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1933B1 - 조류 발전기 - Google Patents

조류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933B1
KR101691933B1 KR1020160063456A KR20160063456A KR101691933B1 KR 101691933 B1 KR101691933 B1 KR 101691933B1 KR 1020160063456 A KR1020160063456 A KR 1020160063456A KR 20160063456 A KR20160063456 A KR 20160063456A KR 101691933 B1 KR101691933 B1 KR 101691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or
propeller
flow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기
유사랑
유현정
Original Assignee
유원기
유사랑
유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기, 유사랑, 유현정 filed Critical 유원기
Priority to KR102016006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33B1/ko
Priority to CA3023356A priority patent/CA3023356A1/en
Priority to US16/096,222 priority patent/US10648448B2/en
Priority to JP2019512590A priority patent/JP2019515193A/ja
Priority to PCT/KR2017/000544 priority patent/WO2017204437A1/ko
Priority to EP17802956.7A priority patent/EP3467302A4/en
Priority to CN201780031929.2A priority patent/CN109154273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40Use of a multiplicity of simila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which is vertic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7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ubmerge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의 발전 수단과 수중의 동력 획득 수단을 분리하여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수중에 위치한 시설물이 고장나더라도 용이하게 수상 견인이 가능하여 수상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 프로펠러에 형성된 홈 구조와 연결줄을 통해 조류의 흐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회전수단과 수상 발전기 간의 동력 연결 개수를 제어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낭비나 부족함이 없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류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 발전기 {Tidal Current Generator}
본 발명은 조류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의 발전 수단과 수중의 동력 획득 수단을 분리하여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수중에 위치한 시설물이 고장 나더라도 용이하게 수상 견인이 가능하여 수상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 프로펠러에 형성된 홈 구조와 연결줄을 통해 조류의 흐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회전수단과 수상 발전기 간의 동력 연결 개수를 제어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낭비나 부족함이 없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류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 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화력 발전의 경우 화석에너지 등을 이용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의 경우 핵폐기물 등의 보관과 폭발 위험의 가능성이 있는 등 위험 요소들이 많이 존재한다.
반면 신 재생 에너지로 각광받는 풍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은 일기의 영향을 매우 심하게 받는다. 풍력은 바람이 불지 않으면 발전을 할 수도 없고 바람의 발생도 예측을 하기가 어려우며, 태양광은 어둡거나 비가 오거나 밤이면 발전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비교하여, 해양 발전인 조류 발전은 역사가 매우 짧고 아직까지 우세한 발전 모델이 등장을 하지는 않았으나 예측이 가능하며 일정 시간을 제외하고는 연중무휴로 가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청정 에너지 기술이다.
조류 발전은 조력 발전이 조력 댐을 만들어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과는 달리, 조류의 흐름이 빠른 곳을 선정하여 그 지점에 수차발전기를 설치하고, 자연적인 조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설치된 수차발전기를 가동시켜서 발전을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력 댐 없이 발전에 필요한 수차발전기만을 설치하는 것이기에 비용이 적게 드는 반면에 적지를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조류의 자연적인 흐름의 세기에 따라서 발전량이 좌우된다. 환경 측면에서도 해수의 유동이 자유롭고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어서 조력 발전보다 더욱더 환경 친화적인 발전으로 간주된다.
