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1752B1 -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 Google Patents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752B1
KR101691752B1 KR1020150156896A KR20150156896A KR101691752B1 KR 101691752 B1 KR101691752 B1 KR 101691752B1 KR 1020150156896 A KR1020150156896 A KR 1020150156896A KR 20150156896 A KR20150156896 A KR 20150156896A KR 101691752 B1 KR101691752 B1 KR 101691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vertical
horizontal
boi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163A (ko
Inventor
백욱현
백훈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백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백상
Priority to KR102015015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6Walking equipment, e.g. walking platforms suspended at the tub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작업자가 서 있는 곳에서 긴 막대형 비계 부재의 끝이 상대 구조물에 쉽게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역 삼각형의 경사 부재(10)를 구축하고, 이 경사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 부재와 이 수직 부재(20)의 중간에 힌지를 구비한 연결구(24)로 체결된 수평부재(30)를 상대 구조물 방향으로 밀어 넣어 자동으로 직각이 되면서 상대 구조물의 수직부에 지지되도록 역삼각형이 되도록 하였다. 긴 막대형 비계 부재의 끝이 상대 구조물에 쉽게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조는 매달리는 클램프(12)가, 자동으로 직각이 되면서 상대 구조물의 수직부에 지지되는 구조는 수직부 클램프(23)가 감당하도록 한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The Boiler Superheater Platforms}
본 발명은 천장에 매달려 있는 파이프(또는 튜브)를 주 구성재로 하는 두 구조물을 연결하는 비계를 설치하는 기술이다. 더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달려 있으되 작업자가 서 있는 위치보다 높이가 더 낮으면서 떨어져 있는 보일러 과열기와 같은 구조물로 다리를 구축하듯 비계와 발판을 설치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비계관련 기술로서 보일러 과열기와 같이 고공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구조물을 지지하고 그 사이를 구조 부재로서 연결하는 기술이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이 된다.
미국 특허 발행번호 US5343978 (공개날짜 1994년 9월 6일) “A Telescoping scaffolding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multi-story, power-generating boiler systems”이 본 발명의 선행기술이 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서 있는 곳보다 바닥이 낮은 보일러 과열기가 고공에서 떨어져 있을 때 작업자가 상대 구조물로 건너가지 않고 공간을 횡단하는 비계 부재를 상대 구조물에 내밀어 상대 구조물에 지지하되 경사진 것을 역삼각형으로 보강한 비계와 발판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보일러의 작업자가 서 있는 곳에서 긴 막대형 비계 부재의 끝이 상대 구조물에 쉽게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역 삼각형의 경사 부재(10)를 구축하고, 이 경사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수직 부재와 이 수직 부재(20)의 중간에 힌지를 구비한 연결구(24)로 체결된 수평부재(30)를 상대 구조물 방향으로 밀어 넣어 자동으로 직각이 되면서 상대 구조물의 수직부에 지지되도록 역삼각형이 되도록 하였다. 긴 막대형 비계 부재의 끝이 상대 구조물에 쉽게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조는 매달리는 클램프(12)가, 자동으로 직각이 되면서 상대 구조물의 수직부에 지지되는 구조는 수직부 클램프(23)가 감당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보일러 과열기들이 서로 높이 차가 있어도 비계 조립 작업자가 안전하게 발판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전분야의 안전 및 경영 개선에 크게 이바지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의 일 실시예
도 2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일러의 블록도
(http://www.eolss.net/sample-chapters/c08/e3-10-02-04.pdf)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경사 부재(10)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달리는 클램프(12)의 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달리는 클램프의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부재(20)와 수평 부재(30)의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의 시공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의 일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미끌어지는 클램프(23)의 일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의 일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의 일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선행기술(미국 특허 발행번호 US5343978)의 일 실시예
용어의 정의
천장에 부착된 튜브 : 도 2의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발전용 보일러의 매달린 튜브(HP, Pendant Tube)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가 하나의 평면에 다수 매달려 그룹을 이루는 튜브군(Tube群)
보일러 과열기 : 도 2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발전용 보일러의 과열기(Super Heater Tube, 過熱器) 또는 재열기(再熱器)등과 같이 구조물의 천장(보일러의 경우 Roof Tube)에 부착된 튜브. 본 발명에서 보일러 과열기라 함은 반드시 보일러의 과열기만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도 2와 같은 보일러 과열기 또는 재열기와 같이 천장에 부착된 튜브를 구비하는 모든 산업용 구조물을 의미함.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 : 도 2의 (2)와 같이 천장에 부착된 튜브(HP)에 보일러 또는 구조물의 상부로부터 작업자가 걸어 올라 갈 수 있도록 만든 평판으로서 도 2의 (2)의 파란 색 선처럼 다리(橋梁)모양으로 만든 작업용 발판(作業 발판, Platform)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뼈대(骨組)들 및 단위 발판들 모두를 말함.
