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106B1 -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 Google Patents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106B1 KR101692106B1 KR1020140071502A KR20140071502A KR101692106B1 KR 101692106 B1 KR101692106 B1 KR 101692106B1 KR 1020140071502 A KR1020140071502 A KR 1020140071502A KR 20140071502 A KR20140071502 A KR 20140071502A KR 101692106 B1 KR101692106 B1 KR 101692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impact modifier
- monomer
- acrylic
- pa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3/00—Compositions of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8—Polymer particles coated by inorganic and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매트릭스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상기 수지의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시드를 안정적으로 감싸고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그라프트율을 높이일 수 있으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에 존재하는 상기 유화제에 의하여 매트릭스 수지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증대되어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mposition which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a matrix resin such as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contains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Shell structure,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from the acrylic-typ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Accordingly,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an stably encapsulate the acrylic seed and increase the grafting ratio of the graft copolymer shell. By the emulsifier present in the graft copolymer shell, The compatibility with the acrylate-based impact modifier increases, and the impact strength is improved while maintaining excellent transparency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nclud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상기 수지의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hich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ncluding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and has a core-shell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impact strength while maintaining excellent transparency of the resi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therefrom.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는 투명성, 내후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경도, 내약품성, 표면광택, 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광학렌즈, 광디스크, 도광판 등의 광학용도, 조명기구, 간판, 각종 장식품, 자동차용 후미등, 계기판 커버 등의 외장 부품이나 옥외용 외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resins are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weatherability as well as excellent in hardness, chemical resistance, surface gloss and adhesiveness, and can be used for optical applications such as optical lenses, optical disks and light guide plates, Such as decorative parts, automotive rear lights, instrument panel covers, outdoor exterior materials, and the like.
그러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우수한 광학특성을 가지는 반면, 다른 수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충격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하기 위해서 낮은 내충격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However,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h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but has a relatively low impact resistance as compared with other resins. Accordingly, techniques for improving low impact resistance in order to easily apply to various fields have been studied.
일반적으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내충격성 개선을 위하여 충격보강제를 첨가하여 블렌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충격보강제는 주로 관능기를 포함한 개시제나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고무를 사용하고 있어 반응성 및 내후성 등에 저하 문제가 있으며, 충격보강제 함량에 따른 내충격성 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단점이 있다. In general, a method of blending an impact modifier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s known. However, since the impact modifier mainly uses an initiator containing a functional group or a rubber containing butadiene, the impact modifier has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reactivity and weatherability,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impact modifier content is relatively small.
또한, 다량의 충격보강제를 사용할 경우 내열도가 낮아지고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내충격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수지의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충격보강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Further, when a large amount of an impact modifier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resistance is lowered and the transparency is lowe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mpact modifier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maintain excellent transparency without lowering the transparency of the resin.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로부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제조하고 이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블렌딩한 결과 상기 수지의 투명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Under the above backgroun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from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ntaining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And blending it with a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resin can be maintained at an excellent level and the impact strength can be improved,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상기 수지의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e-shell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ncluding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and can improve impact strength while maintaining excellent transparency of the resi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the core-shell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from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시드 5 중량% 내지 25 중량%; 상기 아크릴계 시드 상에 형성되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무 코어 40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되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1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k composition comprising 5 to 25% by weight of an acrylic seed containing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40% to 65% by weight of a rubber core formed on the acrylic seed and comprising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15 to 45% by weight of a graft copolymer shell formed on the rubber core, the graft copolymer shell comprising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romatic vinyl monomers, Wherein the core-graft copolymer shell comprises a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이고, n은 4 내지 8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이다.
Wherein R is alkyl having from 10 to 14 carbon atoms, n is an integer from 4 to 8, and m is 1 or 2.
또한, 본 발명은 코어-쉘 구조의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하여 시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조된 시드에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중합하여 고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제조된 고무 코어에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0.0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하고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 및 단계 3에 단량체 혼합물이 각각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n impact modifi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seed by emulsion-polymerizing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5 to 99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core- (Step 1); Adding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30 to 7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to the prepared seed and emulsifying to prepare a rubber core (step 2); And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10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d 0.005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of an aromatic vinyl monomer were added to the rubber core prepared above, Wherein the monomer mixture comprises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respectively, in the step 2 and the step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shell structure.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시드, 상기 시드를 둘러싸는 고무 코어 및 상기 고무 코어를 둘러싸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re-shell structure comprising an acrylic seed, a rubber core surrounding the seed, and a graft copolymer shell surrounding the rubber core, made from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described above An acrylic impact modifier is provided.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15 to 25% by weight of an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above core-shell structure; And 75 to 85% by weight of a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은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아크릴계 시드를 안정적으로 감싸고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그라프트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에 존재하는 상기 유화제에 의하여 매트릭스 수지인 폴리메틸메타크릴 수지와의 상용성이 증대되어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 수지의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to stably encapsulate the acrylic-based seed and to control the graft ratio of the graft copolymer shell . In addition, compatibility with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which is a matrix resin, is increased by the emulsifier present in the graft copolymer shell, and the excellent transparency of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containing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of the core- So that the impact strength can be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이를 필요로 하는 산업, 특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용 충격보강제로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from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n impact modifier for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Lt; / RTI >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의 충격보강제로서 사용되어, 상기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상기 수지의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shell structure which is used as an impact modifier of an acrylic resin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and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resin and can improve the impact strength without lowering the transparency of the resin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is provide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는 투명성, 내후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경도, 내약품성, 표면광택, 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여러 가지 산업, 특히 유리의 대용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다른 수지에 비하여 내충격성이 낮아 제품의 두께를 증가시켜 사용하거나, 제한적인 용도에만 적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resins are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weatherability as well as being excellent in hardness, chemical resistance, surface gloss, and adhesiveness, and are widely used as various substitutes for various industries, particularly glass. However, The impact resistance is so low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can be increased or used only for limited use.