조류 발전은 풍력 발전과 같이 유체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데, 바람 대신 해수의 흐름을 이용하는 점이 다르다. 조류 발전이 육상의 풍력 발전보다 매력적인 것은 해수의 밀도가 공기보다 약 840배 정도 크기 때문에, 같은 시설용량일 경우 풍력발전용 터빈에 비하여 조류터빈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훨씬 작다. 일반적으로 유체 흐름에 의한 발전에너지는 유속에 지수함수로 증가하기 때문에 유속이 큰 곳이 조류 발전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조류 발전기 시스템에서는 수중에 위치한 회전 프로펠러(블레이드), 연결 베어링 등의 시설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쉽게 수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했었다. 수중에서는 강한 조류에 의해 시설물이 항시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자가 접근하기조차 힘든 상태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회전 프로펠러 구조에서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부분의 단면적에서 와류가 많이 발생하고 조류의 흐름을 제대로 받아내지 못하기 때문에 그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류의 흐름은 상황과 지형에 따라 계속 변하게 되는데 그 때마다 발전 효율이 안정적이지 못 해서 조류 발전기의 전체적인 생산성이 좋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273648 (2013.06.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의 발전 수단과 수중의 동력 획득 수단을 분리하여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수중에 위치한 시설물이 고장 나더라도 용이하게 수상 견인이 가능하여 수상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조류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프로펠러에 형성된 홈 구조와 연결줄을 통해 조류의 흐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회전수단과 수상 발전기 간의 동력 연결 개수를 제어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낭비나 부족함이 없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류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해수면 상측으로 형성되어 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수상 발전부; 및 해수면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상 발전부를 지지하고, 조류의 흐름을 동력원으로 상시 발전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수중 동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중 동력부는 상기 수상 발전부 하단부를 해저면에 지지시키는 한 개 이상의 지지대; 상단이 상기 수상 발전부 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발전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해수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회전대; 상기 회전대 일측에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프로펠러부; 상기 회전대 하단 일측과 상기 지지대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대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하부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상기 회전대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하 방면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전기를 제공한다.
여기에, 상기 회전대에는 상기 프로펠러부가 복수 개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회전대 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는 반원기둥에, 잘린 면에는 내측으로 톱니 모양의 홈이 복수 개만큼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잘린 면이 조류의 흐름과 마주치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회전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는 일측에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일 프로펠러부의 각 프로펠러는 상기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줄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대 한 개당 상기 수상 발전부에서 상기 발전기가 복수 개만큼 동력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동력 풀림수단을 통해 필요에 따라 특정 발전기와 상기 회전대의 동력 연결을 끊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대 한 개당 동력 연결되는 상기 발전기의 개수를 제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상 발전부에는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하는 전기를 저장하거나 육상으로 전송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축전수단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상의 발전 수단과 수중의 동력 획득 수단을 분리하여 발전 수단이 바닷물 등의 피해를 받지 않아 고장 가능성이 적고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수중에 위치한 시설물이 고장나더라도 용이하게 수상 견인이 가능하여 수상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어 생산성이 좋고 유지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 프로펠러에 형성된 홈 구조와 연결줄 등의 구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조류의 흐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회전수단과 수상 발전기 간의 동력 연결 개수를 제어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낭비나 부족함이 없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막대한 조류 에너지를 고스란히 발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수상의 구조물에 풍력 발전이나 태양광 발전 등의 설비를 병행하여 구비하기 용이하며, 축전설비에 저장된 전기를 육상의 자동차 등에 제공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박 중인 선박 등에 연결하여 자가 발전을 할 수 있는 등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넓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에서 회전대가 해수면 상측으로 상승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에서 프로펠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에서 프로펠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에서 회전대 한 개에 발전기 복수 개가 동력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에서 조류의 흐름이 약할 때 회전대 한 개에 발전기 한 개만 동력 연결되도록 조절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 회전대(22)가 해수면 상측으로 상승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는 수상 발전부(10) 및 수중 동력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상 발전부(10)는 해수면 상측으로 형성되어 발전기(11)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부분으로, 바지선 형태의 수상 시설이 구비된다. 내부에는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11)와, 발전기(11)에서 생성하는 전기를 저장하거나 육상으로 전송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축전수단(12)을 형성될 수 있다.