발판(40) : 통상의 비계(飛階)용 발판
뼈대 : 본 발명에서는 골조(骨組)라는 용어와 함께 쓰이기도 하며 도 1에 예시된 구조물에서 다수의 발판(40)을 제외한 모든 부재로서 발판의 기초부를 구성하는 비계 구조물
연결구 : 서로 다른 비계용 구조 부재들을 체결하는 것으로, 통상 비계 구조물이 강관을 사용하게 되므로 강관 클램프(Clamp)를 사용하면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강관 클램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산업용 클램프를 적용할 수 있다.
상대 구조물 : 본 발명은 보일러의 구조물을 지지하면서 이웃한 구조물인 보일러 과열기 사이를 연결하는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므로, 보일러의 일정 위치에서 이웃한 구조물에 비계 부재를 연결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서 있지 않은 것으로 체결 대상이 되는 구조물.
도 2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나 건축물, 대형 구조물의 상부에 매달려 있는 보일러 과열기와 같이 천장에 부착된 튜브(HP, Suspended Tube)와 같은 구조물의 하부를 정비하거나 설비 개선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해당 구조물까지 나아가려면 높은 공간을 지나가는 교량과 같은 발판을 만들어야 한다.
보일러 과열기는 도 2의 (1)에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노즈부(N, Nose部)에서 과열기(S, Superheater)의 바닥부가 경사져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노즈부에서 과열기 바닥이 높이 차가 있어 경사져 있으면서 과열기와 노즈부가 떨어져있고, 또한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의 구조물을 정비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비계와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계 골조보다 작업 발판이 길게 설치되므로 “보일러 과열기 비계”라 하지 않고, 긴 발판을 강조하여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이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과열기는 도 2의 (1)에 예시된 바와같이 노즈부와 떨어져 있으면서 노즈부 아래에 위치해 있다. 이 과열기에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떨어져 있는 과열기 바닥과 노즈부 사이에 있는 공간을 연결하되 작업 발판은 경사지지 않고 수평이 되게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 과열기와 같이 공중에서 서로 떨어져 있으면서도 경사져 있는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비계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비계 없이도 출입이 가능한 보일러의 노즈부에 서서 건너갈 수 없는 과열기에 비계 부재가 닿도록 하고, 그곳에 안착시킬 수 있으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서로 높은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고, 경사져 있는 두 점을 연결하는 작업발판은 경사져 있는 두 지점을 연결하는 비계 구조물이어야 하므로 도 2의 (2)와 같은 삼각형 모습을 하고 있어야 하므로 경사 부재, 수직 부재, 수평 부재 및 발판으로 구성된다.
