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0782B1 -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82B1
KR101690782B1 KR1020150062870A KR20150062870A KR101690782B1 KR 101690782 B1 KR101690782 B1 KR 101690782B1 KR 1020150062870 A KR1020150062870 A KR 1020150062870A KR 20150062870 A KR20150062870 A KR 20150062870A KR 101690782 B1 KR101690782 B1 KR 10169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le
unit
projecting pin
spi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135A (ko
Inventor
최귀남
심남구
정영묵
Original Assignee
(주)익산하이테크
(주)한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산하이테크, (주)한나산업 filed Critical (주)익산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6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8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with resilient means, e.g.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사용자의 인체무게에 따른 바닥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신발 밑창이 노면과 요철형태로 접촉할 수 있어 일반상태의 노면에서 착용가능함은 물론 경사길이나 미끄러운 노면 등 다양한 노면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조작하여 착용한 후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다님을 제공하도록,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를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사용자의 인체무게에 따른 바닥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신발 밑창이 노면과 요철형태로 접촉할 수 있어 일반상태의 노면에서 착용가능함은 물론 경사길이나 미끄러운 노면 등 다양한 노면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조작하여 착용한 후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다니는 것이 가능한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구두, 작업화, 등산화 등의 신발은 주로 합성수지나 합성섬유, 가죽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부가 발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고, 신발 몸체부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인체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밑창이 일체로 부착고정되며, 밑창의 상부에는 발바닥이 접하여 발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깔창이 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로 놓이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출시 착용한 후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사용된다.
그런데 기존 신발의 경우에는 밑창의 저면에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게 요철형상의 바닥면을 형성토록 성형하지만 밑창은 신발의 특성상 소정의 강성과 함께 완충작용을 요구함에 따라 대부분 고무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겨울철 눈이 내린 눈길이나 얼음이 언 빙판길 및 경사진 산악 길 등의 노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함에 따라 보행 중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신발의 하부 밑창에 단순히 철심을 박아서 착용자의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신발들이 유통되고 있으나, 이처럼 철심이 박힌 신발의 경우 눈길이나 빙판길, 산악길이 아닌 일반적인 길에서도 신고 다녀야만 하여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고 보행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68093호(2002.08.27.)에는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신발의 밑창 내에 형성된 안내홀과, 안내홀과 동일한 위치에 천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고정지지판과, 고정지지판의 천공부에 고정되며 밑창의 안내홀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안내봉과, 고정지지판의 안내봉에 끼워져 상하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와, 고정판지지판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이동되도록 끼워지게 형성되며, 돌기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밀침수단을 갖는 이동상판으로 구성됨에 따라 겨울철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악길을 안전하게 걸을 수 있음은 물론 일반 신발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신발은 기능을 변경설정하기 위해선 당김줄을 당김 조작해야만 하여 당김줄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당김줄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그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신발기능적인 수명이 매우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신발의 밑창 내에 별도의 내부구성을 내장함은 동시에 내장재가 금속소재로 적용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은 소요됨은 물론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신발이 무게가 무거워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동시에 밑창이 쿠션감 없이 딱딱하여 보행이 매우 불편하며, 나아가 장시간 동안 신발을 착용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신발착용을 기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당김줄의 당김 조작에 따라 신발 밑창의 전체적인 영역에 구비된 모든 돌기부가 돌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설정하지 못함에 따라 착용자의 보행상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680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 밑창에 스파이크가 돌출가능하되 돌출 여부를 조작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신발의 내부구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품의 제작비용을 줄이면서 우수한 신발착용감을 도모하며, 스파이크의 돌출 여부에 따른 조작 설정이 간단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눈길 및 빙판길, 산악길에서 미끄러지는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도모함은 물론 일상 보행시에도 착용가능하여 제품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밑창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위치한 스파이크를 영역별로 구분조작가능하게 구성하므로, 오르막이나 내리막 등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사용자가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은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를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이 에어압착영역 및 유동영역으로 상하 구획구분되며 하부에 상기 제1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1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제1유닛케이스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부를 에어압착영역과 유동영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에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유동영역을 향해 하향팽창하여 상기 제1돌출핀을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제1가이드공으로부터 돌출시키는 에어팽창막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팽창막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에어압착영역을 향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유동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유동 여부를 지지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의 공기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돌출핀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2돌출핀을 수용하되 하부에 상기 제2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2가이드공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수용가능한 수용공을 형성하는 제2유닛케이스와, 상기 제2유닛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되 상기 제2돌출핀의 상향이동가능한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반발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핀에는 상부에 상기 띠조작부 중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를 수용하는 경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조절띠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케이스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할 때 상기 제2유닛케이스 상에 접촉하여 걸리도록 형성되는 접촉지지단을 구성하고, 상기 접촉지지단과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접촉지지단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에어조정부는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밑창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향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유입밸브와, 상기 밑창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밀폐시키고 외력으로부터 복원가능하게 형성되는 밀봉부재와, 상기 밑창본체의 에어포켓공간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누름 작용하여 압축된 상기 밀봉부재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에어유동로 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배출가능하되 공기배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에어제어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조정부에는 상기 밑창본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포켓공간에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유동로를 통해 이동하되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를 배출가능토록 상기 에어유동로와 상기 에어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에어배출로를 형성한다.
