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97B1 -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397B1 KR101692397B1 KR1020100050347A KR20100050347A KR101692397B1 KR 101692397 B1 KR101692397 B1 KR 101692397B1 KR 1020100050347 A KR1020100050347 A KR 1020100050347A KR 20100050347 A KR20100050347 A KR 20100050347A KR 101692397 B1 KR101692397 B1 KR 101692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unit
- support plate
- image
-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촬영장치에 설치된 광량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량 조절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광량 조절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광량 조절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광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 동작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7의 촬영장치의 이차원 영상 촬영 동작 중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촬영장치의 이차원 영상 촬영 동작 중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촬영장치의 삼차원 영상 촬영 동작 중의 광량 조절부의 제1 위치에서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촬영장치의 삼차원 영상 촬영 동작 중의 광량 조절부의 제2 위치에서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광량 조절장치의 제1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광량 조절장치의 제2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영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1: 렌즈 구동부 281: 제1 센서
12: 렌즈들 282: 제2 센서
13: 조리개 구동부 290: 제2 구동부
15: 메모리 315: 구동수단
19: 본체 341: 제2 코일
20: 촬상소자 342: 제2 자석부
40: 제어부 118, 245: 유연성 회로기판
41: 화상 변환부 111, 261: 제3 통공
42: 렌즈 제어부 391: 제1 코일
43: 메모리 제어부 392: 제1 자석부
44: 표시 제어부 425: 구동 블록
45: 조리개 제어부 441: 구동모터
46: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부 442: 회전기어
47: 촬영 제어부 443: 랙기어
48: 2D/3D 촬영모드 제어부 451: 직선홈
49: 화상 압축부 160, 318: 감지부
50: 표시부 281b, 282b: 센서 장착홈들
60: 중력 센서 110, 210, 310: 조리개 유닛
100: 광량 조절장치 141a, 241, 291: 초음파 발생부
113: 조리개 141b, 242, 292: 튜브
115: 구동수단 140, 240, 440: 제1 구동부
117: 볼트 144, 342a, 392a: 브라켓
119: 결합 구멍 153a, 353a, 373a: 개방홈
127: 홈 L: 광축
135b: 장착홈 P0: 원위치
135c: 지지홈 P1, P3: 제1 위치
138: 지지대 P2, P4: 제2 위치
141c: 회로기판 B1, B2: 촬영장치
142: 탄성판 200, 300, 400: 조리개 조립체
152a: 구멍 120, 220, 320, 420: 제1 슬라이더
161: 포토센서 121, 221, 321, 421: 제2 통공
162: 반사판들 130, 230, 330, 430: 지지판
260: 제2 슬라이더 131, 231, 331, 431: 제1 통공
261b: 내측 장착홈 135, 225, 235, 325, 335: 스토퍼
267b: 장착 리브 151, 251, 271, 351, 371: 레일
150, 250, 270, 370, 450, 350: 직선 안내부
152, 153, 252, 272, 352, 353, 372, 373, 452: 슬라이딩 블록
Claims (20)
- 이차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이차원 촬영모드와, 서로 상이한 각도의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촬영장치에 사용되는 광량 조절장치로서: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을 갖는 지지판;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는 제2 통공을 가지며 광이 상기 제1 통공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슬라이더;
상기 지지판에 대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신호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2 통공을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는 조리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차원 촬영모드에서는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조리개 유닛이 상기 광축에 일치하는 중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통공을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고,
상기 삼차원 촬영모드에서는 상기 제1 화상의 촬영을 위해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조리개 유닛이 상기 광축에서 일측을 향해 편심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통공을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며, 상기 제2 화상의 촬영을 위해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조리개 유닛이 상기 광축에서 타측을 향해 편심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통공을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판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안내부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안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슬라이더의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대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초음파 진동을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초음파 모터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코일과, 상기 제1 코일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슬라이더의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슬라이더를 개재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구비하는 직선 안내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초음파 진동을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초음파 모터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유닛은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조리개 유닛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코일과, 상기 제1 코일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조리개 유닛의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과 상기 조리개 유닛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2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조리개 유닛의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2 자석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리개 유닛을 상기 제1 슬라이더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 광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렌즈들;
