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1981B1 -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981B1
KR101691981B1 KR1020160068831A KR20160068831A KR101691981B1 KR 101691981 B1 KR101691981 B1 KR 101691981B1 KR 1020160068831 A KR1020160068831 A KR 1020160068831A KR 20160068831 A KR20160068831 A KR 20160068831A KR 101691981 B1 KR101691981 B1 KR 10169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rojected
collection box
projected column
war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이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욱 filed Critical 이진욱
Priority to KR102016006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 F41J13/02Bullet catchers combined with targ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4Rifle grenades
    • F42B30/06Bullet traps or bullet decelera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는, 수거함의 내부에 복수의 제1피탄기둥 및 복수의 제2피탄기둥이 설치되고, 수거함으로 유입된 탄두에 의하여 제1피탄기둥 또는 제2피탄기둥이 스치듯이 피탄된다. 그리고, 탄두는 제1피탄기둥 또는 제2피탄기둥에 부딪혀 조각형태로 파쇄된 후, 작은 조작 형태로 수거함에 저장된다. 그러면, 수거함의 작은 조각들을 쓸어서 수거하면 탄두가 수거되므로, 탄두의 수거작업이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이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탄두에 의하여 스치듯이 피탄된다. 그러면,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이 탄두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의 유지보수 주기가 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을 수거함의 측면에 삽입하면,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UNIT FOR COLLECTING WARHEAD OF RIFLE}
본 발명은 사격 훈련시 잔존하는 탄두를 수거하기 위한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격 훈련을 하기 위한 사격장은, 안전을 위하여, 야산 또는 골짜기 등에 구축되며, 사격 훈련시 발사된 탄두는 표적을 관통하여 땅에 박혀서 묻힌다.
그런데, 탄두는 구리 및 납 등과 같은 중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탄두가 묻힌 땅이 중금속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다. 그러므로, 탄두에 의하여 땅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격 훈련후 땅을 파서 땅에 묻힌 탄두를 수거하여야 한다.
탄두의 수거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대단히 불편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탄두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0906호(2009년 05월 20일)에 개시된 종래의 소총 탄두 회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소총 탄두 회수장치는, 외형 틀(10)의 앞면 및 뒷면에 표적의 기능을 하는 고무판(13)을 나사(12)로 결합하고, 외형 틀(10) 내부에 내부 판(15)과 고무 분말(16)을 넣어서 형성한다.
그리하여, 고무판(13)은 관통한 탄두는 약한 충격으로 인하여 형태를 유지하게 되고, 형태를 유지하는 탄두는 고무 분말(16)의 흡착력과 충격흡수력에 의하여 고무 분말(16)에 묻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총 탄두 회수장치는, 고무 분말(16)에 묻혀 있는 탄두를 일일이 찾아서 회수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탄두가 고무판(13)을 관통하므로, 고무판(13)을 수시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런데, 고무판(13)은 나사(12)에 의하여 외형 틀(10)에 결합되므로, 고무판(13)을 교체하기 위한 유지보수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탄두를 수거할 수 있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보수 주기가 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한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는, 개방된 전면측에 표적이 위치되는 수거함; 상기 수거함에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지지 설치되고, 상호 간격을 가지며, 표적을 관통한 탄두에 스치면서 피탄(被彈)되는 복수의 제1피탄기둥; 상기 제1피탄기둥과 상기 수거함의 후면 사이의 상기 수거함에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지지 설치되고, 상기 제1피탄기둥의 외측을 통과한 탄두에 스치면서 피탄되는 복수의 제2피탄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는, 수거함의 내부에 복수의 제1피탄기둥 및 복수의 제2피탄기둥이 설치되고, 수거함으로 유입된 탄두에 의하여 제1피탄기둥 또는 제2피탄기둥이 스치듯이 피탄된다. 그리고, 탄두는 제1피탄기둥 또는 제2피탄기둥에 부딪혀 조각형태로 파쇄되며, 작은 조작 형태로 수거함에 저장된다. 그러면, 수거함의 작은 조각들을 쓸어서 수거하면 탄두가 수거되므로, 탄두의 수거작업이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이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탄두에 의하여 스치듯이 피탄된다. 그러면,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이 탄두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의 유지보수 주기가 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을 수거함의 측면에 삽입하면, 제1피탄기둥 및 제2피탄기둥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두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두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피탄기둥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두 수거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두 수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탄두 수거장치는 수거함(110)을 포함할 수 있다. 수거함(110)은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전면측에 표적(50)이 위치될 수 있다. 표적(50)을 관통한 탄두가 수거함(110)에 유입되어 수거함(110)에 부딪히므로, 수거함(110)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함(110)은 육면체 이상의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거함(110)이 육면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수거함(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도 1에 도시된 수거함(110)의 방향을 기준으로, 수거함(11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과 각각 대응되게 지칭한다.