상기 조절띠는 상기 당김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길게 연장형성하되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주조절띠와,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이 위치한 상기 주조절띠의 한쪽 끝단마다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탄성조절띠로 구성한다.
상기 조절띠는 외부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조성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복층을 구비한다.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고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가능하게 구비하되 회전방향에 따라 외주연 상에 상기 조절띠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되는 회전감개부재를 포함한 권선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되 신발 몸체부의 후방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부재를 포함한 탈부착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당김수단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파스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의하면 밑창의 전방영역에 위치하여 공기주입 여부로 제어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함께 밑창의 후방영역에 위치하여 띠 당김 조작으로 제어되는 제2스파이크유닛을 구성하므로,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사용자가 전후 영역별 탄력적으로 설정함에 따라 신발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의하면 공기 및 띠를 설정조작하여 돌출핀이 돌출토록 구성하므로,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악길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하게 보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일반적인 길 보행시에도 항시 착용할 수 있어 신발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고 착용자로부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은 스파이크의 돌출 여부를 설정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띠 형태로 구성하므로 사용 중 고착화를 방지하면서 신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은 조절띠에 피복층을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조절띠의 강성을 높여 안정적인 당김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밑창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밑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스파이크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스파이크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스파이크유닛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2스파이크유닛의 사용사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조절띠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당김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당김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를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3), 밑창(5), 깔창(7)으로 구성되는 신발(S)에 있어서, 밑창본체(100)와, 스파이크부(200)와, 에어조정부(300)와, 띠조작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신발은 어느 하나의 신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인 운동화, 구두, 등산화, 워킹화, 기능화 등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밑창본체(10)는 일반적인 신발의 몸체부(3) 하단에 일체로 부착하여 신발(S)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의 앞 부분을 지탱하기 위한 전방영역(C1)과 발뒤꿈치를 지탱하기 위한 후방영역(C2)으로 구분하고, 신발(S)에 따라 내구성 소재로 구성된 뒷굽이 적용되는 경우 후방영역(C2)의 바닥면에 부착된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파이크부(2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용홈(130)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수용홈(130)은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방영역(C1) 및 후방영역(C2)으로 구분하여 고르게 구비된다.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로(140)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가이드로(14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후방영역(C2)에 구비한 상기 수용홈(130)마다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로(140)는 상기 띠조작부(400) 중 하기 조절띠(41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경로를 이룬다.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5)의 영역(후방영역(C2))에 형성되는 에어포켓공간(110)과,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연통하여 밑창의 전방영역(C1)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에어유동로(120)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밑창본체(100)는 에어포켓공간(110)과 상기 에어유동로(120) 및 상기 수용홈(130)과 상기 가이드로(140)가 형성된 구조로 성형구성된다.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수용가능하여 압축공기를 저장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은 상기 밑창본체(100) 내 일정량의 공기를 저장가능한 공간을 이루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수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에어유동로(120)는 상기 밑창본체(100) 내에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의 한쪽에 연통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동로(120)는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을 기점으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룬다.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를 비롯하여 상기 에어포켓공간(11) 및 상기 에어유동로(120), 상기 수용홈(130), 상기 가이드로(140)의 구성들은 모두 일체로 성형제작하여 구성한다.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신발(S)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상기 밑창본체(100)를 외부로부터 구획하도록 감싸 신발(S)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외피체(150)를 구비한다.
