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1439B1 -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439B1
KR101691439B1 KR1020150164573A KR20150164573A KR101691439B1 KR 101691439 B1 KR101691439 B1 KR 101691439B1 KR 1020150164573 A KR1020150164573 A KR 1020150164573A KR 20150164573 A KR20150164573 A KR 20150164573A KR 101691439 B1 KR101691439 B1 KR 10169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tank
reaction
water
m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5016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4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B01F11/02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ammoniacal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4NH3-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류조에 저장된 반류수를 유입받아 반류수내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산화시켜 부분아질산화를 수행하는 아질산화반응조; 상기 아질산화화반응조 내부에 산소를 함유하는 초미세기포를 공급하는 미세기포공급기; 상기 아질산화반응조에서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일어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혼합질소조정조; 및 상기 혼합질소조정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내 잔류 유기물을 이용하여, 혐기조건하에 혐기성 탈질을 수행하여 처리수내 질소를 제거하는 혐기성탈질조를 포함하는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NITROGEN REMOVING SYSTEM OF SIDE STREAM COMPRISING HIGH CONCENTRATED NITROGEN}
본 발명은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류수내 총질소 제거율 내지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율, 슬러지 저감효과 내지 산소요구량을 기존대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장치 소형화 및 비용절감효과를 통해 경제적으로 고농도의 질소 함유 반류수내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혐기성 소화조가 설치된 하수처리장은 57개소가 있다.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은 일 처리용량이 20만톤의 중형하수처리장으로 소화반류수에 의한 질소부하가 설계 질소부하의 86%정도로 안정적인 질소제거를 위해서는 별도의 반류수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하수처리장 슬러지 처리계통에서 발생하는 반류수의 양은 유입유량의 1% 미만이지만 질소부하는 유입부하의 15-40%이며, 인의 경우에는 50%에 달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 및 슬러지 감량화 사업의 지속 추진으로 하수처리시설 소화조 개선, 증설, 신설이 증가하는 추세로, 특히 소화슬러지 탈리액에 의한 오염물 유입부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실증의 필요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농도의 반류수는 별도의 처리 없이 유입부로 반송되어 급격한 부하변동을 발생시켜 하수처리장 운영을 어렵게 하고 방류수질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수온이 저하되는 동절기에 수질악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에 따른 고액분리 후 배출, 주방용 오물분쇄기 허용 및 확대로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음식물폐수 오염물 부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더해 동절기 수온저하에 따른 질소제거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는데 이때 반류수에 의한 질소부하의 영향은 가중되어 큰 문제가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이에 대한 제반 문제를 일소에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719434(2007.05.17공고)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4101(2013.02.07공개)
3. 등록특허공보 제10-0948807(2010.03.24공고)
4. 등록특허공보 제10-1371367(2014.03.12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반류수내 총질소 제거율 내지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율, 슬러지 저감효과 내지 산소요구량을 기존대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장치 소형화 및 비용절감효과를 통해 경제적으로 고농도의 질소 함유 반류수내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저류조에 저장된 반류수를 유입받아 반류수내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산화시켜 부분아질산화를 수행하되,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반응블럭으로 구획되며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반응블럭은 층간연통부를 통해 상호 연통되며, 층간연통부의 하부에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반응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아질산화반응조; 상기 아질산화화반응조 내부에 산소를 함유하는 초미세기포를 상기 반응블럭내로 공급하는 미세기포공급기; 상기 아질산화반응조에서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일어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혼합질소조정조; 상기 저류조로부터 혼합질소조정조에 반류수를 이송하는 혼합조정라인과, 상기 혼합질소조정조로부터 저류조로 처리수를 회수하는 회수라인; 상기 혼합질소조정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내 잔류 유기물을 이용하여, 혐기조건하에 혐기성 탈질을 수행하여 처리수내 질소를 제거하는 혐기성탈질조; 및 상기 혼합질소조정조 내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실시간 측정하기 위한 온라인 수질분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조정라인과 회수라인상에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자동유량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라인 수질분석장치로부터 얻은 농도정보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혼합질소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공급기는 공기압축기와 아질산화반응조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되는 처리수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 펌프가 공급하는 아질산화반응조내 처리수와 상기 공기압축기가 공급하는 기체를 혼합실에서 충돌시켜 발생하는 초미세기포를 반응조 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아질산화반응조 및 혐기성 탈질조는 그래뉼화된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아질산화반응조 및 혼합질소조정조 각각의 내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외부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교반봉 및 측벽에 초음파 발생기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반류수내 총질소 제거율 내지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율, 슬러지 저감효과 내지 산소요구량을 기존대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장치 소형화 및 비용절감효과를 통해 경제적으로 고농도의 질소 함유 반류수내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을 구성하는 아질산화반응조의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조(10)에 저장된 반류수를 유입받아 반류수내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산화시켜 부분아질산화를 수행하는 아질산화반응조(20); 상기 아질산화반응조(10)에서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일어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혼합질소조정조(30); 및 상기 혼합질소조정조(30)로부터 유입된 폐수내 잔류 유기물을 이용하여, 혐기조건하에 혐기성탈질을 수행하여 처리수내 질소를 제거하는 혐기성탈질조(40)를 포함한다. 부호 50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치가능한 일반적인 종래의 탈질기이다.