따라서, 낮은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충격보강제를 이용하여 개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충격보강제를 이용한 개질 방법은 충격강도 향상 효과는 미미하고 다량 사용하는 경우 경도와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a method of modifying the impact modifier by using an impact modifier has been proposed to compensate for the low impact modulus. However, the conventional modifier using the impact modifier has a small effect of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and a problem of lowering the hardness and transparency when used in a large amount .
이에, 본 발명은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함으로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여 상기 수지의 투명성은 유지하면서 충격강도는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to improve compatibility with an acrylic resin such as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while maintaining a high impact str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시드 5 중량% 내지 25 중량%; 상기 아크릴계 시드 상에 형성되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무 코어 40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되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1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5 to 25% by weight of an acrylic seed containing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40% to 65% by weight of a rubber core formed on the acrylic seed and comprising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15 to 45% by weight of a graft copolymer shell formed on the rubber core, the graft copolymer shell comprising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romatic vinyl monomers, Wherein the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comprises a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이고, n은 4 내지 8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이다.Wherein R is alkyl having from 10 to 14 carbon atoms, n is an integer from 4 to 8, and m is 1 or 2.
바람직하게는, 상기 R은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일 수 있다.
Preferably, R may be alkyl of 12 to 14 carbon atoms.
상기 아크릴계 시드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시드의 입경이 작아 최종 생성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입경이 너무 작아져 충분한 충격강도를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하여 9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최종 생성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입경이 너무 커져 우수한 충격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acrylic seed may contain 5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preferably 10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If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particle size of the acrylic seed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rylic methacrylate monomer is too small,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finally formed core-shell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becomes too small, In contrast, when the amount exceeds 99 parts by weight, the particle size of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to be finally formed is too large to maintain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deteriorates .
또한, 상기 아크릴계 시드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rylic seed may further include 0.5 to 9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And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상기 아크릴계 시드는 평균입경이 180 nm 내지 220 nm일 수 있다. 평균입경이 180 nm 미만이면 입경이 너무 작아 충분한 충격강도를 발현할 수 없을 수 있으며, 220 nm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acrylic seed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80 nm to 220 nm.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180 nm, the particle diameter may be too small to exhibit sufficient impact strength.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220 nm, the transparency may be deteriorated.
상기 아크릴계 시드에 포함되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contained in the acrylic see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and n-butyl methacrylate, Lt; / RTI >
상기 아크릴계 시드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The alkyl acrylate monomers which may additionally be included in the acrylic seeds inclu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hexyl acrylate, oc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 , And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butyl acrylate and n-butyl acry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시드는 가교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교성 단량체가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아크릴계 시드의 입자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최종 생성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충격보강제로서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rylic s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rosslinkable monomer, wherein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used in an amount of 0.05 part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 5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less than 0.05 part by weight, the particle stability of the acrylic seed may be deteriorated. If the cross-linking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5 parts by weight, the impact- The impact strength of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contained as the resin may be lowered.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리에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butanediol di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Acrylate, allyl 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vinylbenzene,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and 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Acrylate, and allyl methacrylate may be preferably used.
상기 아크릴계 시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 내에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25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입자수가 줄어들어 입자 간의 간격이 커져 이를 포함하는 상기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소구경 입자가 과량으로 존재하여 상대적으로 최외면에 형성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두께가 감소하고, 이에 고무 코어를 충분히 감싸주지 못하여 응집특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acrylic seed may be contained in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t a ratio of 5 wt% to 2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as mentioned above. If the amount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number of particles decrease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articles increases, so that the impact strength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us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may be lowered.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aft copolymer shell having an excessive amount of small-diameter particles and relatively formed on the outermost surface decreases in thickness, and thus the rubber core can not be sufficiently enclosed and the cohesion characteristics become poo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포함될 경우에는 목적하는 정도의 충격강도를 얻지 못할 수 있다. The rubber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30 to 7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exceeds the above range, the desired impact strength may not be obtained.
또한,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rubber core may further comprise 1 to 40 parts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고무 코어는 평균입경이 250 nm 내지 300 nm일 수 있다. 이때, 고무 코어의 평균입경은 상기 아크릴계 시드를 내부에 포함하는 고무 코어 전체의 평균입경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평균입경이 250 nm 미만이면 입경이 너무 작아 충분한 충격강도를 발현할 수 없을 수 있으며, 300 nm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rubber core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50 nm to 300 nm. At this tim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core may me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ntire rubber core including the acrylic seed.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250 nm, the particle diameter may be too small to exhibit sufficient impact strength.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300 nm, the transparency may be deteriorated.
