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110B1 -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1110B1 KR101691110B1 KR1020150097530A KR20150097530A KR101691110B1 KR 101691110 B1 KR101691110 B1 KR 101691110B1 KR 1020150097530 A KR1020150097530 A KR 1020150097530A KR 20150097530 A KR20150097530 A KR 20150097530A KR 101691110 B1 KR101691110 B1 KR 101691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front bumper
- back beam
- impact force
- absorb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2—Fluid shock absorbers, e.g. with coaxial coil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은, 차량의 프런트 범퍼 후방에 구비되는 백빔; 백빔과 차량의 사이드 멤버 사이에 구비되는 크래쉬박스; 및 백빔과 크래쉬박스를 연결하는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고, 충격흡수유닛은, 프런트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크래쉬박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속 충돌시 잦은 손상이 방지되어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가 증가하며,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disclosed.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beam provided behind a front bumper of a vehicle; A crash box provided between the back beam and a side member of the vehicle; And a shock absorbing unit connecting the back beam and the crash box, wherein the shock absorbing unit transfers the impact force to the crash box while absorbing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front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equent damage during low-speed collision, thereby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in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amount of shock that can be absorbed, and restricting the bumper repair to only the collision-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속 충돌시 잦은 손상이 방지되어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가 증가하며,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고, 변경된 저속충돌시험 조건에 대해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tributed shock absorbing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tributed shock absorbing structure capable of limiting the bumper repair to only the collision proximal portion in a corner crash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horizontal length in a resilient manner for the modified low speed collision test conditions.
프런트 범퍼 시스템은 차체 최전방에 장착되어 저속 충돌 시 차량 손상을 방지하고 승객을 보호해주는 부품으로서, 바깥쪽에 구비되는 범퍼 커버,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막아 차체를 보호하는 범퍼 백빔, 범퍼 백빔과 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사이드 멤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크래쉬 박스 등으로 구성된다. The front bumper system is mounted at the forefront of the vehicle body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during low-speed collision and to protect passengers. It includes a bumper cover on the outside, a bumper back beam that protects the body from external impacts, And a crash box that prevents deformation of the side members between the frame members.
종래 프런트 범퍼 시스템의 공지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5564호 및 제1495885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As a known technique of a conventional front bumper syst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s. 1305564 and 1495885 and the like are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프런트 범퍼 시스템은 저속 충돌시에도 스틸 박스 형상의 범퍼 백빔과 범퍼 스테이가 쉽게 손상되어 교체 비용이 자주 발생하고, 심한 충격시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의 범위가 작은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ront bumper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steel box-shaped bumper back beam and the bumper stay are easily damaged even at a low-speed collision, resulting in frequent replacement cost and a limited range of energy that can be absorbed in a severe impact.
또한, 종래의 프런트 범퍼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 코너 부분에만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이 아닌 범퍼 백빔 전체를 수리해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ront bumper system, even if a collision occurs only in the front corner portion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cost that the bumper repair needs to repair the entire bumper back beam rather than only the collision proximal portion.
현재는 IIHS(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저속충돌 대응 방향이 변경되어 충돌시 차량 정면의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증가(차량 전폭의 15% offset량 + 40mm)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범퍼 백빔은 수평방향의 길이 증가에 대응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direction of the IIHS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low-speed collision is changed to increase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front face (15% offset amount of the vehicle width + 40mm)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the conventional integrated bump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ope with an increase in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속 충돌시 잦은 손상이 방지되어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가 증가하며,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고, 변경된 저속충돌시험 조건에 대해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cost of replacement by preventing frequent damage during low speed collisions, increase the amount of shock that can be absorbed, limit the bumper repair to only the collision proximal portion at the front corner crash of the vehicle, And to provide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that is adapted to be able to flexibly increase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low speed impact test condition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프런트 범퍼 후방에 구비되는 백빔; 상기 백빔과 차량의 사이드 멤버 사이에 구비되는 크래쉬박스; 및 상기 백빔과 상기 크래쉬박스를 연결하는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프런트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상기 크래쉬박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back beam provided behind a front bumper of a vehicle; A crash box provided between the back beam and a side member of the vehicle; And a shock absorbing unit connecting the back beam and the crash box, wherein the shock absorbing unit transfers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front bumper to the crash box while absorbing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front bumper. This is accomplished by a front bumper system.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크래쉬박스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백빔과 결합되는 제1 흡수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흡수부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백빔과 결합되는 제2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부와 상기 제2 흡수부는, 상기 프런트 범퍼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과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하여 흡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shock absorbing unit comprises: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crash box; A first absorber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back beam; And a second absorb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absorbing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back beam from the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bsorbing portion and the second absorbing portion absorb impact force applied in front of the front bumper, So as to disperse and absorb the impact force.