상기 저류조(10)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단의 하수 슬러지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반류수를 저장하고, 후속하는 아질산화반응조(20)에 반류수를 공급한다.
상기 아질산화반응조(20)는 바람직하게는 용존산소의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폐수와 미생물이 잘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 미세기포를 공급하되, 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를 물에 부딪쳐 발생하는 초미세기포를 반응조내 공급하는 초미세기포발생기가 일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아질산화반응조(20)는 도 2a 및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질산화반응조(20) 하부에 미세기포가 공급되는 기포유입부(21), 상기 유입된 미세기포에 의해 교반되는 반류수가 산화되는 수직형 실린더로 이루어진 반응부(22)를 포함한다.
기포유입부(21)는 미세기포공급기(60)로부터 미세기포를 공급받아 반응부(22) 내부의 처리공간으로 투입시키는 부위로써, 이를 위해 말단은 분산노즐 혹은 디퓨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응부(22) 내부에 투입된 미세기포는 처리수내 투입되어 처리수 전체를 골고루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적절한 용존산소량을 유지시켜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미세기포공급기(60)는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이용한다.
미세기포공급기(6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공기압축기(또는 컴프레셔)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기포공급기(60)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처리수펌프(미도시)와 상기 공기압축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펌프가 공급하는 처리수와 상기 공기압축기가 공급하는 공기를 혼합실(미도시)에서 충돌시켜 발생하는 초미세기포(수 nm~ 수 mm)를 함유한 처리수를 제공하는 형태의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한다. 전자의 경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3 kg/㎠의 고압의 공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미세기포공급기(60)는 처리수펌프, 공기압축기, 혼합실, 및 상기 혼합실에서 생성된 수 nm~ 수 mm 정도의 초미세기포를 함유한 처리수를 기포유입구(21)에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펌프의 압력은 3~5 k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공급기(60)는 바람직하게는 간헐적으로 운전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아질산화반응조(20)에 투입되는 미생물은 반류수내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산화시켜 아질산을 생성하는 미생물(암모늄산화성균으로, 예로 Proteobacteria 속균)인 한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미생물은 그래뉼화된 것을 이용함으로써, 부하변동에 강하고 반응조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미생물의 그래뉼화를 위해서는 시판되는 것을 그대로 구입하여 이용하여도 좋고, 등록특허 제10-0446576호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아질산화의 정도가 반류수내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50% 정도만 아질산성 질소로 축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 반응조 내 온도는 30~40℃, 용존산소의 농도는 2~4mg/L, pH는 6.5~8.5, 체류시간 0.5~2일이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는 암모니아 산화균의 성장이 아질산 산화균의 성장속도보다 높아 아질산성 질소가 축적진다.