상기 고무 코어에 포함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같거나,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The alkyl acrylate monomer contained in the rubber core may be the same as or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상기 고무 코어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C1 -3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 스티렌 및 할로겐으로 치환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일 수 있다.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which may additionally be included in the rubber cor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p-methylstyrene, vinyltoluene, alkylstyrene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styrene substituted with a haloge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and may preferably be styrene.
또한,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상기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로 상기 고무 코어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ubber core may include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The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included in the rubber core in an amount of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constitut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통상적으로 소듐 디(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sodium di(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ate) 또는 디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disodium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로 불릴 수 있으며, 반복단위의 개수(n 값) 및 R에 따라 상이하게 불릴 수 있다. The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is usually prepared by dissolving sodium di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or disodium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And may be ca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n value) of repeating units and 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반복단위 개수(n 값)가 4 내지 8이고, R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복단위 개수가 4 내지 8이고, R이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일 수 있다. The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Formu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number of repeating units (n value) of 4 to 8 and R may be alkyl having 10 to 14 carbon atoms, The number of R is 4 to 8, and R is alkyl of 12 to 14 carbon atoms.
구체적으로, 상기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sodium di(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sodium di(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ate),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sodium di(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디소듐 헥사오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disodium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disodium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및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disodium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sodium di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sodium di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 phospate, sodium di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disodium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disodium hexaoxyethylene tridecyl Disodium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and disodium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may be used.
또한, 상기 고무 코어는 가교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같거나 포함되는 물질일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함량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ubber core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able monomer, and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be the same as or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and may be used within the aforementioned range.
상기 고무 코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 내에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내지 65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적 성질이 적어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6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비율이 줄어들고 고무 코어가 커져, 상기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되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이 상기 고무 코어를 충분히 감싸지 못할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과 매트릭스 수지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의 상용성과 분산성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상기 수지의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충격강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The rubber core may be included in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s mentioned above in a proportion of 40 wt% to 6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If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40% by weight, the impact strength may be lowered because of the rubbery property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content exceeds 65% by weight, the proportion of the graft copolymer shell is relatively decreased, The graft copolymer shell formed on the rubber core may not sufficiently wrap the rubber core, and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ntaining the rubber core and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s a matrix resin Resulting in poor compatibility and dispersibility, resulting in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processability of the resin, as well as deteriorating the impact strength improving effec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은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고,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0.0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graft copolymer sh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0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and the alkyl acrylate monomer and the aromatic vinyl based And 0.005 to 5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s.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은 평균입경이 320 nm 내지 340 n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평균입경은 상기 고무 코어를 내부에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전체의 평균입경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평균입경이 320 nm 미만인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34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graft copolymer shell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20 nm to 340 n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raft copolymer shell may b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ntire graft copolymer shell including the rubber core.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320 nm, the impact strength may be lowered.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340 nm, the transparency may be lowered.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에 포함되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s, alkyl acrylate monomers and aromatic vinyl monomers contained in the graft copolymer shell are as mentioned above.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은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The graft copolymer shell may contain 0.1 part by weight to 0.5 part by weight of the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다.
The above-mentioned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is the same as mentioned above.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 내에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고무 코어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여 가공조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이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충격저하나 표면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4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고무 코어의 비율이 줄어들고,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충격강도 개선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The graft copolymer shell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5 to 4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in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s mentioned above. If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5% by weight, the rubber core can not be sufficiently wrapped and can not perform a proper role as a processing aid. Therefore, the impact resistance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using a core- If the content exceeds 45% by weight, the proportion of the rubber core is relatively decreased,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is formed too thick, so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은 상기 고무 코어가 상기 아크릴계 시드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이 상기 고무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such that the rubber core surrounds the acrylic seed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surrounds the rubber c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기의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중합개시제, 분자량 조절제 및 산화-환원 촉매와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ulsifier commonly us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if necessary, , Molecular weight modifiers, and oxidation-reduction catalysts.
상기 유화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포스페이트염, 설포네이트염 또는 설페이트염일 수 있으며, 상기 포스페이트염으로는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포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포스페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설포네이트염으로는 소듐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아릴나프탈렌 설포네이트, 소듐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등일 수 있고, 상기 설페이트염으로는 소듐 알킬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설페이드 등일 수 있다.
The emulsifier may be, for example, a phosphate salt, a sulfonate salt or a sulfate salt, and the phosphate salt may b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phosphat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aryl phosphate, or the like. The sulfonate salt may be sodium alkylbenzene sulfonate, sodium alkylaryl naphthalene sulfonate, sodium dialkyl sulfosuccinate, and the like, and the sulfate salt may be sodium alkyl sulfat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sulfide, or the like.
상기 중합개시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과황산 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인산칼륨, 과산화수소 등의 무기과산화물;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쿠밀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산올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 이소부틸레이트,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보니트릴, 아조비스 이소낙산(부틸산)메틸 등의 질소화합물 등일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organic peroxides such as sod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and hydrogen peroxide; butyl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p-menthol hydroperoxide, di-t-butyl peroxide, t-butyl cumyl peroxide, acetyl peroxide, isobutyl peroxide, octanoyl peroxide, dibenzoyl peroxide Organic peroxides such as peroxide, 3,5,5-trimethylhexanol peroxide, t-butyl peroxyisobutyrate, and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Nitrogen compound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and azobisisobutyric acid (butyl acid) methyl.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α-메틸스티렌다이머, t-도데실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옥틸 머캅탄 등의 머캅탄류; 사염화탄소, 염화메틸렌, 브롬화 메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 수소; 테트라 에틸 디우람 다이 설파이드, 디펜타메틸렌 디우람 다이 설파이드, 디이소프로필키산토겐 다이 설파이드 등의 함유황 화합물 등일 수 있다.