상기 스파이크부(20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부에 뾰족하게 돌출되어 보행시 신발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파이크부(20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방영역(C1) 및 후방영역(C2)에 걸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고르게 구비토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유동로(120)에 연통하여 내측에 공기가 유입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스파이크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방영역(C1)에 위치한 수용홈(130)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100)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211)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210)과, 상기 밑창본체(100)의 후방영역(C2)에 위치한 수용홈(130)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100)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221)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제1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행시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면이 접하는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제1돌출핀(211)을 중심으로 제1유닛케이스(213)와 에어팽창막(2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돌출핀(211)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에 위치하되 상기 에어조정부(300)를 조작설정함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예를 들면, 상기 에어조정부(300)로부터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조작하면 도 4의 (a)에서처럼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서 생성된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면 상기 에어조정부(300)로부터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조작하면 도 4의 (b)에서처럼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서 생성된 공기가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돌출핀(211)은 물과 같은 유체와의 접촉에 의해 부식이 진행됨이 없도록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는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돌출핀(211)은 물론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구비토록 수용한다.
상기 제1유닛케이스(63)는 내측이 에어압착영역(213a) 및 유동영역(213b)으로 상하 구획구분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는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경계로 상하로 나눠지되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통해 공기가 유입가능한 공간을 이루는 에어압착영역(213a)과,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을 수용하고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하로 유동가능한 공간을 이루는 유동영역(213b)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에는 상기 제1돌출핀(211)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핀(211)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1가이드공(21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하부와 상기 밑창본체(100)의 외피체(150) 사이에는 패킹부재(219)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패킹부재(219)는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내측이 중공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와 상기 외피체(150)의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유닛케이스(213)에 패킹부재(219)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기밀을 유지하여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에어팽창막(215)은 박막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내부를 에어압착영역(213a)과 유동영역(213b)으로 구획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213a)을 향한 공기의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에어팽창막(215)은 상기 에어압착영역(213a)에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유동영역(213b)을 향해 하향팽창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을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제1가이드공(214)으로부터 돌출시키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에어팽창막(215)은 우수한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제2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팽창막(215)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어팽창막(215)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에어압착영역(213a)을 향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실시예와 같이 제1스파이크유닛(210)을 구성하게 되면, 에어팽창막(215)에 대한 상향 팽창력을 높여 하향이동된 제1돌출핀(211)의 우수한 복원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제3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유동영역(213b)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원스프링(217)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원스프링(217)은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개방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에어압착영역(213a)의 공기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돌출핀(211)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3실시예와 같이 제1스파이크유닛(210)을 구성하게 되면, 에어팽창막(215)의 팽창력에 복원스프링(217)의 복원력이 더해져 제1돌출핀(211)의 보다 우수한 복원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밑창본체(100)로부터 지면을 향해 하측으로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221)을 중심으로 제2유닛케이스(223)와 반발스프링(22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제2돌출핀(221)은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띠조작부(400)의 설정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상기 띠조작부(400) 중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지면 상기 제2돌출핀(221)은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예를 들면, 도 7의 (a)에서처럼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조절띠(410)가 팽팽해짐에 따라 상기 제2돌출핀(221)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7의 (b)에서처럼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가 풀리는 경우 상기 조절띠(410)가 느슨해짐에 따라 상기 제2돌출핀(221)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돌출핀(221)에는 상부에 상기 띠조작부(400) 중 상기 조절띠(4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410)를 수용하는 경유로(222)를 구비한다. 즉 상기 당김수단(420)으로부터 상기 조절띠(410)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상에 위치한 상기 조절띠(410)가 팽팽해지면서 상기 제2돌출핀(221)이 하강토록 누르는 힘이 적용하게 된다.
상기 제2돌출핀(221)은 유체(물이나 기름 등)와의 접촉에 의해 부식이 진행됨이 없도록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금속재질을 사용하거나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우 지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해야만 하는 기능적인 특성상 강성이 보다 우수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는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 공간에 상기 제2돌출핀(221)은 물론 상기 반발스프링(225)이 수용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하부에는 상기 제2돌출핀(221)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핀(221)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2가이드공(224)을 구비한다.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측벽면에는 상기 조절띠(4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410)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공(226)을 구비한다. 즉 상기 조절띠(410)는 상기 수용공(226)을 통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내측으로 유입 수용되되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를 경유한다.
