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2863B1 -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 Google Patents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863B1
KR101692863B1 KR1020150117347A KR20150117347A KR101692863B1 KR 101692863 B1 KR101692863 B1 KR 101692863B1 KR 1020150117347 A KR1020150117347 A KR 1020150117347A KR 20150117347 A KR20150117347 A KR 20150117347A KR 101692863 B1 KR101692863 B1 KR 10169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regulating rod
spring
rod
anchor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5011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8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형성된 소경홈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 상기 소경홈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소경홈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대경홈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규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규제봉만을 별도로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규제봉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로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Delineation Rod Easy to Attach and Detach}
본 고안은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설작업이나 도로포장 보수작업시 파손되는 경우가 없는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선유도봉은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또 운행중인 자동차가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교통질서 확립과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선유도봉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유도 및 규제, 인도 및 차선분리표시, 안전지대표시, 횡단보도표시, 분리대 충돌방지용으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선유도봉(1)은 몸체(12) 상부 외주연에 반사체(11)를 마련하고 내부에는 공간부를 형성한 지주봉(10)을 돌출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의 하부에는 둘레방향으로 관통공(3)이 복수개 형성된 받침대(2)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선유도봉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구성되는 도로 바닥에 시선유도봉(1)의 받침대(2)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시선유도봉(1)이 차량에 의해 충돌하는 경우 시선유도봉(1)이 크게 변형하여 찢기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다시 시선유도봉(1)을 설치할 경우 기존에 설치된 볼트를 제거한 후 도로 바닥에 새로운 시선유도봉(1)을 설치하고, 기존의 볼트 자리가 아닌 다른 위치에 볼트를 체결해야 했으므로 재설치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고, 도로 바닥 또한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만일, 기존에 설치된 볼트를 제거하지 않으면 볼트 머리가 도로 바닥면 위로 돌출되므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타이어가 손상되게 된다.
또한, 시선유도봉(1)이 볼트에 의해 도로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된 관계로 분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제설작업이 자체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차량과의 충돌로 시선유도봉(1)이 빈번히 파손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78551(2015년07월08일)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규제봉만을 별도로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규제봉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설작업시 규제봉만을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제설작업 후 다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설작업이 용이하고 규제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은,
앵커볼트;
중앙에 상기 앵커볼트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규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중공 통형의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요철 형성이 반복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의 상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각각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편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스프링 수용홈을 차례로 지나면서 나선형으로 진행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일단은 상기 규제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봉의 중공 내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회전하여 나선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용 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봉의 표면에는 반사지가 부착되며, 상기 규제봉의 상단으로부터 씌워져서 상기 반사지를 보호하는 투명튜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튜브의 하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봉의 상단에는 일부가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튜브의 상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를 덮는 체결 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규제봉과 투명튜브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에 의해 규제봉의 내외 공기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앵커볼트가 통과하는 관통홀 주변에는 단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된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규제봉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규제봉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도로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을 지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함으로써 규제봉의 분리 후 제설작업과 도로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재결합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요철 형성이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중에 매설한 후 몰타르 등으로 충진할 때 접촉면적이 높아져서 한층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이 규제봉에 내재되어 있음으로 인해 복원력이 커지므로 차량 충돌 후 바로 원위치로 회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튜브에 의해 규제봉 표면에서 눈이나 빗물에 의해 반사지가 오염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1000)은, 지중(E)에 형성된 소경홈(SH)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100), 상기 소경홈(SH)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소경홈(SH)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대경홈(LH)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100)가 통과하는 관통홀(215)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에서 상기 앵커볼트(100)와 체결되는 너트(30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규제봉(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지중에 매설된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하여 볼트(800) 등에 의해 규제봉(400)이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규제봉(400)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즉, 규제봉(400)이 파손되었을 때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하여 규제봉(400)만을 분리한 후 단순히 새로운 규제봉(400)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폭이 비교적 작은 중공 통형의 외부 프레임(210)과, 상기 외부 프레임(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편(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편(220)은 3갈래로 분기되는 구성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분기되는 수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지중에 매설된 후 지면과 동일면 상에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규제봉(400)을 베이스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제설작업이나 보수작업을 할 경우 간섭이 없어 작업 자체가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서 앵커볼트(100)가 통과하는 관통홀(215) 주변에는 단턱홈(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00)의 단부 또는 상기 너트(300)가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돌출된 앵커볼트(100)의 단부 또는 상기 너트(30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부 프레임(210)의 외측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요철(212)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을 지중에 매설한 후 몰타르 또는 에폭시 등으로 충진할 때 접촉면적이 높아져서 한층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편(220)의 상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각각 스프링 수용홈(221)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편(220)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스프링 수용홈(221)을 차례로 지나면서 나선형으로 진행하는 스프링(500)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500)은 일단은 상기 규제봉(400)의 내측에 배치된다.
통상의 규제봉(400)의 소재가 유연해서 차량에 의해 충돌한 후 한쪽으로 유연하게 꺽일 수 있으나, 복원력이 약해서 변형된 상태로 남아 있거나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500)이 상기 규제봉(400)에 내재되어 있음으로 인해 복원력이 커지고 차량 충돌 후 바로 원위치로 회복할 수 있어 내구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규제봉(400)의 중공 내면에는 상기 스프링(500)이 회전하여 나선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용 나선(4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500)이 스프링 설치용 나선(440)에 설치되면, 유연한 플라스틱 소재의 규제봉(400)이 차량 등에 충돌하여 굽혀지더라도 스프링(500)이 나선(440)에 의해 차단되어 규제봉(400)의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되므로 규제봉(400)에 대한 더욱 강력한 복원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규제봉(400)의 표면에는 반사지(410)가 부착되며, 상기 규제봉(400)의 상단으로부터 씌워져서 상기 반사지(410)를 보호하는 투명튜브(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튜브(600)에 의해 눈이나 빗물에 의해 반사지가 오염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규제봉(400)의 상단은 일부가 상향 돌출된 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튜브(600)의 상단에는 상기 돌출부(420)가 삽입되는 삽입공(6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420)를 덮는 체결 너트(430)가 형성되어 상기 규제봉(400)과 투명튜브(600)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공(610)에 의해 규제봉(400)의 내외 공기 소통이 원활하게 되어 여름철 도로 바닥 주변의 고열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상기 투명튜브(600)의 하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오링(620)이 설치되어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0...시선유도봉
100... 앵커볼트
200... 베이스 프레임
300... 너트
400... 규제봉
500... 스프링
600... 투명튜브
800... 볼트

