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0962B1 - 고기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62B1
KR101690962B1 KR1020160098760A KR20160098760A KR101690962B1 KR 101690962 B1 KR101690962 B1 KR 101690962B1 KR 1020160098760 A KR1020160098760 A KR 1020160098760A KR 20160098760 A KR20160098760 A KR 20160098760A KR 101690962 B1 KR101690962 B1 KR 10169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plate
opening
firebox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9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962B1/ko
Priority to PCT/KR2016/008735 priority patent/WO2018026041A1/ko
Priority to CN201611138617.5A priority patent/CN10768435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 중앙에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화구(火口)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 상에 적층되어, 바닥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가 상기 개방공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받이통과; 상기 화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을 통해 상기 화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각 블레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는 토션팬(torsion fan)과; 상기 토션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의 양력조절판; 및 상기 물받이통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토션팬과 상기 양력조절판이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기구이용 불판{MEAT ROASTING GRILL PAN}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구조를 갖는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기구이용 불판은 화력이 제공되는 화구 위로 단순히 고기구이용 구이판만을 탑재시킨 구조인 관계로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 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통(1) 중앙의 화구(火口, 2) 상에 불배분기(3)를 탑재함으로써 상기 화구(2)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불배분기(3)의 관통공(4)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열기는 그 상부를 덮고 있는 덮개(5)에 의해 측면으로 분산되어 상승하는 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흩어짐으로 인해 상부의 구이판(도면 미도시)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특허등록 제10-1563550호 '고기구이용 불판'(등록일자: 2015.10.21.)에 개시된 발명을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구(11a)의 상부에 토션판(14)을 수평으로 탑재하여 표면에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장공(14b)을 관통 형성하고 각 장공마다 일정한 원주방향으로 경사덮개(14c)를 형성하였으며, 토션판(14)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아래로 볼록한 원반형 판으로서 내측에 다수의 관통공(15b)이 형성된 양력조절판(15)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화구(11a)에서 상승된 열기가 토션판(14)의 장공(14b)을 통과하면서 경사덮개(14c)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하고, 그 상부의 양력조절판(15)을 타고 상승하는 기류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부의 구이판(13)까지 도달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의해서도 토션판(14)의 장공(14b)을 통과한 열기의 일부가 경사덮개(14c)에 의해 방사상으로 흩어져 소실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또한, 본체통(11)에 담겨지는 물이 화구(11a)의 하측에 놓이게 되는 가스버너 등에 가열되는 경우 기름받이통(12)과의 틈새로 쉽게 증발되는 관계로 보충수 주입구(11c)를 통해 수시로 보충해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고기를 굽는 도중에 구이판(13)으로부터 떨어진 기름이 기름받이통(12)의 가열로 인해 연소됨에 따라 연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름받이통(12)의 청소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선적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보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름의 연소로 인한 연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기름받이통의 관리가 편리한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바닥 중앙에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화구(火口)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 상에 적층되어, 바닥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가 상기 개방공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받이통과; 상기 화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을 통해 상기 화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각 블레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는 토션팬(torsion fan)과; 상기 토션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의 양력조절판; 및 상기 물받이통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토션팬과 상기 양력조절판이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는 상기 테두리벽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끼움편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구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화구에 이웃하여 하향의 경사면부와 바닥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경사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의 기단부와 수직의 테두리벽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름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개방공이 상기 경사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방공에 이웃하여 상향의 굴곡면부와 하향의 굴곡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수평의 기단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수평의 돌출단부와 하향의 테두리경사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기구이용 불판은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에 끼워지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경사면부는 상기 실링부재를 매개로 상기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통은 상기 하향의 굴곡면부의 외측에 이웃하여 받침면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받침면부는 상기 바닥면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에 의하면 토션팬을 이루는 각 블레이드가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아래의 화구로부터 올라오는 열기가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면을 타고 상향 경사면으로 흘러 상측으로 전달됨과 함께 상기 열기의 일부는 상부의 양력조절판의 저면을 타고 다시 상향 경사면의 상면을 타고 하향 경사면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구를 통해 상승하는 열기가 토션팬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금방 흩어지지 않고 비교적 오래 머물게 됨으로써 종래기술과 달리 방사상으로 흩어지는 열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 플레이트의 테두리벽을 통해 화구로부터 상승되는 열기가 반경방향으로 전달됨으로써 기름받이통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름받이통의 내측 개방공에 이웃한 상향의 굴곡면부가 물받이통의 화구에 이웃한 하향의 경사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틈을 통해서만 적정량의 수증기가 상승하여 화구측 열기와 함께 토션팬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고기가 맛있게 구워지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적정량의 수분이 유입됨으로 인해 고기가 과도하게 구워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육즙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물받이통에 저장된 물의 증발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물보충의 양 내지 빈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 대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고기구이용 불판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가상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고기구이용 불판에서 구이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받침대 플레이트, 토션팬 및 양력조절판의 결합품을 저면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품에서 받침대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화구(111)가 형성된 물받이통(110), 이 물받이통(110)의 상부에 포개어져 덮이는 기름받이통(120), 이 기름받이통(120)의 중앙 개방공(121)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화구(111) 상에 탑재되는 받침대 플레이트(160), 토션팬(torsion fan, 140) 및 양력조절판(150)의 결합, 기름받이통(120)의 상부에 덮이는 구이판(130), 기름받이통(120)의 테두리 하단에 끼워지는 실링부재(180)를 포함한다.