Examples of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ercaptans such as? -Methylstyrene dimer, t-dodecyl mercaptan, n-dodecyl mercaptan, and octyl mercaptan;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carbon tetrachloride, methylene chloride, and methylene bromide; Sulfur-containing compounds such as tetraethyldiuram disulfide, dipentamethylenediuram disulfide, and diisopropylkantogen disulfide, and the like.
상기 산화-환원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소듐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소듐초산염, 황산 제1철, 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 덱스트로스 등일 수 있다.
The oxidation-reduction catalyst may be, for example,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ethylenediamine tetrasodium nitrate, ferrous sulfate, sodium pyrophosphate, dextros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eparing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the core-shell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코어-쉘 구조의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하여 시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조된 시드에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중합하여 고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제조된 고무 코어에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0.0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하고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 및 3에 단량체 혼합물이 각각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preparing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dding 5 to 99 parts by weight of alkyl methacrylate to 100 parts by weight of total monomers constituting the core- Preparing a seed by emulsion-polymerizing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a cyrrlate monomer (step 1); Adding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30 to 7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to the prepared seed and emulsifying to prepare a rubber core (step 2); And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10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d 0.005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of an aromatic vinyl monomer were added to the rubber core prepared above, (Step 3), wherein the monomer mixture comprises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이고, n은 4 내지 8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이다.
Wherein R is alkyl having from 10 to 14 carbon atoms, n is an integer from 4 to 8, and m is 1 or 2.
상기 단계 1은, 아크릴계 시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유화중합하여 아크릴계 시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유화중합은 가교성 단량체를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함께 투입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가교 반응을 통하여 아크릴계 시드를 제조할 수 있다. Step 1 is a step of preparing an acrylic se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to produce an acrylic seed. In this case,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introducing a crosslinking monomer together with the alkyl methacrylate, and an acrylic type seed may be prepared through a crosslinking reaction.
또한, 상기 아크릴계 시드 제조 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앞서 언급한 함량 범위 내에서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In the preparation of the acrylic seed, the alkyl acrylate monomer may be further add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상기 아크릴계 시드 제조에 사용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가교성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합개시제,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환원 촉매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s, alkyl acrylate monomers and crosslinkable monomers used for preparing the acrylic seeds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and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 emulsifier, a molecular weight modifier, and an oxidation- May be further added. The additive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material.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시드 상에 고무 코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크릴계 시드에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고 유화중합하여 고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아크릴계 시드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화중합은 가교성 단량체를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함께 첨가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2,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re added to the acrylic seed to form a rubber core on the acrylic seed prepared in step 1, . The rubber core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acrylic seed. At this time,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adding a crosslinkable monomer together with the alkyl acrylate monomer.
또한, 상기 고무 코어 제조 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앞서 언급한 함량 범위 내에서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Further, the aromatic vinyl monomer may be further add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when the rubber core is prepared.
상기 고무 코어 제조에 사용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가교성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합개시제, 상기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 이외의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환원 촉매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The alkyl acrylate monomer, the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the aromatic vinyl monomer and the crosslinkable monom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rubber core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and if necessary, An additive such as an emulsifier other than anionic anionic emulsifier,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and an oxidation-reduction catalyst may be further added. The additive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material.
상기 단계 3은,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무 코어에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 그리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고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상기 고무 코어 상에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은 상기 고무 코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은 유화 그라프트 공중합으로 가교성 단량체를 추가로 첨가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tep 3 is a step for obtaining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in which the rubber core prepared in step 2 is mixed with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And a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are added and graft copolymerized to form a graft copolymer shell on the rubber core. The graft copolymer shell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rubber core. At this time, the graft co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further adding a crosslinkable monomer by emulsion graft copolymerization.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제조에 사용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가교성 단량체도 앞서 언급한 물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중합개시제, 상기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 이외에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환원 촉매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앞서 언급한 물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s, the alkyl acrylate monomers, the aromatic vinyl monomers, and the phosphate anionic emulsifier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graft copolymer shell may be the same as the above-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If necessary, an additive such as an emulsifier, a molecular weight modifier, and an oxidation-reduction catalyst may be added in addition to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and the additive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3 이후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응집,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 of aggregating, dehydrating and dry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of the core- May be further included. Thus, an acrylic impact modifier powd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an be obtained.
상기 응집, 탈수 및 건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coagulation, dewatering and drying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carried out by a method commonly known in the art.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게 충격보강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from the above acrylic cor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고무 코어가 아크릴계 시드를 둘러싸고,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이 상기 고무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core surrounds the acrylic seed,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surrounds the rubber core.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상기 아크릴계 시드,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두께 비율이 r1:r2-r1:r3-r2= 0.9 내지 1.1: 0.25 내지 0.45:0.2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ratio of the acrylic seed,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is r 1 : r 2 -r 1 : r 3 -r 2 = 0.9 to 1.1: 0.25 to 0.45: To 0.3.
