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9081B1 -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081B1
KR101689081B1 KR1020150082749A KR20150082749A KR101689081B1 KR 101689081 B1 KR101689081 B1 KR 101689081B1 KR 1020150082749 A KR1020150082749 A KR 1020150082749A KR 20150082749 A KR20150082749 A KR 20150082749A KR 101689081 B1 KR101689081 B1 KR 10168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main
road shape
ro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120A (ko
Inventor
황정현
이창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to KR102015008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0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0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05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responsive to externally generated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현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정보를 나타내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내비게이션장치;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현위치정보와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황에 맞는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 Car Control System and Method }
본 발명은 차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및 속도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야간주행시 운전자의 전방을 주시해 전방의 주행 시야를 확보하는 자동차의 주요 장치이다.
현재 자동차에는 스티어링휠의 회전각도에 따라 헤드라이트의 조사각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가 구비된다. 하지만, 현재의 장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이 회전한 각도만큼 헤드라이트의 조사각이 조절되며, 좌우로만 조절가능하고 상하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운전자는 커브길에서 회전하는 방향보다 더 많은 부분에 대한 시야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인적이 드문 시골길이나 국도변에서 더욱 넓은 범위의 시야 확보가 필요하며, 경사진 도로에도 대응하도록 상하 조절이 가능한 헤드라이트 제어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로의 형상에 적합한 각도로 헤드라이트를 제어하는 장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9508호 (2011.06.23) "헤드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7-0037379호 (1997.07.22) "전자동차용 헤드라이트의 조사각 제어방법 및 조사각 제어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라이트 및 속도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및 속도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차량 제어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현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정보를 나타내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내비게이션장치;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헤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부;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부; 및 상기 경로정보부로부터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수신해 도로의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하여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는 도로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로정보부는,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의 경로정보인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도로정보부는, 상기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해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경로의 도로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하여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에 포함된 도로의 곡률 및 경사 정보에 따라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에 적합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예상주행 경로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예상주행 경로정보 또는 목적지 미설정시 현재위치에서 주행가능한 예상주행 경로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방법은, 내비게이션장치가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현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장치가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정보를 나타내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고, 헤드유닛으로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헤드유닛이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어장치가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해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목적지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목적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목적지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주행가능한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의 경로정보인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 및 상기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해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에 포함된 곡률 및 경사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가 차량의 곡선도로 진입을 대비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곡선도로 진입에 대비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은 상기 차량이 곡선도로 또는 경사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헤드라이트 제어 기준거리 이전에 조절되고, 상기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는 곡선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속도 제어 기준거리 이전에 점진적으로 감속되며, 곡선도로 통과 후 점진적으로 가속되는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첫째, 차량의 현위치정보와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황에 맞는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둘째, 곡률 및 경사에 따라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할 수 있어 시야 확보에 용이하여 야간주행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셋째, 곡선도로 진입 전 곡선도로의 곡률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안전속도로 제어하여 곡선도로 진입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주행 경로이탈에 대한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비게이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의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제어시스템이 차량에 장착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비게이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제어시스템(CS)은 내비게이션장치(100), 헤드유닛(300) 및 제어장치(400)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며, 현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정보를 나타내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유닛(200)에 내장된 내장형이나 헤드유닛(200)과 별도로 구비되는 외장형일 수도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장치(100)는 위치정보부(110), 경로정보부(120), 도로정보부(130), 통신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제어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위치정보부(110)는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고, 경로정보부(120)는 맵데이터와 위치정보부(110)에서 생성된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해 도로정보부(130)에 제공한다.
여기서, 경로정보부(120)는 차량의 현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이 메인주행 경로를 이탈하여 차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의 경로정보인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정보부(120)에서 이용하는 맵데이터는 내비게이션장치(100)에 구비된 맵데이터 또는 외부장치에서 수신한 맵데이터 일 수 있으며, 경로정보부(120)에서 생성된 메인주행 경로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예상주행 경로정보 또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지 않고 주행시 운전자의 과거주행 패턴을 기초로 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주행 가능성이 높은 예상주행 경로정보 일 수 있다.
도로정보부(130)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주행 경로의 도로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하여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한다.
나아가, 도로정보부(130)는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서브주행 경로의 도로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하여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도로형상정보는 메인주행 경로 상의 곡선도로와 경사로의 곡률과 경사정보이고, 서브도로형상정보는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의 경로 상의 곡선도로와 경사로의 곡률과 경사정보이다.
또한, 통신부(140)는 헤드유닛(200) 및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150)는 차량의 현위치정보, 메인주행 경로정보,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맵데이터 등의 내비게이션장치(100)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장치(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며, 통신부(140)를 통해 현위치정보,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헤드유닛(200)으로 전송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받고, 차량의 현위치정보, 메인주행 경로 및 서브주행 경로를 출력한다.
