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0425B1 -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425B1
KR101690425B1 KR1020150117452A KR20150117452A KR101690425B1 KR 101690425 B1 KR101690425 B1 KR 101690425B1 KR 1020150117452 A KR1020150117452 A KR 1020150117452A KR 20150117452 A KR20150117452 A KR 20150117452A KR 101690425 B1 KR101690425 B1 KR 10169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measurement target
measuring
sensing electro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응제
오동인
위헌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4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6Impedance imaging, e.g. by tom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한방 치료의 자극 전후에 따른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임피던스 데이터 및 어드미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임피던스 데이터 및 어드미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여 치료 전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및 치료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GES OF ELECTR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TISSUE}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방 치료의 자극 전후에 따른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혈(經穴)과 경락(經絡)은 한의학의 근간이 되는 원리의 하나로서 인체상태를 발현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경락을 체내 장부와 지체의 각 부위가 연결된 순행 통로로서 이해하며 인체 내부에서 경락은 장부에 속하고 외부에서는 체표의 전체에 퍼져있다. 특히, 경혈은 경락이 외부와 통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장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점인 동시에 침이나 뜸으로 장부를 조절하는 치료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경혈에 침이나 뜸을 이용하여 신체 내부를 치료하는 한방 치료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한방 치료 방법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위치하는 경혈에 정확하게 치료를 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침이나 뜸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자리가 경혈인지를 한의사의 전문적인 경험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방 치료를 하기 전의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과, 한방 치료 후의 생체 조직의 변화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그에 따라 한방 치료의 효과 여부 및 한방 치료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42697호(발명의 명칭: 경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일본공개특허 제2008-289678호(발명의 명칭: 혈관 내피 기능 측정 장치) 미국등록특허 제8,257,280호(발명의 명칭: Bioimpedance methods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전류를 주입하고 전압을 측정하여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Impedance)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임피던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류를 측정하여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Admittance)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드미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 전후의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영상으로 출력하여 치료 전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및 치료의 효과의 판단이 가능한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침습적으로 안정되게 경혈점과 비경혈의 전기적 물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경락이나 경혈을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 타입 또는 프로브 타입의 물리적 구현을 통하여 각각 다른 측정 대상 부위에 효율적인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고 영상화할 수 있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는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both ends)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current driving electrodes)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하는 전류 주입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voltage sensing electrodes)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류 주입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impedance) 데이터를 측정하며,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상기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의 사이 간격을 변화시키며, 상기 측정 대상 부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 타입의 플렉시블(Flexible) 회로 기판 및 섬유형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를 스캔하는 프로브의 하단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상기 프로브의 스캐닝(scanning)을 통하여 상기 전압 측정부의 유기된 전압 측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압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는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드라이빙 전극(voltage driving electrodes)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current sensing electrodes) 중 선택되는 전류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인가된 복수의 주파수 범위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Admittance) 데이터를 측정하며,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측정된 전류 및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기준전위(0V)로 유지되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센싱 전극의 단락(short) 및 개방(open)을 제어하여 복수의 전류의 흐름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 타입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섬유형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섬유형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기준전위로 유지시키는 도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를 스캔하는 프로브의 하단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상기 프로브의 스캐닝을 통하여 상기 전류 측정부의 전류 측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기준전위(0V)로 유지시키는 도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 측정 방법은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both ends)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분석되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 및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 측정 방법은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드라이빙 전극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선택되는 전류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인가된 복수의 주파수 범위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측정되는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분석되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 및 상기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전류를 주입하고 전압을 측정하여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Impedance)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임피던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류를 측정하여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Admittance)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드미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료 전후의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영상으로 출력하여 치료 전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및 치료의 효과의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침습적으로 안정되게 경혈점과 비경혈의 전기적 물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경락이나 경혈을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타입 또는 프로브 타입의 물리적 구현을 통하여 각각 다른 측정 대상 부위에 효율적인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고 영상화할 수 있다.
도 1은 인체 일부분에서의 경혈 및 경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probe type)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Probe type)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인체 일부분에서의 경혈 및 경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은 인체의 팔 부분의 경혈(10)과, 경혈(10)을 연결하는 경로인 경락(20)를 나타낸다.