천장에 부착된 튜브(HP)에 매달리는 클램프(12)가 부착된 수직부 파이프(13)가 하단부에 접합된 하부 파이프(11),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연결구(16)를 포함하는 경사 부재(10)는 도 3에 보이는 일 실시예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매달리는 클램프(12)는 천장에 부착된 튜브의 수평부 위를 바탕으로 지지되면서 체결되는 부재이다. 매달리는 클램프는 도 4에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수직부 파이프(13)의 중간부에 힌지(12A)로 연결된 고리부(12C), 이 고리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멈춤자(12B), 고리부의 자유단에 이어진 안내부(12D)를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하부 파이프(11)를 따라 이동하는 미끌어지는 클램프(22), 상기 미끌어 지는 클램프(22)와 하단에서 힌지로 체결되고 몸체의 중간에 수직부 클램프(23)를 구비한 수직부 파이프(23)를 포함하는 수직 부재(20)는 도 6에 보이는 일 실시예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미끌어지는 클램프(22)는 도 9에 일 실시예가 표시된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11)를 레일로 하여 미끌어지되 벗어남이 불가능하여야 한다. 벗어날 수 없는 구조로 미끌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9와 같이 파이프를 감싸는 구조이거나 비둘기 꼬리(Dovetail) 구조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미끌어 지는 클램프(22)와 하단에서 힌지로 체결되는 구조는 수직부 파이프(21)와 수평부 파이프(31)가 만드는 평면에서 회전(R1)하는 것으로 이 힌지부는 미끌어지는 클램프에 구비하여야 한다. 수직부 클램프(21)는 미끌어지는 클램프의 힌지를 중심으로 수직부 파이프가 처음에는 도 7의 (3)과 같이 하부 파이프(11)와 거의 평행한 자세에서 회전을 시작하여 나중에는 도 7의 (4)와같이 수직이 되었을 때 천장에 부착된 튜브의 수직 형태의 부재를 감싸 안아 잠글 수 있도록 고리형태로 하여야 한다. 이 수직부 클램프(23)는 수평부 파이프(31)가 하부 파이프(11)위에 연직 상태로 있게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부 파이프가 한번 설치되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면 되므로 반드시 도 6에 예시된 모양일 필요는 없다. 미끌어지는 클램프(22)의 힌지를 구성하는 힌지 핀을 길게 할 경우에도 수평부 파이프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수직부 클램프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미끌어지는 클램프(22)는 하부 파이프를 타고 미끌어지는 기능과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수직부 파이프(21)의 하단에 힌지로 연결되어야 한다. 미끌어지는 클램프(22)의 하부 파이프를 타고 미끌어지는 기능은 미끌림 부재(GE)가,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기능은 압착 체결부(MB)가, 수직부 파이프(21)의 하단에 힌지로 연결되는 기능은 회전 체결부(HM)가 감당한다. 압착 체결부와 회전 체결부는 각각 고정부와 활동부가 있어 고정부에 있는 볼트/너트가 활동부를 누르는 구조이다. 압착 체결부는 하부 파이프를 타고 이동하거나 고정하고, 회전 체결부는 수직부 파이프의 하단에서 힌지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미끌어지는 클램프(22)는 하부에 미끌어지는 기능과 상부에 힌지, 아울러 수직부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도 9에는 미끌어지는 파이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의 (1)은 일 실시 사진이 있고, 도 9의 (2)는 일 실시도이며, 도 9의 (3)은 미끌림 부재(GE)의 단면도이다. 클램프의 고정부(SB)에 활동부(SC)가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고정부는 하부 파이프를 감싸고 있으며, 고정부의 좌우에는 미끌림 부재(GE)가 접합되어 있다. 이 미끌림 부재(GE)는 하부 파이프의 외주(外周)보다 더 큰 내주(內周)를 갖는 형태로 되어 다수의 베어링(BR) 장착하게 하면 축방향으로 미끌림이 가능하게 된다. 필요시 베어링이 없는 미끌림 부재를 만들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길이가 더 길어야 한다. 클램프의 고정부와 활동부는 도 9와 같이 하지 않고도 3개의 평판을 하나의 핀으로 연결하고, 일단을 수직부 파이프(21)와 접합할 수도 있다. 