수상에서 발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바로 하단부로부터 바닷물 등에 의한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방지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전수단(12)은 이동이 용이하게끔 구비하여 지상 혹은 필요한 장치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류 발전기(11)에서는 규모와 생산성을 위해 복수 개의 발전기(11)가 구비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복수 개의 발전기(11)가 후술하는 회전대(22)와의 동력 연결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동작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수중 동력부(20)는 해수면 하측으로 형성되어 수상 발전부(10)를 지지하고, 조류의 흐름을 동력원으로 발전기(11)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지지대(21), 회전대(22), 프로펠러부(23), 하부 지지대(24), 상하 이동수단(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21)는 수상 발전부(10) 하단부를 해저면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지선 형태의 수상 발전부(10) 구조물이 수심의 변동에도 침수되지 않고, 파도 등에도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해저면 바닥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대(22)는 상단은 수상 발전부(10) 측으로 노출되어 발전기(11)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해수면과 수직으로 수중에 형성된다. 수중에서 조류의 흐름에 의해 비롯되는 회전력을 수상으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으면서도 바닷물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도와 내부식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회전대(22)는 일체형 혹은 분리 결합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기(11)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형에 따라 회전대(22)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구조이다.
프로펠러부(23)는 회전대(22) 일측에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23a)로 이루어진다. 수중에서 각 프로펠러(23a)가 조류의 흐름을 받아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힘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장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프로펠러부(23)의 구성은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지지대(24)는 회전대(22) 하단 일측과 지지대(21) 일측을 연결하여 회전대(22)의 균형을 유지시키게 된다. 지형에 따라 매우 큰 사이즈의 프로펠러(23a)가 설치될 수 있는 회전대(22)는 조류의 흐름이 강해질수록 위치가 틀어질 가능성이 있다. 회전대(22)의 위치가 어긋나면 당연히 회전대(22)에 연결된 프로펠러(23a)의 기능성이 저하되므로, 단단한 고정이 필요한데 하부 지지대(24)는 각 회전대(22)의 하단을 지지대(21)와 연결함으로써 회전의 중심축을 강력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부 지지대(24)와 회전대(22)의 연결 부위는 회전대(22)가 계속해서 회전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베어링(24a)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21)에서 하부 지지대(24)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하 이동수단(25)이 형성되어, 회전대(22)가 지지대(21)를 따라 상하 방면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조류 발전기(11)에서는 수중에 위치한 프로펠러(23a), 연결 베어링(24a) 등의 시설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쉽게 수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했었다. 수중에서는 강한 조류에 의해 시설물이 항시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자가 접근하기조차 힘든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는 하부 지지대(24)를 통해 연결된 회전대(22)가 상하 이동수단(25)의 움직임에 따라 해수면 위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중 설비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작업자가 수상 발전부(10)에서 쉽게 수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하 이동수단(25)은 유압식, 기어식 등의 방식 혹은 와이어, 볼스크류, 가이드레일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대(22)와 수중 설비 등의 무게가 상당하지만 수중에서 상승이 진행되기 때문에 지상에서보다 적은 힘으로도 견인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 프로펠러(23a)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 프로펠러부(2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 각 회전대(22)에는 프로펠러부(23)가 복수 개만큼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프로펠러부(23)에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23a)가 원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비된다. 프로펠러부(23)에 프로펠러(23a)가 몇 개가 구비되는지, 길이가 어떻게 되는지는 조류 발전기(11)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예컨대 조류의 흐름이 거대한 곳에서는 프로펠러(23a) 한 개의 길이가 10m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에, 조류의 흐름이 약한 곳에서는 1m 정도면 족할 것이다. 또한 프로펠러(23a) 한 개의 길이가 길다면, 각 프로펠러(23a)가 회전하면서 다음 프로펠러(23a)가 도달하기까지의 텀이 길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프로펠러(23a)의 간격을 좁게 하여 더 많은 프로펠러(2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각 프로펠러(23a)는 일 측에서는 조류에 의한 저항을 최대치로 받을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어야 하고, 타 측에서는 조류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략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프로펠러(23a)가 회전대(22) 측의 연결대(23c) 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는 반원기둥 모양을 기본으로 하여, 원기둥의 잘린 면(23aa)을 따라 내측으로 톱니 모양의 홈(23ab)을 복수 개만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 후 잘린 면(23aa)이 조류의 흐름과 바로 마주치는 방향이 되도록 회전대(22)에 설치하는 것이다.
