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653B1 - Fixture - Google Patents
Fix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9653B1 KR101689653B1 KR1020160080729A KR20160080729A KR101689653B1 KR 101689653 B1 KR101689653 B1 KR 101689653B1 KR 1020160080729 A KR1020160080729 A KR 1020160080729A KR 20160080729 A KR20160080729 A KR 20160080729A KR 101689653 B1 KR101689653 B1 KR 101689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romagnetic
- coupling reinforcing
- base member
- reinforcing member
- magn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 F16B2001/0035—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하면서도 미관상으로 피고정체의 디자인을 훼손시키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이나 변형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며, 피고정체를 고정하는 경우에 피고정체와 피고정체가 고정되는 벽면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구로서,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홈에 안착되는 강자성체 부재 및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상부에 탈착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does not deteriorate the design of the defective device while firmly fixing the defective device, does not deteriorate the design of the defective device, is simple in structure, 1. A fixture for fixing an object fixedly fixed while minimizing damage to an object to be fixed and a wall surface to which the object is fixed, comprising: a base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to be convex and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And a magnet member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romagnetic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 목재, 벽지 등과 같은 수직 평면을 구비하는 구조체의 벽면에 편리하고 안정되게 종이류 등의 피고정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ture for fixing a fixture such as paper or the like conveniently and stably on a wall surface of a structure having a vertical plane such as glass, wood, wallpaper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유리 등과 같은 수직 평면에 포스터, 홍보물과 같은 시트 형태의 피고정체를 고정하는 경우에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테이프를 붙인 자국이 나타나고, 테이프를 제거한 후에는 접착제의 자국이 남아 미관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붙이는 과정에서도 수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when fixing a sheet-shaped fixture such as a poster or a promotional article on a vertical plane such as a glass, it is fixed using a tape or the like. In this case, a mark attached to the tape appears. After removing the tape, This not only undermines the beauty of South Korea, but also pose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dify it in the process of attaching it.
근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98100호(2011.12.26.공고)와 같이 진공 및 자석을 이용한 흡착기가 개발된 바 있으나, 부품 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사용범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제작상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싸 실제로 제대로 된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an adsorber using a vacuum and a magnet has been develop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8100 (issued on December 26, 2011). However, Which is not only limited in scope of use but also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costly, and in fact, it is not used proper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하면서도 미관상으로 피고정체의 디자인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한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ture which is firmly fixed to an object to be fixed and which does not detract from the design of the object.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이나 변형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난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stene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a small number of parts,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manufacturing cost, and is not easily broken or deformed, and thus has excellent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피고정체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피고정체의 손상이 전혀 없고 피고정체가 고정되는 벽면의 손상도 최소화 하면서도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ture which can securely fix an object to be fixed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wall surface on which the fixed object is fixed, without damaging the object to be fixed in the case of fixing the object.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고정구는,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강자성체 부재 및The ferromagnetic member and /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상부에 탈착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agnet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romagnetic member.
또한,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Further, it may further comprise a base member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상기 강자성체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erromagnetic member is seated in the groove of the base member.
또한,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하부에는 하측에 첨부가 형성된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erromagnetic member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attached to the lower side.
또한,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하부에는 접착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adhesive lay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ferromagnetic member.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는 접착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ase member.
또한,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결합강화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reinforcing member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agnet member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groov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또한,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하면은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concave on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상면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두께는 중심을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and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center.
또한,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상면에 결합되고 유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압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rromagnetic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essing convex portion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erromagnetic member an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protruding upward.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는 흡착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ower part of the base member is formed of a suction half.