양단부가 상기 백빔의 단부와 상기 제2 흡수부에 결합된 측면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범퍼의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은 상기 측면보강재를 통한 상기 백빔의 휨 변형을 통해 상기 제1 흡수부와 상기 제2 흡수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front bumper is provided with a lateral stiffener whos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back beam and the second absorbing portion, and the impact force applied from the side of the front bump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bsorbing portion To the second absorber.
상기 제1 흡수부 및 상기 제2 흡수부의 내부에는 탄성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완충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렬로 구비되는 제1 피스톤; 완충부재; 제2 피스톤; 압축스프링; 및 제3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백빔의 휨 변형시 상기 제1 피스톤이 후방으로 밀리면,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완충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제2 피스톤이 후방으로 밀리고,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제3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shock absorber for elastically absorbing an impact force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absorber and the second absorber, th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first piston arranged in a row in the hous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A buffer member; A second piston; Compression spring; And a third piston, wherein when the first piston is pushed backward at the time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back beam, the buffer member is compressed between the first piston and the second piston to push the second piston backward, And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between the second piston and the third piston to absorb the impact force.
본 발명에 의하면, 프런트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충격흡수유닛에 의해 분산 흡수되면서 크래쉬박스로 전달됨으로써, 저속 충돌시 잦은 손상이 방지되어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가 증가하며,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front bumper is dispersedly absorbed by the impact absorbing unit and transmitted to the crash box, frequent damage at low speed collision is prevented, thereby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which is configured to limit the bumper repair only to the collision proximal portion in the event of a front corner collision of the vehicle.
또한, 양단부가 백빔의 단부와 제2 흡수부에 결합된 측면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변경된 저속충돌시험 조건에 대해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oth ends further include the side reinforcement joined to the ends of the back beam and the second absor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capable of elastically increasing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nged low-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the abov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의 제1 흡수부 및 제2 흡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view of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the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Figure 1;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absorber and a second absorber of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the dispersed shock absorber structur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은, 저속 충돌시 잦은 손상이 방지되어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가 증가하며,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고, 변경된 저속충돌시험 조건에 대해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front bumper system having the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requent damage during low-speed collision to reduce replacement cost, increase the amount of shock that can be absorbed, It can be limited to only the proximity region, and it is made possible to increase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lastically with respect to the changed low speed collision test condition.