여기서, 상기 r1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심에서 아크릴계 시드 외면까지의 거리이고, r2는 중심에서 고무 코어 외면까지의 거리이며, r3는 중심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외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Here, r 1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raft copolym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crylic seed, r 2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ubber core, and r 3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aft copolymer shell will be.
또한,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보강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의 충격보강제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충격보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may be used as an impact modifier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may preferably be used as an impact modifier of an acrylic resin. More preferably, it can be used as an impact modifier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15 to 25% by weight of an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above core-shell structure; And 75 to 85% by weight of a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우수한 충격강도 및 투명성을 갖는 특성이 있다.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prepared from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provided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1 One
이하, 하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분말의 제조에 사용된 모든 물질은 상기 충격보강제 분말을 구성하는 단량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Hereinafter, all the material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acrylic impact modifier powder having the core-shell structure shown below a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 and styrene)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powder.
(1) 아크릴계 시드의 제조(1) Production of acrylic seed
이온교환수 80 중량부를 3 ℓ의 반응기 내부에 투입하고, 질소 세척과 함께 온도를 70℃까지 상승시켰다. 이온교환수의 온도가 70℃에 도달하였을 때 소듐도데실설페이트(SLS, 3 중량% 용액) 0.0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4.48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BA) 0.5 중량부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MA) 0.02 중량부를 일시에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부 온도가 70℃로 안정화되었을 때 포타슘퍼설페이트(KPS, 3 중량% 용액)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1시간 동안 숙성 단계를 거친 후 소듐도데실설페이트(SLS, 2 중량% 용액) 0.1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13.44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BA) 1.5 중량부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MA) 0.06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화중합하였다. 이 후 질소 분위기, 70℃의 내부온도 하에서 1시간 동안 적하시키면서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94 중량부, 황산 제1철 0.006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04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DIPHP, 50 중량% 용액)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1시간 동안 숙성시켜 아크릴계 시드를 제조하였다. 8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was charged into a 3 L reactor,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0 DEG C with nitrogen washing. 0.05 parts by weight of sodium dodecyl sulfate (SLS, 3 wt% solution), 4.48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MMA), 0.5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BA) 0.02 part by weight of methacrylate (AMA) was added at one tim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stabilized at 70 캜, 0.1 part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KPS, 3 wt% solution) was added to initiate polymerization. After aging for 1 hour, 0.1 part by weight of sodium dodecyl sulfate (SLS, 2 wt% solution), 13.44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MMA), 1.5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BA) AMA) were further added and stirred to effect emulsion polymerization. Thereafter, 0.0094 part by weight of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0.006 part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0.04 part by weight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and 0.05 part by weight of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were added dropwise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an internal temperature of 70 캜 for 1 hour. (DIPHP, 50 wt% solution) were added to the reaction mixture to terminate the reaction and aged for 1 hour to prepare an acrylic seed.
제조된 아크릴계 시드의 입자크기는 190 nm이고, 굴절율은 1.4901이었다.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acrylic seed was 190 nm and the refractive index was 1.4901.
(2) 고무 코어의 제조(2) Manufacture of rubber core
상기 (1)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시드에 고무 코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1)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시드가 들어있는 반응기에 이온교환수 25 중량부, 소듐도데실설페이트 0.4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스티렌 9 중량부,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부 및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0.4 중량부를 함유한 단량체 프리 에멀젼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235 중량부, 황산 제1철 0.015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1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중량부를 4시간 동안 연속으로 투입하면서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때, 반응기 내부온도는 70℃로 유지하였다. 투입이 끝난 후 1시간 동안 숙성시켜 고무 코어를 형성시켰다. In order to form the rubber core on the acrylic seed prepared in (1) above, 25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4 part by weight of sodium dodecyl sulfate, 45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45 , 0.025 part by weight of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0.1 part by weight of styrene, 0.5 part by weight of allyl methacrylate, and 0.4 part by weight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 0.1 part by weight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and 0.1 part by weight of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were continuously introduced for 4 hours. At this tim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maintained at 70 占 폚. After the addition, the rubber core was formed by aging for 1 hour.
이때, 중합된 고무 코어의 전환율은 99%이고, 평균입경은 280 nm이었으며, 굴절율을 1.4901이었다.
At this time, the conversion ratio of the polymerized rubber core was 99%,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was 280 nm, and the refractive index was 1.4901.
(3)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분말의 제조(3) Preparation of an acrylic impact modifier powd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상기 (2)에서 제조한 고무 코어 상에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무 코어가 들어있는 반응기에 이온교환수 12 중량부, 소듐도데실설페이트 0.2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4 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및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0.4 중량부를 함유하는 셀 단량체 프리에멀젼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235 중량부, 황산 제1철 0.0015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01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 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2 중량부를 2시간 동안 연속투입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때, 반응기 온도는 70℃를 유지하였다. 투입이 끝난 후 70℃에서 1시간 동안 숙성시켜 최종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수득하였다. 제조된 상기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의 전환율은 99%이고, 평균입경은 320 nm이었으며, 굴절율은 1.4901이었다.