상기 광축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들의 사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는, 광량 조절부;
상기 렌즈들과 상기 광량 조절부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
상기 광량 조절부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며,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량 조절부를 상기 광축에 일치하는 중심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광량 조절부에 의해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상기 광량 조절부를 상기 광축에서 일측을 향해 편심된 제1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광량 조절부에 의해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여 제1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광량 조절부를 상기 광축에서 타측을 향해 편심된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광량 조절부에 의해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여 상기 제1 화상과 상이한 각도에서 제2 화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을 갖는 지지판과,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는 제2 통공을 가지고 상기 광량 조절부를 지지하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는 제1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상기 지지판에 대해 이동시키는, 촬영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안내부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촬영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판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촬영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조절부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슬라이더를 개재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촬영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삼차원 촬영모드를 실행할 때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감지부에 의해 상기 촬영장치가 가로 방향에 놓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촬영장치가 세로 방향에 놓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촬영장치. - 광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렌즈들과, 상기 렌즈들의 사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광의 양을 조정하는 광량 조절부와, 상기 렌즈들과 상기 광량 조절부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방법으로서:
상기 광축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상기 광량 조절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량 조절부를 상기 광축에 대응하는 중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광량 조절부에 의해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여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촬영을 실행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상기 광량 조절부를 상기 광축에서 일측을 향해 편심된 제1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광량 조절부에 의해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여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제1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광량 조절부를 상기 광축에서 타측을 향해 편심된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광량 조절부에 의해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여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상기 제1 화상과 상이한 각도에서 제2 화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0347A KR101692397B1 (ko) | 2010-05-28 | 2010-05-28 |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
US13/103,194 US8472800B2 (en) | 2010-05-28 | 2011-05-09 |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0347A KR101692397B1 (ko) | 2010-05-28 | 2010-05-28 |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0828A KR20110130828A (ko) | 2011-12-06 |
KR101692397B1 true KR101692397B1 (ko) | 2017-01-03 |
Family
ID=4502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03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2397B1 (ko) | 2010-05-28 | 2010-05-28 |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472800B2 (ko) |
KR (1) | KR10169239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3240B1 (ko) * | 2012-03-30 | 2019-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JP6579316B2 (ja) * | 2015-09-16 | 2019-09-25 |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 羽根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
KR102767487B1 (ko) | 2016-12-08 | 2025-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663990B1 (ko) | 2016-12-08 | 2024-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33967A1 (en) * | 2005-12-08 | 2007-06-14 | Sony Corporation | Image stabilizer, lens device and imager apparatus |
US20080151065A1 (en) | 2006-12-20 | 2008-06-26 | Yoichiro Okumura | Camera capable of displaying moving imag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US20080278572A1 (en) * | 2007-04-23 | 2008-11-13 | Morteza Gharib | Aperture system with spatially-biased aperture shapes and positions (SBPSP) for static and dynamic 3-D defocusing-based imaging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22650A (en) | 1991-04-18 | 1992-06-16 | Mckinley Optics, Inc. | Stereo video endoscope objective lens system |