수거함(110)의 내부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피탄기둥(12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피탄기둥(120)은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면측과 인접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좌단부측 및 우단부측이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지지 설치되어 수거함(110)의 수평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제1피탄기둥(120)은 상하로 줄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제1피탄기둥(120)과 하측의 제1피탄기둥(120)은 상하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한쌍의 제1지지공(1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피탄기둥(120)은 제1지지공(11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즉, 수거함(1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제1피탄기둥(120)을 제1지지공(111)에 삽입하여, 제1피탄기둥(120)의 좌단부측과 우단부측이 제1지지공(111)에 삽입되게 하면, 제1피탄기둥(120)이 수거함(110)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1피탄기둥(120)을 수거함(1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하다.
제1피탄기둥(120)의 좌단부측 및 우단부측은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수거함(110)의 양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제1피탄기둥(120)의 양단부측에는 제1피탄기둥(120)이 수거함(110)의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61)가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제1피탄기둥(120)은 표적(50)을 관통하여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면으로 유입된 탄두에 피탄(被彈)된다. 이때, 제1피탄기둥(120)의 외면 중, 탄두의 진행방향과 대향하는 외면이 탄두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면, 탄두가 제1피탄기둥(120)에 박히게 되므로, 제1피탄기둥(120)이 용이하게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는 제1피탄기둥(120)을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피탄기둥(120)이 탄두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피탄기둥(120)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좌단면(121), 우단면(123), 제1옆면(125), 제2옆면(127) 및 제3옆면(129)을 가지고, 좌단면(121)측 부위 및 우단면(123)측 부위는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지지된다.
이때,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내지 제3옆면(129) 중,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가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면측을 향한다. 그리고,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를 통과하면서 제1피탄기둥(120)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이등분선(L-L)에 대하여,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은 각각 소정 각도(θ1)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가상의 이등분선(L-L)에 대하여,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은 각각 11°∼18°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이등분선(L-L)에 대하여,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경사진 각도(θ)는, 탄두가 제1피탄기둥(120)에 충돌하기 전까지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표적(50)을 관통한 대부분의 탄두는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에 맞게 되고,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및 제2옆면(127)은 탄두가 제1피탄기둥(120)에 충돌하기 전까지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및 제2옆면(127)은 탄두에 스치듯이 피탄된다. 이로 인해, 제1피탄기둥(120)이 탄두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표적(50)을 관통한 탄두의 일부는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에 맞을 수 있다. 그러면,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가 용이하게 손상될 수 있다.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는 3㎜ ∼ 5㎜의 곡률반경(R)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가 라운딩지게 형성되므로,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를 향하는 탄두의 대부분은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에 스치듯이 맞게된다. 그러므로, 제1옆면(125)과 제2옆면(127)이 접하는 모서리(126)가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제1피탄기둥(120)은 수거함(110)의 하면측에서부터 상면측까지 위치되므로,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한 하측에 위치된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및 제2옆면(127)의 각도,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한 중앙부측에 위치된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및 제2옆면(127)의 각도,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측에 위치된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및 제2옆면(127)의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소총과 수거함(110)의 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므로,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한 각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및 제2옆면(127)의 각도는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한 각 제1피탄기둥(120)의 제1옆면(125) 및 제2옆면(127)의 각도가 상이하여 조절이 필요하다면, 제1지지공(111)을 제1피탄기둥(120) 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1피탄기둥(120)의 하측에 받침편 등을 받쳐서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탄두의 충격으로부터 견딜수 있도록, 제1피탄기둥(120)은 중실체(中實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고, 제1피탄기둥(120)에 맞은 탄두는 조각형태로 파쇄되어, 작은 조각 형태로 수거함(110)에 저장된다.