미끌어지는 클램프(22)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하부 파이프의 외주(外周)보다 더 큰 내주(內周)를 갖는 형태의 부재를 잘라 힌지를 연결하고 힌지의 좌우로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나사를 내어 볼트를 삽입함으로서 이동시에는 볼트를 느순하게 하고, 위치를 고정할 때에는 볼트를 하부 파이프(11)의 외피를 압박하도록 가압하면 고정되어 이동되지 못한다. 미끌어지는 클램프는 하부 파이프의 하단에 도착하면 더 이상 미끌어지는 기능을 수행하면 안되므로 압착 체결부(MB)의 고정부(SB)에 힌지로 연결된 활동부(SC)를 조여주어 더 이상 미끌어짐이 불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미끌어지는 클램프(22)를 하부 파이프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는 또 다른 방법은 하부 파이프보다 더 직경이 큰 파이프를 미끌어지는 클램프(22)의 좌우에 삽입하여 이 큰 파이프를 움직이지도록 못하도록 하면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고공 작업용 비계의 부품들 간의 원격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 부재(20)의 중간에 힌지로 체결되는 연결구(24), 상기 연결구(24)와 일단이 연결되는 수평부 파이프(31), 상기 수평부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된 연결구(32)를 포함하는 수평부재(30)는 도 6에 일 실시예가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비계용 강관의 일단을 힌지로 하고 타단을 연결구로 고정한 것이다. 수직 부재(20)의 중간에 힌지로 체결되는 연결구(24)는 비계의 기둥과 비계의 가로대나 세로대와 같은 것들을 힌지로 연결하는 것인 바 통상의 비계용 회전 클램프를 사용하거나 두 개의 직선형 구조재가 힌지로 만나도록 핀과 구멍을 사용하는 체결장치를 구비하면 된다. 수평의 파이프(31)는 통상의 강관을 사용하거나 임의의 구조재를 사용한다. 수평부 파이프(31)의 타단에 연결된 연결구(32)는 보일러 본체의 튜브나 건물의 골조와 연결하는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으로 건물이나 보일러와 본 발명에 의한 비계 구조물을 단단히 결합시키는 것이면 된다.
상기 경사 부재(10), 상기 수직 부재(20), 상기 수평 부재(30)들이 쌍(雙, Couple)을 이루게 하고, 한쌍의 상기 수평부 파이프(31)을 따라 설치되는 발판(40)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수평부 파이프(31)을 따라 발판을 설치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으로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도 1에 예시된 발판 모양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도 11에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으로 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발판 길이가 한 쌍을 이루는 수평 부재(30)의 간격과 같아야 한다. 통상 산업용 발판은 길이가 본 발명에 의한 과열기 간의 간격과 다르기 때문에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과열기간의 간격이 발판의 간격과 같도록 발판을 주문제작하여야 한다. 도 11과 같이 과열기 간의 간격이 임의의 값이어도 길이가 이미 정해져 있는 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수평 부재(30)를 따라 안내될 수 있는 발판용 직각 부재(DH)를 발판의 길이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웃한 발판용 직각 부재에 발판을 설치하면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노즈부(N)에 있는 발판에 서서 발판용 직각 부재에 새워진 발판의 일단을 체결하고, 발판을 공중에 떠 있는 과열기 방향으로 밀어 넣어 수평 상태를 만들면서 최종적으로는 자신이 서 있는 발판의 발판용 직각 부재(DH)에 맞추면 된다. 발판용 직각 부재(DH)는 이웃한 과열기 튜브간의 간격에 일치하는 이웃하는 수평 부재(도 8의 30-1, 30-2) 간의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의 강관이나 구조재에 양단이 미끄러지는 클램프를 접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수평부재와 경사부재의 중간에 설치되는 가새 부재(50, Brace)는 일단에 원격 체결용 클램프가 결합된 강관이나 구조재를 대응하는 체결 점에 피 원격 체결용 클램핑 자재를 결합시켜 작업자는 안전한 발판위에서 공중으로 원격 체결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여 만들어진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차례대로 시행하면 된다.
