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덮개판(32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측면부(220)의 좌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1접힘선(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덮개판(330)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3덮개판(330)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4덮개판(34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측면부(230)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접힘선(212)이 형성되어 있다. The body is mounted on the
이때, 상기 제1접힘선(211)은 제2단위부재(312)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제2덮개판(320)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제1측면부(220)의 좌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2접힘선(212)은 제6단위부재(332)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제2덮개판(320)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제1측면부(220)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211,212)은 이를 경계로 몸체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몸체가 눌림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211,212)은 몸체의 접혀야할 위치를 알려주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해준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뚜껑부(400)는 제2측면부(230)의 좌측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연장되며, 바닥부(210)에 대응되는 좌우 폭 및 전후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뚜껑부(400)는 제1뚜껑 결합판(221)에 대향되는 위치의 좌측 가장자리에 상기 삽입홈(2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뚜껑 결합판(410)이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뚜껑부(400)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가 접힌 경우 상기 몸체로부터 절취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인접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뚜껑 절취선(4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 절취선(420)은 뚜껑부(400)의 우측 가장자리 따라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뚜겅부(400)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측면부(220)에 제1뚜껑 결합판(221)이 형성되고, 뚜껑부(400)에 제2뚜껑 결합판(410)이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측면부(220)에 제2뚜껑 결합판(410)이 형성되고, 뚜껑부(400)에 제1뚜껑 결합판(2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irst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100)를 신발 수납용 박스 형태로 변형시키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transforming the
먼저, 도 1의 바닥부(210)의 저면(210b)이 테이블의 상면이나 지면에 접하도록 뒤집은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210)에 대해 제1측면부(220) 및 제2측면부(230)를 상측으로 접철시킨다. 다음, 제1덮개판(310)과 제3덮개판(330)을 제1결합홈(351) 및 제2결합홈(352)을 통해 상호 엇갈리게 결합시키고, 제2덮개판(320)과 제4덮개판(340)을 제3결합홈(361) 및 제4결합홈(362)을 통해 상호 엇갈리게 결합시켜 바닥부(210)의 상부에 신발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First, the
덮개판들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1보조판(370)을 바닥부(210)에 대해 상측으로 접철하고, 상호 결합된 제1덮개판(310)과 제3덮개판(330)을 감싸도록 제1보조판(370)의 단부를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시킨다. 이때, 제1보조판(370)의 제1삽입돌기(371)는 제1측면부(220)의 제1인입홈(222) 및 제2측면부(230)의 제2인입홈(231)에 각각 삽입된다. The first
다음, 제2보조판(380)을 바닥부(210)에 대해 상측으로 접철하고, 상호 결합된 제2덮개판(320)과 제4덮개판(340)을 감싸도록 제2보조판(380)의 단부를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시킨다. 이때, 제2보조판(380)의 제2삽입돌기는 제1측면부(220)의 제1인입홈(222) 및 제2측면부(230)의 제2인입홈에 각각 삽입하여 도 3에 박스 형태로 변형시킨다. 수납공간 내에 신발을 투입한 다음 뚜껑부(400)를 하방으로 절곡시켜 수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이때, 제2뚜껑 결합판(410)을 제1뚜껑 결합판(221)의 삽입홈(223)에 삽입시켜 뚜겅부를 제1측면부(220)에 결속시킨다. Next, the
한편,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100)를 신발 거치대 형상으로 변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to 10, a method of deforming the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400)가 하측에 위치도록 본체를 뒤집는다. 다음, 뚜껑 절취선(420)을 따라 뚜껑부(400)를 절취하여 본체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뚜겅부는 본체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 the main body is turned over so that the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판(370)을 제1덮개판(310) 및 제3덮개판(3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방으로 절곡시킨다. 이때, 제1덮개판(310) 및 제3덮개판(330)도 상호 분리하여 제1측면부(220) 및 제2측면부(23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절곡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 5, the
제1덮개판(310) 및 제3덮개판(330)의 분리가 완료되며, 제1덮개판(310)과 제3덮개판(330) 사이로 제1보조판(370)이 인입되도록 제1보조판(370)을 하방으로 절곡시킨다. 그리고, 제1절취선(314)을 따라 제1덮개판(310)으로부터 제1절개부(313)를 절개하고, 제2절취선(334)을 따라 제3덮개판(330)으로부터 제2절개부(333)를 절개한다. The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힘선(211) 및 제2접힘선(212)을 따라 바닥부(210)의 상부에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본체를 절곡시킨다. 그리고 제1덮개판(310)과 제3덮개판(330)을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킨 다음 제1결합홈(351) 및 제2결합홈(352)을 통해 상호 엇갈리게 제1덮개판(310)과 제3덮개판(330)을 결합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 7, the main body is bent so that an inclined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제1덮개판(310)과 제3덮개판(33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판(370)을 상방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1보조판(370)은 상호 결합된 제1덮개판(310)과 제3덮개판(330)을 감쌀 수 있도록 제1보조접힘선(372)들을 따라 다단으로 절곡시킨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판(370)은 단부가 제1 및 제3덮개판(310,330)과 바닥부(210) 사이 공간으로 인입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업자는 제1보조판(370)의 제1삽입돌기(371)들을 제1보조판(370)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상술된 바와 같이 거치대로 변형된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신발 한짝이 수납되고, 바닥부(210)의 상부에 마련된 경사면에 다른 신발 한짝이 안착되어 신발을 상하방향으로 수납시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one shoe is housed in the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100)는 내부에 신발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접힘선에 따라 접힐 경우, 외측에 신발을 거치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신발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발을 거치시 별도의 거치대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보조판(510,520)이 도시되어 있다. 11 and 12 illustrate first and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보조판(510)은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절취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210)에 인접된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제1보조 절취선(5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판(520)은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절취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210)에 인접된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제2보조 절취선(521)이 형성된다. The first
제1보조 절취선(511)은 양단이 제1보조판(510)의 좌우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연장되고, 제2보조 절취선(521)은 양단이 제1보조판(510)의 좌우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연장된다. The first