복수의 제1피탄기둥(120)은 상하로 간격을 가진다. 그러므로, 표적(50)을 관통한 탄두 중, 최상측의 제1피탄기둥(120) 상측을 통과하는 탄두,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제1피탄기둥(120)과 하측의 제1피탄기둥(120) 사이를 통과하는 탄두 및 최하측의 제1피탄기둥(120) 하측을 통과하는 탄두는 제1피탄기둥(120)에 맞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는 제1피탄기둥(120)의 외측을 통과하는 탄두에 피탄되어, 탄두에 의하여 수거함(110)이 피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제2피탄기둥(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피탄기둥(130)은 수거함(110)의 후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피탄기둥(130)은 제1피탄기둥(120)과 수거함(110)의 후면 사이의 수거함(110) 부위에 지지 설치될 수 있으며, 좌단부측 및 우단부측이 수거함(1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수거함(120)의 수평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제2피탄기둥(130)은 제1피탄기둥(120)과 동일한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피탄기둥(120)과 동일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피탄기둥(130)도, 좌단면(131), 우단면(133), 제1옆면(135), 제2옆면(137) 및 제3옆면(139)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피탄기둥(130)의 제1옆면(135)과 제2옆면(137)은 제1옆면(135)과 제2옆면(137)이 접하는 모서리(136)를 통과하면서 제2피탄기둥(130)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이등분선(L-L)에 대하여 각각 소정 각도(θ2)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상의 이등분선(L-L)에 대하여 11°∼18°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피탄기둥(130)은 최상측의 제1피탄기둥(120)의 상측,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제1피탄기둥(120)과 하측의 제1피탄기둥(120) 사이 및 최하측의 제1피탄기둥(12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때, 수거함(110)의 후면측을 향하는 제2피탄기둥(130)의 제3옆면(139)의 높이(H1)는 상호 인접하는 상측에 위치된 제1피탄기둥(120)과 하측에 위치된 제1피탄기둥(120) 사이의 간격(D1) 이상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제1피탄기둥(120)과 하측의 제1피탄기둥(120) 사이의 간격(D1)은 제2피탄기둥(130)의 제3옆면(139)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지는 형태로 중첩될 수 있다.
그러면, 제1피탄기둥(120)의 외측을 통과한 탄두에 제2피탄기둥(130)이 피탄되므로, 수거함(110)이 탄두에 의하여 피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거함(110)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피탄기둥(120)의 외측을 통과하여 제2피탄기둥(130)에 맞은 탄두는 조각 형태로 파쇄되며, 작은 조각 형태로 수거함(110)에 저장된다.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제2피탄기둥(130)이 삽탈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제2지지공(113)이 형성될 수 있고,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제2피탄기둥(130)의 단부측에는 제2피탄기둥(130)이 수거함(110)의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61)가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수거함(110)의 후면측,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피탄기둥(130)과 수거함(110)의 후면 사이의 수거함(110)에는 수거함(110)의 후면측이 탄두에 의하여 피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피탄방지판(140)이 설치될 수 있다.
피탄방지판(14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는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지지 설치되어 제2피탄기둥(130)과 평행을 이룰 수 있으며, 최상측의 제2피탄기둥(130)의 상측,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제2피탄기둥(130)과 하측의 제2피탄기둥(130) 사이 및 최하측의 제2피탄기둥(13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피탄방지판(140)은 수거함(110)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피탄방지판(140) 중, 최하측에 위치된 피탄방지판(140)을 제외한 나머지 피탄방지판(140)은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 보다 수거함(120)의 전면과 더 가까이 위치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고, 최하측에 위치된 피탄방지판(140)은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 보다 수거함(120)의 전면과 더 멀리 위치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최상측에 위치된 피탄방지판(140)의 상측 부위는 최상측에 위치된 제2피탄기둥(130)의 상측 부위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최하측에 위치된 피탄방지판(140)의 하측 부위는 최하측에 위치된 제2피탄기둥(130)의 하측 부위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진 피탄방지판(140)의 높이(H2)는 상호 인접하는 상측에 위치된 제2피탄기둥(130)과 하측에 위치된 제1피탄기둥(130) 사이의 간격(D2) 이상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제2피탄기둥(130)과 하측의 제2피탄기둥(130) 사이의 간격(D2)은 피탄방지판(140)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지는 형태로 중첩될 수 있다.