조류가 가지는 질량에너지를 최대한 받는 일측면이 프로펠러(23a)를 미는 힘을 최대화시키고, 타측면에서는 미는 힘에 의해 프로펠러(23a)가 회전하며 지나갈 수 있도록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유선형의 모양을 가지게 하는 것인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류의 흐름과 마주하는 면에 톱니 모양의 홈(23ab)을 형성시킴으로써 조류의 저항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표면적을 최대화하였으며, 더불어 프로펠러(23a)가 조류의 저항을 다 받은 후 회전하고 지나갈 때에는 톱니의 틈새를 따라 신속하게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일반적인 블레이드 형태의 프로펠러(23a)에 비교하여 훨씬 크게 조류의 흐름을 회전력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며, 조류의 저항이 커서 프로펠러(23a)의 회전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추가로 각 프로펠러(23a)마다 일측에 연결고리(23ac)를 형성시켰고, 인근의 프로펠러(23a)마다 연결고리(23ac)를 연결줄(23b)로 결속시킴으로써 보다 균일한 회전력을 유도할 수 있다.
연결줄(23b)로 각 프로펠러(23a)마다 연결이 되기 때문에, 혹시나 있을 프로펠러(23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재 회전의 힘을 받고 있는 프로펠러(23a)가 다음 차례인 프로펠러(23a)를 당겨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전체 프로펠러부(23)의 회전이 균일한 펄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에 따른 조류의 저항을 극복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는 회전 프로펠러(23a)에 형성된 홈 구조와 연결줄(23b) 등의 구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조류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그 힘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 회전대(22) 한 개에 발전기(11) 복수 개가 동력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 조류의 흐름이 약할 때 회전대(22) 한 개에 발전기(11) 한 개만 동력 연결되도록 조절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는 수상 발전부(10)에서 각 회전대(22) 당 복수 개의 발전기(11)가 동력 연결될 수 있다. 동력 연결되는 방식은 기어 형태로도 가능하지만, 벨트(11a)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 본 발명에서는 동력 풀림수단(11b)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특정 발전기(11)와 회전대(22)의 동력 연결을 끊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회전대(22) 한 개당 동력 연결되는 발전기(11)의 개수를 제어 가능다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 동력 풀림수단(11b)이 도 5b에서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1) 방향으로 이동되면 자연스럽게 발전기(11)의 회전축에 걸린 벨트(11a) 연결을 풀 수 있게 된다.
태풍이 분다거나 조류의 흐름이 매우 셀 경우에는 이런 식으로 가급적 많은 개수의 발전기(11)를 회전대(22)마다 연결시켜 잉여 동력이 없게끔 하여 최대의 생산 효율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정조기 등에 조류의 흐름이 잔잔할 때에는 오히려 많은 발전기(11)의 연결은 비효율적이므로 나머지 발전기(11)의 동력 연결은 끊어 버리고, 한 개의 발전기(11)라도 제대로 동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조류 발전기(11)에서는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회전수단과 수상 발전기(11) 간의 동력 연결 개수를 제어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낭비나 부족함이 없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막대한 조류 에너지를 고스란히 발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수상의 구조물에 풍력 발전이나 태양광 발전 등의 설비를 병행하여 구비하기 용이하며, 축전설비에 저장된 전기를 육상의 자동차 등에 제공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박 중인 선박 등에 연결하여 자가 발전을 할 수 있는 등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넓은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수상 발전부
11 : 발전기 11a : 벨트
11b : 동력 풀림수단 12 : 축전수단
20 : 수중 동력부
21 : 지지대 22 : 회전대
23 : 프로펠러부 23a : 프로펠러
23aa : 잘린 면 23ab : 톱니 모양의 홈
23ac : 연결고리 23b : 연결줄
23c : 연결대 24 : 하부 지지대
24a : 베어링 25 : 상하 이동수단

Claims (6)

  1. 해수면 상측으로 형성되어 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수상 발전부; 및
    해수면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상 발전부를 지지하고, 조류의 흐름을 동력원으로 상시 발전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수중 동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중 동력부는
    상기 수상 발전부 하단부를 해저면에 지지시키는 한 개 이상의 지지대;