In order to form a graft copolymer shell on the rubber core prepared in (2) above, 12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2 part by weight of sodium dodecyl sulfate, and 24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 1 part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and 0.4 part by weight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0.00235 parts by weight of ethylenediaminetetra sodium acetate, 0.0015 part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sodium formaldehyde 0.01 part by weight of sulfoxylate and 0.02 part by weight of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were continuously added for 2 hours to proceed the reaction. At this time, the reacto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70 占 폚. After the addition, the mixture was aged at 70 DEG C for 1 hour to obtain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final core-shell structure. The conversion of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thus prepared was 99%,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320 nm, and the refractive index was 1.4901.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에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최종 고형분 함유율을 15 중량% 이하로 낮춘 뒤 교반기로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여기에 22 중량% 농도의 염화칼슘 수용액을 투입하여 슬러리 형태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90℃ 이상으로 승온시켜 숙성시킨 뒤 냉각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이온교환수로 세척하고 여과한 뒤, 건조과정을 거쳐 분말 상태의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수득하였다.
Ion exchange water was added to the prepared acrylic-type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to reduce the final solids content to 15% by weight or less, and t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80 ° C with stirring with a stirrer. A calcium chloride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22 wt% was added thereto to prepare a mixture in the form of a slurry. The mixture was heated to 90 DEG C or higher and aged, followed by cooling. The cooled mixture was washed with ion-exchanged water, filtered, and dried to obtain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powdered core-shell structure.
(4)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제조(4) Preparation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상기 (3)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분말 20 중량%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LG-MMA사, IF830A) 8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의 활제, 0.1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0.01 중량부의 광안정제를 투입하고 혼련하여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20% by weight of the acrylic impact modifier powd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in (3) above and 8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LG-MMA, IF830A) were mixed to prepare a mixture, 0.2 part by weight of the lubricant, 0.1 part by weight of the antioxidant and 0.01 part by weight of the light stabilizer were added and kneaded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using a twin screw extruder.
실시예Example 2 2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3 3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4 4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5 5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6 6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7 7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테트라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tetr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8 8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옥타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oct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9 9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테트라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tetr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10 10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옥타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oct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11 11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테트라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tetr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12 12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옥타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oct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실시예Example 13 13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테트라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tetr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14 14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옥타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oct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15 15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테트라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tetr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16 16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옥타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oct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17 17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테트라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tetr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18 18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옥타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oct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LG-MMA사, IF830A),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의 활제, 0.1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0.01 중량부의 광안정제를 투입하고 혼련하여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0.2 part by weight of a lubricant, 0.1 part by weight of an antioxidant and 0.01 part by weight of a light stabilizer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manufactured by LG-MMA, IF830A)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was prepared using an extruder.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인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hich is a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was not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and that polymethyl methacrylate To prepare a resin pelle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옥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헥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옥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hexaoxyethylene oct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0.0 > pellets < / RTI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6 6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헥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hexaoxyethylene hexadec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7 7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디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di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8 8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소듐 디(데카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sodium di (dec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To prepare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9 9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디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di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the rubber core and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0 10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형성시에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대신에 디소듐 데카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disodium dec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was used in place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in forming a rubber core and a graft copolymer shell. Methacrylate resin pellets were prepared.
상시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제조에 사용된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의 종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able 1 shows the types of the phosphate anionic emulsifier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crylic impact modifier of each of the core-shell structures prepared in Examples 1 to 1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 n의 바람직한 범위는 4~8의 정수이고, R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범위는 10 내지 14이다.*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m, n and R is as shown in formula (1).
The preferable range of * n is an integer of 4 to 8, and the preferable range of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R is 10 to 14.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충격강도와 광학특성(굴절율, Haze)을 측정하고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properties of each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1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impact strength and optical properties (refractive index, haze)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Respectively.
(1) 충격강도(내충격성, kgf·m/m)(1) Impact strength (impact resistance, kgf · m / m)
충격강도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두께 1/8″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아이조드 충격 시험기에 지지시킨 후 함마로 타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소요된 에너지와 시편 절입폭을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을 통하여 충격강도 값을 얻었다. 상기 함마의 타격속도는 약 240 cm/sec이었다.The impact strength was analyzed according to ASTM D256. Each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1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was molded to a thickness of 1/8 "to prepare specimens. The specimens were supported on an Izod impact tester, The energy and specimen breaking width were measured and the impact strength value wa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e impact speed of the hammer was about 240 cm / sec.
상기 식에서, Nw는 시험편 접입부의 폭(m)를 나타내고, E는 시험편 파괴에 소요된 에너지(kgf·m)을 나타낸다.
In the above equation, Nw represents the width (m) of the test piece entrance portion, and E represents the energy (kgf · m) required for destroying the test piece.
(2) 광학특성(2) Optical characteristics
Haze(%)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사출 성형하여 두께 3.175 mm의 시편을 제조하고, ASTM D1003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The haze (%) was obtained by injection molding each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ell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1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to prepare a specimen having a thickness of 3.175 mm, and the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ASTM D1003.