US5471237A (en) | 1992-06-26 | 1995-11-28 | Apollo Camer, Llc | Single lens stereoscopic video camera |
US5294951A (en) * | 1992-12-10 | 1994-03-15 | Image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 Dual-mode 3-D and 2-D camera with movable baffles |
TW225010B (en) * | 1993-10-21 | 1994-06-11 | Image Techology Internat Inc | A non-scanning 3D photographic printer with a partitioned aperture |
US5448322A (en) * | 1993-11-05 | 1995-09-05 | Vision Iii Imaging, Inc. | Auto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parallax scanning lens aperture |
CA2123077C (en) | 1994-04-14 | 2001-09-04 | Anthony B. Greening | Single lens stereoscopic imaging system |
US5842064A (en) * | 1996-03-21 | 1998-11-24 | Angraphie Dimensional Systems, Llc | Three dimensional camera |
US5666579A (en) * | 1996-04-26 | 1997-09-09 | Polaroid Corporation | Camera back which allows two discrete images to be sequentially exposed onto single film unit |
JP3753201B2 (ja) * | 1996-07-22 | 2006-03-08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視差画像入力装置 |
US5802410A (en) * | 1997-02-18 | 1998-09-01 | Wah Lo; Allen Kwok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images with a masked imaging device |
US20050140820A1 (en) * | 1999-08-20 | 2005-06-30 | Koichi Takeuchi | Lens unit and camera |
ATE313218T1 (de) * | 2000-08-25 | 2005-12-15 | Fuji Photo Film Co Ltd | Vorrichtung zur parallaxbildaufnahme und parallaxbildverarbeitung |
JP2002344999A (ja) * | 2001-05-21 | 2002-11-29 | Asahi Optical Co Ltd | ステレオ画像撮像装置 |
KR100440983B1 (ko) | 2002-06-03 | 2004-07-21 | 이영화 | 입체동영상촬영장치용 어댑터 |
KR100440984B1 (ko) | 2002-06-03 | 2004-07-21 | 이영화 | 입체영상촬영장치용 어댑터 |
JP2005352033A (ja) * | 2004-06-09 | 2005-12-22 | Sony Corp | レンズ駆動機構及び撮像装置 |
US7651282B2 (en) * | 2005-05-04 | 2010-01-26 |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imaging |
KR100761438B1 (ko) | 2006-02-27 | 2007-09-27 | 이영화 | 근접 대상물의 입체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입체동영상촬영장치 |
US7639934B2 (en) * | 2006-06-28 | 2009-12-2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Image stabilizing in cameras |
JP4488043B2 (ja) * | 2007-08-28 | 2010-06-23 | ソニー株式会社 |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
JP5094359B2 (ja) * | 2007-12-14 | 2012-1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
2010
- 2010-05-28 KR KR1020100050347A patent/KR10169239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5-09 US US13/103,194 patent/US847280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33967A1 (en) * | 2005-12-08 | 2007-06-14 | Sony Corporation | Image stabilizer, lens device and imager apparatus |
US20080151065A1 (en) | 2006-12-20 | 2008-06-26 | Yoichiro Okumura | Camera capable of displaying moving imag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US20080278572A1 (en) * | 2007-04-23 | 2008-11-13 | Morteza Gharib | Aperture system with spatially-biased aperture shapes and positions (SBPSP) for static and dynamic 3-D defocusing-based imag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293261A1 (en) | 2011-12-01 |
KR20110130828A (ko) | 2011-12-06 |
US8472800B2 (en) | 2013-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16985B2 (ja) | デジタルカメラの焦点合わせ | |
US8994868B2 (en) | Camera body and imaging device | |
KR101700364B1 (ko) |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
KR102336447B1 (ko) |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8031240B2 (en) | Imaging device | |
TWI514869B (zh) | 自動對焦成像模組及成像方法 | |
TWI551113B (zh) | 3d成像模組及3d成像方法 | |
US9176362B2 (en) | Optical path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20120154670A1 (en) |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Auto-Focus Time | |
KR101692397B1 (ko) |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 |
CN110568697A (zh) | 一种移轴摄影方法及装置 | |
JP2022084739A (ja) | 撮像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 |
JP2008145662A (ja) | 撮影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 |
KR102146856B1 (ko) | 렌즈 특성 기반의 촬영 모드 제시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촬영 장치. | |
US9152014B2 (en) |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s | |
KR20130057764A (ko)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1739376B1 (ko) |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
KR20120035043A (ko) |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
JP2007259487A (ja) | 立体画像記録装置 | |
JP4212485B2 (ja) | 立体撮像が可能な電子カメラ | |
JP2011164321A (ja) | 撮像装置 | |
JP2012215661A (ja) | 撮像装置 | |
JP2006203934A (ja) | 立体撮像が可能な電子カメ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5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