그러면, 제2피탄기둥(130)의 외측을 통과한 탄두에 의하여 수거함(110)의 후면측이 피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피탄방지판(140)이 삽탈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제3지지공(115)이 형성될 수 있고, 피탄방지판(140)의 좌단부측 및 우단부측은 수거함(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거함(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피탄방지판(140)의 단부측에는 피탄방지판(140)이 수거함(110)의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61)가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단면(前端面)도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단면(前端面)이 탄두에 의하여 스치듯이 피탄될 수 있으므로,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단면(前端面)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는, 수거함(110)의 내부에 복수의 제1피탄기둥(120) 및 복수의 제2피탄기둥(130)이 설치되고, 수거함(110)으로 유입된 탄두에 의하여 제1피탄기둥(120) 또는 제2피탄기둥(130)이 스치듯이 피탄된다. 그리고, 탄두는 제1피탄기둥(120) 또는 제2피탄기둥(130)에 부딪혀 조각형태로 파쇄된 후, 작은 조작 형태로 수거함(110)에 저장된다. 그러면, 수거함(110)의 작은 조각들을 쓸어서 수거하면 탄두가 수거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제1피탄기둥(120) 및 제2피탄기둥(130)이 탄두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탄두는 제1피탄기둥(120) 및 제2피탄기둥(130)을 스치면서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제1피탄기둥(120) 및 제2피탄기둥(130)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제1피탄기둥(120) 및 제2피탄기둥(130)의 교체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피탄기둥(120) 및 제2피탄기둥(130)을 수거함(110)의 측면을 통하여 삽입하면, 제1피탄기둥(120) 및 제2피탄기둥(130)이 수거함(110)에 설치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하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두 수거장치의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210)의 개방된 전면측에는 배출방지판(250)이 삽탈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피탄기둥(220)의 전방측 수거함(210)의 부위에는 배출방지판(250)이 삽탈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배출방지판(250)은 작은 조각 형태로 된 탄두가 수거함(2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출방지판(250)은 탄두가 관통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배출방지판(25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수거함(210)의 양측면에는 제4지지공(217)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배출방지판(250)은 제4지지공(217)에 삽탈가능하게 삽입 지지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피탄기둥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탄기둥(320)은 기둥부(320a)와 받침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320a)는 중실체(中實體)로 마련되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320b)는 중공체(中空體)로 마련되며 단면(斷面)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기둥부(320a)와 받침부(320b)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기둥부(320a)와 받침부(32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체적인 형상은 삼각기둥 형상이다.
기둥부(320a)는 수거함(110)(도 1 참조)의 개방된 전면측을 향하고, 받침부(320b)는 수거함(110)의 후면측을 향할 수 될 수 있다. 즉, 기둥부(320a)가 받침부(320b) 보다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면측과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고, 받침부(320b)가 기둥부(320a) 보다 수거함(110)의 후면측과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320a)와 받침부(320b)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수거함(110)의 후면측을 향하는 받침부(320b)의 면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거함(110)의 후면측을 향하는 제1피탄기둥(320)의 제3옆면에 해당하는 받침부(320b)의 면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격 훈련시, 수거함(110)의 개방된 전면측을 향하는 기둥부(320a)가 수거함(110)의 후면측을 향하는 받침부(320b) 보다 더 많이 손상됨은 당연하다. 그러므로, 상호 결합된 기둥부(320a)를 중실체(中實體)로 형성하고, 받침부(320b)를 중공체(中空體)로 형성하면, 많이 손상되는 기둥부(320a) 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피탄기둥(130, 230)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1피탄기둥(320)과 같이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두 수거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탄기둥(420), 제2피탄기둥(430) 및 피탄방지판(440)은 수거함(410)의 수직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좌측방향이 도 6의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이고,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우측방향이 도 6의 하측방향 또는 상측방향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수거함
120: 제1피탄기둥
130: 제2피탄기둥
140: 피탄방지판

Claims (14)

  1. 개방된 전면측에 표적이 위치되는 수거함;
    상기 수거함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지지 설치되어 상기 수거함의 수평방향과 평행을 이루고,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간격을 가지며, 표적을 관통한 탄두에 스치면서 피탄(被彈)되는 복수의 제1피탄기둥;
    상기 제1피탄기둥과 상기 수거함의 후면 사이의 상기 수거함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지지 설치되어 상기 수거함의 수평방향과 평행을 이루고,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1피탄기둥의 외측을 통과한 탄두에 스치면서 피탄되는 복수의 제2피탄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피탄기둥은 최상측의 상기 제1피탄기둥의 상측,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상기 제1피탄기둥과 하측의 상기 제1피탄기둥 사이 및 최하측의 상기 제1피탄기둥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피탄기둥과 상기 수거함의 후면 사이의 상기 수거함에는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상기 수거함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지지 설치되어 상기 수거함의 수평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2피탄기둥의 외측을 통과한 탄두에 의하여 상기 수거함의 후면측이 피탄되는 것을 억제하는 복수의 피탄방지판이 더 설치되며,
    상기 피탄방지판은 최상측의 상기 제2피탄기둥의 상측, 상호 인접하는 상측의 상기 제2피탄기둥과 하측의 상기 제2피탄기둥 사이 및 최하측의 상기 제2피탄기둥의 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탄기둥 및 상기 제2피탄기둥은 각각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피탄기둥 및 상기 제2피탄기둥의 제1옆면 내지 제3옆면 중, 상기 제1옆면과 상기 제2옆면이 접하는 모서리는 상기 수거함의 개방된 전면측을 향하고,