헤드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에 구비되고, 내비게이션장치(100)로부터 현위치정보,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300)는 차량에 구비되고, 헤드유닛(200)으로부터 현위치정보,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여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에 포함된 메인주행 경로와 서브주행 경로의 도로 곡률 및 경사에 적합하게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현위치정보 및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곡선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기준거리 이전에 곡선도로의 곡률에 적합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현위치정보 및 속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차량의 헤드라이트는 곡선도로 또는 경사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기준거리 이전에 헤드라이트 조사각이 도로형상에 적합하게 제어되고, 차량의 속도는 곡선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기준거리 이전에 안전속도까지 점진적으로 감속하며, 곡선도로 통과 후 점진적으로 가속하도록 제어된다.
예를들어,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를 위한 기준거리를 10m로 설정하면, 제어장치(300)는 곡선도로 또는 경사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10m 전 지점에서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곡선도로 또는 경사로의 도로형상에 맞춰 제어하고, 차량의 속도제어를 위한 기준거리를 200m로 설정하면, 곡선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200m 전 지점에서부터 차량의 속도를 안전속도까지 점진적으로 감속한다.
이렇게, 제어장치(300)가 도로의 곡률 및 경사에 따라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여 시야 확보에 효율적이기 때문에 야간 주행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곡선도로 진입시 차량의 속도를 안전속도로 조절하여 안전한 곡선도로 주행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방법은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장치(100)의 위치정보부(110)가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여 헤드유닛(200)으로 전송한다(단계 S110).
내비게이션장치(100)의 경로정보부(120)가 맵데이터와 위치정보부(100)에서 생성된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맵데이터는 내비게이션장치(100)에 구비된 맵데이터 또는 외부장치에서 수신한 맵데이터 일 수 있으며, 메인주행 경로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목적지까지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른 경로정보 또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지 않을시 경로예측 알고리즘에 따른 경로정보 일 수 있다.
내비게이션장치(100)의 도로정보부(130)가 경로정보부(120)에서 생성된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주행 경로의 도로 곡률 및 경사정보를 나타내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고, 헤드유닛으로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30).
단계 S130에서, 내비게이션장치(100)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한 즉시 헤드유닛(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차량의 제어가 요구되는 시점에 전송할 수도 있다.
헤드유닛(200)이 내비게이션장치(100)로부터 현위치정보 및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단계 S140).
단계 S140에서, 헤드유닛(200)은 내비게이션창지(100)로부터 현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현위치정보 및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300)가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150).
제어장치(300)가 현위치정보 및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한다(단계 S160).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내비게이션장치(1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목적지 입력 유무를 판단한다(단계 S121).
단계 S121에서 목적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맵데이터 및 위치정보부(110)에서 생성된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장치(100)에 내장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22).
단계 S121에서 목적지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맵데이터 및 현위치정보를 이용해서 내비게이션장치(100)에 내장된 경로예측 알고리즘에 따라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23).
여기서, 경로예측 알고리즘은 현위치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주행 경로를 예측하는 것으로서, 그 구현방법에 따라 운전자의 과거주행 패턴을 기초로 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주행 가능성이 높은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고, 교차로 또는 분기점에서 직진을 우선으로 하여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이 갑작스럽게 메인주행 경로를 이탈하여 차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단계 S121 또는 단계 S122에서 생성된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의 경로정보인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24).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삭제
도로정보부(130)는 메인주행 경로 및 서브주행 경로를 이용하여 메인주행 경로 및 서브주행 경로의 도로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한다.
이후, 도로정보부(130)는 계산된 도로의 곡률 및 경사를 이용하여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도로정보부(130)는 차량이 메인주행 경로 이탈시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는 동안 제어장치(300)가 차량을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의 발생을 대비하여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 경로의 도로형상정보인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도로정보부(130)는 도로의 곡률 및 경사를 메인주행 경로 상의 곡선도로, 경사로 및 분기점의 시작지점을 기준으로 설정거리 이전에 계산한다.
예를들어, 설정거리가 8km로 설정되면, 도로정보부(130)는 메인주행 경로 상의 곡선도로, 경사도로 및 분기점의 시작지점으로부터 8km 전 지점에서 도로의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하여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한다.
도 7은 도 4의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8은 도 4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장치(300)가 헤드유닛(200)으로부터 현위치정보,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51).
단계 S151에서, 제어장치(300)는 현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제어장치(300)가 헤드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에 따라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152).
또한, 단계 S150은,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곡선 도로 진입을 대비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52 및 단계 S153에서, 제어장치(300)는 차량이 메인주행 경로 주행시에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한 헤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이 메인주행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대비해서 내비게이션장치(100)가 새로운 경로탐색을 하는 동안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한 헤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1,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과정(단계 S16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장치(300)가 현위치정보 및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에 따라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한다(단계 S161).
또한, 단계 S160은, 현위치정보 및 속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곡선도로 진입에 대비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단계 S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61에서, 제어장치(300)는 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차량이 곡선 도로 또는 경사진 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기준거리 이전에 제어한다.