상기 아질산화반응조(20)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내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외부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교반봉(24) 및 측벽에 초음파 발생기(23)가 상기 교반봉의 상하부에 각각 더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원통형상의 교반봉(24)은 교반봉의 표면근처에서 수직으로 회전하는 일련의 다수의 와류셀을 형성하여 처리수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을 유도하고, 측벽에 장착된 초음파 발생기를 통해 교반봉의 표면상단에 형성된 와류셀에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처리수의 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균질한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킨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부(22)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반응블럭(25)으로 구획되며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반응블럭은 일측부에 층간연통부(26)를 통해 상호 연통되며, 층간연통부의 하부에 가이드부(27)가 설치되어 반응물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응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초미세기포에 의해 교반되는 반류수가 산화되는 상하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반응블럭(25)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반응블록들은 각 반응블럭의 상면의 일측부에 형성된 층간연통부를 통해 상호 연통되되, 상기 층간연통부의 하부에는 가이드부(27)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각 반응블록의 상단측부에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은 경사면을 갖고, 상면은 반응블록의 상면과 수평하게 이루어져 반응물이 수평방향으로 상기 층간연통부로 안내되어 상부 반응블록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단의 반응블럭(25) 내부에서 와류가 형성되어 반응물이 미생물과 함께 보다 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기 되어 반응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이 좋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반응블록(20)에 유입된 반류수는 반응블록의 상단측부에 수평하게 돌출된 가이드부(27)에 의해 안내되어 상부의 인접한 반응블록(25)내로 층간연통부(26)를 경유하여 유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 아질산화 반응이 수행된 처리수는 혼합질소조정조(30)에서 이후 최적의 탈질이 일어날 수 있도록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저류조(10)에서 배출되는 반류수를 혼합조정라인(31)을 통해 혼합질소조정조(30)로 유입시켜 농도를 조절하게 되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회수라인(32)을 통해 저류조(10)로 회수하여 산화과정을 통해 아질산성 질소로의 전환을 유도하여 줄 필요가 있다. 또, 혼합질소조정조(30)에서는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회수라인을 통해 저류조(10)로 회수하여 환원과정을 통해 아질산성 질소로의 전환을 유도하여 줄 필요가 있다. 후속하는 독립영양방식의 혐기성 탈질(또는 혐기성 암모늄산화)을 수행하기 위해,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일어난 처리수를 30~40℃, 6.5~8.5의 pH 조건하에,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이 1.2:1~1.4:1, 바람직하게는 1.3:1이 되도록 농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혼합질소조정조(30)는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실시간 온라인 수질분석장치(100)(예로, LOC(Lap On Chip)기반 수질자동분석 장치로 소프트웨어센서를 결합한 제품(농심 NDS사, 한국))를 연동시켜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혼합조정라인(31)과 회수라인(32) 상에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81a,81b)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유량조절밸브(82a,82b)가 각 라인상에 장착되어 혼합질소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온라인 수질분석장치(100)로부터 얻은 농도정보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게 된다.
혐기성 탈질조(40)는 상기 혼합질소조정조(30)로부터 유입된 폐수내 잔류 유기물을 이용하여, 혐기조건하에 혐기성 탈질을 수행하여 처리수내 질소를 제거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은 외부탄소원이 필요없이 상기 혼합질소조정조(30)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내 잔류 유기물만을 이용하여, 탈질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반응온도 30~40℃, 6.5~8.5의 pH 조건하에, 1~2일의 체류시간이 요구되어지며, 반응식은 아래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반응식]
NH4 ++1.3NO2 -+0.042CO2 → 0.042(미생물세포)+N2+0.22NO3 -+0.08OH-+1.87H2O
상기 혐기성 탈질조(40)에 사용되는 탈질균은 기존의 혐기성 암모늄산화균(예로, 상품명 ANAMMOX 등)인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그래뉼화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부하변화에 강하고 반응조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반응을 빠른 시간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써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용량 처리용량 50L/d를 기준으로 반류수를 암모늄산화균(AOB)이 그래뉼 상태로 투입된 아질산화반응조에 투입하고, 초미세기포발생기를 이용하여 반응조내에 간헐적으로 초미세기포를 발생시켜 35℃, 용존산소농도 2mg/L, pH 7.0, 2일의 체류시간이 되도록 반응시켜 반류수 중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가 50%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아질산화반응조에서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일어난 처리수에 저류조의 폐수를 혼합조정라인을 통해 투입받아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이 1.3:1이 되도록 농도를 조절하였고, 이때 혼합질소조정조내 온도는 35℃, pH는 7.0이었다. 혼합질소조정조에서 혼합조정된 처리수를 혐기성 암모늄산화균이 그래뉼상으로 투입된 혐기성 탈질조내에 투입하되, 별도의 외부탄소원을 투입함이 없이 유입된 처리수내 잔류 유기물만을 이용하여, 35℃, pH 7.0 조건하에, 2일의 체류시간으로 혐기조건하에 탈질을 진행시켰다.