제1보조 절취선(511) 및 제2보조 절취선(521)은 용이하게 제1보조판(510) 및 제2보조판(520)이 절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제1보조판(510) 및 제2보조판(52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상술된 제1보조 절취선(511) 및 제2보조 절취선(521)에 의해 제1보조판(510) 및 제2보조판(520)은 본체가 신발 거치대의 형상으로 변형시 본체로부터 절개되므로 변형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600)가 도시되어 있다. 13, a multifunctional shoe box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면을 참조하면, 제2덮개판(610)은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211,212)을 따라 접힐 시 상기 수납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보조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우측 단부에 제3절취선(612)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3절개부(611)가 형성되고, 상기 제4덮개판(620)은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211,212)을 따라 접힐 시 상기 보조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좌측 단부에 제4절취선(622)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4절개부(621)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제3절취선(612)은 제2덮개판(610)의 제3단위부재(321)의 우측 단부로부터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후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다시 제2덮개판(610)의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3절취선(612)은 제3단위부재(321)의 우측 단부로부터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좌측으로 연장된 제5절취부분과, 상기 제5절취부분의 좌측단부로부터 제5절취부분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3단위부재(321)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6절취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5절취부분은 제3단위부재(321)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제4단위부재(322)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제3절취선(612)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3절개부(611)가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제2덮개판(610)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제4절취선(622)은 상기 제4덮개판(620)의 좌측단부로부터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후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다시 제4덮개판(620)의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4절취선(622)은 제7단위부재(341)의 좌측단부로부터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제7절취부분과, 상기 제7절취부분의 우측단부로부터 제7절취부분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8단위부재(342)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8절취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제7절취부분은 제3절취선(612)의 제5절취부분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4절취선(622)은 제4절개부(621)가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제4덮개판(620)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또한, 상기 제1측면부(630)는 우측 단부에 제1측면 절취선(631)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1측면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측면 절취선(631)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3절취선(612)에 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측면부(630)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The
이때, 제1측면 절취선(631)은 양단이 각각 제1절취선(314)의 제2절취부분과 제3절취선(612)의 제6절취부분에 접하도록 연장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측면 절취선(631)은 제1측면부(630)의 단부가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제1측면부(630)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한편, 상기 제2측면부(640)는 좌측 단부에 제2측면 절취선(641)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2측면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측면 절취선(641)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및 제4절취선(622)에 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부(640)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The
이때, 상기 제2측면 절취선(641)은 양단이 각각 제2절취선(334)의 제4절취부분과 제4절취선(622)의 제8절취부분에 접하도록 연장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측면 절취선(641)은 제2측면부(640)의 단부가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치홈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칼집에 의해 제2측면부(640) 내측으로 일정깊이 인입된 칼집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몸체가 제1접힘선(211) 및 제2접힘선(212)을 따라 절곡될 경우, 제2덮개판(610) 및 제4덮개판(620)으로부터 각각 제3절개부(611)와 제4절개부(621)를 절취하고, 제1측면 절취선(631) 및 제2측면 절취선(641)을 따라 제1측면부(630)의 단부 및 제2측면부(640)의 단부를 절개하여 몸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600)는 몸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높이가 낮은 신발을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body is folded alo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
200: 몸체
210: 바닥부
211: 제1접힘선
212: 제2접힘선
220: 제1측면부
230: 제2측면부
300: 덮개부
310: 제1덮개판
313: 제1절개부
320: 제2덮개판
330: 제3덮개판
333: 제2절개부
340: 제4덮개판
350: 제1결합부
360: 제2결합부
370: 제1보조판
380: 제2보조판100: Multifunctional shoe packing box
200: Body
210:
211: first folding line
212: second folding line
220: first side portion
230: second side portion
300:
310: first cover plate
313: First incision section
320: second cover plate
330: Third cover plate
333: second incision section
340: fourth cover plate
350:
360: second coupling portion
370: first auxiliary plate
380: second auxiliary plate
Claims (8)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대향되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뚜껑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된 상기 바닥부의 상면의 반대편인 저면에 상기 신발을 비스듬하게 안착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접힐 수 있게 다수의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전후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덮개판과, 상기 제2측면부의 전후 가장자리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장된 제3 및 제4덮개판과,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의 단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 및 제4덮개판의 단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덮개판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덮개판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덮개판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측면부의 좌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1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3덮개판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3덮개판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4덮개판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측면부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접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
And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extending in a foldable manner at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ottom portion so that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hoe to be packaged can be stored is provided in the bottom portion, A body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r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so as to cover the opened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body;