    상단이 상기 수상 발전부 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발전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해수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회전대;
    상기 회전대 일측에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프로펠러부;
    상기 회전대 하단 일측과 상기 지지대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대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하부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상기 회전대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하 방면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 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대에는 한 개당 복수 개의 상기 발전기가 벨트로 동력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 일측에는 동력 풀림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동력 풀림수단이 상기 발전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해당 발전기에 걸린 상기 벨트가 풀어지면서 동력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에는 상기 프로펠러부가 복수 개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회전대 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는 반원기둥에, 잘린 면에는 내측으로 톱니 모양의 홈이 복수 개만큼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잘린 면이 조류의 흐름과 마주치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회전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부의 상기 프로펠러는 일측에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각 프로펠러끼리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는 연결줄로 연결시킬 수 있는 조류 발전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조류의 흐름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대 한 개당 동력 연결되는 상기 발전기의 개수를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발전부에는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하는 전기를 저장하거나 육상으로 전송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축전수단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전기.
KR1020160063456A 2016-05-24 2016-05-24 조류 발전기 Active KR101691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56A KR101691933B1 (ko) 2016-05-24 2016-05-24 조류 발전기
CA3023356A CA3023356A1 (en) 2016-05-24 2017-01-17 Tidal current generator
US16/096,222 US10648448B2 (en) 2016-05-24 2017-01-17 Tidal current generator
JP2019512590A JP2019515193A (ja) 2016-05-24 2017-01-17 潮流発電機
PCT/KR2017/000544 WO2017204437A1 (ko) 2016-05-24 2017-01-17 조류 발전기
EP17802956.7A EP3467302A4 (en) 2016-05-24 2017-01-17 MAREMOTRICE ENERGY GENERATOR
CN201780031929.2A CN109154273A (zh) 2016-05-24 2017-01-17 潮流发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56A KR101691933B1 (ko) 2016-05-24 2016-05-24 조류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933B1 true KR101691933B1 (ko) 2017-01-02

Family

ID=5781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456A Active KR101691933B1 (ko) 2016-05-24 2016-05-24 조류 발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48448B2 (ko)
EP (1) EP3467302A4 (ko)
JP (1) JP2019515193A (ko)
KR (1) KR101691933B1 (ko)
CN (1) CN109154273A (ko)
CA (1) CA3023356A1 (ko)
WO (1) WO20172044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327A (zh) * 2019-09-11 2019-12-03 浙江海洋大学 一种利用超磁导体和洋流能的发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785A (zh) * 2017-12-29 2018-06-15 安徽罗伯特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桩防水外罩的防水方法
CN108162784A (zh) * 2017-12-29 2018-06-15 安徽罗伯特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桩防水外罩
CN111120191A (zh) * 2020-02-27 2020-05-08 上海恋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海潮流发电系统
