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9827B1 - 가변형 리어카 - Google Patents

가변형 리어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27B1
KR101689827B1 KR1020160065104A KR20160065104A KR101689827B1 KR 101689827 B1 KR101689827 B1 KR 101689827B1 KR 1020160065104 A KR1020160065104 A KR 1020160065104A KR 20160065104 A KR20160065104 A KR 20160065104A KR 101689827 B1 KR101689827 B1 KR 10168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fixed
handle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박철수
박혜나
Original Assignee
박성훈
박철수
박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훈, 박철수, 박혜나 filed Critical 박성훈
Priority to KR102016006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04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가변형 리어카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상으로 고정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는 측면프레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리어카로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재;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프레임부재;를 마련하여 손잡이부재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리어카 사용 시 체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도어프레임부재를 접거나 펼쳐줌으로써 리어카에 실리는 짐의 크기 또는 용량에 따라 본체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가변형 리어카{Variable Rear Car}
본 고안은 가변형 리어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싣고자 하는 짐의 용량에 따라 리어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리어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카는 건축현장에서의 각종 자재를 탑재하여 운반하거나 쓰레기 치우는 용도, 농가에서의 각종 물품 운반 사용, 상업적인 사용에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온 운반수단이다.
기본적인 프레임의 골조로서 본체를 형성하고, 본체에는 합성수지나, 목재를 이용하여 적재함을 구성하며, 기저부측 프레임으로부터는 양측에 전후 구름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리어카를 이끌 수 있는 손잡이대가 설치되어 사람이 밀거나 끌어당겨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기본 리어카 구조이다.
최근에는 리어카의 발달에 따라 배터리와 구동장치 및 제동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운반대상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도 1인이 손쉽게 이동이 쉽도록 한 리어카도 있다.
이러한 리어카의 본체는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손잡이는 본체에 일정 높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리어카의 손잡이가 본체에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에 상관없이 리어카를 사용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자는 리어카의 사용에 따른 불편을 감수하면서 사용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신장이 큰 사용자는 손잡이가 낮아 손잡이를 높게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신장이 작은 사용자는 손잡이가 높아 손잡이를 낮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리어카의 본체는 바퀴와 바퀴 사이의 폭이 일정 크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좁은 골목길을 지나고자 하는 경우 리어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리어카의 본체에 싣고자 하는 짐(화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비교적 작은 부피를 갖는 짐을 싣고자 하는 경우에도 리어커 본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어카 본체의 크기가 커 중량이 무거우며, 무거운 중량을 갖는 리어카의 무게와 리어카에 실은 짐(화물)의 무게가 더해져 노약자들에게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복합기능성을 갖춘 리어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복합기능성을 갖춘 리어카에는 프레임의 조합으로 구조틀을 형성하고, 구조틀에는 외장재의 설치로서 물품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구조틀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대,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설치되는 고정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가 설치된 고정축상으로부터 설치되어 바퀴의 회전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는 발전수단,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발전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전기에너지로 충전하는 축전지, 상기 본체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자외선 침투 및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접이식 차양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공지의 리어카(10)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바퀴의 상부와 전후 양측을 수용하는 호 형상의 흙받이 형태로서 그 양단에 지면과 수평으로 대응되는 평판부가 연장 형성된 몸체, 상기 평판부의 일면에 부착 설치되어 철재편을 자력으로 수집하는 자석, 상기 자석이 부착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몸체의 내측 면에 비금속편을 점착하여 수집하기 위한 점착 젤이 도포되어 지면으로부터 금속재의 송곳, 철편 및 비금속철편을 포집하여 바퀴의 펑크를 방지하는 바퀴보호부재가 설치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리어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리어카는 하방에 소형바퀴를 회전자재하게 유착한 리어카의 일측에는 기존의 단기통 오트바이엔진을 설치하여 엔진축에는 체인기어를 고착하고 리어카의 중간 하방에는 기존 자동차의 차동기어하우징을 설치하여 차동기어하우징의 양측외방으로 관출된 액슬축에는 바퀴, 구동피너언축에는 체인기어를 고착하고, 엔진축과 구동피니언축 사이에는 체인기어 및 체인기어를 축으로 유착하여 체인기어는 엔진축의 체인기어와 체인으로 연결하고 체인기어는 구동피니언축의 체인기어와 체인으로 연결하고, 또한 구동피니언축의 단부에는 브레이크판을 고착하고 일측에는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되는 브레이크 캐리퍼를 설치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2478호(2010년 3월 10일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88-0007882호(1988년 6월 28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손잡이부재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리어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어카 본체에 실리는 짐(또는 화물의 양이나 크기에 따라 도어프레임부재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가변형 리어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는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상으로 고정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는 