물받이통(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의 화구(111)에 이웃하여 하향의 경사면부(112)와 바닥면부(113)가 순차로 연장 형성된다. 바닥면부(113)의 외측으로는 수직으로 상승된 위치에 수평의 기단부(114)가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형성되는 수직의 테두리벽부(115)에 의해 마감된다. 물은 상기 바닥면부(113)로부터 차오르게 된다.
기름받이통(120)은 내측의 개방공(121)이 상기한 경사면부(112)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물받이통(110) 내의 물은 증발하여 상기 개방공(121)과 경사면부(112)의 좁은 틈새로 배출되어 화구(111)의 테두리를 타고 상승하게 된다.
개방공(121)의 외측으로는 이와 이웃하여 상향의 굴곡면부(122)와 하향의 굴곡면부(123)가 순차로 연장 형성된다.
하향의 굴곡면부(123)의 외측으로는 기름받이면이 되는 수평의 받침면부(124)가 이웃하여 연장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는 수직으로 상승된 위치에 수평의 돌출단부(125)가 상기한 수평의 기단부(114) 상부에 대응되게 배치하며, 그 외측으로는 하향의 테두리경사면부(126)가 이웃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경사면부(126)의 말단은 실리콘 재질의 실링부재(180)가 끼워져 이를 통해 기단부(114)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기름받이통(120)은 그 전체 테두리에 걸쳐 상기 기단부(114)에 밀착 지지되어 물받이통(110)을 덮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물받이통(110)의 물은 증발 시 내측의 개방공(121)과 경사면부(112)의 사이로만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 경우, 물받이통(110)의 경사면부(112)를 타고 상승하는 수증기는 개방공(121)과의 좁은 틈새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상향의 굴곡면부(122)와 하향의 굴곡면부(123)를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방울로 응집되어 다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물받이통(110)은 화구(111)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굴곡을 이루어 링(111a)이 형성되고, 기름받이통(120)은 개방공(121)의 테두리 부분에서 하측으로 굴곡을 이루어 링(121a)이 형성됨으로써, 사람이 불판(10)을 들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물받이통(110) 내의 물이 화구(111)의 내측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주도록 기능한다.
도 6 및 도 9에서,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71)의 코일 갯수에 따라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하 볼트(도 7의 172) 및 너트(173)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된다. 화력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71)의 코일 갯수를 늘려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의 사이 간격을 넓히고, 반대로 화력을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71)의 코일 갯수를 줄여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의 사이 간격을 좁힌다.
토션팬(14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가 형성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각 블레이드(141)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141a)을 이루고 타측이 상항 경사면(141c)을 이루며 그 사이의 수평면(141b)을 이룬다.
이러한 블레이드(141)의 형상에 따라, 하부의 화구(111)로부터 받침대 플레이트(160)를 통과하여 토션팬(140)으로 상승하는 열기는, 화살표를 따라 하향 경사면(141a)의 저면을 지나 상향 경사면(141c) 측으로 이동한 다음, 이웃하는 블레이드(141)와의 사이 간격을 통해 상승한 일부 열기가 상부의 양력조절판(150)과의 사이에서 다시 좌측으로 밀려나 상향 경사면(141c)의 상면을 따라 하향 경사면(141a)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형상의 토션팬(140)에 의해 상승하는 열기를 오래도록 가두어두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받침대 플레이트(160)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개구(開口, 161)가 형성되어 화구(도 6의 111)에 대응하고(도 6 참조), 개구(161)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162)을 통해 상기 화구(111)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된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화구(111)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는 상기 테두리벽(162)에 의해 차단되어 반경방향으로 흘러나오지 못하고 대부분 상승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상향의 굴곡면부(122), 하향의 굴곡면부(123) 및 받침면부(124)의 과도한 가열을 막아줄 수 있다. 일 실험에 따르면 화구(111)의 내부온도가 300[℃]일 때 상기 테두리벽(162)을 통해 상기 굴곡면부(122, 123)와 받침면부(124)의 온도를 110[℃] 이하로 유지할 수 있었다. 결국, 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방지하고 적정량의 수분만을 배출시킬 수 있었다. 상기 실험에서 테두리벽(162)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골곡면부(122, 123)의 온도는 약 200[℃]로 상기 받침면부(124)의 온도는 약 170[℃]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과도한 수분증발이 발생하였다.