CN111075636A (zh) * 2020-02-27 2020-04-28 上海恋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海潮流发电设备框架结构
US12116973B1 (en) * 2024-07-08 2024-10-15 Salvatore Deiana Ocean multitasking gen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779A (ko) * 2005-03-04 2006-09-13 (주)레네테크 조류 발전 장치
KR20110035310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조류 발전장치
KR20110129126A (ko) * 2010-05-25 2011-12-01 안성준 블레이드 변형 방지를 위한 구속부재가 구비된 풍력발전기
KR20120126002A (ko) * 2011-05-10 2012-11-20 주수 김 두 개의 수직 구동축을 싱크로나이즈 시켜서 하나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양방향 조류의 사용이 가능한 고성능 기어리스 조류 발전소
KR101273648B1 (ko) 2011-04-13 2013-06-11 이동학 조류 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7855A (en) * 1926-07-28 1932-03-01 John E Young Tide motor
US3993913A (en) * 1975-03-28 1976-11-23 Dickman Smith V Tidewater power system
US4575639A (en) * 1980-12-16 1986-03-11 Rogow Bruce I Fluid turbine system
US6327994B1 (en) * 1984-07-19 2001-12-11 Gaudencio A. Labrador Scavenger energy converter system its new applications and its control systems
US4684817A (en) * 1985-03-11 1987-08-04 Goldwater John M Valvular sail power plant
DE3730301A1 (de) * 1987-09-10 1989-03-30 Ferdinand Klute Windkraftanlage
US5440176A (en) * 1994-10-18 1995-08-08 Haining Michael L Ocean current power generator
US6856036B2 (en) * 2001-06-26 2005-02-15 Sidney Irving Belinsky Installation for harvesting ocean currents (IHOC)
DE10256864B4 (de) * 2002-12-05 2007-09-06 Ernst Buttler Wasserkraftanlage
GB0306809D0 (en) * 2003-03-25 2003-04-30 Marine Current Turbines Ltd Water current powered turbines installed on a deck or "false seabed"
KR20060008182A (ko) * 2004-07-23 2006-01-26 송수니 작동식 조류 발전기
CN101351639B (zh) * 2005-12-29 2011-01-19 格奥尔格·哈曼 一种产生可再生能源的风力设备和风力设备组
PT2064441E (pt) * 2006-08-03 2016-01-26 Verderg Ltd Aparelho para conversão de energia de fluxo de ondas ou correntes utilizando tubos atuando como bombas de venturi
GB0621381D0 (en) * 2006-10-27 2006-12-06 Neptune Renewable Energy Ltd Tidal power apparatus
DE102007036810A1 (de) * 2007-08-03 2009-02-05 Voith Patent Gmbh Bidirektional anströmbare tauchende Energieerzeugungsanlage
CA2641850C (en) * 2007-10-25 2016-06-21 Richard B. Newcomb Emergency watercraft
CN102026925B (zh) * 2008-04-14 2013-06-05 三星钻石工业股份有限公司 脆性材料基板的加工方法
KR20100037387A (ko) * 2008-10-01 201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모듈 및 회로 기판의 토폴로지
KR20100069552A (ko) * 2008-12-16 2010-06-24 유제우 임펠라 수직축 발전기
US7993096B2 (en) * 2009-07-24 2011-08-09 Tom Heid Wind turbine with adjustable airfoils
CN101922403B (zh) * 2010-08-23 2013-11-20 杨志锋 波浪能发电系统
US8672608B2 (en) * 2010-11-15 2014-03-18 Chuy-Nan Chio Tower type vertical axle windmill
KR101047918B1 (ko) * 2010-11-22 2011-07-08 김시준 수력 발전기
US20120134820A1 (en) * 2010-11-28 2012-05-31 Robert Clifton Vance Fluid Turbine Having Optimized Blade Pitch Profiles
TW201235558A (en) * 2011-02-22 2012-09-01 Yuh-Bin Lin Fluid energy converter
US20120260443A1 (en) * 2011-04-13 2012-10-18 Lindgren Peter B Aquaculture cage screen and cleaning apparatus
CN102758719B (zh) * 2011-04-29 2014-09-03 伍海光 潮汐发电装置
JP2013076392A (ja) * 2011-05-09 2013-04-25 Toru Shinohara 水力発電方法および水力発電装置
KR20130016782A (ko) * 2011-08-09 2013-02-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조류발전용 터빈
KR20130041857A (ko) * 2013-03-18 2013-04-25 박종원 승강식 터빈 지지구조물
KR101561585B1 (ko) * 2013-05-06 2015-10-20 이인남 발전효율을 증대시킨 날개 가변형 조력 겸용 풍력발전기