굴절율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펠렛을 사출 성형하여 두께 2 mm의 시편을 제조하고, ASTM D1298에 의거하여 25℃에서 아베굴절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Each of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pell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1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was injection-molded to prepare specimens having a thickness of 2 mm.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STM D1298 at 25 DEG C using an Abbe refractometer Respectively.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18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비교예 1 내지 10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비교하여 높은 투명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충격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2,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s of Examples 1 to 18 including the core-shell acrylic impact mo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compared with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 And thus it was confirmed that it exhibits excellent impact strength while having high transparency.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코어 및 쉘에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8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비교하여 유사한 정도의 투명성을 나타내면서 현저히 우수한 충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코어 및 쉘에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한 비교예 2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보다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pecifically,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s of Examples 1 to 18, which were prepared using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ntaining a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re and a shell, The acrylic-based impact-induced impact of the core-shell structure which did not contain a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in the core and the shell, exhibited remarkably excellent impact strength while showing similar degree of transparency as compared with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was not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2 using the reinforcing agent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또한,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이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R의 탄소수 범위를 벗어난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한 비교예 3 내지 6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n 값(반복단위 개수)의 범위를 벗어난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한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10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투명성과 충격강도가 균형을 이루어 동시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마, 상기 비교예 3 내지 6 및 비교예 7 내지 10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투명성이 다소 우수하면 현저히 낮은 충격강도를 나타내고, 충격강도가 우수하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of Comparative Examples 3 to 6, which used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ntaining a core-shell structure containing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or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out of the carbon number range of 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ly (methyl methacrylate) resins of Comparative Examples 7 to 10 using an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including a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out of the range of the n value (number of repeating units)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s of Examples 1 to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excellent properties at the same time with a balance of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Thus, in Comparative Examples 3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7 to 10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exhibits a significantly low impact strength when the transparency is somewhat excellent, and the transparency It exhibited a phenomenon of degrad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코어 및 쉘에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이와 블렌드되는 수지의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투명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crylic impact modifi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ntaining the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re and the shell can improve the impact strength and the transparency of the resin to be blended therewith.
Claims (24)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구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시드, 상기 시드를 둘러싸는 고무 코어 및 상기 고무 코어를 둘러싸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이고,
상기 코어-쉘 구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시드 5 중량% 내지 25 중량%;
상기 아크릴계 시드 상에 형성되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무 코어 40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되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1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라우릴, 트리데실 또는 미리스틸이고, n은 4 내지 8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이다.
15% to 25% by weight of an acrylic impact modifier for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And 75% to 85% by weight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Wherein the acrylic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s an acrylic impact modifier prepared from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for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mprising an acrylic seed, a rubber core surrounding the seed, Shell structure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for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of the above-mentioned core-shell structure,
From 5% to 25% by weight of an acrylic seed comprising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40% to 65% by weight of a rubber core formed on the acrylic seed and comprising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d 15 to 45% by weight of a graft copolymer shell formed on the rubber core, the graft copolymer shell comprising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romatic vinyl monomers,
Wherein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comprise a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erein the core-shell structure is an acrylic impact modifier composition for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Resin composition:
[Chemical Formula 1]
Wherein R is lauryl, tridecyl or myristyl, n is an integer from 4 to 8, and m is 1 or 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sodium di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sodium di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Wherein the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disodium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and disodium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bber core comprises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phosphoric aci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Composition.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은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ft copolymer shell comprises 0.1 part by weight to 0.5 part by weight of a phosphate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Acrylate resin composition.
상기 아크릴계 시드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ic seed comprises 5 to 99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아크릴계 시드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ic seed further comprises 0.5 to 9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bber core comprises 30 to 7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bber core further comprises 1 to 40 parts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은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0.0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aft copolymer shell may contain 10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0.005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s.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and n-butyl methacrylate.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kyl acrylate mon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hexyl acrylate, oc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C1-3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 스티렌 및 할로겐으로 치환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p-methylstyrene, vinyltoluene, alkylstyrene substituted with a C 1-3 alkyl group, and halogen-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상기 아크릴계 시드 및 고무 코어는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가교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ic seed and the rubber core further comprise 0.05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abl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리에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butanediol di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Acrylate, allyl 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vinylbenzene,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and 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Acrylate and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methacrylate, and acrylate.
1) 5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하여 시드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제조된 시드에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중합하여 고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조된 고무 코어에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0.0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하고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및 3)에 단량체 혼합물이 각각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여, 코어-쉘 구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라우릴, 트리데실 또는 미리스틸이고, n은 4 내지 8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이다.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core-shell structur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1) 5 parts by weight to 99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2) adding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30 to 7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to the seed thus prepared, followed by emulsification to prepare a rubber core; And
3)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10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0.005 to 5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monomer and at least one monomer of an aromatic vinyl monomer was added to the rubber core prepared above Graft-copolymerizing,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for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which comprises the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2) and 3), 0.1 to 0.5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And,
15 to 25% by weight of an acrylic impact modifier for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from the acryl-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for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the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above; And 75% by weight to 85% by weight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to prepare a mixture.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Chemical Formula 1]
Wherein R is lauryl, tridecyl or myristyl, n is an integer from 4 to 8, and m is 1 or 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계 음이온성 유화제는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디(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디소듐 헥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phosphate-based anionic emulsifi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di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sodium di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sodium di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Wherein the poly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disodium hexaoxyethylene tridecyl ether phosphate and disodium hexaoxyethylene myristyl ether phosphate.
상기 2) 및 3)의 단량체 혼합물은 상기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가교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nomer mixture of 2) and 3) further comprises 0.05 to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abl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impact modifier composition. ≪ / RTI >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rosslinking monomer is allyl methacrylate. ≪ RTI ID = 0.0 > 21. < / RTI >
상기 단계 3) 이후에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조성물을 응집,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gglomerating, dehydrating and drying the acrylic-based impac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the core-shell structure prepared after the step (3).