도 1은 본 발명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의 제1 흡수부 및 제2 흡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front bumper system having a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Fig. 1,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absorber and a second absorber of the front bumper system.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1)은, 저속 충돌시 잦은 손상이 방지되어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가 증가하며,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고, 변경된 저속충돌시험 조건에 대해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백빔(10), 크래쉬박스(20), 충격흡수유닛(30) 및 측면보강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ront bumper system 1 having the dispersed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requent damage during low-speed collision to reduce replacement cost, The bumper repair can be limited to only the collision proximal portion when the vehicle is collided at the front corner and can be flexibly increa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nged low speed collision test condition, (20), a shock absorbing unit (30) and a side stiffener (4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빔(10)은 차량의 프런트 범퍼 후방에서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범퍼 커버(미도시) 및 에너지옵서버(미도시) 후방에 구비되어 저속 충돌시 차량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탄성 및 소성 변형되면서 차체, 라디에이터 그릴 및 기타 주요부품을 보호한다. 1 and 2, the
크래쉬박스(20)는 저속충돌조건에서 프론트 사이드 멤버(M)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백빔(10)과 차량의 사이드 멤버(M) 사이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다. The
크래쉬박스(20)는 사각형 통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시 백빔(10)에 인가되는 충격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는 형태로서 소성 변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크래쉬박스(20)의 후단부에는 차량의 사이드 멤버(M)와 결합되는 장착플랜지(21)가 형성된다. The
백빔(10) 및 크래쉬박스(20)는 자동차 제조산업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로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유닛(30)은 프런트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크래쉬박스(2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백빔(10)과 크래쉬박스(2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충격흡수유닛(30)은 결합부(33),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결합부(33)는 크래쉬박스(2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사각형 통 형태로 형성되어 후단부에 사각형 통 행태의 크래쉬박스(20)의 전단부가 삽입된 후 용접 결합된다. The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합부(33)의 후단부에는 크래쉬박스(20)의 양쪽 측면을 각각 감싸는 수직부와, 크래쉬박스(20)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감싸는 수평부가 구비된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rear portion of the
수직부는 수평부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차량의 저속 충돌시 프런트 범퍼 시스템(1)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은 대부분 지면과 평행하므로, 수평부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된 형태의 수직부는 백빔(10)의 변형을 통해 충격흡수유닛(30) 및 크래쉬박스(20)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항하는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urther rearward than the horizontal portion. Sinc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front bumper system 1 at the time of a low-speed collision of the vehicle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a vertical portion further extending rearward than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by the deformation of the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는 프런트 범퍼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과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하여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각각이 결합부(33)로부터 사각형 통 형태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백빔(10)과 결합된다. The first absorbing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백빔(10)은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측면보강재(40)의 단부와 결합된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수부(31)는 결합부(33)의 전단부로부터 차체의 전방으로 곧장 연장되고 제2 흡수부(32)는 제1 흡수부(31)의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백빔(10)과 결합된다. 1 and 2, the firs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는 프런트 범퍼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과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소성 변형하면서 분산하여 흡수하되, 충격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분산량이 배분된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bsorbing
우선, 차량의 정면충돌시 프런트 범퍼의 중간에 F1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F1의 힘에 의해 백빔(10)의 중간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백빔(10)의 중간과 가까운 양쪽 제1 흡수부(31)가 F1을 먼저 흡수하면서 변형하게 되고, 제1 흡수부(31)가 뒤로 밀리면서 제2 흡수부(32)도 F1을 분산하여 흡수하면서 변형하게 되며,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가 분산하여 흡수한 나머지의 충격력이 크래쉬박스(20)로 전달된다. First, when F1 is applied to the middle of the front bumper in the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center of the
한편, 차량의 정면충돌시 제1 흡수부(31)와 제2 흡수부(32) 사이에 F2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F2의 힘에 의해 백빔(10)과 함께 제1 흡수부(31)와 제2 흡수부(32)가 동시에 뒤로 밀리면서 F2를 분산하여 흡수하면서 변형하게 되며,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가 분산하여 흡수한 나머지의 충격력이 크래쉬박스(20)로 전달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force F2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absorbin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보강재(40)는 프런트 범퍼의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을 백빔(10)의 휨 변형을 통해 제1 흡수부(31)와 제2 흡수부(32)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양단부가 백빔(10)의 단부와 제2 흡수부(32)에 결합된다. 1 and 2, the
종래의 프런트 범퍼 시스템은 백빔이 크래쉬박스의 바깥쪽까지 연장되어, IIHS(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의 저속충돌시험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저속충돌시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백빔의 수평방향 길이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Conventional front bumper systems require that the back beam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crash box to adjust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ack beam to meet the low speed impact test conditions when the low speed impact test conditions of the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There was a hassle.