또한,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하면에 결합되고 유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압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essing convex portion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protruding downward ar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자석 부재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Further, the magnet member is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자석 부재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LED 등,An LED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gnet member,
상기 LED 등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강화부재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봉,An electrode ro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D or the like and protruding downward through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하측의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전원부,A power supply section provided on a base member on the lower side of the ferromagnetic body member,
상기 강자성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극 원반,An electrode plate provided on the ferromagnetic body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하면 테두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태의 상측 전극,A ring-shaped upper electrode provided at a bottom edg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or the like,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테두리부 중 상기 상측 전극과 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태의 하측 전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ring-shaped lower electrode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in contact with the upper electr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고정구는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하면서도 미관상으로 피고정체의 디자인을 훼손시키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이나 변형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며, 피고정체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피고정체의 손상이 전혀 없고 피고정체가 고정되는 벽면의 손상도 최소화 하면서도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a small number of parts, which makes it easy to manufacture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manufacturing cost, The durability is excellent because it is not easily damaged or deformed, and there is no damage to the defective object when fixing the defective object, and the defective object can be firmly fixed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wall where the defective object is fixe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응용례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응용례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또 다른 응용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pplications of a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pplications of a fasten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a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llustrate further applications of 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a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응용례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응용례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또 다른 응용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pplication examples of 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llustrates the use of a fasten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illustrate another application of the fasten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포스터, 홍보물 등의 시트 상으로 이루어진 피고정체를 벽체나 구조물에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부착함과 아울러 미관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도구로서, 크게 강자성체 부재(20), 자석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요소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l for stably attaching a fixed body made of a sheet, such as a poster or a promotional article, to a wall or a structure, and stably attaching the fixed body to the wall or structure, , A
먼저, 상기 강자성체 부재(20)는 자석과 접촉시 강한 인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First, the
상기 강자성체 부재(20)는 베이스 부재(10)의 홈에 안착되는데, 상기 베이스 부재(10)는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부재로서,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0)는 벽체나 구조물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첫째로, 상기 베이스 부재(10)는 흡착반으로 이루어져 유리나 대리석 등과 같이 표면의 거친 정도가 낮고 견고한 재질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둘째로, 상기 강자성체 부재(2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하단에 첨부가 형성된 돌기부가 구비되어 발포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재질에 부착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상기 강자성체의 하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이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자석 부재(30)는 상기 강자성체 부재(20)의 상부에 탈착되는 부재로서,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강자성체 부재(20)와 접촉시 강한 인력을 통해 그 사이에 위치하는 피고정체를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The
본 발명에서의 주요 특징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가압철부(21)가 상기 강자성체 부재(20)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어 결합되는데, 실리콘과 같은 유연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 부재(30)나 강자성체 부재(20)의 접촉면과 피고정체의 접촉면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시켜 더욱 견고히 피고정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3,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ss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자석 부재(3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실리콘과 같은 유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결합강화 부재(31)를 추가하여 접촉면의 특성을 이용하여 고정효과를 높이고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게 되는데, 상기 결합강화 부재(31)의 하면은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접촉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이때, 상기 결합강화 부재(31)의 상면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두께는 중심을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하여 외부가 탄성변형이 더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강화 부재(31)는 피고정체의 표면상태에 보다 유연하게 작용하여 실질적인 접촉면적을 확대하고 마찰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쉽게 탈거 및 재장착이 가능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체의 위치수정이 용이하게 된다.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detached and reattached, and it is easy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fixed body as shown in FIG.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강화 부재(31)의 하면에도 가압철부(32)를 형성하여 하측의 강자성체 부재(20)의 가압철부(21)와 아울러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결합강화 부재(31)의 가압철부(32)와 강자성체 부재(20)의 가압철부(21)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위치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4, a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가압철부(21)를 대신하여 유연 재질의 표면층을 상기 강자성체 부재(20)에 형성하여 피고정체의 재질에 따라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4, a surface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formed in the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주로 원형인 상태에 대해서 언급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을 모서리에 대응되게 'ㄱ'자 형상, 사각 형상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inly describe the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5, the shapes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A' shape and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도 5에서는 상기 결합강화 부재(3)가 'ㄱ'자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측의 베이스 부재(10)의 형상을 'ㄱ'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좌측의 그림(ba)과 같이 베이스 부재(10)로 흡착반을 이용하되 흡착반에 편심되어 위치하는 사각 형태의 추가 부재를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결합강화 부재(3)와 대응되게 'ㄱ'자 형상의 강자성체 부재(20)를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각형 형태의 피고정체의 모서리 부분을 견고히 고정시키면서도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5, the shape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정구에서는 상기 자석 부재가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 부재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LED 등(41)과, 상기 LED 등(4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강화부재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봉(42)과,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하측의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전원부(43)와, 상기 강자성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43)와 연결되는 전극 원반(44)과,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하면 테두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등(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태의 상측 전극(45)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테두리부 중 상기 상측 전극(45)과 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태의 하측 전극(4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강자성체 부재는 절연재로 코팅되어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결합시에는 상기 전극봉(42)과 전극 원반(44)이 결합되고 상기 상측 전극(45)과 하측 전극(46)이 결합되어 상기 LED 등(41)으로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LED 등(41)은 'ON' 된다. 이때, 상기 결합강화 부재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전극봉(42)이 상기 전극 원반(44)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측 전극(45)과 하측 전극(46)은 모두 링 형태로 이루어져 접촉이 되더라도 상기 전원부(43)로부터 LED 등(41)으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되어 상기 LED 등(41)은 'OFF'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고정구는 결합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결합강화 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피고정체가 이탈되는 경우 쉽게 그 이탈 여부를 상기 LED 등(41)의 점멸 상태로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6,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ED or the like 41, which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 ring shape and is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gnet member, A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고정구는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하면서도 미관상으로 피고정체의 디자인을 훼손시키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이나 변형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며, 피고정체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피고정체의 손상이 전혀 없고 피고정체가 고정되는 벽면의 손상도 최소화 하면서도 피고정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simple in construction, easy to manufacture, does not require a large manufacturing cost, and is easily damaged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xcellent in durability because it is not deformed and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fixed body when the fixed body is fixed and that the damage to the wall where the fixed body is fixed is also minimized and the fixed body can be firmly fixed .