실험결과, 공지된 수질공정시험방법에 따라 산소요구량 절감율, 반류수 질소제거효율, 총질소 제거율, 슬러지 저감율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류수 처리용량 50L/d를 기준으로 기존 질소처리공정(기존의 아질산-아탈질 공정) 대비 32%의 산소요구량이 절감(송풍에너지 기준)되었고, 반류수 질소제거효율은 0.95 kg-N/m3·day으로, 반류수 총질소 제거율이 9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슬러지 저감율은 20 %로 나타났다.
항목 효과
총질소 제거율 94%
반류수 질소제거효율 0.96kg-N/m3·day
슬러지 저감율 18.6%
산소요구량 절감율 33%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반류수내 총질소 제거율 내지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율, 슬러지 저감효과 내지 산소요구량을 기존대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 반류수 내 질소제거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장치 소형화 및 비용절감효과를 통해 경제적으로 고농도의 질소 함유 반류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저류조
20: 아질산화반응조
21: 기포유입부
22: 반응부
23: 초음파 발생기
24: 원통형 교반봉
25: 반응블록
26: 층간연통부
27: 가이드부
30: 혼합질소조정조
40: 혐기성 탈질기
50: 추가 탈질기
60: 미세기포공급기
70: 컨트롤러
81a,82a: 액추에이터
81b,82b: 유량조절밸브
100: 온라인 수질분석장치

Claims (4)

  1. 하부에 초미세기포가 공급되는 기포유입부,
    상기 기포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초미세기포에 의해 교반되는 반류수가 산화되는 상하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반응블럭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반응블록들은 각 반응블럭의 상면의 일측부에 형성된 층간연통부를 통해 상호 연통되되, 상기 층간연통부의 하부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각 반응블록의 상단측부에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은 경사면을 갖고, 상면은 반응블록의 상면과 수평하게 이루어져 반응물이 수평방향으로 상기 층간연통부로 안내되어 상부 반응블록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반응부, 및
    상기 반응부에 함유되어 아질산화반응을 수행하는 그래뉼화된 암모늄산화성균을 포함하여, 저류조에 저장된 반류수를 상기 반응부로 유입받아 반류수내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산화시켜 부분아질산화를 수행하되, 내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외부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교반봉 및 측벽에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되어 상기 교반봉의 표면상단에 형성된 반류수의 와류셀에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가하여 반류수를 혼합하여 아질산화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조내 온도는 35℃, 용존산소의 농도는 2mg/L, pH는 7.0, 체류시간 2일로 유지되는 아질산화반응조;
    공기압축기와 아질산화반응조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되는 처리수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 펌프가 공급하는 아질산화반응조내 처리수와 상기 공기압축기가 공급하는 기체를 혼합실에서 충돌시켜 발생하는 산소를 함유하는 초미세기포를 아질신화 반응조 내에 공급하는 미세기포공급기;
    상기 아질산화반응조에서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일어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되, 상기 부분아질산화 반응이 일어난 처리수를 35℃, pH 7.0의 조건하에,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혼합비율이 1.3:1이 되도록 농도를 조절하는 혼합질소조정조;
    혼합질소조정조에 유입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저류조에서 배출되는 반류수를 혼합질소조정조에 이송하는 혼합조정라인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혼합질소조정조로부터 저류조로 처리수를 회수하여 산화과정을 통해 아질산성 질소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혼합질소조정조로부터 저류조로 처리수를 회수하여 환원과정을 통해 아질산성 질소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회수라인;
    그래뉼화된 혐기성 암모늄산화균을 포함하며, 외부 탄소원이 필요없이 상기 혼합질소조정조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내 잔류 유기물만을 이용하여, 혐기조건하에 혐기성 탈질을 수행하되, 반응온도 35℃, pH 7.0의 조건하에 체류시간 2일로 조절하여 처리수내 질소를 제거하는 혐기성탈질조; 및
    상기 혼합질소조정조 내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실시간 측정하기 위한 온라인 수질분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조정라인과 회수라인상에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자동유량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라인 수질분석장치로부터 얻은 농도정보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혼합질소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류수의 질소제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64573A 2015-11-24 2015-11-24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Active KR10169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73A KR101691439B1 (ko) 2015-11-24 2015-11-24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73A KR101691439B1 (ko) 2015-11-24 2015-11-24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439B1 true KR101691439B1 (ko) 2016-12-30

Family

ID=5773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73A Active KR101691439B1 (ko) 2015-11-24 2015-11-24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4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896B1 (ko) * 2017-02-23 2018-03-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을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공정의 오폐수 처리장치