본 발명의 프런트 범퍼 시스템(1)은 양단부가 백빔(10)의 단부와 제2 흡수부(32)에 결합되는 측면보강재(40)를 구비함으로써,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front bumper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그리고 차량의 전면에서 측방에 F3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측면보강재(40)를 통해 백빔(10),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로 충격력이 전달된다. When an impact force of F3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vehicle from the front side,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측면보강재(40)에 F3의 충격력이 전달되는 경우, F3의 충격력은 측면보강재(40)에 먼저 전달되어 측면보강재(40)에는 F3의 충격력과 함께 반시계방향의 모멘트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백빔(10)에도 반시계방향의 모멘트가 형성되면서 제2 흡수부(32)와 제1 흡수부(31)가 순차적으로 후방으로 밀리면서 분산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2, when the impact force of F3 is transmitte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저속 충돌시 제1 흡수부(31)와 제2 흡수부(32)가 백빔(10)과 크래쉬박스(20) 사이에서 충격력을 분산하여 흡수하게 됨으로써, 충격흡수유닛(30)에 의해 프런트 범퍼 시스템(1)의 충격흡수량이 증가하게 된다. The first absorbing
그리고 증가된 충격흡수량에 의해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미소한 충격에 의한 차량 수리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유닛(30) 또는 측면보강재(40)만을 교체함으로써 차량의 수리가 완료되는 이점이 있다. The bumper repair can be limited to the collision proximal portion only when the front corner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due to the increased shock absorbing amount.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의 내부에는 탄성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장치(5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shock absorber 50, which absorbs impact force elasticall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완충장치(50)는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에 인가되는 충격적을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H), 제1 피스톤(P1), 완충부재(A), 제2 피스톤(P2), 압축스프링(S), 및 제3 피스톤(P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피스톤(P1), 완충부재(A), 제2 피스톤(P2), 압축스프링(S), 및 제3 피스톤(P3)은 하우징(H) 내부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렬로 구비된다.The shock absorber 50 absorbs shocks applied to the
제1 피스톤(P1)은 제1 흡수부(31) 및 제2 흡수부(32) 내부에서 연결바(B1)에 의해 백빔(10)과 연결된다. The first piston P1 is connected to the
제1 피스톤(P1)과 제2 피스톤(P2) 사이에는 완충부재(A)가 구비된다. 완충부재(A)는 공기층을 갖는 발포수지로 구비되며, 충격력에 의한 백빔(10)의 후방 이동시 제1 피스톤(P1)과 제2 피스톤(P2)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며 충격력을 일부 흡수하게 된다. 제2 피스톤(P2)은 완충부재(A)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A buffer member (A)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iston (P1) and the second piston (P2). The cushioning member A is made of a foamed resin having an air layer and is elastically compressed between the first piston P1 and the second piston P2 when the
제2 피스톤(P2)과 제3 피스톤(P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S)이 구비된다. 압축스프링(S)은 제2 피스톤(P2)과 제3 피스톤(P3)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며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A compression spring S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iston P2 and the third piston P3. The compression spring S is resiliently compressed between the second piston P2 and the third piston P3 and absorbs the impact force.
즉, 백빔(10)의 휨 변형시 제1 피스톤(P1)이 후방으로 밀리면, 제1 피스톤(P1)과 제2 피스톤(P2) 사이에서 완충부재(A)가 압축되면서 1차로 충격력을 흡수하며, 제2 피스톤(P2)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제2 피스톤(P2)과 제3 피스톤(P3) 사이에서 압축스프링(S)이 압축되면서 2차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first piston P1 is pushed backward during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제2 피스톤(P2)과 제3 피스톤(P3) 사이에는 완충바(B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완충바(B2)는 내부가 밀폐된 공기압 실린더와 램으로 구비되며, 압축스프링(S)과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A buffer bar B2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iston P2 and the third piston P3.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buffer bar B2 is provided with a closed pneumatic cylinder and a ram, and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ompression spring S to absorb the impact force.