상기 반발스프링(225)은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출핀(221)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반발스프링(225)은 상기 제2돌출핀(221)의 상향이동가능한 복원력을 생성시킨다. 즉 상기 띠조작부(400)의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를 느슨하게 함에 따라 상기 제2돌출핀(221)에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2돌출핀(221)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에는 상기 띠조작부(400)를 통해 하강하여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221)의 돌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고정하는 고정지지부재(227)를 구성한다.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는 상기 띠조작부(400)의 조절띠(4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22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띠(4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수용공(226) 및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상에 내삽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지면서 상기 제2돌출핀(221)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진 만큼 상기 고정지지부재(227)가 상기 제2돌출핀(221)을 향해 직선이동되어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및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수용공(22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로부터 상기 제2돌출핀(221)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토록 고정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한쪽(제2돌출핀(221)이 위치한 쪽) 끝단은 상기 경유로(222)를 향해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게 반원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는 상기 제2돌출핀(221)을 지지해야하는 특성상 강성이 우수한 금속재료(합금강, 스테인리스강 등)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에는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전후 직선이동을 안내하여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게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안내로(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일단에는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수용공(226) 및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상에 내삽할 때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상에 접촉하여 걸리도록 형성되는 접촉지지단(228)을 구성한다. 즉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져 이동하는 상기 고정지지부재(227)가 상기 경유로(222) 및 상기 수용공(226)에 모두 내삽된 위치에서 상기 접촉지지단(228)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상에 걸려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를 멈춤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접촉지지단(228)과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사이에는 상기 접촉지지단(228)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부재(229)를 구성한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229)는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한쪽(제2돌출핀(221) 위치의 반대쪽)으로 밀어내는 복원력을 형성하므로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를 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조정부(3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파이크부(200)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에어유입밸브(310)와, 밀봉부재(320)와, 복원부재(330)와, 에어제어밸브(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외부로부터 상기 밑창본체(10)의 에어포켓공간(110)을 향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대응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설치된다. 즉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측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보행시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압축된 후 인체하중을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로부터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되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복수 개(도 3에서는 3개)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에어유입밸브(310)는 단지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을 향해 공기의 유입만을 도모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한 방향(유입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는 구조의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은 상기 밀봉부재(320)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밀봉부재(32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상부에 부착하여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이 밀봉된 구조를 이루도록 밀폐시킨다.
상기 밀봉부재(320)는 얇은 두께의 막 형태를 이루고, 상측에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복원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밀봉부재(320)는 사용자 보행시 인체하중에 의해 압축되어 눌리되 사용자가 발을 들어올려 인체하중을 제거함에 따라 복원되어 상기 에어유입밸브(310)에 의한 에어 유입을 도모한다.
상기에서 밀봉부재(320)로는 니트릴(nitrile)이나 비톤(viton), 실리콘고무 등의 강한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복원부재(33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에어포켓공간(110) 내에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복원부재(330)는 상기 밀봉부재(320)를 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복원부재(330)는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누름 작용하여 압축된 상기 밀봉부재(320)가 빠르게 복원됨에 따라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를 통한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공기가 빠르게 채워지도록 상기 밀봉부재(320)에 복원력을 전달한다.
상기에서 복원부재(330)는 소정의 관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에어조정부(30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통해 이동하되 공기가 상기 밑창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경로인 에어배출로(350)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배출로(350)는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가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유동로(120)와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경로를 이룬다.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통해 상기 에어유동로(120) 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경우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경유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따라 이동된 공기는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통해 배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통해 이동된 공기의 배출만을 도모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이 차단된 구조로서, 공기가 한 방향(배출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는 구조의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상기 밑창본체(100) 내에서 외부를 향한 공기배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개방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따라 이동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내 공기를 제거하므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을 향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폐쇄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따라 이동된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내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따라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까지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버튼조작구조나 슬라이드조작구조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띠조작부(400)는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제2돌출핀(221)에 대한 돌출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조작설정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상기 띠조작부(400)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을 향해 연장형성된 조절띠(410)와, 상기 조절띠(410)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구조의 당김수단(420)으로 구성한다.
상기 조절띠(410)는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창본체(100)의 가이드로(140)에 내삽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절띠(410)를 장방형의 띠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사용 중 고착화를 방지하면서 신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띠(410)는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제2돌출핀(221)에 연결되되 상기 제2돌출핀(221)을 경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절띠(4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당김수단(420)에서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주조절띠(411)와,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이 위치한 상기 주조절띠(411)의 한쪽 끝단마다 연장형성되는 탄성조절띠(412)로 구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조절띠(411)는 상기 당김수단(420)에 일단이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로(140)를 따라 길게 연장형성한다.