한의학에서 수기계 치료의 질병관(疾病觀)에 의하면 인체에는 장부(臟腑: 오장육부)가 있고, 기능이 서로 조화되면 건강하지만 조화가 흩어지면 병에 걸려 여러 가지 증세가 나타난다고 한다. 이 장부의 기능을 항상 조절하는 것은 몸의 내외를, 머리에서 다리로, 가슴에서 팔로, 즉 세로로 지나가는 에너지 순환계가 있는데, 이것을 경락(20)이라고 한다.
경락(20)은 인체의 오장육부에 기혈이 흐르는 길을 나타내며, 그 기혈의 흐르는 길에 병변 현상이 잘 나타나는 지점을 경혈(10)이라 한다.
경맥상의 경혈(10)과 내부 장기는 상당히 떨어져 있지만 경혈(10)은 내부 장기의 반응이 나타나므로 경혈(10)에 침 또는 뜸의 한방 치료를 수행하여 해당 장기의 병을 고칠 수 있다.
경혈(10)은 전기저항이 낮은 반응점으로 전기 전도도가 높다. 이로 인해서, 경혈(10)에 작용되는 한방 치료의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경락(20)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방 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혈(10)에 작용되는 한방 치료의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경락(20)의 변화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한방 치료의 자극 전후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150)에 전류를 주입하고,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전압 센싱 전극(170)을 통하여 전압을 측정하며, 측정된 전압 및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자의 팔에 형성된 전류 드라이빙 전극(150)을 통해 전류를 주입하고, 전압 센싱 전극(170)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하며, 측정된 전압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혈(10)을 포함하는 측정 부위의 임피던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하고,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전류 주입부(110), 전압 측정부(120), 제어부(130) 및 영상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전류 주입부(110)는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both ends)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1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한다.
상기 전류는 수 십 Hz 내지 수 MHz 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주입부(110)는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에 배치된 전류 드라이빙 전극(1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 전체에 비교적 균질한 전류밀도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20)는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170)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170)을 통하여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전압 측정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선택된 전압 센싱 전극(170)을 이용하여 침과 뜸과 같은 외부 자극의 인가 전 후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센싱 전극(170)은 측정 대상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 타입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160) 및 섬유형 벨트(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센싱 전극(170)은 기판(16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측정 대상 부위의 특성 및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되는 전압을 이용한 활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류 주입부(110) 및 전압 측정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하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170)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170)의 사이 간격을 변화시키며, 측정 대상 부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기판(16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선택할 수 있고,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극의 개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신호 생성부(미도시) 및 생성된 전압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신호 생성부는 가변 진폭 및 수 십 Hz 내지 수 MHz의 범위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신호 생성부는 복수의 주파수 범위 중 선택된 주파수 정보에 근거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류 변환부는 전압-전류 컨버터(converter)일 수 있고, 전류 변환부는 동일한 값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전압 신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의 진폭 및 주파수가 동일하도록 전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는 감지된 전압 데이터의 기울기를 근거로 하여 전압 데이터에 노이즈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노이즈가 포함되었다면 해당 전압 데이터를 다른 전압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40)는 측정된 전압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측정된 전압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을 영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를 통하여 전압 센싱 전극(170)을 통해 측정 대상자가 경혈(10)의 위치를 알지 못하더라도 경혈(10) 부근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센싱 전극(170)을 통하여 경락(20)이 흐르는 부위의 피부 전기저항에 따른 전압 데이터의 차이에 의해 정확하게 경혈(10)의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probe type)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프로브(180)의 스캐닝을 통하여 유기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1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하고, 프로브(180)의 하단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170)을 이용하여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전류 주입부(110), 전압 측정부(120), 제어부(130) 및 영상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전류 주입부(110)는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both ends)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1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한다.