측면프레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리어카로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재;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2 고정프레임;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에 끼워지는 고정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손잡이부재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끼워지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고정핀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부재는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힌지;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본체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본체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고리가 끼워지는 걸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에 의하면, 리어카 본체의 크기를 종래의 리어카에 비하여 길이 및 폭을 작게 함으로써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종래의 40㎏에 달하는 리어카의 무게를 대략 20㎏의 중량으로 줄여 노약자 등에게 리어카 중량으로 인한 사용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좁은 골목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에 의하면, 손잡이부재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리어카 사용 시 체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도어프레임부재를 접거나 펼쳐줌으로써 리어카에 실리는 짐의 크기 또는 용량에 따라 본체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의 손잡이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는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상으로 고정된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좌우 양측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는 측면프레임(12)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5)를 포함하는 리어카로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재(20), 상기 측면프레임(12)에 상기 손잡이부재(20)를 고정시키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프레임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리어카의 본체(10)에 싣고자 하는 짐(화물)의 양이나 크기에 따라 리어카 본체(10)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10)는 폭이 좁은 골목길 등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노약자 등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중량을 가볍게 한다. 즉, 본체(10)는 대략 800~1,000㎜의 길이로 형성하고, 600~800㎜의 폭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크기를 종래의 리어카에 비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좁은 골목길에도 상관없이 리어카를 이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본체(10)의 중량을 종래의 40㎏에서 20㎏으로 줄여 노약자 등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는 바퀴(13)가 설치되는 본체(10), 리어카를 파지하는 손잡이부재(20), 상기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 및 상기 본체(10)의 후미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상으로 고정되는 바닥프레임(11),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소정 높이로 고정되는 측면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 측면에는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바퀴(15)가 설치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1)은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를 대략 800~1,000㎜로 이루어지고, 바닥프레임(11)의 폭은 대략 600~800㎜로 형성되며, 바닥프레임(11)의 길이 및 폭은 필요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양 측면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측면프레임(12)이 고정되며, 상기 측면프레임(12)은 바닥프레임(11)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고정된다.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선단에는 손잡이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측면프레임(12)의 상부에는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구멍(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멍(13)은 측면프레임(12)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측면프레임(12)의 후단에는 도어프레임부재(40)를 고정시키는 걸고리(14)가 설치된다.
아울러 바닥프레임(11)의 저면에는 본체(10)를 지면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받침대(16)가 고정된다. 상기 받침대(16)는 바닥프레임(11)의 선단에 2개가 설치되며, 바닥프레임(11)의 후단에 1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프레임(11)의 선단에 고정되는 받침대(16)는 후단에 고정되는 받침대(1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의 손잡이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재(2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프레임(21)과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2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상부에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가 설치되도록 고정구멍(22)이 형성되며, 고정구멍(22)은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은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직프레임(21)의 내측에는 제1 고정프레임(24)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고정프레임(24)은 2개의 수직프레임(21)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제1 고정프레임(24)의 하단에는 제2 고정프레임(25)이 고정되며, 제2 고정프레임(25)의 저면에는 본체(10)의 바닥프레임(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26)가 고정된다. 상기 힌지(26)는 바닥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의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는 측면프레임(12)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에 끼워지는 고정핀(33) 및 상기 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6)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1)은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측면프레임(12)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31)에는 고정핀(33)이 관통되게 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재(20)와 맞닿는 측면프레임(12)에는 고정핀(33)이 관통되게 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핀(33)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1)의 일측에서 수직프레임(21)의 고정구멍(22)에 끼워지는 끼움부(34)와 상기 끼움부(34)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35)가 형성된다.