테두리벽(162)의 하단으로는 다수의 끼움편(163)이 돌출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구(111)의 테두리 외측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 플레이트(160) 및 그 상부에 고정되는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이 안정적으로 화구(11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에서, 받침대 플레이트(160)의 상면으로는 토션팬(140)의 각 하향 경사면(141a)의 말단이 접촉하여 서로 용접됨으로써 일체화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고기구이용 불판 110: 물받이통
111: 화구 112: 경사면부
113: 바닥면부 114: 기단부
115: 테두리벽부 120: 기름받이통
121: 개방공 122: 상향의 굴곡면부
123: 하향의 굴곡면부 124: 받침면부
125: 돌출단부 126: 테두리경사면부
130: 구이판 140: 토션팬(torsion fan)
141: 블레이드 141a: 하향 경사면
141b: 수평면 141c: 상향 경사면
150: 양력조절판 160: 받침대 플레이트
161: 개구(開口) 162: 테두리벽
163: 끼움편 171: 코일스프링
172: 볼트 173: 너트
180: 실링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바닥 중앙에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화구(火口)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 상에 적층되어, 바닥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가 상기 개방공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받이통과; 상기 화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을 통해 상기 화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각 블레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는 토션팬(torsion fan)과; 상기 토션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의 양력조절판; 및 상기 물받이통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토션팬과 상기 양력조절판이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는 상기 테두리벽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끼움편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구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끼워지며,
    상기 물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화구에 이웃하여 하향의 경사면부와 바닥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경사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의 기단부와 수직의 테두리벽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름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개방공이 상기 경사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방공에 이웃하여 상향의 굴곡면부와 하향의 굴곡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수평의 기단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수평의 돌출단부와 하향의 테두리경사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에 끼워지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경사면부는 상기 실링부재를 매개로 상기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통은,
    상기 하향의 굴곡면부의 외측에 이웃하여 받침면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받침면부는 상기 바닥면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KR1020160098760A 2016-08-03 2016-08-03 고기구이용 불판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760A KR101690962B1 (ko) 2016-08-03 2016-08-03 고기구이용 불판
PCT/KR2016/008735 WO2018026041A1 (ko) 2016-08-03 2016-08-09 고기구이용 불판
CN201611138617.5A CN107684353A (zh) 2016-08-03 2016-12-12 烤肉烤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760A KR101690962B1 (ko) 2016-08-03 2016-08-03 고기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962B1 true KR101690962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7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962B1 (ko) 2016-08-03 2016-08-03 고기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90962B1 (ko)
CN (1) CN107684353A (ko)
WO (1) WO20180260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896B1 (ko) *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PL425080A1 (pl) * 2018-03-29 2019-10-07 Nadolski Piotr P.P.H.U. Zyga Ognisko mobline
US11612168B1 (en) * 2018-05-15 2023-03-28 Hearth Products Controls Co. Drum smoking assembly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24U (ko) * 1999-02-23 2000-09-25 신순희 고기 구이기용 가열판
KR101522716B1 (ko) * 2014-10-16 2015-05-26 김진성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KR20160082349A (ko) * 2014-12-31 2016-07-08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742A (ko) * 2011-09-29 2013-04-08 이진솔 계단식으로 형성된 가열고기구이판
KR101379764B1 (ko) *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24U (ko) * 1999-02-23 2000-09-25 신순희 고기 구이기용 가열판
KR101522716B1 (ko) * 2014-10-16 2015-05-26 김진성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KR20160082349A (ko) * 2014-12-31 2016-07-08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896B1 (ko) *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84353A (zh) 2018-02-13
WO2018026041A1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962B1 (ko) 고기구이용 불판
US6213006B1 (en) Cooking apparatus
US10722074B2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US6205996B1 (en) Barbecue grill with radiant fire grate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US5967135A (en) Cooking device with convection powered fan and water reservoir
CN105142471B (zh) 高效防风锅型烤架
US20120266856A1 (en) Heat and Grease Deflector for a Barbecue Grill
US20160220066A1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US9532680B2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US20170251875A1 (en) Convection barbeque cooking apparatus
KR101721910B1 (ko) 직화구이 스팀 불판
US20140208962A1 (en) Grilling Apparatus
US20220071447A1 (en) Grill device that prevents burning of grilled food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US20160255995A1 (en) Stove-top barbecue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CN103654447A (zh) 滴油屏蔽及热空气导流装置以及具有其的烹饪烧烤器具
CN111281163A (zh) 一种烤盘及烤炉
KR20090001781U (ko) 고기 직화구이기
JP4353437B2 (ja) 焼成調理器
KR20200000912U (ko) 식재료의 기름이 본체에 닿지 않는 식재료구이기
KR20110027891A (ko) 무연 가스 구이기
KR20240148219A (ko) 다리 및 바람막이가 구비된 고기구이판
CN116327012A (zh) 烧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