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633B1 - charger - Google Patents
char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633B1 KR101692633B1 KR1020150120042A KR20150120042A KR101692633B1 KR 101692633 B1 KR101692633 B1 KR 101692633B1 KR 1020150120042 A KR1020150120042 A KR 1020150120042A KR 20150120042 A KR20150120042 A KR 20150120042A KR 101692633 B1 KR101692633 B1 KR 1016926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er
- charging
- cord
- case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GHQUYZPMWMLBM-UHFFFAOYSA-N 1,2-dichloro-4-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l)C(Cl)=CC=C1C1=CC=CC=C1 ZGHQUYZPMWML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02J7/025—
-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er for charg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최근 사용되고 있는 휴대전화기는 인터넷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고 있어 통화기능을 넘어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전화기는 탈착 가능하거나 또는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의 사용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빈도가 그에 비례하여 늘어나게 되므로 배터리 전력소모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잦은 충전으로 인한 불편을 감수하며 전화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사용자는 전용의 충전기를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조배터리를 충전하여 예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Recently, mobile phones have various functions utilizing the Internet, and their use range has been gradually expanded beyond the call function. Such a mobile phone can be detached or recharged by using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However, as described above, as the use range of the mobile phone increases, the frequency of usage increases proportionally, and battery power consumption is progressing more rapidly. Therefore, the users are using the telephone with inconvenience due to frequent charging. Some users have a dedicated charger and use it to charge the spare battery and use it for spare.
특히 여행시 등에는 현지에서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기를 휴대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전용의 충전기를 충전하는 중에는 휴대전화기를 직접 충전할 수 없으므로 충전효율이 떨어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또 다른 충전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when traveling, it is common to carry the charger so that it can be charged locally. However, since the portable telephone can not be directly charged while the dedicated charger is being charged, the charg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nother charger must be provided.
특히, 종래에는 충전기와 충전코드를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써 보관 및 급이 번거로운 문제를 수반하고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related art, a charger and a charging cord have to be separately provided, which leads to troublesome storage and feed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충전기를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게 되는 것을 물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er which can easily carry a charger and is easy to store and handle.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배터리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갖춘 충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보관위치 및 수용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가정용 전압 플러그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코드홈이 형성되고, 한쪽은 코드홈의 한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연장되어 단부에 접속구가 제공되어 상기 코드홈에 선택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코드를 갖춘 충전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er having a cas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is installed, wherein a charging space is formed in the charging space, the charging space being opened / closed by a cover at one side of the case, hinged to one side of the space, And a charging positi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wherein a cord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de surface of the cas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ord groove,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and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 at the end thereof so as to be selectively retractably coupled to the cord groove.
상기 수용공간에는 8핀용 젠더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sp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ess for receiving an 8-pin gender.
상기 8핀용 젠더는 가정용 전압 플러그가 보관위치에 있을 때 가정용 전압 플러그의 핀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8-pin ge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pins of the household voltage plug when the household voltage plug is in the storage position.
상기 가정용 전압 플러그의 핀들 사이의 공간에 8핀용 젠더가 출몰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ins of the household voltage plug so that the 8-pin gender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상기 힌지수단은 수용공간에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부와, 가정용 전압 플러그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nge means is constituted by a support portion integrally form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rotary shaft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ehold voltage plug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상기 코드홈의 중간부분에는 USB케이블을 이용한 충전을 허용하는 USB케이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USB cable connecting portion allowing charging using a USB cable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rd groov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가정용 전압 플러그를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일체로 구성하고, 케이스의 측벽에 코드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충전코드를 출몰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충전기를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게 되는 것을 물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household voltage plug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spac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the cord groov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case, It is possible to carry it, of course, and to easily store and handle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충전코드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충전코드의 8핀용 젠더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휴대시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플러그를 위치를 변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8핀용 젠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n 8-pin gender of a charging cord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plug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ender configuration for an 8-pin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3 show a configuration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보조배터리(20)가 내장되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커버(12)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14)이 되어 있다. 