And a lid part foldably formed on the side part so as to cover an open side of the storage sp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ar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exposed in the storage space so as to be foldable so that an inclined surface capable of seating the shoes at an angle,
The lid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which are foldably extendable on front and rear edges of the first side face portion, third and fourth lid plates extending respectively in front and rear edges of the second side face portions so as to be foldable,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releasably coupling ends of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 releasably engaging the ends of the second and fourth cover plates,
Wherein the body includes a first side plat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side plate at a front edge of the first side pl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edge of the first side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ight, And a second folding line extending from the front edge of the third lid plat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ight edge of the third lid plate to the le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ight edge of the third lid plate, And a second folding line extending to the right edge of the second side portion is formed.
상기 제1덮개판은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을 따라 접힐 시 상기 수납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우측 단부에 제1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덮개판은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접힘선을 따라 접힐 시 상기 몸체에 상기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좌측 단부에 제2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2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ver plate may have a first cutout at a right end thereof so as to form a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when the body is fold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lines, Formed,
Wherein the third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second cut-out portion at a left end thereof so that the ventilation hole can be formed in the body when the body is fold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lines, Multifunctional shoe box.
상기 제1절취선은 상기 제1덮개판의 우측단부로부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좌측으로 연장된 제1절취부분과, 상기 제1절취부분의 좌측단부로부터 상기 제1절취부분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덮개판의 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절취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절취선은 상기 제3덮개판의 좌측단부로부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제3절취부분과, 상기 제3절취부분의 우측단부로부터 상기 제3절취부분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3덮개판의 전방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4절취부분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perforated line extending from the right end of the first cover plate to the left along the rear edge and a second cutout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cutout portion from the left end of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a second cut-out portion extending to the front edge of the first cover plate along the second cut-
Wherein the second perforated line includes a third cutou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eft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to the right along the rear edge and a third cutout portion extending from the right end of the third cutout port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rd cutout portion And a fourth cut-away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ver plate to the front edge of the third cover plate.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의 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1보조판과, 상기 제2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2 및 제4덮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의 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2보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판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가 접힌 경우,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을 감싼 다음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과 상기 바닥부 사이로 인입되기 위해 다단으로 접힐 수 있도록 다수의 보조접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A first auxiliary plate foldably formed on a front edge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auxiliary plate foldably formed on a rear edge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fourth cover plate,
When the body is fold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he first sub-plate may be folded in a multi-step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and the bottom portion after wrapping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Wherein a plurality of auxiliary folding lines are formed.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3덮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의 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1보조판과, 상기 제2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기 제2 및 제4덮개판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의 후방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된 제2보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판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취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인접된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제1보조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판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취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인접된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제2보조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A first auxiliary plate foldably formed on a front edge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and third cover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auxiliary plate foldably formed on a rear edge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fourth cover plate,
Wherein the first sub-plate is formed with a first auxiliary perforation line along a rear edge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so as to be removable from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second auxiliary plate is formed with a second auxiliary perforation line along a front edge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so as to be cut out from the bottom portion.