Claims (9)

  1. 앵커볼트;
    중앙에 상기 앵커볼트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규제봉; 및,
    상기 규제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중공 통형의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편의 상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각각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지지편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스프링 수용홈을 차례로 지나면서 나선형으로 진행하며, 상기 스프링의 상부는 상기 규제봉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규제봉의 중공 내면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용 나선을 따라 상기 스프링이 회전하여 나선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요철 형성이 반복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봉의 표면에는 반사지가 부착되며, 상기 규제봉의 상단으로부터 씌워져서 상기 반사지를 보호하는 투명튜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튜브의 하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투명튜브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봉의 상단에는 일부가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튜브의 상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를 덮는 체결 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규제봉과 투명튜브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에 의해 규제봉의 내외 공기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앵커볼트가 통과하는 관통홀 주변에는 단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KR1020150117347A 2015-08-20 2015-08-20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Active KR10169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347A KR101692863B1 (ko) 2015-08-20 2015-08-20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347A KR101692863B1 (ko) 2015-08-20 2015-08-20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863B1 true KR101692863B1 (ko) 2017-01-05

Family

ID=578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347A Active KR101692863B1 (ko) 2015-08-20 2015-08-20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611A (ko)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대한볼트 도로시설물 고정용 스크류 볼트
KR20230049797A (ko) * 2021-10-06 2023-04-14 박정현 도로표지병 및 시선유도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420A (ja) * 2000-05-17 2001-11-22 Koito Ind Ltd 視線誘導灯
KR200348785Y1 (ko) * 2004-01-30 2004-05-03 박도식 커버 착탈이 가능한 차선 규제봉
KR20060108883A (ko) * 2005-04-14 2006-10-18 동 섭 신 시선유도봉
KR20110078088A (ko) * 2009-12-30 2011-07-07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차선지시봉
US20150078551A1 (en) 2012-03-22 2015-03-19 Sony Corporatio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program, decryption processing device, recep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420A (ja) * 2000-05-17 2001-11-22 Koito Ind Ltd 視線誘導灯
KR200348785Y1 (ko) * 2004-01-30 2004-05-03 박도식 커버 착탈이 가능한 차선 규제봉
KR20060108883A (ko) * 2005-04-14 2006-10-18 동 섭 신 시선유도봉
KR20110078088A (ko) * 2009-12-30 2011-07-07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차선지시봉
US20150078551A1 (en) 2012-03-22 2015-03-19 Sony Corporatio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program, decryption processing device, recep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611A (ko)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대한볼트 도로시설물 고정용 스크류 볼트
KR20230049797A (ko) * 2021-10-06 2023-04-14 박정현 도로표지병 및 시선유도봉
KR102557104B1 (ko) * 2021-10-06 2023-07-21 박정현 도로표지병 및 시선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86B2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US9580877B2 (en) Delineator post having restoration function
KR101692863B1 (ko)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20110003169U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20120068315A (ko) 착탈식 차선 규제봉
KR20220050411A (ko) 볼트 비노출형 차선규제봉
KR101178229B1 (ko) 시선 유도봉
KR100997901B1 (ko) 탈부착형 반사 밴드가 구비된 차선규제봉
KR20190061296A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20090045456A (ko) 도로표지병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200448766Y1 (ko) 도로 규제 표시봉
US11619015B2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100906411B1 (ko) 시선 유도봉
KR101586298B1 (ko) 차선 규제봉
KR101272869B1 (ko) 다기능 시선 유도봉
KR101030775B1 (ko) 차선 규제봉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101027802B1 (ko) 도로표지병
KR200417923Y1 (ko) 자동차 진입 금지용 볼라드
KR200330045Y1 (ko) 차선표지장치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