수용공간(14)은 직육면체의 공간으로서, 커버(12)는 일측에 케이스(10)에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 되어있다. According to this,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상기 힌지수단은 수용공간(14)에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부(16)와, 가정용 전압 플러그(3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32)로 구성되어 있다.The hinge means includes a
상기 수용공간(14)의 일측에는 가장용 전압 플러그(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플러그(30)는 수용공간(14)의 개방단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14) 내부에 위치하는 보관위치(도 5의 상태) 및 수용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위치(도 1 및 도 6의 상태) 사이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And a
상기 케이스(10)의 길이방향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코드홈(13)이 형성되어있다. 코드홈(13)에는 충전기의 전력 또는 배터리(20)의 전력을 전자기기로 공급하는 충전코드(40)가 삽입되는바, 충전코드(40)의 한쪽은 코드홈(13)의 한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연장되어 단부에 5핀 접속구(42)가 제공된다. 충전코드(40)는 상기 코드홈(13)에 선택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무재로 구성되어 플렉스블하게 형성하되 내측에 와이어를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A cord groove (13)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ide surface of the case (1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상기 코드홈(13)의 중간부분에는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충전을 가능케 하는 USB케이블 접속부(46)가 형성되어 있다.A USB
한편, 상기 수용공간(14)에는 8핀용 젠더(44)를 수용하는 오목부(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정용 전압 플러그(30)가 보관위치에 있을때 상기 8핀용 젠더(44)는 상기 가정용 전압 플러그(30)의 핀(34a)(34b)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를 충전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센트(도시되지 않음)에 꽂아 충전을 이루고, 휴대시에는 커버(12)를 개방하여 플러그(30)를 회전시켜 수용공간(14)으로 삽입하여 보관위치로 하고, 다시 커버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의 형태에 따라 도 6과 같이 플러그(30)를 케이스(10)에 대해 90도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a socket (not shown) to charge the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전코드(40)를 인출하여 5핀 접속구(42)를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충전을 이루게된다. 이때 충전코드(40)가 고무재로 구성되어 있어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8핀용 젠더(44)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5)에 보관되어 있는 8핀용 젠더(44)를 5핀 접속구(42)에 끼워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charg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charging is performed by drawing the total
가정용 전압 콘센트가 마련되지 않고 노트북 또는 퍼스널 컴퓨터등으로부터 직접충전을 받는 경우에는 코드홈(13)에 마련되는 USB케이블 접속부(46)를 통해 충전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USB케이블 접속부(46)는 USB케이블을 이용한 전자기기로의 충전을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입력 및 출력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where a home voltage socket is not provided but is directly charged from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charg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USB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8핀용 젠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정용 전압 플러그(30)의 핀(32a)(32b)들 사이의 공간에 8핀용 젠더(44)가 출몰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홈(36)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8핀용 젠더(44)를 손쉽게 5핀 접속구(42)에 결합할 수 있으며, 공간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5핀접속구(42)를 수용홈(36)에 삽입되어 있는 8핀용 젠더(44)측으로 끼운 후 잡아당기면 8핀용 젠더(36)가 5핀 접속구(42)와 함께 수용홈(36)으로부터 뽑히면서 5핀 접속구(42)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넣을때는 8핀용 젠더(44)만을 5핀 접속구(42)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수용홈(36)에 삽입하면 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ender configuration for an 8-pin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단순한 설계 변경 및 등가물의 치환 등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충전코드(40)의 내측단이 케이스(10)에 고정되는 형태는 물론 일정하게 길게 형성되어 소정거리 출몰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30)는 회전식이 아닌 슬라이드식으로 구성하여 수용공간(14)으로부터 출몰하는 것도 단순한 설계변경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That is to say, simple design changes and equivalence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ide end of the
특히 본 발명은 충전기와 더불어 보조배터리나 무선 패드 충전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추가로 채택하거나 두 개의 기능을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을 추가하여 구현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구현기술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dopting the function of either the auxiliary battery or the wireless pad charger in addition to the charger, or applying both the function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by adding a Bluetooth speaker function. The specific implementation technique is convention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0: 케이스 11: PCB
12: 커버 13: 코드홈
14: 수용공간 15: 오목부
16: 지지부 20: 보조배터리
30: 플러그 32: 회전축
34a, 34b : 접속핀 36: 수용홈
40: 충전코드 42: 5핀 접속구
44: 8핀용 젠더 46: USB케이블 접속부
46a: USB케이블10: Case 11: PCB
12: Cover 13: Cord home
14: accommodation space 15:
16: support part 20: auxiliary battery
30: plug 32:
34a, 34b: connecting pin 36: receiving groove
40: Charging cord 42: 5-pin connection port
44: 8 pin Gender 46: USB cable connection
46a: USB cable
Claims (7)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된 커버(12)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14)을 형성하고, 수용공간(14)의 일측에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수용공간(14) 내부에 위치하는 보관위치 및 수용공간(14)의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가정용 전압 플러그(30)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의 길이방향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코드홈(13)이 형성되고, 한쪽은 코드홈(13)의 한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조배터리(20)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연장되어 단부에 접속구가 제공되어 상기 코드홈(13)에 선택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코드(40)를 갖추며,