상기 탄성조절띠(412)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면, 고무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조절띠(412)의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탄성조절띠(412)는 상기 당김수단(420)의 조작으로 상기 주조절띠(411)에 전달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신장하여 늘어나고, 상기 당김수단(420)의 조작으로 상기 주조절띠(411)에 전달된 힘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조절띠(4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조성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복층(414)을 구비한다.
상기 피복층(414)은 상기 조절띠(41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상기 피복층(414)을 전체적으로 구비토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조절띠(410) 중에서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상기 조절띠(410)가 꺾이면서 지속적으로 마찰현상이 발생하는 부분에만 상기 피복층(414)을 국부적으로 구비토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피복층(414)을 전체적으로 구성하면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반면 상기 조절띠(410)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피복층(414)을 국부적으로 구성하면 상기 조절띠(410)의 전반적인 수명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제품의 제작단가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복층(414)에 사용되는 코팅제의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조성한다.
상기에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우수한 접착성으로 상기 조절띠와의 부착효율을 증진시키고, 높은 강도 및 안정적인 팽창수축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조절띠(410)에 피복층(414)을 구비토록 구성하게 되면, 조절띠(410)의 강성을 높여 안정적인 당김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당김수단(42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가능하게 상기 밑창본체(100)의 외측 후방에 구비토록 설치된다.
상기 당김수단(420)은 상기 조절띠(410) 중 상기 주조절띠(411)의 일단을 고정토록 연결되고, 상기 조절띠(4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전방 또는 후방 중 사용자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조절띠(4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221)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당김수단(420)의 제1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는 회전감개부재(421)를 포함한 권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는 상기 조절띠(410)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회전방향에 따라 외주연 상에 상기 조절띠(41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제2돌출핀(221)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인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도록 조작하면 상기 조절띠(410)가 상기 회전감개부재(421) 상에 감기면서 당겨져 상기 제2돌출핀(221)을 돌출시키고,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조절띠(410)가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제2돌출핀(221)을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내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상기 당김수단(420)의 제2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절띠(410)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되 신발 몸체부(3)의 후방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부재(423)를 포함한 탈부착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부재(423)는 상기 조절띠(4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접합체(424)와, 상기 접합체(424)에 탈부착가능하게 상기 신발 몸체부(3)의 후면에 구비되는 접합부(425)로 구성한다.
상기 당김수단(420)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파스너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당김수단(420)의 경우 도 10에서는 벨크로테이프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지만 스냅파스너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의하면 밑창의 전방영역에 위치하여 공기주입 여부로 제어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함께 밑창의 후방영역에 위치하여 띠 당김 조작으로 제어되는 제2스파이크유닛을 구성하므로,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사용자가 전후 영역별 탄력적으로 설정함에 따라 신발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공기 및 띠를 설정조작하여 돌출핀이 돌출토록 구성하므로,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악길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하게 보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일반적인 길 보행시에도 항시 착용할 수 있어 신발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고 착용자로부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밑창본체 110 : 에어포켓공간
120 : 에어유동로 130 : 수용홈 140 : 가이드로
150 : 외피체 200 : 스파이크부 210 : 제1스파이크유닛
211 : 제1돌출핀 213 : 제1유닛케이스 213a : 에어압착영역
213b : 유동영역 214 : 제1가이드공 215 : 에어팽창막
217 : 복원스프링 219 : 패킹부재 220 : 제2스파이크유닛
221 : 제2돌출핀 222 : 경유로 223 : 제2유닛케이스
224 : 제2가이드공 225 : 반발스프링 226 : 수용공
227 : 고정지지부재 228 : 접촉지지단 229 : 스프링부재
300 : 에어조정부 310 : 에어유입밸브 320 : 밀봉부재
330 : 복원부재 340 : 에어제어밸브 350 : 에어배출로
400 : 띠조작부 410 : 조절띠 411 : 주조절띠
412 : 탄성조절띠 414 : 피복층 420 : 당김수단
421 : 회전감개부재 423 : 탈착부재 35a : 접합체
35b : 접합부 C1 : 전방영역 C2 : 후방영역

Claims (14)

  1.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가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서부터 전방영역을 향해 연장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밑창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이 에어압착영역 및 유동영역으로 상하 구획구분되며 하부에 상기 제1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1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제1유닛케이스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부를 에어압착영역과 유동영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에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유동영역을 향해 하향팽창하여 상기 제1돌출핀을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제1가이드공으로부터 돌출시키는 에어팽창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2돌출핀을 수용하되 하부에 상기 제2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2가이드공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수용가능한 수용공을 형성하는 제2유닛케이스와, 상기 제2유닛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되 상기 제2돌출핀의 상향이동가능한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반발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핀에는 상부에 상기 띠조작부 중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를 수용하는 경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팽창막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에어압착영역을 향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유동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을 지지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의 공기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돌출핀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조절띠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케이스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할 때 상기 제2유닛케이스 상에 접촉하여 걸리도록 형성되는 접촉지지단을 구성하고,