높은 곳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이 낮게 있는 천장에 부착된 튜브(HP)로 경사부재(10)의 위치제어용 줄(14)을 조절하여 매달리는 클램프(12)를 걸어 두는 제 1단계, 수직부재(20)의 중간에 수평부재(30)의 일단을 체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수직부재(20)의 미끌어지는 클램프(22)가 상기 경사부재(10) 외면을 타고 안내되어 상기 경사부재(10)의 하단에 안착되는 제 3 단계, 상기 미끌어지는 클램프(22)를 중심으로 상기 수직부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부재의 자유단과 상기 경사 부재의 자유단이 접합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부재를 수평상태로 설치하는 제 4 단계, 상기 매달려 있는 파이프(HP)에 이웃하여 매달려 있는 파이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4 단계에 이르는 작업을 반복하고, 이웃하여 설치된 두 개의 상기 수평 부재에 안내되는 가로대와 발판을 순서대로 설치하는 제 5 단계;
높은 곳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이 낮게 있는 천장에 부착된 튜브(HP)로 경사부재(10)의 위치제어용 줄(14)을 조절하여 매달리는 클램프(12)를 걸어 두는 제 1단계는 도 7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행한다. 경사 부재가 긴 경우에는 경사 부재의 한쪽 끝을 잡고 다른 끝의 위치를 제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위치 제어용 줄(14)의 작업자측 끝을 보일러에 묶어두고 길이를 조절하면서 경사 부재를 공중으로 밀어 넣으면 수직부 파이프(13)의 위치제어가 용이하다. 경사 부재가 보일러 과열기에 체결되게 하는 것은 매달리는 클램프가 과열기의 튜브 위에 안착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 5의 (1)에서 도 5의 (3)에 예시된 도면을 참고삼아 매달리는 클램프의 안내부(12D)가 튜브 위로 올라가게 하고 서서히 내리면 안착된다.
수직부재(20)의 중간에 수평부재(30)의 일단을 체결하는 제 2 단계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힌지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도 6의 일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힌지 기능을 하는 연결구(24)를 체결하면 된다. 연결구(24)는 통상의 회전 클램프와 같은 비계 조립용 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수직부재(20)의 미끌어지는 클램프(22)가 상기 경사부재(10) 외면을 타고 안내되어 상기 경사부재(10)의 하단에 안착되는 제 3 단계는 도 7의 (2)와 같이 미끌어 지는 클램프가 경사 부재의 작업자측 끝에 처음 조립되어 과열기 측으로 밀어 넣어 도 7의 (3)과 같이 과열기에 접촉하게 한다.
상기 미끌어지는 클램프(22)를 중심으로 상기 수직부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부재의 자유단과 상기 경사 부재의 자유단이 접합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부재를 수평상태로 설치하는 제 4 단계는 도 10의 (2)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여 실시한다.
상기 매달려 있는 파이프(HP)에 이웃하여 매달려 있는 파이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4 단계에 이르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은 도 11과 같이 한 셋트의 비계를 구축하는 것이고, 여기에 불판을 하나하나 설치하면 제 5 단계가 이행된다. 이웃하여 설치된 두 개의 상기 수평 부재에 안내되는 가로대와 발판을 순서대로 설치하는 것은 도 8이나 도 11과 같이 발판을 하나하나 시공하여 도 1과 같이 수평부재 전체 길이에 대하여 빈틈없이 발판을 설치한다.