상기 전류는 수 십 Hz 내지 수 MHz 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주입부(110)는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에 배치된 전류 드라이빙 전극(1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 전체에 비교적 균질한 전류밀도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20)는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170)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170)을 통하여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전압 측정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선택된 전압 센싱 전극(170)을 이용하여 침과 뜸과 같은 외부 자극의 인가 전 후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센싱 전극(170)은 측정 대상 부위를 스캔하는 프로브(180)의 하단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센싱 전극(170)은 프로브(180) 하단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측정 대상 부위의 특성 및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되는 전압을 이용한 활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류 주입부(110) 및 전압 측정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하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170)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170)의 사이 간격을 변화시키며, 측정 대상 부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기판(16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선택할 수 있고,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극의 개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신호 생성부(미도시) 및 생성된 전압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신호 생성부는 가변 진폭 및 수 십 Hz 내지 수 MHz의 범위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신호 생성부는 복수의 주파수 범위 중 선택된 주파수 정보에 근거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류 변환부는 전압-전류 컨버터(converter)일 수 있고, 전류 변환부는 동일한 값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전압 신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의 진폭 및 주파수가 동일하도록 전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는 감지된 전압 데이터의 기울기를 근거로 하여 전압 데이터에 노이즈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노이즈가 포함되었다면 해당 전압 데이터를 다른 전압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40)는 측정된 전압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측정된 전압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을 영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이동이 가능한 프로브(180)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 상에서 넓은 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하고,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며, 측정된 전압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는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에 전압을 인가하고,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전류 센싱 전극(270)을 통하여 전류를 측정하며, 측정된 전류 및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는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 데이터를 측정하고,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도 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는 전압 인가부(210), 전류 측정부(220), 제어부(230) 및 영상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전압 인가부(210)는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 인가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의 정현파 정전압을 발생시키고, 정현파 정전압을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에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압 인가부(21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정전압 발생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및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류 측정부(220)는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 중 선택되는 전류 센싱 전극(270)을 통하여 인가된 복수의 주파수 범위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전류 측정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선택된 전류 센싱 전극(270)을 이용하여 침과 뜸과 같은 외부 자극의 인가 전 후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은 측정 대상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 타입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260) 및 섬유형 벨트(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260) 및 섬유형 벨트(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 위한 고정판(미도시)을 포함하고, 고정판의 외곽에 위치하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을 기준전위(0V)로 유지시키는 도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센싱 전극(270)은 기판(26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측정 대상 부위의 특성 및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되는 전류를 이용한 활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압 인가부(210) 및 전류 측정부(2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 데이터를 측정하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다.
제어부(230)는 기준전위로 유지되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센싱 전극의 단락(short) 및 개방(open)을 제어하여 복수의 전류의 흐름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기준전위점에서 탈착되는 전류 센싱 전극(270)을 통해 복수의 전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240)는 측정된 전류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240)는 측정된 전류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을 영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Probe type)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는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프로브(280)의 스캐닝을 통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는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전압을 인가하고, 프로브(280)의 하단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을 이용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한다.
도 5에서는 인체의 손이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을 파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인체가 전압 드라이방 전극(250)을 파지하는 형태는 아니고, 인체의 일부와 접촉하는 형태이면 도 5에 도시된 바에 한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는 전압 인가부(210), 전류 측정부(220), 제어부(230) 및 영상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전압 인가부(210)는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 인가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의 정현파 정전압을 발생시키고, 정현파 정전압을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에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압 인가부(21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정전압 발생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및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류 측정부(220)는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 중 선택되는 전류 센싱 전극(270)을 통하여 인가된 복수의 주파수 범위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전류 측정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선택된 전류 센싱 전극(270)을 이용하여 침과 뜸과 같은 외부 자극의 인가 전 후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은 측정 대상 부위를 스캔하는 프로브(280)의 하단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로브(280)는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 위한 고정판(미도시)를 포함하고, 고정판의 외곽에 위치하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270)을 기준전위(0V)로 유지시키는 도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센싱 전극(270)은 프로브(280) 하단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측정 대상 부위의 특성 및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되는 전류를 이용한 활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압 인가부(210) 및 전류 측정부(2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 데이터를 측정하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한다.
제어부(230)는 기준전위로 유지되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센싱 전극의 단락(short) 및 개방(open)을 제어하여 복수의 전류의 흐름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기준전위점에서 탈착되는 전류 센싱 전극(270)을 통해 복수의 전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240)는 측정된 전류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240)는 측정된 전류 및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을 영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는 이동이 가능한 프로브(280)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 상에서 넓은 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200)에서, 하나 이상의 전압 드리이빙 전극(250)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고, 측정 대상자가 전압 드라이빙 전극(250)을 손으로 움켜쥘 수 있으며, 인체의 측정 대상 부위에 배치 또는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방법은 단계 610에서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한다.
단계 610은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에 배치된 전류 드라이빙 전극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 전체에 비교적 균질한 전류밀도 분포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류는 수 십 Hz 내지 수 MHz 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을 통하여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단계 620은 전압 센싱 전극을 이용하여 침과 뜸과 같은 외부 자극의 인가 전 후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압 센싱 전극은 기판 또는 프로브 하단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측정 대상 부위의 특성 및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되는 전압을 이용한 활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분석되는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 및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단계 630은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을 선택할 수 있고,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극의 개수를 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630은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전압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방법은 단계 710에서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드라이빙 전극을 통하여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한다.