즉, 고정핀(33)의 끼움부(34)는 프레임(31)에서부터 수직프레임(21)의 고정구멍(22)에 끼워지도록 프레임(31)과 수직프레임(12)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며, 파지부(35)는 사용자가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핀(33)의 끼움부(34)는 파지부(35)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고, 파지부(35)는 끼움부(34)에 비하여 비교적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33)에는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스프링(36)이 설치되며, 측면프레임(12)에는 스프링(36)을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와셔(37)가 고정된다. 또한 측면프레임(12)과 수직프레임(21)에는 대략 'S'자 형상의 걸림쇠(38)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후단에는 짐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 짐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도어프레임부재(4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11)의 후단에는 도어프레임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프레임부재(40)는 본체(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프레임(41), 상기 도어프레임(41)이 상기 본체(1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힌지(42), 상기 도어프레임(41)이 상기 본체(10)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12)과 상기 도어프레임(41)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고리(43)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41)은 바닥프레임(11)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며, 도어프레임(41)의 높이는 측면프레임(1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프레임(41)에는 바닥프레임(1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힌지(42)가 고정되며, 도어프레임(41)과 측면프레임(12)에는 도어프레임(41)이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고리(43)가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리어카는 바닥프레임(11)의 선단에 높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부재(20)를 설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수직프레임(21)의 내부에 제1 고정프레임(24)을 설치하며, 수직프레임(21)의 하단에는 제2 고정프레임(25)을 수평으로 설치한다.
상기 제2 고정프레임(25)에는 힌지(26)를 다수개 설치하며, 힌지(26)는 바닥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 측면프레임(12)과 수직프레임(21)에는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를 설치한다. 측면프레임(12)에는 수직으로 프레임(31)을 고정하며, 측면프레임(12)에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의 고정핀(33)이 끼워지는 고정구멍(13)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멍(13)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고정구멍(13)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프레임(31) 및 측면프레임(12)과 수직프레임(21)에는 고정핀(33)을 결합한다. 상기 고정핀(33)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수직프레임(21)의 고정구멍(22)에 끼워지는 끼움부(34)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35)로 이루어진다.
또 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12) 사이에는 고정핀(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6)을 설치하며, 스프링(36)이 프레임(31) 또는 측면프레임(12)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와셔(37)를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상기 바닥프레임(11)의 후단에는 바닥프레임(11)에 실린 짐이 떨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다량의 짐을 싣거나 부피가 큰 짐을 실을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부재(40)를 설치한다.
상기 도어프레임부재(40)는 도어프레임(41)의 일측에 힌지(42)를 고정하며, 힌지(42)는 바닥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프레임(40)과 걸림쇠(38) 사이에는 연결고리(43)를 연결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2)에는 연결고리(43)를 끼워 고정하도록 걸고리(14)를 고정한다.
사용자는 리어카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짐을 싣고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신장이 큰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재(20)의 수직프레임(21)에 끼워져 있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30)의 고정핀(33)을 잡아당겨 분리시킨다.
즉, 사용자는 고정핀(33)의 파지부(35)를 잡고서 본체(10)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상기 고정핀(33)은 손잡이부재(20)의 수직프레임(21)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이렇게 고정핀(33)이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재(20)를 사용하고자 하는 높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고정핀(33)을 끼워 손잡이부재(20)를 고정하게 된다.
즉, 고정핀(33)은 프레임(31)의 구멍(32)을 관통하여 측면프레임(12)의 고정구멍(13)을 거쳐 손잡이부재(20)의 수직프레임(21)의 고정구멍(22)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줌으로써, 손잡이부재(20)의 높이를 신장에 맞추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본체(10)에 실리는 짐(또는 화물)의 크기 또는 싣고자 하는 짐의 용량에 따라 도어프레임부재(40)를 개폐시키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부재(40)는 본체(10)의 후단에 수직으로 닫힌 상태로 사용되며, 도어프레임부재(40)는 연결고리(43)를 측면프레임(12)의 걸고리(14)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짐의 크기 또는 짐의 용량이 많은 경우, 사용자는 짐을 용이하게 싣거나 많은 양의 짐을 실을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부재(40)를 바닥프레임(11)의 후단으로 펼치게 된다.