상기 아크릴계 시드,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의 두께 비율은 r1:r2-r1:r3-r2= 0.9 내지 1.1:0.25 내지 0.45:0.2 내지 0.3이며,
상기 r1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심에서 아크릴계 시드 외면까지의 거리이고, r2는 중심에서 고무 코어 외면까지의 거리이며, r3는 중심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체 쉘 외면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ratio of the acrylic seed, the rubber core and the graft copolymer shell is r 1 : r 2 -r 1 : r 3 -r 2 = 0.9 to 1.1: 0.25 to 0.45: 0.2 to 0.3,
Wherein r 1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raft copolym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crylic seed, r 2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ubber core, and r 3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aft copolymer shell Wherein the poly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502A KR101692106B1 (en) | 2014-06-12 | 2014-06-12 |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502A KR101692106B1 (en) | 2014-06-12 | 2014-06-12 |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2493A KR20150142493A (en) | 2015-12-22 |
KR101692106B1 true KR101692106B1 (en) | 2017-01-02 |
Family
ID=5508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1502A Active KR101692106B1 (en) | 2014-06-12 | 2014-06-12 |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1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40269A1 (en) * | 2019-08-30 | 2021-03-04 | (주) 엘지화학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meth)acrylate graft copolym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4900B1 (en) * | 2016-07-05 | 2021-04-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mposites having core-shell structure and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KR102183656B1 (en) * | 2016-12-15 | 2020-11-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Impact modifier for epoxy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poxy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KR102244956B1 (en) * | 2017-11-16 | 2021-04-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
US12116506B2 (en) * | 2018-07-25 | 2024-10-15 | Lg Chem, Ltd. | Adhesive composition |
WO2020022795A1 (en) * | 2018-07-25 | 2020-0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
KR102230944B1 (en) * | 2018-07-25 | 2021-03-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
KR102230945B1 (en) * | 2018-07-25 | 2021-03-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
KR102230947B1 (en) * | 2018-07-25 | 2021-03-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
WO2020022799A1 (en) * | 2018-07-25 | 2020-0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
KR102183703B1 (en) * | 2018-07-25 | 2020-11-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
EP3819351B1 (en) * | 2018-07-25 | 2022-09-14 | Lg Chem, Ltd. | Adhesive composition |
KR102230949B1 (en) * | 2018-07-25 | 2021-03-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
KR102441468B1 (en) * | 2019-10-31 | 2022-09-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rmal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mposite structure having adhesive layer and its preparation method |
KR102445299B1 (en) * | 2019-10-31 | 2022-09-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eat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structure including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11205399A (en) * | 2020-03-03 | 2020-05-29 | 长春工业大学 | A kind of method for improving the grafting efficiency of PBA-g-MMA graft copolymer |
US20220403153A1 (en) * | 2020-07-20 | 2022-12-22 | Lg Chem, Ltd. |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KR102693912B1 (en) * | 2020-07-20 | 2024-08-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KR20230172109A (en) * | 2022-06-15 | 2023-12-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rticle prepared therefro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48074A (en) * | 2004-03-05 | 2005-09-15 | Mitsubishi Rayon Co Lt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46198A (en) | 2000-11-07 | 2002-05-22 | Shin Etsu Polymer Co Lt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KR101429801B1 (en) * | 2011-06-03 | 2014-08-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met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2014
- 2014-06-12 KR KR1020140071502A patent/KR1016921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48074A (en) * | 2004-03-05 | 2005-09-15 | Mitsubishi Rayon Co Lt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40269A1 (en) * | 2019-08-30 | 2021-03-04 | (주) 엘지화학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meth)acrylate graft copolym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2493A (en) | 2015-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2106B1 (en) |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 |
EP3290464B1 (en) | Thermoplastic graft copolymer resin,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 |
KR101288280B1 (en) | Transparent 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Multi-layer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00017161A (en) |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products | |
KR101743326B1 (en) |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hitening Resistance at Low Temperature and Excellent Impact Strength | |
KR101429801B1 (en) |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met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KR20160081497A (en) |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
CN104136530A (en) | 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shock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transparency | |
KR102168348B1 (en) | MBS impact modifier,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
KR101131250B1 (en) | Transparent resi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
KR101651736B1 (en) | Method for preparing weather resistance reinforced acrylate based resin using them | |
KR102774437B1 (en) | Alkyl acrylate-vinyl compound-vinylcyan compound copolyemr,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KR102680998B1 (en) |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KR100477944B1 (en) | Acrylate-styrene-acrylonitrile graft co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 |
KR101404942B1 (en) | Graft copolymer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 |
KR100998413B1 (en) |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US20110152461A1 (en) | Resin having superior impact strength and colo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JP7121134B2 (en) | Core-shell copolym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 |
KR20190130507A (en) | Matrix copolyme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KR102536520B1 (en) | Method for preparing graft polymer | |
KR20200044570A (en) |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powder | |
KR101651719B1 (en) | Light diffusing composition and light diffusing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 |
KR101716927B1 (en) | Method for preparing rubber reinforced thermoplastic high transparent resin | |
KR10055867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mpact modifier for transparent acrylic resin | |
KR102244956B1 (en) |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6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