단계 S162에서, 제어장치(300)는 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곡선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기준거리 이전에 점진적으로 감속하며, 곡선도로 통과 후 점진적으로 가속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단계 S161 및 단계 S162에서, 제어장치(300)는 차량이 메인주행 경로 주행시에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헤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속도 제어신호로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속도를 제어하고, 차량이 메인주행 경로 이탈시에는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헤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속도 제어신호로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속도를 제어한다.
예를들어,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를 위한 기준거리가 10m로 설정되면, 제어장치(300)는 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곡선도로 또는 경사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10m 전 지점에 차량이 위치하면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도로의 형상에 맞게 제어하고, 차량의 속도를 제어를 위한 기준거리가 200m로 설정되면, 현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곡선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200m 전 지점에 차량이 위치하면 차량의 속도를 곡선도로 진입에 안정적인 속도, 예컨대 해당 도로의 제한속도까지 점진적으로 감속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은 곡선도로 및 경사로의 곡률과 경사에 적합하게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효율적이기 때문에 야간주행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곡선도로 진입 전 차량의 속도를 곡선도로 진입에 안정적인 속도로 제어하여 안전한 곡선도로 주행이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내비게이션장치 110...위치정보부
120...경로정보부 130...도로형상정보부
140...통신부 150...데이터 저장부
160...제어부 170...디스플레이부
200...헤드유닛 300...제어장치

Claims (14)

  1.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현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정보를 나타내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내비게이션장치;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부;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부; 및
    상기 경로정보부로부터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수신해 도로의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하여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는 도로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정보부는,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의 경로정보인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도로정보부는,
    상기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해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 경로의 도로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하여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상기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에 포함된 도로의 곡률 및 경사 정보에 따라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에 적합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예상주행 경로정보 또는 목적지 미설정시 현재위치에서 주행가능한 예상주행 경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시스템.
  7. 내비게이션장치가 차량의 현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현위치정보 및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장치가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정보를 나타내는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헤드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헤드유닛이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어장치가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해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목적지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목적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목적지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위치정보 및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주행가능한 메인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메인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복수의 경로정보인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주행 경로정보 및 상기 서브주행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곡률 및 경사를 계산해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도로형상정보 및 상기 서브도로형상정보에 포함된 곡률 및 경사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차량의 곡선 도로 진입을 대비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곡선 도로 진입에 대비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라이트 조사각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헤드라이트 조사각은 상기 차량이 곡선도로 또는 경사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헤드라이트 제어 기준거리 이전에 조절되고,
    상기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는 곡선도로 진입이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속도 제어 기준거리 이전에 점진적으로 감속되며, 곡선도로 통과 후 점진적으로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082749A 2015-06-11 2015-06-11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168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49A KR101689081B1 (ko) 2015-06-11 2015-06-11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49A KR101689081B1 (ko) 2015-06-11 2015-06-11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120A KR20160147120A (ko) 2016-12-22
KR101689081B1 true KR101689081B1 (ko) 2016-12-23

Family

ID=5772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749A Active KR101689081B1 (ko) 2015-06-11 2015-06-11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3494B2 (en) 2020-01-29 2023-09-19 Hanwha Aerospace Co., Ltd. Mobile surveillance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431A1 (ko) * 2019-01-16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349159B1 (ko) * 2019-05-21 2022-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682A (ja) 2007-12-07 2008-05-01 Aisin Aw Co Ltd 車両用灯具の配光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379A (ko) 1995-12-28 1997-07-22 한승준 전자동차용 헤드라이트의 조사각제어방법 및 조사각제어장치(a controll method and a device of glancing angles for a car headlight)
KR20110069508A (ko) 2009-12-17 2011-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헤드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79904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적응형 헤드 램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682A (ja) 2007-12-07 2008-05-01 Aisin Aw Co Ltd 車両用灯具の配光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3494B2 (en) 2020-01-29 2023-09-19 Hanwha Aerospace Co., Ltd. Mobile surveillance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120A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62166B (zh) 车辆控制装置、车辆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116776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94313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418199B2 (ja) 車両の自動運転システム
JP7371783B2 (ja) 自車位置推定装置
KR102007304B1 (ko) 차량 주행 시스템 및 차량
JP7260964B2 (ja) 車両用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N113811932B (zh) 车辆的行驶控制方法及行驶控制装置
US1129915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40081379A (ko) 자동차 및 이에 적용되는 헤드램프 제어방법
US20180043825A1 (en) Automatic driving system
US8519625B2 (en) Light quantity contro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7159827A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230373530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10968092A (zh) 自动驾驶辅助装置
US2017022560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 distribution of vehicle headlights and vehicle
JP2002052975A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KR102611337B1 (ko) 차량의 ar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US11904890B2 (en) Lane change system for lanes with different speed limits
KR101689081B1 (ko)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664723B1 (ko) 차량의 속도 조절 방법
JP2017174282A (ja) 運転制御装置、運転制御方法、運転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5892022A (zh) 用于操作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及驾驶员辅助系统
JP2018024351A (ja) 自動運転システム
JP2009227249A (ja) ライ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