상기 수용공간(14)에는 8핀용 젠더(44)를 수용하는 오목부(15)가 더 형성되어 있되, 상기 8핀용 젠더(44)는 가정용 전압 플러그(30)가 보관위치에 있을 때 가정용 전압 플러그의 핀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정용 전압 플러그(30)에 설치된 힌지수단은 수용공간(14)에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부(16)와, 가정용 전압 플러그(3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드홈(13)의 중간부분에는 USB케이블(46a)을 이용한 충전을 허용하는 USB케이블 접속부(4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In configuring the charger with the case 10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20 is built,
A receiving space 14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12 coupled by a hinge mean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0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by a hinge means, (30) which rotates between a storage position located inside of the case (10) and a charging posi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4), and a cord groove One side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ord groove 13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20 and the other side is extended and a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the end so that the cord groove 13 is selectively moved Equipped with a charging cord (40)
The housing 14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ess 15 for receiving an 8-pin gender 44. The 8-pin gender 44 is connected to the housing voltage plug 30 when the household voltage plug 30 is in the storage position, Lt; RTI ID = 0.0 >
The hinge means provided in the domestic voltage plug 30 includes a support portion 16 integrally form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4 and a hinge mean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omestic voltage plug 3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16 And a rotating shaft (32)
And a USB cable connecting portion (46) for allowing charging using a USB cable (46a)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rd groove (13)
char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042A KR101692633B1 (en) | 2015-08-26 | 2015-08-26 | char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042A KR101692633B1 (en) | 2015-08-26 | 2015-08-26 | char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2633B1 true KR101692633B1 (en) | 2017-01-03 |
Family
ID=5779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00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2633B1 (en) | 2015-08-26 | 2015-08-26 | char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63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7721A (en) | 2023-02-16 | 2024-08-23 |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obile device charger equipped with auxiliary battery holder |
WO2024250760A1 (en) * | 2023-06-09 | 2024-12-12 | 深圳市德立华电子科技有限公司 | Power bank capable of realizing alternating-current charging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858Y1 (en) * | 2001-10-25 | 2002-01-17 | 이홍우 | Collapsible charger for portable phone |
KR20130097954A (en) * | 2012-02-27 | 2013-09-04 | 최상효 | Case for mobile |
KR200469779Y1 (en) | 2013-06-18 | 2013-11-06 | 원희진 | Auxiliary 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 |
KR20140089972A (en) * | 2013-01-08 | 2014-07-16 | 나도진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KR101521867B1 (en) * | 2014-12-24 | 2015-05-20 | 주식회사 맥스웨이브 | The portable battery charger having gender storage groove |
-
2015
- 2015-08-26 KR KR1020150120042A patent/KR1016926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858Y1 (en) * | 2001-10-25 | 2002-01-17 | 이홍우 | Collapsible charger for portable phone |
KR20130097954A (en) * | 2012-02-27 | 2013-09-04 | 최상효 | Case for mobile |
KR20140089972A (en) * | 2013-01-08 | 2014-07-16 | 나도진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KR200469779Y1 (en) | 2013-06-18 | 2013-11-06 | 원희진 | Auxiliary 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 |
KR101521867B1 (en) * | 2014-12-24 | 2015-05-20 | 주식회사 맥스웨이브 | The portable battery charger having gender storage groov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7721A (en) | 2023-02-16 | 2024-08-23 |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obile device charger equipped with auxiliary battery holder |
WO2024250760A1 (en) * | 2023-06-09 | 2024-12-12 | 深圳市德立华电子科技有限公司 | Power bank capable of realizing alternating-current charg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90035B2 (en) | Device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JP3187538U (en) | Power bank | |
US10033294B2 (en) | Folding plug with safety cover | |
US20160066453A1 (en) |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kickstand with a removable charger cable | |
JP3191199U (en) | Multifunctional power supply applicable to both watch-type and tablet-type mobile phones | |
US20200251916A1 (en) | Fold-flat car charger interface | |
CN204651978U (en) | A mobile power supply with machine and cable | |
CN103166287B (en) | The base of mobile electronic terminal device | |
KR101692633B1 (en) | charger | |
US20140328009A1 (en) |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 |
KR101107247B1 (en) | Gend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ombined with portable memory device | |
US20190155334A1 (en) | Assembly and housing for terminal device | |
JP2014036510A (en) | Portable electrical equipment case with charging function and attachment function | |
KR102306596B1 (en) | Multifunctional portable auxiliary battery | |
KR200478882Y1 (en) | Portable power pack | |
CN206498461U (en) | A charging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charging earphones | |
CN209982122U (en) | Mobile power supply with telescopic line structure | |
CN204349505U (en) | A kind of stent-type portable power source | |
JP3128013U (en) | Charger | |
KR101608433B1 (en) | Device for charging and holding smart device | |
KR101148955B1 (en) | Gend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for mobil device | |
KR20110062038A (en) | All-in-one portable power supply | |
CN204698051U (en) | A suitcase for plugging in and charging a wireless hotspot | |
CN209448867U (en) | Intelligent sound box | |
CN203840006U (en) | mobile pow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