단계 7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의 정현파 정전압을 발생시키고, 정현파 정전압을 전압 드라이빙 전극에 인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선택되는 전류 센싱 전극을 통하여 인가된 복수의 주파수 범위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단계 720은 전류 센싱 전극을 이용하여 침과 뜸과 같은 외부 자극의 인가 전 후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센싱 전극은 기판 또는 프로브 하단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측정 대상 부위의 특성 및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되는 전류를 이용한 활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측정되는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분석되는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 및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한다.
단계 730은 기준전위로 유지되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센싱 전극의 단락(short) 및 개방(open)을 제어하여 복수의 전류의 흐름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200: 생체 조직의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110: 전류 주입부
120: 전압 측정부
130, 230: 제어부
140, 240: 영상 출력부
210: 전압 인가부
220: 전류 측정부

Claims (14)

  1.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both ends)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current driving electrodes)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하는 전류 주입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voltage sensing electrodes)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류 주입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impedance) 데이터를 측정하며,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외부 자극 인가 부근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센싱 전극을 통하여 경락이 흐르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피부 전기저항에 따른 상기 전압을 측정하여 경혈의 상기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상기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의 사이 간격을 변화시키며, 상기 측정 대상 부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 타입의 플렉시블(Flexible) 회로 기판 및 섬유형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를 스캔하는 프로브의 하단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상기 프로브의 스캐닝(scanning)을 통하여 상기 전압 측정부의 유기된 전압 측정을 제어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압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
    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6.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드라이빙 전극(voltage driving electrodes)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current sensing electrodes) 중 선택되는 전류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인가된 복수의 주파수 범위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에 대한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Admittance) 데이터를 측정하며, 상기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측정된 전류 및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외부 자극 인가 부근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센싱 전극을 통하여 경락이 흐르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피부 전기저항에 따른 상기 전류를 측정하여 경혈의 상기 어드미턴스 데이터를 측정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전위(0V)로 유지되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센싱 전극의 단락(short) 및 개방(open)을 제어하여 복수의 전류의 흐름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 타입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섬유형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섬유형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기준전위로 유지시키는 도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은
    상기 측정 대상 부위를 스캔하는 프로브의 하단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상기 프로브의 스캐닝을 통하여 상기 전류 측정부의 전류 측정을 제어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을 기준전위(0V)로 유지시키는 도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12.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 부위의 양 단(both ends)에 배치되는 전류 드라이빙 전극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류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선택되는 전압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주입되는 전류에 따른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유기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측정되는 임피던스 데이터로부터 분석되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 및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압 센싱 전극 중 외부 자극 인가 부근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센싱 전극을 통하여 경락이 흐르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피부 전기저항에 따른 상기 전압을 측정하여 경혈의 상기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
  13.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인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 드라이빙 전극을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 부위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표면에 접촉된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선택되는 전류 센싱 전극을 통하여 상기 인가된 복수의 주파수 범위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외부 자극 인가 전 후의 상기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측정되는 어드미턴스 데이터로부터 분석되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생체 조직의 특성 변화 및 상기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 조직의 특성을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 센싱 전극 중 외부 자극 인가 부근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센싱 전극을 통하여 경락이 흐르는 상기 측정 대상 부위의 피부 전기저항에 따른 상기 전류를 측정하여 경혈의 상기 어드미턴스 데이터를 측정하는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50117452A 2015-08-20 2015-08-20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52A KR101690425B1 (ko) 2015-08-20 2015-08-20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52A KR101690425B1 (ko) 2015-08-20 2015-08-20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425B1 true KR101690425B1 (ko) 2016-12-27