상기 제2덮개판은 우측 단부에 제3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3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덮개판은 좌측 단부에 제4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4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는 우측 단부에 제1측면 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1측면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측면 절취선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3절취선에 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측면부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부는 좌측 단부에 제2측면 절취선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제2측면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측면 절취선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및 제4절취선에 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부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over plate has a third cut-out portion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second cover plate so as to be slidable by a third perforation line,
Wherein the fourth cover plate has a fourth cut portion at a left end cuttable by a fourth perforation,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side surface cut-out portion at a right end thereof so as to be removable by a first side perforation line, the first side perforate lin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the first and third perforation lines, The first side surface being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ight side edge of the first side surface,
Wherein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has a second side cutout portion formed at a left end thereof so as to be slidable by a second side perforation line, the second side perforate lin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the second and fourth perforated lines, And the second side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edge of the second side surface to the righ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816A KR101692900B1 (en) | 2015-10-16 | 2015-10-16 | Multifunctional shoes pack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816A KR101692900B1 (en) | 2015-10-16 | 2015-10-16 | Multifunctional shoes pack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2900B1 true KR101692900B1 (en) | 2017-01-04 |
Family
ID=5783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4816A Active KR101692900B1 (en) | 2015-10-16 | 2015-10-16 | Multifunctional shoes pack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90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609Y1 (en) * | 2018-01-23 | 2019-07-10 | 노승규 | Packing box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88768U (en) * | 1980-11-20 | 1982-06-01 | ||
US20050126955A1 (en) * | 2003-12-15 | 2005-06-16 | Chin-Shu Ho | Package box achieving recycling purpos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KR100536650B1 (en) | 2005-03-09 | 2005-12-14 | 김옥란 | Box for keeping shoes with a label being easy of discernment |
US8646680B2 (en) * | 2012-01-30 | 2014-02-11 | OIA Global Logistics SCM, INC. | Sheet and folding method for self-latching clamshell folded box |
-
2015
- 2015-10-16 KR KR1020150144816A patent/KR1016929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88768U (en) * | 1980-11-20 | 1982-06-01 | ||
US20050126955A1 (en) * | 2003-12-15 | 2005-06-16 | Chin-Shu Ho | Package box achieving recycling purpos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KR100536650B1 (en) | 2005-03-09 | 2005-12-14 | 김옥란 | Box for keeping shoes with a label being easy of discernment |
US8646680B2 (en) * | 2012-01-30 | 2014-02-11 | OIA Global Logistics SCM, INC. | Sheet and folding method for self-latching clamshell folded box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609Y1 (en) * | 2018-01-23 | 2019-07-10 | 노승규 | Packing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83290B2 (en) | Packaging box with display function | |
RU2146214C1 (en) | Produce packing and displaying box | |
KR101692900B1 (en) | Multifunctional shoes packing box | |
KR102301199B1 (en) | Packing box | |
JP6413928B2 (en) | tray | |
KR200456896Y1 (en) | Paper box | |
JP6863051B2 (en) | Packaging box and blank sheet | |
JP3217394U (en) | Partition member | |
JP6347661B2 (en) | Packaging box with buffer function | |
JP7144243B2 (en) | Packaging tools and packaging boxes | |
JP5954167B2 (en) | Variable capacity box | |
JP2010202223A (en) | Packaging box | |
TWI402203B (en) | A device for fine-tuning the spacer | |
JP6604285B2 (en) | tray | |
JP6804873B2 (en) | Packaging box | |
JP4814032B2 (en) | Cardboard tray with partition | |
JP6926682B2 (en) | Packaging box | |
JP6085280B2 (en) | Tray connector | |
KR20180025551A (en) | Variable shoes packing box | |
KR20220032240A (en) | Multifunctional Shoes Packaging Box | |
JP7444085B2 (en) | tray | |
JP5707064B2 (en) | Package | |
JP7152305B2 (en) | furniture | |
KR20180001052U (en) | Food packaging structure | |
JP4640808B2 (en) | Storage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