    상기 접촉지지단과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접촉지지단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정부는,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밑창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향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유입밸브와, 상기 밑창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밀폐시키고 외력으로부터 복원가능하게 형성되는 밀봉부재와, 상기 밑창본체의 에어포켓공간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누름 작용하여 압축된 상기 밀봉부재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에어유동로 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배출가능하되 공기배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에어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정부에는 상기 밑창본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포켓공간에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유동로를 통해 이동하되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를 배출가능토록 상기 에어유동로와 상기 에어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에어배출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띠는, 상기 당김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길게 연장형성하되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주조절띠와,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이 위치한 상기 주조절띠의 한쪽 끝단마다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탄성조절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띠는 외부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조성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복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고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가능하게 구비하되 회전방향에 따라 외주연 상에 상기 조절띠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되는 회전감개부재를 포함한 권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되 신발 몸체부의 후방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부재를 포함한 탈부착형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KR1020150062870A 2015-05-06 2015-05-06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70A KR101690782B1 (ko) 2015-05-06 2015-05-06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70A KR101690782B1 (ko) 2015-05-06 2015-05-06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35A KR20160131135A (ko) 2016-11-16
KR101690782B1 true KR101690782B1 (ko) 2017-01-03

Family

ID=5754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8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782B1 (ko) 2015-05-06 2015-05-06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83B1 (ko) * 2016-06-17 2018-06-07 주식회사 트렉스타 스파이크 슈즈
CN108646420B (zh) * 2018-07-27 2024-02-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设备及其减振防护结构
CN109222318B (zh) * 2018-09-30 2024-01-09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易穿脱式童鞋
CN115005554B (zh) * 2022-06-16 2023-10-31 杭州炫驰智能科技有限公司 止滑轻软舒弹健步鞋及其使用方法
CN117694647B (zh) * 2024-02-01 2024-04-19 晋江市鑫铭鞋材科技有限公司 一种油地面高摩擦止滑橡胶鞋底及其生产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1999A (ja) * 2011-05-02 2012-11-29 Nelson Eric スパイク調節機構およびスパイクシュー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093A (ko) 2001-02-20 2002-08-27 강대식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100120474A (ko) * 2009-05-06 2010-11-16 주식회사 신원주공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FI123280B (fi) * 2011-06-10 2013-01-31 Sievin Jalkine Oy Menetelmä jalkineen nastan siirtomekanismin ohjaamiseksi ja jalkine
KR20140000104A (ko) * 2012-06-22 2014-01-02 정환호 등산화용 아이젠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1999A (ja) * 2011-05-02 2012-11-29 Nelson Eric スパイク調節機構およびスパイクシュー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35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82B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US1216118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daptive fluid system
US10631589B2 (en) Ski boots
US2980926A (en) Fin shoe
WO2015176214A1 (en) Dog shoe
KR101591036B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US20070252351A1 (en) Wheeled footwear
CN106213654B (zh) 模块化鞋底结构
KR101591040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CH712179A2 (it) Calzatura sportiva, in particolare scarpone da sci o snowboard.
CN111920139A (zh) 一种男士商务皮鞋
CN217958942U (zh) 一种透气拖鞋
US868135A (en) Overshoe.
CN220236176U (zh) 一种鞋内防积水的拖鞋
CN215913475U (zh) 一种可以有效保护脚趾的凉鞋结构
CN209573381U (zh) 散步鞋
CN114081234A (zh) 一种防滑鞋
KR200340757Y1 (ko) 미끄럼방지 신발
KR200192507Y1 (ko) 미끄럼방지용 신발
KR20240000732U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KR101121257B1 (ko) 횡방향 충격흡수 신발
CA2541456A1 (en) Wheeled footwear
KR20050034512A (ko) 미끄럼방지 신발
ITUD20060010A1 (it) Calzatura sportiva quale uno scarpone da sci o simile
HK1261150A1 (en) Ski bo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7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