완충장치(50)는 소성 변형하는 제1 흡수부(31)와 제2 흡수부(32)와 동시에 충격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충격력을 소산시키게 된다. The
본 발명에 의하면, 프런트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충격흡수유닛(30)에 의해 분산 흡수되면서 크래쉬박스(20)로 전달됨으로써, 저속 충돌시 잦은 손상이 방지되어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가 증가하며, 차량의 전방 코너 충돌시 범퍼수리를 충돌 근접 부위만으로 한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front bumper is dispersedly absorbed by the
또한, 양단부가 백빔(10)의 단부와 제2 흡수부(32)에 결합된 측면보강재(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변경된 저속충돌시험 조건에 대해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both ends are further provided with the end portions of 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프런트 범퍼 시스템
B : 프런트 범퍼 M : 사이드 멤버
10 : 백빔 20 : 크래쉬박스
50 : 완충장치 21 : 장착플랜지
H : 하우징 30 : 충격흡수유닛
P1 : 제1 피스톤 31 : 제1 흡수부
A : 완충부재 32 : 제2 흡수부
P2 : 제2 피스톤 33 : 결합부
S : 압축스프링 40 : 측면보강재
B1 : 연결바
B2 : 완충부1: Front bumper system
B: Front bumper M: Side member
10: Back beam 20: Crash box
50: shock absorber 21: mounting flange
H: Housing 30: Shock absorption unit
P1: first piston 31: first absorbing portion
A: Buffer member 32: Second absorbing part
P2: second piston 33:
S: compression spring 40: side stiffener
B1: Connection bar
B2: buffer
Claims (4)
상기 백빔과 차량의 사이드 멤버 사이에 구비되는 크래쉬박스; 및
상기 백빔과 상기 크래쉬박스를 연결하는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프런트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상기 크래쉬박스로 전달하며,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크래쉬박스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백빔과 결합되는 제1 흡수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흡수부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백빔과 결합되는 제2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부와 상기 제2 흡수부는, 상기 프런트 범퍼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과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하여 흡수하며,
양단부가 상기 백빔의 단부와 상기 제2 흡수부에 결합된 측면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범퍼의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은 상기 측면보강재를 통한 상기 백빔의 휨 변형을 통해 상기 제1 흡수부와 상기 제2 흡수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A back beam provided behind the front bumper of the vehicle;
A crash box provided between the back beam and a side member of the vehicle; And
And a shock absorbing unit connecting the back beam and the crash box,
The shock absorbing unit transmits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front bumper to the crash box while absorbing the impact force,
The shock absorbing unit includes: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crash box;
A first absorber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back beam; And
And a second absorb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absorbing portion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back beam,
The first absorbing portion and the second absorbing portion disperse and absorb the impact force applied in front of the front bumper and the impact force applied laterally,
Further comprising a lateral stiffen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an end of the back beam and the second absorber,
Wherein an impact force applied from a lateral side of the front bump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bsorbing portion and the second absorbing portion through bending deformation of the back beam through the side reinforcing member.
상기 제1 흡수부 및 상기 제2 흡수부의 내부에는 탄성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완충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렬로 구비되는 제1 피스톤; 완충부재; 제2 피스톤; 압축스프링; 및 제3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백빔의 휨 변형시 상기 제1 피스톤이 후방으로 밀리면,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완충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제2 피스톤이 후방으로 밀리고,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제3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ock absorber for elastically absorbing an impact force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absorber and the second absorber,
The shock absorber may include: a first piston arranged in a row from the front to the back inside the housing; A buffer member; A second piston; Compression spring; And a third piston,
When the first piston is pushed backward at the time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back beam, the buffer member is compressed between the first piston and the second piston to push the second piston backward, and the second piston and the third piston Wherein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ion chambers to absorb the impact for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530A KR101691110B1 (en) | 2015-07-09 | 2015-07-09 |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530A KR101691110B1 (en) | 2015-07-09 | 2015-07-09 |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1110B1 true KR101691110B1 (en) | 2017-01-09 |
Family