JP6176778B2 (ja) * 2013-07-31 2017-08-09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潮力発電装置
CN103993587A (zh) * 2013-12-18 2014-08-20 朱华 桥式江河潮汐水力风力联合发电长廊
CN203756424U (zh) * 2014-02-27 2014-08-06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潮流能发电机组
US9909556B2 (en) * 2014-12-31 2018-03-06 Joseph Marion Santos System for collecting energy from a moving mass
CN105840394B (zh) * 2015-01-13 2018-06-22 总瀛企业股份有限公司 陆上水流发电装置
KR101599708B1 (ko) * 2015-03-18 2016-03-04 이동인 잠수형 발전 플랫폼
US20170138333A1 (en) * 2015-11-16 2017-05-18 Corporacion Andina De Fomento Modular hydrokinetic motor device and method
EP3507486B1 (en) * 2016-04-15 2024-08-07 Ethirajulu Damodaran Variable tilting blade twin turbine wind mill
US10837421B2 (en) * 2017-07-13 2020-11-17 Yong Soo Cho 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TWI687587B (zh) * 2018-02-05 2020-03-11 國立臺灣師範大學 河邊流水能之擷取裝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779A (ko) * 2005-03-04 2006-09-13 (주)레네테크 조류 발전 장치
KR20110035310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조류 발전장치
KR20110129126A (ko) * 2010-05-25 2011-12-01 안성준 블레이드 변형 방지를 위한 구속부재가 구비된 풍력발전기
KR101273648B1 (ko) 2011-04-13 2013-06-11 이동학 조류 발전기
KR20120126002A (ko) * 2011-05-10 2012-11-20 주수 김 두 개의 수직 구동축을 싱크로나이즈 시켜서 하나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양방향 조류의 사용이 가능한 고성능 기어리스 조류 발전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327A (zh) * 2019-09-11 2019-12-03 浙江海洋大学 一种利用超磁导体和洋流能的发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5193A (ja) 2019-06-06
US20190136825A1 (en) 2019-05-09
WO2017204437A1 (ko) 2017-11-30
EP3467302A1 (en) 2019-04-10
CN109154273A (zh) 2019-01-04
US10648448B2 (en) 2020-05-12
CA3023356A1 (en) 2017-11-30
EP3467302A4 (en)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33B1 (ko) 조류 발전기
Chen et al. Attraction, challenge and current status of marine current energy
Polinder et al. Wave energy converters and their impact on power systems
Elghali et al. Marine tidal current electric power generation technology: State of the art and current status
Zhou et al. An up-to-date review of large marine tidal current turbine technologies
EP3384156B1 (en) Renewable energy barge
US9334849B2 (en) Floating tower frame for ocean current turbine system
KR101620900B1 (ko) 조류 순응형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장치
Lagoun et al. Ocean wave converters: State of the art and current status
EP3277948B1 (en) Wave power station
US20120086207A1 (en) Simplified Paddlewheel Energy Device
US20100123316A1 (en) Power generator barge
AU2015291050B2 (en) Wave energy converter
US103647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ep ocean power generator turbine
KR102427102B1 (ko) 심해저 해류 발전기 및 심해저 해류 발전 시스템
KR101003457B1 (ko) 조력 발전장치
DE102012005137A1 (de) Offshore-Wellen-Energie-Konverter "Wave Spider"
KR20120041030A (ko) 자체 부력을 갖는 수류 발전장치
EP4184003A1 (e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al power at the surface by harnessing the kinetic energy of ocean and river currents
KR20200004955A (ko) 양수 및 전력 생산이 가능한 저유속형 강 수력발전
KR20140147794A (ko) 소수력 발전장치
Govorushko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ocean energy using
KR20130126826A (ko) 어초로 활용가능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시스템
KR20100063277A (ko) 조류력 발전을 위한 수차 축을 따라 미끄러지는 부력통이 장착된 자가 부양식 수차장치
JP2014114775A (ja) 水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