    상기 제1옆면 및 상기 제2옆면은 상기 제1옆면과 상기 제2옆면이 접하는 모서리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피탄기둥 및 상기 제2피탄기둥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이등분선에 대하여 각각 11°∼18°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옆면과 상기 제2옆면이 접하는 모서리는 3㎜ ∼ 5㎜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호 인접하는 상측에 위치된 상기 제1피탄기둥과 하측에 위치된 상기 제1피탄기둥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피탄기둥의 상기 제3옆면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탄방지판 중, 최하측에 위치된 상기 피탄방지판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피탄방지판은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 보다 상기 수거함의 전면과 더 가까이 위치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최하측에 위치된 상기 피탄방지판은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 보다 상기 수거함의 전면과 더 멀리 위치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최상측에 위치된 상기 피탄방지판의 상측 부위는 최상측에 위치된 상기 제2피탄기둥의 상측 부위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호 인접하면서 상측의 상기 제2피탄기둥과 하측의 상기 제2피탄기둥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피탄방지판과 중첩되며,
    최하측에 위치된 상기 피탄방지판의 하측 부위는 최하측에 위치된 상기 제2피탄기둥의 하측 부위 보다 하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일측면 및 타측에는 상기 제1피탄기둥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 상기 제2피탄기둥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 및 상기 피탄방지판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삽탈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제1지지공,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제2지지공 및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제3지지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의 양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제1피탄기둥의 양단부측, 상기 제2피탄기둥의 양단부측 및 상기 피탄방지판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수거함의 양측면에 걸려서 상기 제1피탄기둥, 상기 제2피탄기둥 및 상기 피탄방지판이 각각 상기 수거함의 양측면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탄기둥 전방의 상기 수거함의 양측면에는 제4지지공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4지지공에는 탄두가 상기 수거함의 개방된 전면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판이 삽탈가능하게 삽입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탄기둥 및 상기 제2피탄기둥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실체(中實體)인 기둥부와 단면(斷面)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둥부 보다 상기 수거함의 후면측에 더 가까이 위치되는 중공체(中空體)인 받침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거함의 후면측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68831A 2016-06-02 2016-06-02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9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31A KR101691981B1 (ko) 2016-06-02 2016-06-02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31A KR101691981B1 (ko) 2016-06-02 2016-06-02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981B1 true KR101691981B1 (ko) 2017-01-02

Family

ID=5781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8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1981B1 (ko) 2016-06-02 2016-06-02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448B1 (ko) * 2019-03-11 2020-07-24 오인규 탄두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604A (en) * 1977-12-12 1984-09-11 Hoffmann Anton R Target practice system
US4512585A (en) * 1983-04-08 1985-04-23 Baravaglio Marie E Bullet trap for a shooting stand
US20140123842A1 (en) * 2012-03-06 2014-05-08 Meggitt (Rockmart) Inc. Blast shiel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604A (en) * 1977-12-12 1984-09-11 Hoffmann Anton R Target practice system
US4512585A (en) * 1983-04-08 1985-04-23 Baravaglio Marie E Bullet trap for a shooting stand
US20140123842A1 (en) * 2012-03-06 2014-05-08 Meggitt (Rockmart) Inc. Blast shiel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448B1 (ko) * 2019-03-11 2020-07-24 오인규 탄두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298B1 (ko)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US9891029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warheads
US8528911B2 (en) Empty shell recovery device
US2772092A (en) Bullet traps
US4512585A (en) Bullet trap for a shooting stand
US8485529B2 (en) Bullet trap
KR100975413B1 (ko)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KR102030939B1 (ko) 탄두 회수시스템
KR102425550B1 (ko) 도탄방지용 표적장치
KR101691981B1 (ko)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US20160003584A1 (en) Portable bullet trap
US20140232067A1 (en) Target factory
KR101544905B1 (ko) 탄두 회수 장치
KR101979022B1 (ko) 사격장 개인 화기용 방탄 방호벽
KR101760319B1 (ko) 탄두의 자동적인 분리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실내 및 실외 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20080001125U (ko) 완구용총의 과녁판
KR101607623B1 (ko) 탄두 회수 장치
KR101852912B1 (ko) 탄두 회수 장치
KR20140133043A (ko) 전투사격 훈련장용 탄두 회수 장치
KR101945848B1 (ko) 탄두 회수 장치
WO2014039933A1 (en) Projectile material reclamation platform with integrated paper and digital targeting systems
KR101439905B1 (ko)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KR101934303B1 (ko) 사격용 탄두회수장치
KR101996587B1 (ko) 개별형 탄두 회수장치
RU25326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панели для защиты дорож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от пуль и оскол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