ID=5781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7530A KR101691110B1 (en) | 2015-07-09 | 2015-07-09 |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1110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50647A (en) * | 2017-04-20 | 2017-09-12 |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 Compressible automobile collision preventing girder construction |
CN110371062A (en) * | 2019-08-19 | 2019-10-25 | 河北创泰交通工程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Efficient automobile crash energy absorption equipment |
KR102033379B1 (en) * | 2019-04-25 | 2019-11-08 | 이재현 | Scraping car system that can collect waste oil |
KR20200071899A (en) | 2018-12-11 | 2020-06-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lower crash body-structure of vehicle |
KR20200074318A (en) | 2018-12-14 | 2020-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
KR20200119527A (en) | 2019-04-10 | 2020-10-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support for vehicle |
CN114426020A (en) * | 2022-03-02 | 2022-05-03 | 江苏理工学院 | An automobile anti-collision warning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40869A (en) * | 1995-05-11 | 1996-12-17 | 김곤태 | Shock Absorber of Automobile Bumper |
JP2000062551A (en) * | 1998-08-18 | 2000-02-29 | Nippon Light Metal Co Ltd | Bumper structure |
JP2013169866A (en) * | 2012-02-20 | 2013-09-02 | Toyota Motor Corp |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
KR101305564B1 (en) | 2011-12-12 | 2013-09-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ubular back beam for vehicle |
KR101316876B1 (en) * | 2012-07-03 | 2013-10-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KR101495885B1 (en) | 2012-06-13 | 2015-03-02 | 정운덕 | a Bumper back beam for vehicle |
-
2015
- 2015-07-09 KR KR1020150097530A patent/KR10169111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40869A (en) * | 1995-05-11 | 1996-12-17 | 김곤태 | Shock Absorber of Automobile Bumper |
JP2000062551A (en) * | 1998-08-18 | 2000-02-29 | Nippon Light Metal Co Ltd | Bumper structure |
KR101305564B1 (en) | 2011-12-12 | 2013-09-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ubular back beam for vehicle |
JP2013169866A (en) * | 2012-02-20 | 2013-09-02 | Toyota Motor Corp |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
KR101495885B1 (en) | 2012-06-13 | 2015-03-02 | 정운덕 | a Bumper back beam for vehicle |
KR101316876B1 (en) * | 2012-07-03 | 2013-10-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50647A (en) * | 2017-04-20 | 2017-09-12 |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 Compressible automobile collision preventing girder construction |
KR20200071899A (en) | 2018-12-11 | 2020-06-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lower crash body-structure of vehicle |
KR20200074318A (en) | 2018-12-14 | 2020-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
KR20200119527A (en) | 2019-04-10 | 2020-10-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support for vehicle |
US11046364B2 (en) | 2019-04-10 | 2021-06-29 | Hyundai Motor Company | Front support for vehicle |
KR102033379B1 (en) * | 2019-04-25 | 2019-11-08 | 이재현 | Scraping car system that can collect waste oil |
CN110371062A (en) * | 2019-08-19 | 2019-10-25 | 河北创泰交通工程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Efficient automobile crash energy absorption equipment |
CN114426020A (en) * | 2022-03-02 | 2022-05-03 | 江苏理工学院 | An automobile anti-collision warning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1110B1 (en) |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
KR101316876B1 (en)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
US20140361559A1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KR101416387B1 (en) | Frontal collisio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 |
KR102691483B1 (en) | Front support for vehicle | |
CN107148373A (en) | Pedestrian protection for motor vehicle | |
CN110497871A (en) | Chassis for motor vehicles | |
KR102371239B1 (en) |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
KR20140013635A (en) | Energy absorbing structure of bumper for vehicle | |
KR20130136302A (en)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
KR101393550B1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JP5824848B2 (en) | Front underrun protector | |
JP4539320B2 (en) | Mounting structure of tow hook for vehicle | |
KR102329994B1 (en) | A device for absorbing shock of a rear end collision | |
KR101724897B1 (en) | Rear side member | |
KR101755495B1 (en) |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front collision | |
KR101890855B1 (en) | Front And Module | |
JP6630550B2 (en) | Shock absorbing underrun protector | |
KR101523851B1 (en) | Front side member with collision avoidance structure for vehicle | |
KR102104742B1 (en) | A device for absorbing shock of a rear end collision for a High Weight vehicle | |
KR102315841B1 (en) | A device for absorbing shock of a rear end collision | |
KR20140074595A (en) | Crash box | |
CN104108360A (en) | Automobile shock absorber structure | |
JP6178697B2 (en) | Shock absorbing member | |
KR20090059193A (en) | Bumper Back Beam for Ca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