10 : 경사 부재
12 : 매달리는 클램프
20 : 수직 부재
22 : 미끌어지는 클램프
23 : 수직부 클램프
30 : 수평 부재
40 : 발판
50 : 가새 부재

Claims (2)

  1. 천장에 부착된 튜브(HP)에 매달리는 클램프(12)가 부착된 수직부 파이프(13)가 하단부에 접합된 하부 파이프(11),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연결구(16)를 포함하는 경사 부재(10);
    상기 하부 파이프(11)를 따라 이동하는 미끌어 지는 클램프(22), 상기 미끌어 지는 클램프(22)와 하단에서 힌지로 체결되고 몸체의 중간에 수직부 클램프(23)를 구비한 수직부 파이프(23)를 포함하는 수직 부재(20);
    상기 수직부재(20)의 중간에 힌지로 체결되는 연결구(24), 상기 연결구(24)와 일단이 연결되는 수평부 파이프(31), 상기 수평부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된 연결구(32)를 포함하는 수평부재(30);
    상기 경사 부재(10), 상기 수직 부재(20), 상기 수평 부재(30)들이 쌍(雙, Couple)을 이루게 하고, 한쌍의 상기 수평부 파이프(31)을 따라 설치되는 발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2. 높은 곳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이 낮게 있는 천장에 부착된 튜브(HP)로 경사부재(10)의 위치제어용 줄(14)을 조절하여 매달리는 클램프(12)를 걸어 두는 제 1단계;
    수직부재(20)의 중간에 수평부재(30)의 일단을 체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수직부재(20)의 미끌어지는 클램프(22)가 상기 경사부재(10) 외면을 타고 안내되어 상기 경사부재(10)의 하단에 안착되는 제 3 단계;
    상기 미끌어지는 클램프(22)를 중심으로 상기 수직부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부재의 자유단과 상기 경사 부재의 자유단이 접합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부재를 수평상태로 설치하는 제 4 단계;
    상기 매달려 있는 파이프(HP)에 이웃하여 매달려 있는 파이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4 단계에 이르는 작업을 반복하고, 이웃하여 설치된 두 개의 상기 수평 부재에 안내되는 가로대와 발판을 순서대로 설치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과열기 작업발판의 조립 방법
KR1020150156896A 2015-11-09 2015-11-09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Active KR10169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96A KR101691752B1 (ko) 2015-11-09 2015-11-09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96A KR101691752B1 (ko) 2015-11-09 2015-11-09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163A KR20150133163A (ko) 2015-11-27
KR101691752B1 true KR101691752B1 (ko) 2016-12-30

Family

ID=5484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96A Active KR101691752B1 (ko) 2015-11-09 2015-11-09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056B1 (ko) * 2020-12-09 2021-07-12 배기수 보일러 노내 비계용 마그네트 지지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917B1 (ko) * 2020-07-14 2020-09-07 (주)휴하리 클링커 제거용 안전 작업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085A (ja) * 2008-08-07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4109392A (ja) * 2012-11-30 2014-06-12 Taihei Dengyo Kaisha Ltd ボイラ内足場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316B1 (ko) * 2013-04-09 2014-02-18 주식회사백상 보일러 천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매다는 비계 및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085A (ja) * 2008-08-07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4109392A (ja) * 2012-11-30 2014-06-12 Taihei Dengyo Kaisha Ltd ボイラ内足場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056B1 (ko) * 2020-12-09 2021-07-12 배기수 보일러 노내 비계용 마그네트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163A (ko)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203B1 (ko) 플랫폼 지지방식의 노내비계와 인양시스템 설치 및 해체 공법
KR102206510B1 (ko) 모듈식, 제거식 부착가능하고 횡방향-작업자 지지 비계를 포함한 복층, 파이프- 지지 프레임 시스템
KR102191394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1547824B1 (ko) 플랫폼 지지방식의 노내비계와 인양시스템
US64257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ateral support to a post
GB2537065A (en) Suspended platform system
KR101691752B1 (ko) 보일러 과열기 작업 발판
JP2009108473A (ja) 高所構造物に対する吊り足場架設方法
JP2018193731A (ja) 鉄塔用簡易型足場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US2272349A (en) Scaffold
KR101707037B1 (ko) 조립식 시스템 비계와 그 설치 방법
KR101266282B1 (ko) 노내 와이어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364316B1 (ko) 보일러 천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매다는 비계 및 조립 방법
JP2019027211A (ja) 免震建物用仮設足場の耐震施工方法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JP2020007738A (ja) 支柱支持具
KR101757279B1 (ko)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설비를 구축하는 시스템
KR102406625B1 (ko) 안전 달비계 및 그 가설공법
CN106758843B (zh) 钢桁梁螺栓施拧操作平台
CN220058769U (zh) 单元式吊挂施工操作平台
KR101757288B1 (ko)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설비 시스템의 해체 공법
JP5807884B1 (ja) 吊足場
KR20100046867A (ko) 가설난간대
JP2831303B2 (ja) 仮設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