사용자는 걸고리(14)에 걸려 있는 연결고리(43)를 분리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프레임부재(40)는 바닥프레임(11)을 중심으로 힌지(42)가 회전되면서 도어프레임(41)이 수평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도어프레임부재(40)는 연결고리(43)에 의해 측면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짐을 싣더라도 펼쳐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고리(43)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짐이 실린 리어카는 사용자가 끌거나 밀면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짐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는 종래의 리어카에 비하여 길이가 대략 800~1,000㎜로 이루어지고, 측면프레임(12) 사이의 폭은 대략 600~80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비교적 폭이 좁은 골목길에서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사용자는 리어카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프레임부재(40)를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리어카를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핀(33)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재(20)를 회전시켜 보관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바닥프레임
12: 측면프레임 13: 고정구멍
14: 걸고리 15: 바퀴
16: 받침대 20: 손잡이부재
21: 수직프레임 22: 고정구멍
23: 수평프레임 24: 제1 고정프레임
25: 제2 고정프레임 26: 힌지
30: 손잡이 높이조절부재 31: 프레임
32: 구멍 33: 고정핀
34: 끼움부 35: 파지부
36: 스프링 37: 와셔
38: 걸림쇠 40: 도어프레임부재
41: 도어프레임 42: 힌지
43: 연결고리

Claims (7)

  1.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상으로 고정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는 측면프레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리어카로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재;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손잡이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프레임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재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2 고정프레임;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힌지;
    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에 끼워지는 고정핀;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와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측면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S'자 형상의 걸림쇠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리어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손잡이부재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끼워지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고정핀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리어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부재는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힌지;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본체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리어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본체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고리가 끼워지는 걸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리어카.
KR1020160065104A 2016-05-26 2016-05-26 가변형 리어카 Active KR10168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04A KR101689827B1 (ko) 2016-05-26 2016-05-26 가변형 리어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04A KR101689827B1 (ko) 2016-05-26 2016-05-26 가변형 리어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827B1 true KR101689827B1 (ko) 2016-12-26

Family

ID=5773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104A Active KR101689827B1 (ko) 2016-05-26 2016-05-26 가변형 리어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882A (ko) 1986-12-04 1988-08-29 원본미기재 굴착 투쓰 조립체
KR980007797U (ko) * 1998-02-17 1998-04-30 정종진 절첩식 다리를 부설한 외바퀴 수레
KR20080005475U (ko) * 2007-05-15 2008-11-21 정차수 손수레의 측면 프레임 설치 각도 조절장치
JP4297411B2 (ja) * 2003-02-24 2009-07-15 株式会社内山商会 折り畳み組合わせ式ハンドル
KR20100002478U (ko) 2008-08-28 2010-03-10 이제완 복합기능성을 갖춘 리어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882A (ko) 1986-12-04 1988-08-29 원본미기재 굴착 투쓰 조립체
KR980007797U (ko) * 1998-02-17 1998-04-30 정종진 절첩식 다리를 부설한 외바퀴 수레
JP4297411B2 (ja) * 2003-02-24 2009-07-15 株式会社内山商会 折り畳み組合わせ式ハンドル
KR20080005475U (ko) * 2007-05-15 2008-11-21 정차수 손수레의 측면 프레임 설치 각도 조절장치
KR20100002478U (ko) 2008-08-28 2010-03-10 이제완 복합기능성을 갖춘 리어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1528B2 (ja) 折畳式椅子付きスーツケース
US7226073B1 (en) Luggage cart having a telescoping handle with the addition of a foldable supportive wheel assembly
US8074824B1 (en) Trash receptacle apparatus
US8167322B2 (en) Stable shop and field welding cart
US6827364B1 (en) Personal utility cart
US5465801A (en) Motorized wheelbarrow
JP4538495B2 (ja) 車輪付き手荷物ケース
US9233699B2 (en) Hand truck
US6149372A (en) Cargo loader
US5433463A (en) Bucketeer on wheels
US20080296855A1 (en) Collapsible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a basket with a movable floor
JP2000084008A (ja) 車椅子の組付構造
US7547029B2 (en) Child transport vehicle
US6443469B1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6098999A (en) Safety shopping cart
US6302377B1 (en) Post pulling apparatus
US7871089B1 (en) Trash container hand truck system
KR101689827B1 (ko) 가변형 리어카
CN201839956U (zh) 折叠式自行车袋
DE102012005280A1 (de) Mobiles Carriersystem für Boden und Fahrrad
US20060231581A1 (en) Lifting and carrying device for motorcycles and other objects
JP3168023U (ja) 折畳み可能な電動台車
DE10050915A1 (de) Einkaufswagen
CN217705872U (zh) 一种可折叠伸缩的手推车
US7287777B2 (en) Collapsible hand-operated hau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