Family

ID=5773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4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425B1 (ko) 2015-08-20 2015-08-20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4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57A (ko) 2017-05-02 2018-1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션 캡쳐를 이용한 환자의 생체 In-vivo 물성 추출 방법
KR20190010094A (ko) 2017-07-21 2019-0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라인 스캐너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09350A (ko) * 2020-02-27 2021-09-06 선재광 배수혈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으로부터 생리적인 상태와 병리적인 상태로 분류하는 방법
CN115005795A (zh) * 2022-07-15 2022-09-06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针灸过程中的腧穴区域皮肤电特性三维成像装置与方法
WO2023043070A1 (ko) * 2021-09-16 2023-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843A (ja) * 1999-10-20 2001-04-24 Tohoku Techno Arch Co Ltd 鍼刺激効果および径穴位置の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050104259A (ko) * 2004-04-28 2005-11-02 메디게이트(주)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 전극 장치
KR100742697B1 (ko) 2006-02-08 2007-07-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8289678A (ja) 2007-05-25 2008-12-04 Parama Tec:Kk 血管内皮機能測定装置
KR20110108387A (ko) * 2009-01-27 2011-10-05 싸이베이스 에이비 임피던스의 다중 전극 측정을 위한 스위치 프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843A (ja) * 1999-10-20 2001-04-24 Tohoku Techno Arch Co Ltd 鍼刺激効果および径穴位置の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050104259A (ko) * 2004-04-28 2005-11-02 메디게이트(주) 체임피던스 측정용 벨트 전극 장치
KR100742697B1 (ko) 2006-02-08 2007-07-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8289678A (ja) 2007-05-25 2008-12-04 Parama Tec:Kk 血管内皮機能測定装置
KR20110108387A (ko) * 2009-01-27 2011-10-05 싸이베이스 에이비 임피던스의 다중 전극 측정을 위한 스위치 프로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 제8,257,280호(발명의 명칭: Bioimpedance methods and apparatu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57A (ko) 2017-05-02 2018-1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션 캡쳐를 이용한 환자의 생체 In-vivo 물성 추출 방법
KR20190010094A (ko) 2017-07-21 2019-0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라인 스캐너 및 그 동작 방법
KR101992012B1 (ko) 2017-07-21 2019-06-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라인 스캐너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09350A (ko) * 2020-02-27 2021-09-06 선재광 배수혈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으로부터 생리적인 상태와 병리적인 상태로 분류하는 방법
KR102337813B1 (ko) 2020-02-27 2021-12-09 선재광 배수혈로부터 측정된 전류 값으로부터 생리적인 상태와 병리적인 상태로 분류하는 방법
WO2023043070A1 (ko) * 2021-09-16 2023-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5005795A (zh) * 2022-07-15 2022-09-06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针灸过程中的腧穴区域皮肤电特性三维成像装置与方法
CN115005795B (zh) * 2022-07-15 2025-05-27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针灸过程中的腧穴区域皮肤电特性三维成像装置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425B1 (ko)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1041334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tissue and vessels
US20060195158A1 (en) Nerve Stimulator and Method
CN107233664B (zh) 一种基于针刺穴位阻抗的电针治疗系统
US20140194949A1 (en) Multiplex Electrodes for Applying Transcutaneous Interferential Current
US5339827A (en) Acupuncture system and method
KR101345640B1 (ko) 다중 건식전극을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생체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 및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KR102081839B1 (ko) 정량화된 고통민감도측정장치 및 그 방법
Trulsson et al. Cortical responses to single mechanoreceptive afferent microstimulation revealed with fMRI
KR101698867B1 (ko) 전자 샴 침 구동 장치 및 전자 샴 침 구동 방법
KR20210005556A (ko) 수술 중 해면 신경을 맵핑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718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ve Electrotherapy
JP6882753B2 (ja) 少なくとも一個の少なくともバイポーラ電極によって組織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Zhang et al. Measurement of subcutaneous impedance by four-electrode method at acupoints located with single-power alternative current
KR100742697B1 (ko) 경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3520225A (ja) 周辺組織の影響を取り除いて骨組織の構造および化学組成を非侵襲的に解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Szelény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the course of threshold current, voltage and electrode impedance during stepwise stimulation from the skin surface to the human cortex
Sun et al. A real-time non-implantation Bi-directional brain–Computer interface solution without stimulation artifacts
KR101720870B1 (ko) 내시경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특성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1991073B (zh) 量化由于rf电流而引起的神经肌肉刺激的方法和装置
Hashim et al. Modelling dynamically re-sizeable electrodes (DRE) for targeted transcutaneous measurements in impedance plethysmography
Rieger et al. A device for emulating cuff recordings of action potentials propagating along peripheral nerves
US20190381312A1 (en) Method of searching optimal zones for electropulse therapy (variants)
KR101992012B1 (ko) 피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라인 스캐너 및 그 동작 방법
KR100604210B1 (ko) 의료용 진단 및 치료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