10: 베이스 부재
20: 강자성체 부재 21: 가압철부
30: 자석 부재 31: 결합강화 부재
32: 가압철부
41: LED 등 42: 전극봉
43: 전원부 44: 전극 원반
45: 상측 전극 45: 하측 전극10: Base member
20: ferromagnetic member 21:
30: magnet member 31: coupling strengthening member
32:
41: LED, etc. 42: Electrode
43: power supply unit 44: electrode disc
45: upper electrode 45: lower electrode
Claims (1)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상부에 탈착되는 자석 부재,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자성체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홈에 안착되며,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결합강화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하면은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압철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는 흡착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압철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자석 부재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석 부재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LED 등,
상기 LED 등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강화부재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봉,
상기 강자성체 부재의 하측의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전원부,
상기 강자성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극 원반,
상기 결합강화 부재의 하면 테두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태의 상측 전극,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테두리부 중 상기 상측 전극과 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태의 하측 전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The ferromagnetic member,
A magnet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romagnetic member,
And a base member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ferromagnetic member is seated in the groove of the base member,
And a coupling reinforcing member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magnet member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groov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is concave at the top,
A plurality of pressing convex portion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erromagnetic member and projecting upward,
The lower part of the base member is made of a suction half,
And a plurality of pressing convex portion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and projecting downward,
The magnet member is in the form of a ring,
An LED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gnet member,
An electrode ro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D or the like and protruding downward through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A power supply section provided on a base member on the lower side of the ferromagnetic body member,
An electrode plate provided on the ferromagnetic body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 ring-shaped upper electrode provided at a bottom edg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or the like,
And a ring-shaped lower electrode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lectr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Fix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729A KR101689653B1 (en) | 2016-06-28 | 2016-06-28 | Fix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729A KR101689653B1 (en) | 2016-06-28 | 2016-06-28 | Fix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9653B1 true KR101689653B1 (en) | 2016-12-26 |
Family
ID=5773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0729A Active KR101689653B1 (en) | 2016-06-28 | 2016-06-28 | Fix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965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24638A4 (en) * | 2017-05-15 | 2021-02-24 | Jodi A. Carroll | SYSTEM FOR HOLDING DISHES ON A TABLE |
KR20210036054A (en) | 2019-09-25 | 2021-04-0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of preparing dried noodles with improved texture by adding enzy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7378U (en) * | 1985-07-31 | 1987-02-19 | ||
JPH078622U (en) * | 1993-07-05 | 1995-02-07 | 貞夫 松本 | Sucker |
KR101098100B1 (en) | 2009-09-16 | 2011-12-26 | 이지현 | A vacuum suction cup |
-
2016
- 2016-06-28 KR KR1020160080729A patent/KR1016896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7378U (en) * | 1985-07-31 | 1987-02-19 | ||
JPH078622U (en) * | 1993-07-05 | 1995-02-07 | 貞夫 松本 | Sucker |
KR101098100B1 (en) | 2009-09-16 | 2011-12-26 | 이지현 | A vacuum suction cup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24638A4 (en) * | 2017-05-15 | 2021-02-24 | Jodi A. Carroll | SYSTEM FOR HOLDING DISHES ON A TABLE |
KR20210036054A (en) | 2019-09-25 | 2021-04-0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of preparing dried noodles with improved texture by adding enzy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37390B2 (en) | Frame fastening assembly,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a frame | |
US7992286B2 (en) | Assembly apparatus for attaching decorative pieces | |
US20160305468A1 (en) | Vacuum adsorption apparatus | |
KR101689653B1 (en) | Fixture | |
ATE336057T1 (en) | COLLAPSIBLE DISPLAY | |
JP2008051296A (en) | Sucker | |
KR100586928B1 (en) | Substrate holding device in vacuum system and substrate chucking and dechucking device using same | |
KR20100008412A (en) | Vacuum sucker | |
US20100236118A1 (en) | Snap n place sign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interior signs | |
US20040178307A1 (en) | Adhesive device using magnetism | |
DE60139905D1 (en) | ADHESIVE FILM HOLDING DEVICE FOR FIXING TO A WALL | |
KR20170082087A (en) | Fixture | |
JP3198647U (en) | Screw cap | |
CN210135538U (en) | Combined lamp holder | |
KR200392839Y1 (en) | Vaccum suction plate | |
JP2011104976A (en) | Magnet | |
JP2009046850A (en) | Sign attaching device and sign pole | |
JP2016031857A (en) | Lighting fitting | |
CN103523321A (en) | Box structure | |
KR200479963Y1 (en) | Coupling structure of cover light | |
KR200488362Y1 (en) | Attachable holder | |
JP2000318362A (en) | Seesaw magnet type temporarily holding tool | |
KR20150083020A (en) | Vaccum suction device | |
JP2017003102A (en) | Rail type vacuum adsorption jig | |
JP3110108U (en) | thumbt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