CN109467190A (zh) * 2018-12-25 2019-03-15 湖南智水环境工程有限公司 自动调节混合液回流量的系统
KR20190142521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부강테크 젖소분뇨 처리장치 및 방법
WO2021125367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산업폐수 배출장치
CN116621339A (zh) * 2023-07-26 2023-08-22 湖南三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器的精控脱氮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144A (ko) * 2001-04-18 2002-10-26 주식회사 환경비젼이십일 일체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719434B1 (ko) * 2006-02-16 2007-05-17 민경석 혐기성 처리수의 고농도 질소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371367B1 (ko) * 2013-11-05 2014-03-12 우광재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수처리설비
KR20150080493A (ko) * 2012-09-13 2015-07-09 디.시. 워터 앤 수어 오쏘러티 폐수 처리에서 질소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144A (ko) * 2001-04-18 2002-10-26 주식회사 환경비젼이십일 일체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719434B1 (ko) * 2006-02-16 2007-05-17 민경석 혐기성 처리수의 고농도 질소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150080493A (ko) * 2012-09-13 2015-07-09 디.시. 워터 앤 수어 오쏘러티 폐수 처리에서 질소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71367B1 (ko) * 2013-11-05 2014-03-12 우광재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수처리설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896B1 (ko) * 2017-02-23 2018-03-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을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공정의 오폐수 처리장치
WO2018155802A1 (ko) * 2017-02-23 2018-08-30 주식회사 부강테크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을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공정의 오폐수 처리장치
US10899642B2 (en) 2017-02-23 2021-01-26 Bkt Co., Lt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hortcut nitrogen removal using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nd partial nitritation using ammonium oxidizing bacteria granules
KR20190142521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부강테크 젖소분뇨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15656B1 (ko) * 2018-06-18 2021-02-15 주식회사 부강테크 젖소분뇨 처리장치 및 방법
US11365143B2 (en) 2018-06-18 2022-06-21 Bkt Co., Ltd. Cow excreta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9467190A (zh) * 2018-12-25 2019-03-15 湖南智水环境工程有限公司 自动调节混合液回流量的系统
CN109467190B (zh) * 2018-12-25 2024-06-04 湖南智水环境科技有限公司 自动调节混合液回流量的系统
WO2021125367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산업폐수 배출장치
CN116621339A (zh) * 2023-07-26 2023-08-22 湖南三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器的精控脱氮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CN116621339B (zh) * 2023-07-26 2023-12-01 湖南三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器的精控脱氮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laz et al. Nitrogen removal in domestic wastewater. Effect of nitrate recycling and COD/N ratio
KR20170009155A (ko)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KR101691439B1 (ko)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KR101473050B1 (ko) 생물학적 질소 제거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담체
CN101023034B (zh) 同时去除废水中的生化需氧量(bod)和磷酸盐的方法
KR101831900B1 (ko) 폐수 내 질소 제거 방법
JP4691938B2 (ja) 窒素含有液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06673192A (zh) 厌氧氨氧化去除垃圾渗滤液中总氮的工艺及专用装置
KR20190016647A (ko) 질소처리효율이 향상된 하수처리시스템
CN104609665A (zh) 草甘膦生产废水处理集成化工艺
CN113248060B (zh) 一种稀土高铵废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105565581B (zh) 煤制乙烯污水综合处理方法
CN111072233A (zh) 一种离子型稀土矿废水处理装置及工艺
KR101471053B1 (ko) 고속 유기물 산화조를 갖는 가축분뇨 처리장치
JP2003033785A (ja) 脱窒方法及び脱窒装置
CN109502899A (zh) 化学镀废水处理及回用方法
JP2008114215A (ja) 汚泥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107739094A (zh) 一种高效脱氮反应系统及方法
EP2526067B1 (en) A process for the thermophilic aerobic treatment of concentrated organic waste water and the related plant
KR101774829B1 (ko) 고농도 질소 함유 하수처리시스템
US20070045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Sagir-Kurt A pilot-scale study on the partial nitritation-anammox process for treatment of anaerobic sludge digester effluent
CN1309096A (zh) 处理高浓度废水的方法和装置
KR20170009156A (ko)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방법
Vanotti et al. Technology for recovery of phosphorus from animal wastewater through 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